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391B1 -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391B1
KR100962391B1 KR1020080096643A KR20080096643A KR100962391B1 KR 100962391 B1 KR100962391 B1 KR 100962391B1 KR 1020080096643 A KR1020080096643 A KR 1020080096643A KR 20080096643 A KR20080096643 A KR 20080096643A KR 100962391 B1 KR100962391 B1 KR 10096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heterogeneous network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674A (ko
Inventor
류종운
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9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3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1 이종망연결신호가 수신되면 제2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제2 이종망연결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응용장치에 전송하고, 영상신호장치로부터 제2 아이디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제1 통신망의 방식에 따라 제1 아이디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기아이디가 전송되면 제2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제2 단말기 아이디를 생성하여 영상응용장치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장치 및 제2 이종망연결신호가 전송되면 제2 아이디입력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로 전송하고, 제2 단말기아이디가 전송되면 제2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서 검색하여,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로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영상응용장치를 포함하는 이종망 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이종망단말기와의 통신 수행을 이동통신 단말기가 먼저 시도할 수 있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통신, 게이트웨이, 웹클라이언트, 이종망

Description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call service in different networks}
본 발명은 영상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영상통신이 가능한 영상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었고,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로 구성된 호연결요청신호만을 송출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종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주로 아이디(ID)를 이용하여 관리되는 이종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호연결요청신호를 송출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웹클라이언트(web client)와의 통신을 먼저 시도할 수 없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가 부여되지 않고) 아이디만 부여된 웹클라이인트가 로그인(log in)되어 웹서버에 접속되어 있어도 당해 웹클라이언트와의 통신을 시도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자를 입력받아 호연결요청신호를 송출할 수는 없으므로 먼저 전화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이종망단말기와의 통신을 시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화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이종망단말기와의 통신 수행을 이동통신 단말기가 먼저 시도할 수 있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종망단말기 고유의 문자아이디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종망단말기와 통신을 먼저 시도할 수 있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1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이종망단말기와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영상응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종망연결신호 또는 단말기아이디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입력된 아이디입력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입력된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상기 이종망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제1 영상신호와 상기 이기종 단말기에서 수신된 제2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부, 단말기 아이디 및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제1 영상신호를 상기 제2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제1 변환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신호를 상기 제1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제2 변환영상신호를 생성는 게이트웨이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이종망연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이디입력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아이디가 입력되면 상응하는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에 상응하는 상기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변환영상신호를 상기 이종망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변환영상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은 상이한 통신망이고, 상기 제1 변환영상신호와 상기 제2 변환영상신호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응하는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응용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이종망단말기간 영상통신을 수행하는 이종망 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1 이종망연결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제2 이종망연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응용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영상신호장치로부터 제2 아이디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신망의 방식에 따라 제1 아이디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기아이디가 전송되면 상기 제2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제2 단말기 아이디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응용장치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장치 및 상기 제2 이종망연결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2 아이디입력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기아이디가 전송되면 상기 제2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서 검색하여, 상응하는 상기 이종망단말기로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영상응용장치를 포함하는 이종망 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이종망단말기간 영상통신을 수행하는 영상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종망연결신호가 전송되면, 영상응용장치가 아이디입력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아이디입력신호에 상응하여 단말기아이디가 전송되면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상기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연결된 저장공간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검색되면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종망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응용장치를 통하여 영상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은 상이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게이트웨이장치 및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이종망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영상응용장치를 포함하는 영상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 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이종망연결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제2 통신망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는 제2 이종망연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응용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상기 제2 이종망연결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2 아이디입력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제2 아이디입력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통신망의통신방식에 상응하는 제1 아이디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상응하는 제1 단말기아이디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제2 통신망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는 제2 단말기아이디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응용장치로 전송하면,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상기 제2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연결된 저장 공간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검색되면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은 상이한 통신망이고, 상기 이종망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하여 영상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이종망단말기와의 통신 수행을 이동통신 단말기가 먼저 시도할 수 있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종망단말기 고유의 문자아이디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종망단말기와 통신을 먼저 시도할 수 있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제공시스템(100)(이하, '영상통신 제공시스템'으로 약칭함)은 이동통신망(120)(예를 들어, WCDMA망)과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110)(MS, Mobile Station), 인터넷 등의 이기종망(140, 여기서는 인터넷(Internet)으로 한정하여 설명함)과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컴퓨터(150-1), 인터넷 전화기(150-2) 등의 이종망단말기(이하, 식별번호 '150'으로 통칭함) 및 이동통신망(120)과 인터넷(140)을 연결하기 위한 변환부(130)를 포함한다.
즉, 종래의 영상통신 제공시스템(10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이종망단말기(150)와 영상통신을 하기 위하여 호를 요청하면(즉, '호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면), 이동통신망(120)에 포함된 교환기(미도시) 등은 변환부(130)로 상응하는 신호(이하, '영상통신요청신호'라 칭함)를 송부한다. 이후, 영상통신요청신호가 수신된 변환부(130)는 인터넷(140)을 통하여 영상통신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150)에 호연결 수락을 요청한다. 이후, 이종망단말기(150)에서 호 연결을 수락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이종망단말기(150) 간에 통신 채널이 형성되어 영상통신이 개시된다.
이때, 변환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이종망 단말기(150)에서 각각 수신되는 영상신호 및/또는 음성신호를 각각의 프로토콜(protocol)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상대방 단말기에 송신한다. 즉, 변환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 및/또는 영상신호를 인터넷 프로토콜(예를 들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로 변환하여 이종망단말기(150)로 송신한다. 또한, 변환부(130)는 이종망단말기(15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 및/또는 영상신호를 이동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NO.7 신호방식)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즉, 이동통신망(120)과 인터넷(140)은 각각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는 신호 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종망 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변환부(130)와 같은 중간 매개체가 존재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제공시스템(100)의 경우에는 상술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고자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200)은 제1 통신망(도 2에서는 '이동통신망'으로 예시됨)(220)과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10), 제1 통신망인 이동통신망(22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게이트웨이장치(230), 게이트웨이장치(2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제2 통신망(도 2에서는 '인터넷'으로 예시됨)(25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영상응용장치(240) 및 제2 통신망인 인터넷(25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이종망단말기(도 2에서는 '웹클라이언트'로 표시됨)(2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통신망(220)인 이동통신망은 영상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서, WCDMA(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영상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망일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영상통신이 가능하고 제1 통신망(22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1 통신망(220)의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이 수행되는 단말기로서, WCDMA 방식의 이동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다. 즉, 제1 통신망(220)이 W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인 경우라면, 이동통신 단말기(210)도 WCDMA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또한, 제2 통신망(250)인 인터넷은 제1 통신망(220)과 상이한 통신망이고, 이종망단말기(260)인 웹클라이언트(web client)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상이한 기종의 단말기로서, 영상응용장치(250)에 로그인(log in)하여 영상응용장치(250)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기이다. 즉, 영상응용장치(240)는 웹서버(web server)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고, 여기서, 이종망단말기(260)인 웹클라이언트는 카메라, 마이크 및/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영상응용장치(240)에 로그인된 다른 이종망단말기(미도시)와 영상응용장치(240)를 통하여 영상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20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1 통신망(220)은 이동통신 망이고, 제2 통신망(250)은 인터넷이며, 이종망단말기(260)는 웹클라이언트로 칭한다.
먼저, 웹클라이언트(26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영상응용장치(240)에 로그인(log in)한다. 즉, 사용자는 영상응용장치(240)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웹클라이언트(260)를 조작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웹클라이언트(260)는 영상응용장치(24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이 때, 웹클라이언트(260)는 단말기아이디(예를 들어, 웹클라이언트(260)가 영상응용장치(240)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문자, 숫자 및 그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고유의 식별표시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음)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예를 들어, 이종망단말기의 인터넷 IP 주소)를 영상응용장치(2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영상응용장치(240)는 수신된 단말기아이디 및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구비된 저장공간에 저장한다. 즉, 영상응용장치(240)에는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영상응용장치(240)는 웹클라이언트(260)로부터 수신된 단말기아이디 및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영상응용장치(240)에는 로그인된 웹클라이언트(260)의 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1 이종망연결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3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웹클라이언트(260)와의 영상통신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키입력부(미도시, 예를 들어, 숫자 패드 및/또는 터치패드)를 조작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10)는 제1 이종망연결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장치(23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이종망연결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웹클라이언트(260)와의 영상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영상응용장치(240)로 전송하는 신호로서, 숫자에 상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현재 상용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문자를 이용해서 호연결 요청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게이트웨이장치(230)로부터 제1 아이디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1 단말기아이디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장치(230)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제1 단말기아이디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말기아이디 입력창이 표시된 모습이 예시된 도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게이트웨이장치(230)로부터 제1 아이디입력신호가 수신되면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아이디 입력창이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키패드부 및/또는 터치패드부를 조작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1 단말기아이디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장치(23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단말기아이디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영상통신을 시도하는 웹클라이언트(260)에 대한 고유식별표시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여 입력된 문자 또는 숫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호연결이 되어 있지 아니한 상태에서 문자를 이용하여 호연결 요청을 할 수는 없으나, 이종망 연결신호에 의하여 영상응용장치(240)와의 통신채널이 형성된 경우에는 문자를 영상응용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제1 아이디입력신호가 수신되면 문자를 포함하는 제1 단말기아이디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장치(230)는 제1 통신망(220)의 통신방식에 따른 신호를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따른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응용장치(240)에 전송한다. 또한, 게이트웨이장치(230)는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따른 신호를 제1 통신망(220)에 따른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즉, 게이트웨이장치(230)는 서로 다른 통신망을 사용하는 통신망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상이한 통신망 간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장치(23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제1 이종망연결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는 제2 이종망연결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응용장치(240)에 전송할 수 있다. 영상응용장치(240)는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또한, 게이트웨이장치(230)는 영상응용장치(240)로부터 제2 아이디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제1 통신망(220)의 통신방식에 따른 제1 아이디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또한, 게이트웨이장치(24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제1 단말기아이디가 수신되면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는 제2 단말기아이디를 생성하여 영상응용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장치(24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웹클라이언트(260) 간의 영상통신을 위한 채널이 형성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통신신호(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 및/또는 음성신호 등)를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따른 제2 영상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응용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게이트웨이장치(240)는 웹클라이언트(260)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통신신호(예를 들어, 웹클라이언트(26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 및/또는 음성신호)를 제1 통신망(220)의 통신방식에 따른 제1 영상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웹클라이언트(260)는 게이트웨이장치(240)를 통하여 영상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응용장치(240)는 웹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웹클라이인트(260)가 로그인되어 요구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웹클라이언트(260)가 전송하는 이기종단말기 주소 및 단말기아이디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 저장한다. 특히, 영상응용장치(240)는 게이트웨이장치(230) 로부터 제2 이종망연결신호가 수신되면 제2 아이디입력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30)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응용장치(240)는 게이트웨이장치(230)로부터 제2 단말기아이디가 수신되면, 제2 단말기아이디와 상응하는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IP)가 구비된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또한, 영상응용장치(240)는 제2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IP)가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웹클라이언트(260)와의 이종망 영상통신을 종료한다. 예를 들어, 영상응용장치(240)는 제2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단말기아이디가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게이트웨이장치(230)에 제2 연결종료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장치(230)는 이를 제1 통신망(220)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도록 변경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이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웹클라이언트(260)와의 영상통신시도가 종료될 수 있다.
반면, 영상응용장치(240)는 제2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IP)가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으면,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웹클라이언트(26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이종망연결알림신호는 웹클라이언트(260)에게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영상통신을 위한 콜(call)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이에 따라 영상응용장치(240)는 웹클라이언트(260)로부터 영상통화긍정신호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230)에 제2 연결긍정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게이트웨이장치(230)는 이를 제1 통신망(220)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도록 변경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웹클라이인트(260)와의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웹클라이언트(260)는 서로 상이한 통신방식에 따라 영상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게이트웨이장치(230)를 통하여 영상통신 을 상호 수행할 수 있으며, 웹클라이언트(260)는 영상응용장치(240)에 로그인되어 연결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웹클라이언트(260)는 게이트웨이장치(230)와 영상응용장치(240)를 통하여 상호 영상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웹클라이언트(26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영상응용장치(240)에 로그아웃(log out)한다. 즉, 사용자는 영상응용장치(240)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의 이용을 종료하기 위하여 웹클라이언트(260)를 조작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웹클라이언트(260)는 영상응용장치(240)에서 로그아웃한다. 예를 들어, 웹클라이언트(2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그아웃(620) 신호를 전송하여 영상응용장치(240)에서 로그아웃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응용장치(260)는 웹클라이언트(260)가 로그아웃되면 구비된 저장 공간에 저장된 당해 웹클라이언트(260)의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삭제한다. 즉, 영상응용장치(240)는 구비된 저장공간에 웹클라이언트(260)의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영상통신을 시도하는 웹클라이언트(260)의 로그인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웹클라이언트(260)가 로그아웃하는 경우에는 저장 공간에서 웹클라이언트(260)의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삭제하여야 한다. 다만, 웹클라이언트(260)가 고정 아이피(I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삭제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일반적으로 웹클라이언트(260)는 유동 아이피(IP)를 사용하므로 영상응용장치(240)는 웹클라이언트(260)가 로그아웃하면 당해 웹클라이언트(260)의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삭제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게이트웨이장치(230)와 영상응용장치(240)가 각각 분리된 별도의 장치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게이트웨이장치(230)와 영상응용장치(240)는 하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게이트웨이장치(230)가 영상응용장치(240)에 포함되어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응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영상응용장치(400)은 제어부(410), 통신부(420), 저장부(440) 및 게이트웨이부(430)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응용장치(400)는 제1 통신망(220)과 제2 통신망(250)과 각각 무선 및/또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응용장치(400)는 웹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웹서버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영상응용장치(400)에 게이트웨이부(430)가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므로 게이트웨이장치에 영상응용부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영상응용장치(400) 및 이에 포함된 게이트웨이부(430)라는 명칭에 당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구속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제어부(410)는 영상응용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420)로부터 이종망연결신호가 입력되면 아이디입력신호를 통신부(42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410)는 통신부(420)로부터 단말기아이디가 입력되면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저장부(440)에서 검색하여 이종망단말기 주소에 상응하는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통신부(42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410)는 수신된 제1 영상신호가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따라 변환될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부(4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10)는 수신된 제2 영상신호가 제1 통신망(220)의 통신방식에 따라 변환될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부(43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410)는 수신된 제1 영상신호를 게이트웨이부(430)로 전송하고, 이에 의하여 게이트웨이부(430)로부터 제1 영상신호가 제2 통신망(250)에 따라 변환된 제1 변환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통신부(420)로 출력하고, 웹클라이언트(26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10)는 수신된 제2 영상신호를 게이트웨이부(430)로 전송하고, 이에 의하여 게이트웨이부(430)로부터 제2 영상신호가 제1 통신망(220)에 따라 변환된 제2 변환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통신부(420)로 출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420)는 영상응용장치(400)와 이동통신 단말기(210) 간의 통신 및 영상응용장치(400)와 웹클라이언트(260)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통신부는 제1 통신망(220)의 통신방식에 따른 신호도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따른 신호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20)는 제1 통신망(220)의 통신방식에 따른 모뎀(modem)과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따른 모뎀(modem)을 각각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특히, 통신부(42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이종망연결신호 또는 단말기아이디를 수신하여 제어부(410)로 출력한다. 또한, 통신부(420)는 제어부(410)로부터 입력된 아이디입력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420)는 제어부(410)로부터 입력된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이종망단말기인 웹클라 이언트(260)로 전송하며, 이동통신 단말기(210)에서 수신된 제1 영상신호와 이기종 단말기인 웹클라이언트(260)에서 수신된 제2 영상신호를 제어부(410)로 출력한다. 또한, 통신부(420)는 제어부(410)로부터 제1 변환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웹클라이언트(260)로 전송하고, 제2 변환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게이트웨이부(430)는 도 2에 도시된 게이트웨이장치(23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통신망(220)에 따른 통신신호를 제2 통신망(250)에 따른 통신신호로 변환하고, 제2 통신망(250)에 따른 통신신호를 제1 통신망(220)에 따른 통신신호로 변환한다. 즉, 게이트웨이부(430)는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에 따른 상이한 통신망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 통로를 연결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게이트웨이부(43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웹클라이언트(260)로 전송하는 신호를 웹클라이언트(260)가 사용하는 방식의 통신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부(430)는 웹클라이언트(260)가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사용하는 방식의 통신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단말기 아이디 및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다. 즉, 웹클라이언트(260)가 영상응용장치(400)에 로그인하면 제어부(410)는 당해 웹클라이언트(260)의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수신하여 저장부(4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41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이종망연결신호가 수신되고 단말기아이디가 수신되면 수신된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 주소(IP)가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여 웹클라이언트(260)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장치(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응용장치(240)와 별도의 장치로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응용장치(400)에 포함된 하나의 구성 요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장치(230)와 영상응용장치(240)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지 여부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에서는 게이트웨이장치(230)가 영상응용장치(240)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구비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즉,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200)에서의 영상통신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당해 영상통신시스템(200)은 영상응용장치(240) 및 이와 개별적으로 구비된 게이트웨이장치(2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510에서, 웹클라이언트(26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영상응용장치(240)에 로그인(log in)하고, 웹클라이언트(260)는 단말기아이디(ID)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IP)를 영상응용장치(240)에 전송한다(단계 515).
단계 517에서, 영상응용장치(240)는 웹클라이언트(260)로부터 수신된 단말기아이디 및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구비된 저장공간에 저장한다. 이는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이종망연결신호 및/또는 단말기아이디가 수신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영상통신을 시도하는 웹클라이언트가 영상응용장치(240)에 로그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한편, 단계 5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1 이종망연결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이종망연결신호는 숫자에 상응하는 신호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문자를 이용해서 호연결 요청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단계 525에서, 게이트웨이장치(23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제1 이종망연결신호가 수신되면,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는 제2 이종망연결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응용장치(240)에 전송한다. 영상응용장치(240)는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단계 530에서, 영상응용장치(240)는 게이트웨이장치(230) 로부터 제2 이종망연결신호가 수신되면 제2 아이디(ID)입력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30)로 전송한다. 또한, 단계 535에서, 게이트웨이장치(230)는 영상응용장치(240)로부터 제2 아이디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제1 통신망(220)의 통신방식에 따른 제1 아이디(ID)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단계 5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게이트웨이장치(230)로부터 제1 아이디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1 단말기아이디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장치(2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단말기아이디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여 입력된 문자 또는 숫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호연결이 되어 있지 아니한 상태에서 문자를 이용하여 호연결 요청을 할 수는 없으나, 이종망 연결신호에 의하여 영상응용장치(240)와의 통신채널이 형성된 경우에는 문자를 영상응용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제1 아이디입력신호가 수신되면 문자를 포함하는 제1 단말기아이디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45에서, 게이트웨이장치(24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제1 단말기아이디가 수신되면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는 제2 단말기아이디를 생성하여 영상응용장치(240)로 전송한다.
단계 550에서, 영상응용장치(240)는 게이트웨이장치(230)로부터 제2 단말기아이디가 수신되면, 제2 단말기아이디와 상응하는 단말기아이디 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IP)가 구비된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영상응용장치(240)는 제2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IP)가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웹클라이언트(260)와의 이종망 영상통신을 종료한다(단계 555 및 단계 560).
반면, 영상응용장치(240)는 제2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IP)가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으면,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웹클라이언트(260)로 전송한다(단계 555 및 단계 565). 여기서, 이종망연결알림신호는 웹클라이언트(260)에게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영상통신을 위한 콜(call)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이에 따라 웹클라이언트(2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10) 와의 영상통신을 수락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단계 570), 웹클라이언트(26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와의 영상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영상통화긍정신호를 영상응용장치(240)로 전송한다(단계 280).
이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영상응용장치(240)는 웹클라이언트(260)로부터 영상통화긍정신호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230)에 제2 연결긍정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장치(230)는 이를 제1 통신망(220)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도록 변경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웹클라이인트(260)와의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응용장치에서 단말기 아이디와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삭제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응용장치(240)는 구비된 저장공간에 웹클라이언트(260)의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영상통신을 시도하는 웹클라이언트(260)의 로그인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웹클라이언트(260)가 로그아웃하는 경우에는 저장 공간에서 웹클라이언트(260)의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삭제하여야 한다. 이하, 영상응용장치(240)에서 단말기 아이디와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삭제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610에서, 웹클라이언트(260)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영상응용장치(240)에서 로그아웃(log out)하면, 웹클라이언트(2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그아웃(620)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620)
또한, 단계 630에서, 영상응용장치(260)는 웹클라이언트(260)가 로그아웃되면 구비된 저장 공간에 저장된 당해 웹클라이언트(260)의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삭제한다. 다만, 웹클라이언트(260)가 고정 아이피(I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삭제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일반적으로 웹클라이언트(260)는 유동 아이피(IP)를 사용하므로 영상응용장치(240)는 웹클라이언트(260)가 로그아웃하면 당해 웹클라이언트(260)의 단말기아이디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삭제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은 영상통신시스템(200)이 영상응용장치(240) 및 이와 개별적으로 구비된 게이트웨이장치(230)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게이트웨이장치(230)는 영상응용장치(400)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 경우, 영상응용0장치(400) 내에는 게이트웨이장치(23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부(예를 들어, 도 3의 게이트웨이부(430))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영상응용장치(400)는 제1 통신망(220)에 따른 통신신호 및 제2 통신망(250)에 따른 통신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한 제1 통신망(220)의 통신방식에 따른 통신신호를 제2 통신망(250)의 통신방식에 따른 통신신호로 변경하거나, 그 역의 변경하는 등의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게이트웨이장치(230)가 영상응용장치(400)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의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단계 510 내지 단계 517이 수행된다. 이는 웹클라이언트(260)의 단말기아이디(ID)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IP)를 영상응용장치(400)의 저장부(440)에 저장하는 단계이므로 이 경우에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이종망연결신호가 전송되면, 영상응용장치(400)가 아이디입력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아이디입력신호에 상응하여 단말기아이디가 전송되면 영상응용장치(400)가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연결된 저장공간에서 검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술한 검색에 의하여 수신된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검색되면 영상응용장치(400)가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이종망단말기 주소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260)로 전송하고, 이종망단말기(260)와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영상응용장치(400)를 통하여 영상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종망연결신호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숫자에 상응하는 신호일 수 있고, 단말기아이디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문자 또는 숫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신호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단계 610 내지 단계 630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웹클라이언트(260)가 영상응용장치(400)에서 로그아웃하면 웹클라이언트(260)의 단말기아이디(ID) 및/또는 이종망단말기 주소(IP)를 영상응용장치(400)의 저장 부(440)에서 삭제하는 단계이므로 이 경우에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제공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말기아이디 입력창이 표시된 모습이 예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응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응용장치에서 단말기 아이디와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삭제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이동통신 단말기
220 : 이동통신망
230 : 게이트웨이 장치
240 : 영상응용장치
250 : 인터넷
260 : 웹클라이언트(이종망단말기)

Claims (16)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1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이종망단말기와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영상응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종망연결신호, 단말기아이디, 제1 영상신호 및 상기 이종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아이디입력신호 및 이종망연결알림 신호를 각각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종망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단말기 아이디 및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제1 영상신호를 상기 제2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제1 변환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신호를 상기 제1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제2 변환영상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웨이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이종망연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이디입력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아이디가 입력되면 상응하는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에 상응하는 상기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변환영상신호를 상기 이종망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변환영상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은 상이한 통신망이고, 상기 제1 변환영상신호와 상기 제2 변환영상신호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응하는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응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망연결신호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조작에 의하여 입력된 숫자에 상응하는 신호이고,
    상기 단말기아이디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조작에 의하여 입력된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응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종망단말기가 로그인(log in)하여 상기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전송하면, 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응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종망단말기가 로그아웃(log out)하면 상기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응용장치.
  5. 제1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이종망단말기간 영상통신을 수행하는 이종망 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1 이종망연결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제2 이종망연결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응용장치에 전송하고, 영상신호장치로부터 제2 아이디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신망의 방식에 따라 제1 아이디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기아이디가 전송되면 상기 제2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제2 단말기 아이디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응용장치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장치; 및
    상기 제2 이종망연결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2 아이디입력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기아이디가 전송되면 상기 제2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서 검색하여, 상응하는 상기 이종망단말기로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영상응용장치를 포함하는 이종망 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종망연결신호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조작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숫자에 상응하는 신호이고,
    상기 제1 단말기아이디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조작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응용장치는 통신부, 제어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종망단말기가 로그인(log in)하여 상기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전송하면, 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 공간은 상기 저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응용장치는 제어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 공간은 상기 저장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종망단말기가 로그아웃(log out)하면 상기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단말기 간의 영상통신시스템.
  9. 제1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이종망단말기간 영상통신을 수행하는 영상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종망연결신호가 전송되면, 영상응용장치가 아이디입력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아이디입력신호에 상응하여 단말기아이디가 전송되면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상기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연결된 저장공간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검색되면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종망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응용장치를 통하여 영상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은 상이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망연결신호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조작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숫자에 상응하는 신호이고,
    상기 단말기아이디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조작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문자, 숫자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망단말기가 상기 영상응용장치에 로그인(log in)하여 상기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상기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망단말기가 상기 영상응용장치에서 로그아웃(log out)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상기 로그아웃에 상응하여 상기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저장공간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
  13. 제1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게이트웨이장치 및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이종망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영상응용장치를 포함하는 영상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이종망연결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제2 통신망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는 제2 이종망연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응용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상기 제2 이종망연결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2 아이디입력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제2 아이디입력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통신망의통신방식에 상응하는 제1 아이디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상응하는 제1 단말기아이디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제2 통신망의 통신방식에 상응하는 제2 단말기아이디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응용장치로 전송하면,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상기 제2 단말기아이디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연결된 저장 공간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가 검색되면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이종망연결알림신호를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에 상응하는 이종망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은 상이한 통신망이고, 상기 이종망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하여 영상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종망연결신호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숫자에 상응하는 신호이고,
    상기 제1 단말기아이디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문자 또는 숫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망단말기가 상기 영상응용장치에 로그인(log in)하여 상기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상기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망단말기가 상기 영상응용장치에서 로그아웃(log out)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응용장치가 상기 로그아웃에 상응하여 상기 단말기아이디와 상기 이종망단말기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저장공간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방법.
KR1020080096643A 2008-10-01 2008-10-01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643A KR100962391B1 (ko) 2008-10-01 2008-10-01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643A KR100962391B1 (ko) 2008-10-01 2008-10-01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674A KR20100042674A (ko) 2010-04-27
KR100962391B1 true KR100962391B1 (ko) 2010-06-10

Family

ID=4221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643A KR100962391B1 (ko) 2008-10-01 2008-10-01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6124B (zh) * 2015-05-18 2018-12-25 北京工业大学 一种异构无线网络联合接纳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674A (ko) 201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4439B2 (en) Caller-callee associ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ed devices
KR102373463B1 (ko) 통신 단말들간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96120B1 (ko) 인스턴트 메신저 기능을 갖는 인터넷 프로토콜 사설교환기 및 인터넷 단말기
WO2008019597A1 (fr) Système de communication sans fil à courte distance et procédé pour accéder à une messagerie instantanée
JP4621234B2 (ja) Ip電話機の切り換え方法および携帯情報端末
WO2008106509A2 (en) Caller-callee associ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ed devices with direct dial through thin client
KR20060050287A (ko) 호 에이전트 장치, ip 전화 장치 및 ip 전화 시스템
KR100962391B1 (ko) 이종망단말기 간의 영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7866B1 (ko) 휴대폰을 이용한 브이오아이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1032B1 (ko)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
KR101545587B1 (ko) 화상 회의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09626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KR100692659B1 (ko) 착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링백톤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283808B1 (ko) 메신저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신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989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열 입력에 의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33990A (ko) 네트워크 연결된 타 무선 단말기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JP2022183642A (ja) 電話システム及び電話接続方法
WO2009090926A1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10301B1 (ko)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
JP2008277929A (ja) 通信処理システム、セッション制御サーバ及びメディア変換サーバ並びにそれらに用いるセッション接続方法
KR20010098213A (ko) 휴대폰을 이용한 음성 및 문자채팅 시스템
MX2008000206A (en) Caller-callee associ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ed devices
AU2013200033A1 (en) Caller-callee associ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ed devices
KR20100102697A (ko) 광대역 무선 인터넷 기반의 소프트 자동 접속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90090874A (ko)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 및 그 대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