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874A -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 및 그 대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 및 그 대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874A
KR20090090874A KR1020080016405A KR20080016405A KR20090090874A KR 20090090874 A KR20090090874 A KR 20090090874A KR 1020080016405 A KR1020080016405 A KR 1020080016405A KR 20080016405 A KR20080016405 A KR 20080016405A KR 20090090874 A KR20090090874 A KR 20090090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세진
김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8001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0874A/ko
Publication of KR2009009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 및 그 대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변에서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 중 대체할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제공받고, 선택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한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큰 화면을 장착한 대체 단말기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므로서, 사용자는 좀 더 큰 화면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대체, 이동통신 서비스, 블루투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 및 그 대체 방법{Unit for altern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대체 단말기 및 그 대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체 단말기와 그 대체 단말기를 통해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게임,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금융 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 중 문자 메시지나 음성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VMS: Voice Message Service)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시스템 에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를 수행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와 같은 고용량 데이터 송수신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영상 통화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의 서비스 이용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특히, 휴대폰)의 화면은 액정의 크기가 작고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의 출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보다 더 큰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자들의 욕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단말기를 통해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는, 주변에서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 중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부, 상기 블루투스 모듈부를 통해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제공받는 대체 처리부,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사이에 서킷 또는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모 듈부 및 상기 이동통신 모듈부가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하는 방법은, 주변에서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 중 대체할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제1 이동통신 단말기'라고 함)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큰 화면을 장착한 대체 단말기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므로서, 사용자는 좀 더 큰 화면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대체 단말기 간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대체를 이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 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대체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대체하여 이동통신망(300) 및 인터넷망(400)에 접속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300)은 기지국(310), 기지국 제어기(320), 교환기(330), 홈 위치등록기(340), 미디어 게이트웨이(MGW: Media Gate Way)(350),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360)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37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300)과 인터넷망(400)을 통해 음성/영상 통화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300)과 패킷 데이터 송수신과 서킷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인터넷망(400)과 패킷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카드를 장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USIM 카드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식별하기 위한 국제 이동국 식별 정보(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이하 'IMSI'라고 함)를 포함하는 USIM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자체적으로 단말기의 고유 식별 번호인 국제 이동 단말기 식별 번호(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라고 함)를 저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IMSI 및 IMEI는 단말기 식별 정보로서 대체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모듈을 장착하고 있으며, 장착되어 있는 USIM 카드에 저장된 USIM 정보 및 단말기 식별 번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대체 단말기(200)의 USIM 정보와 교환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USIM 카드에 원래 저장되어 있는 USIM 정보는 "제1 USIM 정보"라 하고, 대체 단말기(100)의 USIM 정보는 "제2 USIM 정보"라 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대체 단말기(200)와 USIM 정보를 교환하게 되면 대체 단말기(200)와 동시에 이동통신망(300)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USIM 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망(300)과의 접속이 종료된다. 그런 다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2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대체 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 대체를 위한 단말기 식별 정보 교환 요청을 수신하면 제1 USIM 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망(300)으로의 접속을 종료한 후, 제1 USIM 정보 및 IMEI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대체 단말기(2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대체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제2 USIM 정보를 USIM 카드에 저장한 후, 제2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2 USIM 정보에 포함되는 IMSI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하는 경우 이동통신망(300)에 등록만 되어 있는 상태로서 실제적인 이동통신 서비스가 불가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던 중 대체 단말기(200)로부터 단말기 대체 종료에 따른 단말기 식별 정보 교환 요청을 수신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USIM 카드에 현재 저장되어 있던 제2 USIM 정보를 대체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USIM 정보로 교환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1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단말기(200)는 자체적으로 USIM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대체하여 음성/영상 통화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대체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USIM 정보를 교환한다. 이때, 대체 단말기(200)의 USIM 정보(제2 USIM 정보)에는 대체 단말기(200) 자체의 IMSI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체 단말기(200)는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1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대체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대체 단말기(200)가 이동통신 기능을 대체하는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대체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대체 단말기(200)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체 단말기(200)는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 중 사용자가 사용할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대체 단말기(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 도 2, 도 3a 및 도 3b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통신망(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대체 단말기(200)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대체 단말기(200)와의 서킷 데이터 또는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대체 단말기(200)를 인터넷망(400)과 연결한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대체 단말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능을 대체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이동통신망(300)의 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기지국(310)은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르는 대체 단말기(200)와의 무선 접속 종단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지국 전송기(310)는 대체 단말기(200)와 의 서킷/패킷 데이터 트래픽(traffic)을 무선 중계한다.
기지국 제어기(320)는 다수의 기지국(310)을 제어하고, 기지국(310)이 해당하는 지역의 교환기(330)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360)를 연결한다. 즉, 기지국 제어기(320)는 기지국(310)을 통해 수신되는 대체 단말기(200)의 호 요청이 음성/영상 통화 호인 경우 교환기(330)로 호 요청을 전달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기(320)는 기지국(310)을 통해 수신되는 대체 단말기(200)의 호 요청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패킷 데이터 호 요청인 경우 패킷 교환 지원 노드(360)로 호 요청을 전달한다.
교환기(330)는 이동통신망(300)의 핵심 망 요소로서, 통화 및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 호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 망과의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교환기(330)는 대체 단말기(20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음성 통화 호 요청인지, 영상 통화를 위한 패킷 통화 호(이하, '영상 통화 호'라 칭함) 요청인지 확인한다. 이때, 교환기(330)는 통화 요청 신호가 음성 통화 호 요청이면 착신 교환기(미도시)와의 사이에 음성 통화 호를 설정하고, 영상 통화 호 요청이면 미디어 게이트웨이(350)를 통하여 영상 통화 호를 설정한다.
홈 위치등록기(340)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위치등록기(340)는 교환기(330)를 통해 수신되는 대체 단말기(200)의 통화 요청 신호가 음성/영상 통화 호인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의 위치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여 교환기(330)로 제공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350)는 착신 미디어 게이트웨이(미도시)와의 사이에 패킷 데이터 교환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세션을 통해서 영상 통화 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미디어 게이트웨이(350)는 교환기(330)로부터 전달되는 서킷 호를 패킷 호로 변환한다.
패킷 교환 지원 노드(360)는 대체 단말기(200)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수행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세션(sessi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을 지원한다. 그리고 패킷 교환 지원 노드(360)는 패킷 데이터의 라우터 처리 기능을 가진다.
패킷 관문 지원 노드(370)는 대체 단말기(200)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기반의 패킷망과의 서빙 노드이다. 이와 같은 패킷 관문 지원 노드(370)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세션을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하며 이동통신망(300)과 인터넷망(40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인터넷망(400)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와 대체 단말기(200)를 연결하여 패킷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동통신망(300)은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등의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 장비들이 더 포함되어 있으며, 대체 단말기(200)는 이와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 장비들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구현 가능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모두 수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대체 단말기(200)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WIMAX 등의 통식 방식을 통해 대용량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그리고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모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단말기(200)는 입력부(210), 제어부(220), 대체 처리부(230), 블루투스 모듈부(240), 이동통신 모듈부(250), 영상 처리부(260) 및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대체 단말기(200)에 장착되는 입력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이때, 입력 장치(미도시)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버튼 및 각종 기능 등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키보드일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미도시)는 방향키를 구비하는 키패드, 조그 다이얼, 터치 스크린, 조이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부(210)는 대체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선택 정보와 대체 요청을 수신하여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제어부(220)는 대체 단말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능을 대체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입력부(210), 대체 처리부(230), 이동통신 모듈부(250), 영상 처리부(260) 및 디스플레이부(270) 간에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제어하여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대체 요청 및 이동통신 단말기 선택 정보를 대체 처리부(23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대체 처리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1 USIM 정보를 이동통신 모듈부(250)로 전달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모듈부(250)는 제1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하여 최초의 위치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20)는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모듈부(25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요청은 음성/영상 통화 호 요청, 무선 인터넷 서비스 요청 또는 SMS 요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 요청 중 어느 하나이다.
위와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부(250)가 이동통신을 수행한 이후, 제어부(220)는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 중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부(26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영상 처리부(2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해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대체 처리부(230)는 사용자의 대체 요청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부(240)를 통해 인식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단말기 식별 정보를 교 환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대체 처리부(230)는 교환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동통신 모듈부(250)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3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체 처리부(230)는 대체 시작 처리모듈(231), 정보 교환 처리모듈(232) 및 대체 종료 처리모듈(233)을 포함한다.
대체 시작 처리모듈(231)은 제어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대체 요청이 입력되면, 블루투스 모듈부(240)로 이동통신 단말기 탐색 요청을 한다. 그리고 대체 시작 처리모듈(231)은 블루투스 모듈부(240)로부터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대체 단말기 선택 요청을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전달된 대체 단말기 선택 요청에 따라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한다.
정보 교환 처리모듈(232)은 제어부(22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모듈부(240)로 단말기 식별 정보 교환 요청을 전달한다. 이와 같은 단말기 식별 정보 교환 요청에는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정보 및 대체 단말기(200)의 제2 USIM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정보 교환 처리모듈(232)은 블루투스 모듈부(240)를 통해 수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정보(제1 USIM 정보 및 IMEI)을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이때, 정보 교환 처리모듈(232)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1 USIM 정보와 IMEI 정보를 매칭하여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한편, 제어부(220)는 전달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 동통신 모듈부(250)로 전달하여 이동통신 모듈부(250)가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대체 종료 처리모듈(233)은 제어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대체 종료 요청이 입력되면 블루투스 모듈부(240)로 대체 종료 요청을 전달한다. 이때, 대체 종료 처리모듈(233)은 블루투스 모듈부(240)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IMEI를 포함하는 대체 종료 요청을 전달한다. 그러면 블루투스 모듈부(240)는 대체 종료 요청에 따라 주변의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중 대체 종료 요청에 포함된 IMEI와 일치하는 IMEI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대체 종료 처리모듈(233)은 블루투스 모듈부(240)를 통해 현재 대체 중이던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저장하고 있던 단말기 식별 정보(제2 USIM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대체 종료 처리모듈(233)은 수신한 제2 USIM 정보를 포함하는 대체 종료 요청을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220)는 대체 종료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부(250)로 현재 이동통신망(300) 접속 종료 명령을 전달한 후 제2 USIM 정보를 이동통신 모듈부(25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동통신 모듈부(250)는 제2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재접속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블루투스 모듈부(240)는 대체 처리부(230)의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대체 단말기(200)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블루투스 모듈부(240)는 대체 처리부(230)의 이동통신 단말기 탐색 요청에 따라 블루투스 규격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식하여, 인식된 이동통 신 단말기와 페어링 절차 및 페이징 절차를 수행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부(240)는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대체 처리부(230)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부(240)는 대체 처리부(230)로부터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의 단말기 식별 정보 교환 요청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단말기 식별 정보 교환 요청을 송신한다. 이때, 블루투스 모듈부(240)는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대체 단말기(200)의 USIM 정보(제2 USIM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부(210)는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IMSI를 포함하는 제1 USIM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IMEI를 수신하여 대체 처리부(230)로 전달한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부(240)는 대체 처리부(230)로부터 대체 종료 요청을 수신하여, 대체를 종료할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탐색한다. 그리고 대체를 종료할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단말기 식별 정보를 교환하여 대체 처리부(230)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모듈부(250)는 제어부(220)의 이동통신 서비스 요청에 따라 접속된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음성/영상 통화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또는 SMS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때, 이동통신 모듈부(250)는 제어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한다.
구체적으로, 도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통신 모듈부(250)는 이동통신 제어모듈(251), 무선송수신모듈(252), 데이터처리모듈(253), 카메라모듈(254), 오 디오처리모듈(255) 및 메모리(256)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제어모듈(251)은 제어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USIM 정보 및 이동통신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이동통신 제어모듈(251)은 이동통신망(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서킷/패킷 데이터를 각 처리모듈로 전달한다.
무선송수신모듈(252)은 이동통신망(300)과 대체 단말기(200) 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송수신모듈(252)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무선송수신모듈(252)은 수신되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의 서킷 또는 패킷 데이터를 데이터처리모듈(253)로 전달한다.
데이터처리모듈(253)은 무선송수신모듈(25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서킷/패킷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이동통신 제어모듈(251)로 전달한다. 그리고 데이터처리모듈(253)은 이동통신 제어모듈(251)을 통해 수신되는 대체 단말기(200)의 출력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여 무선송수신모듈(252)로 전달한다.
카메라모듈(254)는 이동통신 제어모듈(251)의 제어에 따라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처리모듈(253)로 전달한다.
오디오처리모듈(255)는 데이터처리모듈(253)에서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미도시) 등의 출력 장치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MIC, 미도 시)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처리모듈(25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256)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통신 모듈부를 제어하긴 위한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능을 대체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하기 위한 대체 서비스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모듈부(150)를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각 모듈의 동작 방법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 방법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영상 처리부(260)는 제어부(220)를 통해 출력되는 이동통신 모듈부(240)로부터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그런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는 일반적으로 현재 대체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화면 규격에 따른다. 그러므로 영상 처리부(260)는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대체 단말기(200)에 장착된 영상 출력 장치(미도시)의 규격에 따라 영상 변환 처리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출력 장치(미도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화면보다 큰 화면을 갖는다. 즉, 영상 처리부(2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재생되는 영상 신호보다 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 변환 처리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출력하는 각종 표시정보, 다양한 메뉴 화면 등을 대체 단말기(200)에 장착된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영상 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능을 대체하여 대체 단말기(200)를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므로서, 사용자는 좀 더 큰 화면으로 영상 통화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및 SMS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대체 단말기(200)간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대체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단말기(200)는 대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USIM 정보 및 단말기 식별 번호(IMEI)를 수신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대체 단말기(200)는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기설정된 패스워드(PASS WORD)를 함께 수신하여 사용자의 확인을 통해 대체를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체 단말기(200)의 대체 처리부(230)는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1 USIM 정보, IMEI와 대체 실행을 위한 패스워드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그런 후, 대체 처리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대체 요청을 입력받는 화면에 패스워드 확인을 위한 화면을 함께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 증하고 나서 대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패스워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설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 자체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따라 식별 가능한 고정된 패스워드가 부여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단말기(200)가 대체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이때, 도 4에서는 사용자가 대체 단말기(200)를 통해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체 단말기(200)는 이동통신망(300)과 인터넷망(4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대체 시작 요청을 받은 대체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인식한다(S500).
그리고 대체 단말기(200)는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중 대체를 수행할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선택한다(S510). 이때, 대체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중 대체를 수행할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선택받은 결과 값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대체 단말기(200)는 선택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단말기 식별정보(USIM 정보) 교환 요청을 송신한다(S520). 이때, 대체 단말기(200)는 자체의 IMSI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 교환 요청을 송신한다.
그런 후 대체 단말기(200)는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 응답을 수신하여 포함된 정보를 저장한다(S530). 이와 같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 식별 정보 응답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IMSI를 포함하는 제1 USIM 정보와 IMEI를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번호 및 기설정된 패스워드가 포함된다.
그리고 나서 대체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정보(제1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한다(S540). 이때, 대체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다. 이때, 이동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응답과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런 다음 대체 단말기(200)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로 영상 통화를 요청하여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된다(S550).
그런 다음 대체 단말기(200)는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대체 단말기(200) 출력 장치의 규격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한다(S560). 즉, 대체 단말기(200)는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화면보다 큰 규격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여야 하므로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 중 영상 신호를 대체 단말기(200)의 화면 규격에 따라 영상 변환 처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단말기의 대체 종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단말기(200)가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된 것을 예로 들어 대체 종료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와 영상 통화 호가 설정되어 있는 대체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 통화 호를 종료한다(S600).
그런 다음 대체 단말기(200)는 대체 종료 요청을 입력받는다(S610). 이와 같은 대체 종료 요청은 대체 단말기(200)가 영상 통화 호 종료 후 자동으로 대체 종료 수행 여부를 묻는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대체 단말기(200)의 화면에 출력되는 기본적인 실행 애플리케이션 중 대체 서비스 시작/종료 수행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으로 출력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체 종료가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대체 종료 요청을 받은 대체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현재 대체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탐색한다(S620). 이때, 대체 단말기(200)는 현재 대체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인식한다.
그런 다음, 대체 단말기(200)는 인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단말기 식별 정보(USIM 정보) 재교환 요청을 송신한다(S630). 이때, 단말기 식별 정보 재교환 요청에는 현재 대체 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USIM 정보(제1 USIM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런 후, 대체 단말기(200)는 인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 식 별 정보 교환 응답을 수신하여 포함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단말기 식별 정보 교환 응답은 원래 대체 단말기(200)의 USIM 정보(제2 USIM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 식별 정보를 교환한 대체 단말기(200)는 제2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한 후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대체 단말기(200)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중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USIM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대체 단말기(200) 간에 블루투스 통식 방식과 더불어 또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를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장착하고, 대체 단말기(200)가 RFID 리더를 장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RFID 태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정보(제1 USIM 정보 및 단말기 식별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RFID 태그가 대체 단말기(200)의 RFID 리더기에 인식되면 대체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대체를 실행한다.
즉, 대체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RFID 태그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대체 단말기(200)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대체 단말기(2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정보가 교환된다. 그럼 다음, 대체 단말 기(200)가 현재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정보(제1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앞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 및 대체 서비스 시스템과 그 대체 방법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서비스 시스템 및 대체 방법은 WCDMA 이동통신 시스템 이외의 다른 분야(종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대체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모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단말기의 대체 종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Claims (14)

  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에 있어서,
    주변에서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 중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부;
    상기 블루투스 모듈부를 통해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제공받는 대체 처리부;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사이에 서킷 또는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모듈부; 및
    상기 이동통신 모듈부가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대체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장착된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부;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 화면을 장착된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규격 에 따라 영상 변환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대체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대체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처리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대체 시작 요청을 받으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부를 통해 단말기 식별 정보 교환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국제 이동국 식별 정보 및 국제 이동 단말기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 응답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교환 요청에는 제2 국제 이동국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대체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패스워드를 더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응답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2 패스워드와 상기 제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국제 이동국 식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모듈부로 전달하는
    대체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처리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대체 종료 요청을 받으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부를 통해 단말기 식별 정보 재교환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국제 이동국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 응답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재교환 요청에는 상기 제1 국제 이동국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대체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처리부는,
    상기 대체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모듈부를 통해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 중 상기 국제 이동 단말기 식별 번호와 일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탐색하여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재교환 요청을 송신하도록 하는
    대체 단말기.
  8.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변에서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 중 대체할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제1 이동통신 단말기'라고 함)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대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사이에 서킷 또는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중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보다 크게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대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대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에서,
    단말기 식별 정보 교환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국제 이동국 식별 정보 및 국제 이동 단말기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대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패스워드를 더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응답을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2 패스워드와 상기 제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대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대체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식별 정보 재교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대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재교환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국제 이동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를 탐색하고,
    탐색 된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말기 식별 정보 재교환 요청을 송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대체 방법.
KR1020080016405A 2008-02-22 2008-02-22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 및 그 대체방법 KR20090090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405A KR20090090874A (ko) 2008-02-22 2008-02-22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 및 그 대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405A KR20090090874A (ko) 2008-02-22 2008-02-22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 및 그 대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874A true KR20090090874A (ko) 2009-08-26

Family

ID=4120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405A KR20090090874A (ko) 2008-02-22 2008-02-22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 및 그 대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08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7030B2 (en) LTE cellular mobile network access system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ethod
KR20120068275A (ko) 휴대 단말기의 AP(Access Point)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TW201406186A (zh) 網路配置參數自動更新方法及系統
KR100722472B1 (ko) 엑세스 포인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N104618987B (zh) 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
KR20070065688A (ko) 화상 통화 중 sms 메시지의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118386A (ko) 복수의 스마트 카드 장착이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이동 단말에서의 호 처리 방법
JP5027921B2 (ja) 国際呼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1014163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00042679A (ko)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478361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CN109964533B (zh) 用于提供对移动通信服务的访问的系统、用户设备和方法
KR101107191B1 (ko) 인증서 등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194586A (ja) 通信システム
KR101901717B1 (ko) 멀티심 모바일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90090874A (ko)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대체하는 대체 단말기 및 그 대체방법
KR100708535B1 (ko) 전화번호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0466861B1 (ko) 유무선 통합형 사설망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6200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설정에 의한 자동 착신 전환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1345A (ko) 선별 착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06978B1 (ko)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20094B1 (ko) 동일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다중 서비스를 제공할 때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과금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5240B1 (ko) 통신 채널의 모니터링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60114494A (ko) 비동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JP2017050714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