KR20130136721A -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721A
KR20130136721A KR1020120060345A KR20120060345A KR20130136721A KR 20130136721 A KR20130136721 A KR 20130136721A KR 1020120060345 A KR1020120060345 A KR 1020120060345A KR 20120060345 A KR20120060345 A KR 20120060345A KR 20130136721 A KR20130136721 A KR 20130136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mporary
message
us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1032B1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60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03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중계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 사용자단말기에 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단말기; 발신단말기에 의해 발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를 검색하며, 검색된 사용자단말기에 착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신호를 착신할 수 없는 경우에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착신불가를 설정하는 설정단말기; 및 설정단말기에 의해 통신중계장치에 지정되는 임시단말기;를 포함하며, 통신중계장치는 설정단말기에 의한 설정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착신불가 상태 중에 사용자단말기에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 발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임시단말기에 메시지로 전송하거나, 사용자단말기에 착신되는 신호를 착신 전환하여 임시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Communication Rela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부득이한 상황으로 인하여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할 수 없는 경우에 컴퓨터, 다른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발신신호를 전송한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받거나 착신신호를 전환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의 부재중에 수신되는 착신신호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사용자가 유선통신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른 유선통신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와 음성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서비스는 보편적인 생활의 하나로 여겨지게 되었다.
특히, 통신기술 및 디지털신호 처리기술의 발달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통신기술이 음성통신기술과 접목되면서, 통신단말기는 단순히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동영상, 컨텐츠, 파일 등의 다운로드, 재생 및 업로드 기능, 영상통화 기능, 정보검색 기능 등으로까지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다. 이와 같이 통신단말기의 기능이 확장됨에 따라 통신단말기는 일상생활에 있어서 더욱 없어서는 안될 하나의 수단이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의 통신단말기에 착신되는 신호를 사용자가 제대로 받을 수 없어 생활에 큰 불편을 겪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전화기, 컴퓨터, 또는 인터넷 전화기의 경우에 사용자가 해당 통신단말기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로 이동하거나 해당 통신단말기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착신신호를 제때에 받지 못하여 생활의 불편을 겪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단말기를 분실하거나, 자신의 통신단말기를 집에 두고 외출을 하거나, 사용자단말기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착신신호를 제때에 받지 못하여 생활의 불편을 겪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부득이한 상황으로 인하여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할 수 없는 경우에 다른 컴퓨터, 다른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발신신호를 전송한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받거나 착신신호를 전환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 사용자단말기에 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단말기; 발신단말기에 의해 발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를 검색하며, 검색된 사용자단말기에 착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신호를 착신할 수 없는 경우에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착신불가를 설정하는 설정단말기; 및 설정단말기에 의해 통신중계장치에 지정되는 임시단말기;를 포함하며, 통신중계장치는 설정단말기에 의한 설정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착신불가 상태 중에 사용자단말기에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 발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임시단말기에 메시지로 전송하거나, 사용자단말기에 착신되는 신호를 착신 전환하여 임시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장치는, 발신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호 및 메시지를 사용자단말기에 전달하는 통신중계 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설정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는 착신불가설정부; 설정단말기로부터 임시단말기에 대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임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임시정보저장부; 착신불가설정부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되면, 사용자단말기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발신단말기의 정보 및 수신시각이 포함된 부재중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생성부; 및 메시지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부재중메시지를 임시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착신불가설정부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컴퓨터, 유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유선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임시단말기저장부는 이메일주소, 웹폰 전화번호, 유선단말기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임시단말기 식별번호로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통신중계 장치는, 설정단말기 및 임시단말기에 대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불가설정부는 인증처리부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된 경우에 설정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고, 메시지전송부는 인증처리부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된 경우에 부재중메시지를 임시단말기로 전송한다.
전술한 통신중계 장치는, 착신불가설정부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되면, 사용자단말기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를 임시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임시단말기로 착신 전환하는 착신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통신중계 장치는, 임시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임시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된 결과에 따라 메시지전송부에 의한 부재중메시지전송 또는 착신전환부에 의한 착신전환을 선택하는 전달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선택부에 의한 선택에 따라 임시단말기로 부재중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착신전환된 신호를 전송한다.
전술한 통신중계 장치는, 착신불가설정부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된 경우, 발신단말기로부터 음성메시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음성메시지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전송부는 인증처리부를 통해 임시단말기에 대한 인증이 된 경우에 음성메시지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임시단말기로 전송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방법은, 발신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호 및 메시지를 사용자단말기에 전달하는 통신중계 시스템에 의한 통신중계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설정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설정단말기로부터 임시단말기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임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되면, 사용자단말기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발신단말기의 정보 및 수신시각이 포함된 부재중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메시지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부재중메시지를 임시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착신불가설정 입력단계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컴퓨터, 유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유선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임시단말기의 식별번호저장단계는 이메일주소, 웹폰 전화번호, 유선단말기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임시단말기 식별번호로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통신중계 방법은, 설정단말기에 대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인증 수행단계에 의해 사용자인증이 된 경우에 설정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는다.
전술한 통신중계 방법은, 임시단말기에 대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인증 수행단계에 의해 사용자인증이 된 경우에 부재중메시지를 임시단말기로 전송한다.
전술한 통신중계 방법은, 착신불가설정 입력단계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되면, 사용자단말기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를 임시단말기저장부에 저장된 임시단말기로 착신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통신중계 방법은, 임시정보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임시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단말기로 착신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부재중메시지를 생성하거나 임시단말기로 착신 전환한다.
전술한 통신중계 방법은, 착신불가설정부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된 경우, 발신단말기로부터 음성메시지가 입력되면 음성메시지를 부재중메시지로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부득이한 상황으로 인하여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할 수 없는 경우에 컴퓨터, 다른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임시단말기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단말기의 부재중에 사용자단말기에 발신신호를 발신한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임시단말기를 통해 받거나 사용자단말기의 착신신호를 임시단말기로 전환하여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의 부재중에 수신되는 착신신호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설정단말기 또는 임시단말기로 사용될 수 있는 단말기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10), 발신단말기(20), 통신망(30, 40), 설정단말기(50), 임시단말기(60) 및 통신중계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단말기로서, 유선전화망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유선전화 단말기, 인터넷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넷전화 단말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발신단말기(20)는 사용자단말기(10)에 음성통화를 위한 호를 발신하거나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로서, 사용자단말기(10)와 마찬가지로 유선전화 단말기, 인터넷전화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통신망(30, 40)은 사용자단말기(10)가 속해 있는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망(30), 및 발신단말기(20)가 속해 있는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망(40)으로서, 서로 다른 통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통신망(30, 40)은 각각의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유선전화망,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설정단말기(50)는 사용자단말기(10)의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를 통해 신호를 착신할 수 없는 경우에 통신중계장치(300)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10)의 착신불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0)가 유선전화 단말기 또는 인터넷전화 단말기인 경우,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거나 해당 사용자단말기(10)가 고장이면, 사용자는 설정단말기(50)를 통해 통신중계장치(300)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단말기(10)를 분실하였거나 집에 두고 출근을 하였거나 또는 해당 사용자단말기(10)가 고장이면, 사용자는 설정단말기(50)를 통해 통신중계장치(300)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단말기(50)는 통신중계장치(300)에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사용자단말기(10)와 독립적인 단말기를 나타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전화 단말기,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인터넷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임시단말기(60)는 임시단말기(60)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를 통하여 신호를 착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자단말기(10)에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단말기(20)에 대한 정보를 받거나 사용자단말기(10)에 착신되는 신호를 착신 전환하여 받기 위한 단말기로서, 그에 대한 정보가 설정단말기(50)에 의해 지정되어 통신중계장치(300)에 저장된다. 여기서, 임시단말기(60)는 설정단말기(50)와 마찬가지로 유선전화 단말기, 컴퓨터, 인터넷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며,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이메일 주소, 웹 전화번호 등의 식별번호를 임시정보로 통신중계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는 임시단말기(60)가 설정단말기(50)와 독립적인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임시단말기(60)는 설정단말기(50)와 동일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설정단말기(50)는 자신의 전화번호, URL, 이메일 주소, 웹 전화번호 등의 식별번호를 임시정보로 지정하여 통신중계장치(300)에 저장한다.
통신중계장치(300)는 발신단말기(20)에 의해 발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10)를 검색하며, 검색된 사용자단말기(10)에 발신단말기(20)의 발신신호에 대응하는 착신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중계장치(300)는 설정단말기(50)에 의해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단말기(10)의 착신불가 상태 중에 사용자단말기(10)에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 발신단말기(20)에 대한 정보를 임시단말기(60)에 전송하거나, 사용자단말기(10)의 착신불가 상태 중에 착신되는 신호를 임시단말기(60)에 대한 착신신호로 전환하여 임시단말기(6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중계장치(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신불가설정부(310), 임시정보저장부(320), 메시지생성부(330), 메시지전송부(340), 인증처리부(350), 착신전환부(360), 전달선택부(370) 및 음성메시지저장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착신불가설정부(310)는 통신망(40)을 통해 연결된 설정단말기(5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통신망(40)은 설정단말기(50)가 속해 있는 통신사업자의 통신망으로서, 유선전화망, 이동통신망, 인터넷을 포함한다.
임시정보저장부(320)는 설정단말기(310)로부터 임시단말기(60)에 대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임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이때, 임시단말기(60)로 지정될 수 있는 단말기는 유선전화 단말기, 컴퓨터, 인터넷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며, 임시정보저장부(320)는 지정된 임시단말기(60)의 전화번호, URL, 이메일 주소, 웹 전화번호 등의 식별번호를 임시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지생성부(330)는 착신불가설정부(31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되면, 사용자단말기(10)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발신단말기(20)의 정보 및 수신시각이 포함된 부재중 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메시지생성부(3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하여 착신불가가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단말기(10)에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착신신호에 대응하는 발신단말기(20)의 정보 및 해당 착신신호의 수신시각이 포함된 부재중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발신단말기(20)의 정보는 발신단말기(20)의 식별번호, 발신단말기(20)가 사용자단말기(10)의 주소록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발신단말기(20)의 성명 또는 닉네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전송부(340)는 메시지생성부(330)에 의해 생성된 부재중 메시지를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에 대응하는 임시단말기(60)로 전송한다. 즉, 메시지전송부(340)는 사용자단말기(10)의 착신불가 상태에서 사용자단말기(10)에 수신되는 착신신호에 대응하는 발신단말기(20)의 부재중 메시지를 임시단말기(6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10)의 착신불가 상태에서의 착신신호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인증처리부(350)는 설정단말기(50) 및 임시단말기(60)에 대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인증처리부(350)는 사용자가 설정단말기(5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 설정단말기(50)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또는 사설인증서를 통하여 인증신호를 입력받거나,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설정단말기(50)에 문의하고 설정단말기(50)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설정단말기(50)의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인증처리 할 수 있다. 또한, 인증처리부(350)는 메시지전송부(340)가 임시단말기(60)로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부재중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임시단말기(60)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또는 사설인증서를 통하여 인증신호를 입력받거나,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임시단말기(60)에 문의하고 임시단말기(60)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임시단말기(60)의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인증처리 할 수도 있다.
착신전환부(360)는 착신불가설정부(31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되면, 사용자단말기(10)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를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에 대응하는 임시단말기(60)로 착신 전환한다. 즉, 착신전환부(3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하여 착신불가가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단말기(10)에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신호를 임시단말기(60)에 대한 착신신호로 착신 전환한다.
전달선택부(370)는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에 기초하여 임시단말기(60)의 문자메시지 수신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된 결과에 따라 메시지전송부(340)에 의한 부재중 메시지의 전송 또는 착신전환부(360)에 의한 착신 전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가 유선전화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경우, 전달선택부(370)는 지정된 임시단말기(60)가 문자수신이 불가능한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착신전환부(360)에 의한 착신 전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가 이메일 주소인 경우, 전달선택부(370)는 지정된 임시단말기(60)가 문자수신만이 가능한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메시지전송부(340)에 의한 부재중 메시지의 전송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가 인터넷 전화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경우, 전달선택부(370)는 지정된 임시단말기(60)가 문자메시지 수신 및 착신전환이 모두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부재중 메시지 또는 착신전환 신호를 임시단말기(60)에 전송하거나 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된 방법에 따라 부재중 메시지 또는 착신전환 신호를 임시단말기(60)에 전송할 수 있다.
음성메시지저장부(380)는 착신불가설정부(31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된 경우, 발신단말기(20)로부터 음성메시지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전송부(340)는 음성메시지저장부(38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에 대응하는 임시단말기(60)로 전송한다. 이때, 메시지전송부(340)는 음성메시지저장부(38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에 대응하는 임시단말기(60)로 직접 전송하는 대신에 음성메시지저장부(20)에 음성메시지를 입력한 발신단말기(20)에 대한 발신자정보 및 음성메시지의 저장시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도착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시단말기(60)를 통해 음성메시지저장부(38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증처리부(350)는 도착메시지를 전송하는 임시단말기(60)에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문의하는 문의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임시단말기(60)로부터 그에 대한 정당한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임시단말기(60)를 인증함으로써, 도착메시지를 수신한 임시단말기(60)만이 음성메시지저장부(38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증처리부(350)는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음성메시지저장부(38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에 대한 조회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음성메시지의 조회요청신호에 포함된 단말기의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가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단말기(60)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해당 단말기가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단말기(60)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음성메시지저장부(38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조회할 수 있도록 인증 처리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통신중계장치(300)는 통신망(40)을 통해 접속된 설정단말기(5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설정의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설정단말기(5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설정의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인증처리부(350)는 설정단말기(50)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또는 사설인증서를 통하여 인증신호를 입력받거나,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설정단말기(50)에 문의하고 설정단말기(50)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설정단말기(50)의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인증처리 할 수 있다(S420).
설정단말기(50)의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되면, 착신불가설정부(310)는 통신망(40)을 통해 연결된 설정단말기(5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는다(S430). 이때, 착신불가설정부(310)는 설정단말기(5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 상태의 시간 또는 기간, 착신불가 해제시의 암호, 부재중 메시지 또는 착신전환 신호를 수신할 경우의 암호 등의 설정을 함께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임시정보저장부(320)는 설정단말기(31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의 착신불가 상태에서 사용자단말기(10)에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단말기(20)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신호를 전환받을 임시단말기(60)에 대한 임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S440).
전달선택부(370)는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에 기초하여 임시단말기(60)의 문자메시지 수신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450). 예를 들어,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가 유선전화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경우, 전달선택부(370)는 지정된 임시단말기(60)가 문자수신이 불가능한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가 이메일 주소인 경우, 전달선택부(370)는 지정된 임시단말기(60)가 문자수신만이 가능한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가 인터넷 전화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경우, 전달선택부(370)는 지정된 임시단말기(60)가 문자메시지 수신 및 착신전환이 모두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선택부(370)는 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시지생성부(330)는 전달선택부(370)에 의해 임시단말기(60)가 문자메시지의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단말기(10)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발신단말기(20)의 정보 및 수신시각이 포함된 부재중 메시지를 생성한다(S460). 즉, 메시지생성부(3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하여 착신불가가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단말기(10)에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착신신호에 대응하는 발신단말기(20)의 정보 및 해당 착신신호의 수신시각이 포함된 부재중 메시지를 생성한다.
착신전환부(360)는 전달선택부(370)에 의해 임시단말기(60)가 문자메시지의 수신이 불가능한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단말기(10)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를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정보에 대응하는 임시단말기(60)로 착신 전환한다(S470). 즉, 착신전환부(3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하여 착신불가가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단말기(10)에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신호를 임시단말기(60)에 대한 착신신호로 착신 전환한다.
이때, 인증처리부(350)는 메시지전송부(340)가 임시단말기(60)로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부재중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임시단말기(60)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또는 사설인증서를 통하여 인증신호를 입력받거나,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임시단말기(60)에 문의하고 임시단말기(60)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임시단말기(60)의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인증처리 할 수 있다(S480). 또한, 인증처리부(350)는 착신전환부(360)가 임시단말기(60)로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전환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임시단말기(60)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또는 사설인증서를 통하여 인증신호를 입력받거나,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임시단말기(60)에 문의하고 임시단말기(60)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임시단말기(60)의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인증처리 할 수도 있다.
메시지전송부(340) 또는 착신전환부(360)는 인증처리부(350)에 의해 임시단말기(60)의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임시단말기(60)로 부재중 메시지 또는 착신전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490).
한편, 음성메시지저장부(380)는 착신불가설정부(31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된 경우, 발신단말기(20)로부터 음성메시지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전송부(340)는 음성메시지저장부(38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메시지생성부(330)에 의해 생성된 부재중 메시지와 동일하게 임시단말기(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음성메시지를 직접 임시단말기(60)에 전송하는 대신에, 메시지생성부(330)가 음성메시지저장부(20)에 음성메시지를 입력한 발신단말기(20)에 대한 발신자정보 및 음성메시지의 저장시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도착메시지를 생성하고, 메시지전송부(340)가 메시지생성부(330)에 의해 생성된 도착메시지를 임시단말기(6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시단말기(60)를 통해 음성메시지저장부(38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인증처리부(350)는 임시단말기(60)에 도착메시지와 함께 비밀번호를 문의하는 문의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신호에 따라 임시단말기(60)를 인증함으로써 도착메시지를 수신한 임시단말기(60)만이 음성메시지저장부(38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음성메시지의 조회를 요청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단말기(60)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임시정보저장부(320)에 저장된 임시단말기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음성메시지저장부(38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0: 사용자단말기 20: 발신단말기
30, 40: 통신망 50: 설정단말기
60: 임시단말기 300: 통신중계장치
310: 착신불가설정부 320: 임시정보저장부
330: 메시지생성부 340: 메시지전송부
350: 인증처리부 360: 착신전환부
370: 전달선택부 380: 음성메시지저장부

Claims (16)

  1. 사용자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단말기;
    상기 발신단말기에 의해 발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검색하며, 검색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착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신호를 착신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착신불가를 설정하는 설정단말기; 및
    상기 설정단말기에 의해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지정되는 임시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중계장치는 상기 설정단말기에 의한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착신불가 상태 중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 발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임시단말기에 메시지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착신되는 신호를 착신 전환하여 상기 임시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시스템.
  2. 발신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호 및 메시지를 사용자단말기에 전달하는 통신중계 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설정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는 착신불가설정부;
    상기 설정단말기로부터 임시단말기에 대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임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임시정보저장부;
    상기 착신불가설정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단말기의 정보 및 수신시각이 포함된 부재중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부재중메시지를 상기 임시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불가설정부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컴퓨터, 유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유선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단말기저장부는 이메일주소, 웹폰 전화번호, 유선단말기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임시단말기 식별번호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말기 및 상기 임시단말기에 대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처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신불가설정부는 상기 인증처리부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된 경우에 상기 설정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고,
    상기 메시지전송부는 상기 인증처리부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된 경우에 부재중메시지를 상기 임시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불가설정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를 상기 임시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임시단말기로 착신 전환하는 착신전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임시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전송부에 의한 부재중메시지전송 또는 상기 착신전환부에 의한 착신전환을 선택하는 전달선택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달선택부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임시단말기로 부재중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착신전환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불가설정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된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음성메시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음성메시지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전송부는 상기 인증처리부를 통해 상기 임시단말기에 대한 인증이 된 경우에 상기 음성메시지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상기 임시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장치.
  9. 발신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호 및 메시지를 사용자단말기에 전달하는 통신중계 시스템에 의한 통신중계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설정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설정단말기로부터 임시단말기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임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단말기의 정보 및 수신시각이 포함된 부재중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부재중메시지를 상기 임시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불가설정 입력단계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컴퓨터, 유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유선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단말기의 식별번호저장단계는 이메일주소, 웹폰 전화번호, 유선단말기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임시단말기 식별번호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말기에 대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인증 수행단계에 의해 사용자인증이 된 경우에 상기 설정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 설정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단말기에 대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인증 수행단계에 의해 사용자인증이 된 경우에 부재중메시지를 상기 임시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불가설정 입력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착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를 상기 임시단말기저장부에 저장된 임시단말기로 착신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정보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임시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착신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부재중메시지를 생성하거나 상기 임시단말기로 착신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불가설정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착신불가가 설정된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음성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메시지를 부재중메시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 방법.


KR1020120060345A 2012-06-05 2012-06-05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 KR101381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45A KR101381032B1 (ko) 2012-06-05 2012-06-05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45A KR101381032B1 (ko) 2012-06-05 2012-06-05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721A true KR20130136721A (ko) 2013-12-13
KR101381032B1 KR101381032B1 (ko) 2014-04-14

Family

ID=4998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345A KR101381032B1 (ko) 2012-06-05 2012-06-05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0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268A (ko) * 2014-08-01 2016-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
KR20180123506A (ko) * 2016-03-04 2018-11-16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건설 기계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 건설 기계의 정보 통신 시스템, 및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
KR102153219B1 (ko) * 2019-05-13 2020-09-07 한종휘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제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착신된 메시지 및 착신 전화 번호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702B1 (ko) * 2001-09-12 2003-10-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번호 이력 제공 장치
KR20050034823A (ko) * 2003-10-10 2005-04-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착신 전환 자동 신청 장치 및 이를이용한 착신 전환 자동 신청 방법
KR100962963B1 (ko) * 2008-01-22 2010-06-10 이성훈 전화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서비스 방법
KR20110112907A (ko) * 2010-04-08 2011-10-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착신전환 설정 방법과 그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268A (ko) * 2014-08-01 2016-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
KR20180123506A (ko) * 2016-03-04 2018-11-16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건설 기계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 건설 기계의 정보 통신 시스템, 및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
KR102153219B1 (ko) * 2019-05-13 2020-09-07 한종휘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제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착신된 메시지 및 착신 전화 번호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032B1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4090C (en) Caller-callee associ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ed devices
EP2852106B1 (en) Real time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real time communication server and system
CA2732148C (en) Mobile gateway
JP2012518309A (ja) メッセージ処理装置及び方法
WO2011137781A1 (zh) 业务通信的方法、系统、推送客户端和用户设备
CN102196384A (zh) 基于蜂窝移动通讯网络和ip网络的自动切换系统及方法
KR20190096589A (ko) 대화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U2483352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сервиса
CN101515971A (zh) 电话通信控制装置、电话通信系统以及电话通信控制方法
KR101381032B1 (ko)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
JP4642652B2 (ja) 無線制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1500858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wo users
JP4671069B2 (ja) 通信方式分散型端末収容交換機及び通信方式分散型端末制御方法
JP4762662B2 (ja) Vpn接続システム及びvpn接続方法
JP2005101745A (ja) Ip電話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KR20190053297A (ko) 향상된 자동 발신자 식별 해석
JP4002545B2 (ja) 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音声通信方法
JP2014023052A (ja) ボイスメールサーバ装置、ボイスメール方法、ボイスメールプログラム
JP2012505620A (ja) 通信中継システム、サーバ及びその方法
KR100962391B1 (ko)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2775B1 (ko) 통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4183432A (ja) 同期型質問サービス提供装置、同期型質問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同期型質問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2011228910A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KR20110068625A (ko) 메시지 조회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546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