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704A - 의료용 삼방 밸브 - Google Patents

의료용 삼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704A
KR20130136704A KR1020120060302A KR20120060302A KR20130136704A KR 20130136704 A KR20130136704 A KR 20130136704A KR 1020120060302 A KR1020120060302 A KR 1020120060302A KR 20120060302 A KR20120060302 A KR 20120060302A KR 20130136704 A KR20130136704 A KR 20130136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ranch pipe
medical
way valv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전두한
Original Assignee
이정원
전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원, 전두한 filed Critical 이정원
Priority to KR102012006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6704A/ko
Publication of KR2013013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삼방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103)이 연결되어 상기 핸들(103)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유로절환부(10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에서 서로 다른 3 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분기관돌기(111a~113a);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돌기(111a~113a)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커넥터(106); 및 이물질이 주사액과 함께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130,2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삼방 밸브{MEDICAL VALVE}
본 발명은, 의료용 삼방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된 필터를 통하여 주사액이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주사액과 함께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의료용 삼방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관에서 수액 혹은 수혈 요법을 행하는 경우, 다른 약액을 혼합 주입하거나 유체 유로를 흐르는 유체를 채취하기 위해 삼방(三方) 밸브가 사용된다.
종래의 삼방 밸브는 3개의 분기 개구부에 접속된 유체가 유통 가능한 분기관을 구비한 본체부와 유로 절환부로 구성되어 있고, 유로 절환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약액이 유입되는 분기관과 연통하는 약액이 유출되는 분기관의 조합의 선택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삼상 밸브에서의 3개의 분기관 중, 제1 분기관, 제2 분기관은 연통되었을 때에 직선상의 유로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유로를 메인 라인으로 한다.
또한 메인 라인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분기관을 제3 분기관으로 하고 있고, 제3 분기관에서 약액을 혼합 주입하거나 유체의 채취를 행한다. 연통하는 유로는 주로 T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주사액으로 사용되는 앰플(ampule)이나 바이알(vial)에서 나온 유리 파편과 고무 파편이 약제에 혼입되어 주사기로 빨려 들어와 주사를 할 때, 체내에 들어가며 보통 해당 부위에 머물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혈류를 따라 폐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간, 비장 등 여러 장기를 거쳐 신장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런 유리파편이 혈관을 폐색하게 되면 혈액 공급을 차단하여 만성적인 조직 괴사, 혈관 육아종, 색전 등의 위험이 있을뿐더러 척추에 주사하는 앰플형 항암제 주사의 경우, 척수액 내로로 들어갈 수 있어 위험하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성을 해결하기 위해 주사액 주입관에 설치되는 삼방 밸브에 관한 많은 연구, 예컨대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701896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7008106호 등과 같은 연구가 지속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그 효과가 미비하다.
만약, 필터를 내장시켜 내장된 필터를 통하여 주사액이 주입되도록 하면 이물질이 주사액과 함께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으므로,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의료용 삼방 밸브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701896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70081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장된 필터를 통하여 주사액이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주사액과 함께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의료용 삼방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핸들(103)이 연결되어 상기 핸들(103)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유로절환부(10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에서 서로 다른 3 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분기관돌기(111a~113a);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돌기(111a~113a)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커넥터(106); 및 이물질이 주사액과 함께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130,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삼방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필터(130,230)는 상기 제3 분기관(113)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130,230)는 스테인레스재질로 된 발포성형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메시(mesh) 필터(130) 또는 부직포 재질의 부직포 필터(230)일 수 있다.
상기 메쉬 필터(130)는 상기 제3 분기관(113) 내의 필터 장착용 고정홈(131)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부직포 필터(230)는 상기 제3 분기관(113) 내의 필터 장착용 걸림턱(231)에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장된 필터를 통하여 주사액이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주사액과 함께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삼방 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삼방 밸브의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삼방 밸브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삼방 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삼방 밸브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의료용 삼방 밸브는 핸들(103)이 연결되어 상기 핸들(103)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유로절환부(10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에서 서로 다른 3 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과,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분기관돌기(111a~113a)와,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돌기(111a~113a)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커넥터(106)와, 이물질이 주사액과 함께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1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커넥터(106)는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영역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돌기(111a~113a)에 의해 임의 이탈이 저지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커넥터(106)는 다른 장치와의 결합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핸들(103)의 표면에는 방향표시패턴(103a)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방향표시패턴(103a)을 보면서 상기 핸들(103)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절환부(102)가 삽입되는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유로절환부(102)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파이프로 적용된다. 한편, 상기 유로절환부(102)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 내지 제3 유로(102a~102c)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103)을 조작할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유로(102a~102c)가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면서 약액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도 4에 (a) 내지 (c)로 그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130)는 상기 제3 분기관(113)에 마련되며, 이물질이 주사액과 함께 상기 제3 분기관(113) 쪽을 경유하여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130)는 입구보다는 안쪽으로 좀 더 치우친 위치로 배치되어 있으며, 금속 재질의 메시(mesh) 필터(130)로 적용되고 있다. 금속 재질의 상기 메시 필터(130)는 특히, 앰플의 유리 조각 등을 필터링시키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금속 재질의 상기 메시 필터(130)는 5μm 이하의 입자만을 통과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메시 필터(130)는 5μm 이상의 입자를 필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메시 필터(130)는 스테인레스재질로 된 발포성형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이기 때문에 상기 제3 분기관(113) 내의 필터 장착용 고정홈(131)에 삽입되는 형태로 해당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삼방 밸브는 의료용이기 때문에 상기 메시 필터(130)를 포함한 전체 제품은 EO 소독 또는 감마 소독이 되어야 하며, 그래야만 세균 방지에 탁월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장된 필터(130)를 통하여 주사액이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주사액과 함께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삼방 밸브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필터(230) 역시, 상기 제3 분기관(113)에 마련되며, 이물질이 주사액과 함께 상기 제3 분기관(113) 쪽을 경유하여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230)는 입구보다는 안쪽으로 좀 더 치우친 위치로 배치되어 있으며, 부직포 재질의 부직포 필터(230)로 적용되고 있다. 부직포 재질의 상기 부직포 필터(230)는 특히, 앰플의 유리 조각 등을 필터링시키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5μm 이상의 입자를 필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부직포 필터(230)는 부직포 재질이기 때문에 상기 제3 분기관(113) 내의 필터 장착용 걸림턱(231)에 배치된 후에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참고로, 전기적 에너지가 진동차를 통하여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된 후, 혼을 통해 용착물에 전달되는데, 이때 접합면에서 순간적인 마찰열을 발생시켜 용해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초음파 융착이라 하며, 본 실시예처럼 부직포 재질의 부직포 필터(230)를 플라스틱 재질의 상기 필터 장착용 걸림턱(231) 영역에 부착시키는 데에 탁월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2 : 유로절환부 102a~102c : 제1 내지 제3 유로
103 : 핸들 106 : 커넥터
110 : 본체부 111~113 : 제1 내지 제3 분기관
111a~113a : 제1 내지 제3 분기관돌기 130,230 : 필터

Claims (3)

  1. 핸들(103)이 연결되어 상기 핸들(103)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유로절환부(10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에서 서로 다른 3 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분기관돌기(111a~113a);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돌기(111a~113a)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커넥터(106); 및
    이물질이 주사액과 함께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관(111~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130,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삼방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30,230)는 상기 제3 분기관(113)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130,230)는 스테인레스재질로 된 발포성형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메시(mesh) 필터(130) 또는 부직포 재질의 부직포 필터(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삼방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필터(130)는 상기 제3 분기관(113) 내의 필터 장착용 고정홈(131)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부직포 필터(230)는 상기 제3 분기관(113) 내의 필터 장착용 걸림턱(231)에 초음파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삼방 밸브.
KR1020120060302A 2012-06-05 2012-06-05 의료용 삼방 밸브 KR20130136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02A KR20130136704A (ko) 2012-06-05 2012-06-05 의료용 삼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02A KR20130136704A (ko) 2012-06-05 2012-06-05 의료용 삼방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704A true KR20130136704A (ko) 2013-12-13

Family

ID=4998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302A KR20130136704A (ko) 2012-06-05 2012-06-05 의료용 삼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67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3863A1 (de) * 2015-03-04 2016-09-08 B. Braun Melsungen Ag Medizinische Fluidsteuervorrichtung und Partikelfilter hierfür
US11344672B2 (en) 2017-07-20 2022-05-31 Gemtier Medical (Jiangsu) Inc. Filter device and filtering infusion container comprising same
KR20220093456A (ko) * 2020-12-28 2022-07-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뇌압조절밸브를 이용한 카테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3863A1 (de) * 2015-03-04 2016-09-08 B. Braun Melsungen Ag Medizinische Fluidsteuervorrichtung und Partikelfilter hierfür
US10967168B2 (en) 2015-03-04 2021-04-06 B. Braun Melsungen Ag Medical fluid control device and a particulate filter for same
US11344672B2 (en) 2017-07-20 2022-05-31 Gemtier Medical (Jiangsu) Inc. Filter device and filtering infusion container comprising same
KR20220093456A (ko) * 2020-12-28 2022-07-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뇌압조절밸브를 이용한 카테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627B1 (ko) 휴대용 투석 장치
CN105120914B (zh) 具有改良的储液器加热系统的便携式透析机
KR101651092B1 (ko) 주입량 및 주입방향 조절형 밸브
CN101868261B (zh) 体外血液回路的自动预充
WO2003041788A1 (fr) Robinet d'arret a trois voies et circuits de transfusion liquide ou sanguine utilisant ce robinet
US20220387687A1 (en) Flow Reversing Device
ES2568916T5 (es) Sitio de infusión para mezcla de fluidos mejorada
KR20160047428A (ko) 매니폴드 격막
CN105102013B (zh) 使用再生透析液在线血液透析滤过用的通用便携式机器
KR20130136704A (ko) 의료용 삼방 밸브
TW201707733A (zh) 外部功能性裝置、容置本發明外部功能性裝置之血液治療設備及方法
BRPI0611034A2 (pt) sistema de envio de fluido de contraste
JP2013506471A5 (ko)
KR101348689B1 (ko) 다방향 밸브
KR101749534B1 (ko) 연장 가능한 수액세트용 멀티웨이 조립체
JP2009077879A (ja) 三方活栓
CN111989393A (zh) 用于在生物制药工艺中灵活地提供连接和/或功能的可配置的设备
KR20130002001U (ko) 필터가 내장된 의료용 삼방밸브
WO2024093145A1 (zh) 穿刺器注射管路系统及高压造影注射设备
CN204995977U (zh) 双下肢造影管
KR20120139105A (ko) 수액주사용 의료기구
JP5257650B2 (ja) 三方活栓
JP4263327B2 (ja) 注入用具およびそれに用いる保持具
CN209108240U (zh) 血液净化装置
KR20180035490A (ko) 의료용 3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