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785A -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785A
KR20130134785A KR1020120058541A KR20120058541A KR20130134785A KR 20130134785 A KR20130134785 A KR 20130134785A KR 1020120058541 A KR1020120058541 A KR 1020120058541A KR 20120058541 A KR20120058541 A KR 20120058541A KR 20130134785 A KR20130134785 A KR 20130134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user input
content
us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785A/ko
Priority to US13/529,767 priority patent/US20130321256A1/en
Priority to EP12877716.6A priority patent/EP2856765B1/en
Priority to PCT/KR2012/009839 priority patent/WO2013180354A1/en
Publication of KR2013013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디바이스가 음성 및/또는 영상의 컨텐츠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도 상기 컨텐츠 출력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유저에게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은,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음성 컨디션,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영상 컨디션 및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의 유저 디텍트 여부를 나타내는 유저 디텍트 컨디션을 포함함; 및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는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은 상기 디텍트 된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조정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Method and Home Device for Outputting Response of User Input}
본 발명은,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 디바이스가 음성 및/또는 영상의 컨텐츠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도 상기 컨텐츠 출력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유저에게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컨텐츠에는 디바이스 자체에 내장된 컨텐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 방송 신호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종류에는 영상 컨텐츠, 음성 컨텐츠, 또는 영상과 음성을 모두 포함하는 컨텐츠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는 컨텐츠의 출력 중에도 멀티 태스킹을 통해 다양한 다른 작업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는 특정 작업에 대한 명령 또는 질문 등의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적절한 리스폰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유저 입력에 대한 리스폰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컨텐츠 출력과의 간섭을 배제하고 효율적으로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상황에서도 효율적으로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유저 입력 리스폰스의 제공시, 출력중인 컨텐츠와의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고, 유저가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 입력 리스폰스의 제공시,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상기 컨텐츠의 출력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가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인지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상황을 디텍트하고, 이에 기초하여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은,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음성 컨디션,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영상 컨디션 및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의 유저 디텍트 여부를 나타내는 유저 디텍트 컨디션을 포함함; 및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는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은 상기 디텍트 된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조정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는, 상기 홈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의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의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출력하고, 유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을 디텍트하되,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음성 컨디션,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영상 컨디션 및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의 유저 디텍트 여부를 나타내는 유저 디텍트 컨디션을 포함하고,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되,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는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은 상기 디텍트 된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조정됨;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는 홈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 중인 컨텐츠와의 간섭 없이 유저 입력에 대한 리스폰스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컨텐츠의 시청에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홈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유저 입력 리스폰스의 출력을 스마트하게 조정 가능하며, 이에 따라 유저는 최적의 상태로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디바이스는 유저가 홈 디바이스르 통해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인지를 체크하고 이에 기초하여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유저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놓치지 않고 정확하게 전달 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디바이스의 컨텐츠 출력 중에도 유저가 용이하게 다양한 멀티 태스킹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 및 상기 홈 디바이스를 사용중인 유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표.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100) 및 상기 홈 디바이스(100)를 사용중인 유저(10)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 디바이스(100)는 생방송, 영화, 음악, 드라마, 웹 페이지, 게임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에는 디바이스 자체에 내장된 컨텐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 방송 신호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영상 출력은 홈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통하여, 상기 음성 출력은 홈 디바이스(100)의 오디오 출력 유닛(130)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홈 디바이스는 또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 유닛을 구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이러한 센서 유닛으로는 촬상 센서(1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센서(150a)는 상기 홈 디바이스(100) 주변의 이미지를 디텍트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홈 디바이스는 상기 촬상 센서(150a)를 통해 디텍트 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의 유저 존재 유무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센서(150a)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적외선 센서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유닛은 오디오 입력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입력 센서는 상기 홈 디바이스(100)에 대한 유저의 음성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센서(150a) 및 오디오 입력 센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10)는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100)에 유저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저 입력의 수단으로는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모션 입력, 터치 입력, 버튼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시선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입력은 홈 디바이스(100)가 직접 수신할 수도 있지만, 상기 홈 디바이스(100)와 네트워크(300)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20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저 입력에는 특정 작업에 대한 명령 또는 질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 디바이스(100)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명령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거나, 유저가 입력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위해 연산 또는 검색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저 입력에 기초한 작업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홈 디바이스(100)는 상기 작업의 수행 성공 여부, 질문에 대한 답변 등에 기초한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유저 입력에 대응한 홈 디바이스(100)의 리스폰스를 가리켜 유저 입력 리스폰스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는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한다. 상기 음성 리스폰스는 음성을 통해 출력되는 리스폰스로서, 홈 디바이스(100)의 오디오 출력 유닛(13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리스폰스는 영상을 통해 출력되는 리스폰스로서, 홈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홈 디바이스(100)와 네트워크(300)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20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100)는 컨텐츠 출력 및 유저 입력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홈 디바이스(100)는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피씨, 텔레비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오디오 출력 유닛(13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등의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이미지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출력이 가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통해 유저 입력의 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오디오 출력 유닛(1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200)를 통해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을 이용하여 유저 입력을 홈 디바이스(100)에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PDA, 태블릿 피씨, 스마트 폰, 헤드셋, 리모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상기 홈 디바이스(100)로부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오디오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트워크(300)는 상기 홈 디바이스(100)가 외부 디바이스들(200)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홈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바이스(200)간의 통신은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30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들 간의 조합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디바이스(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컨트롤 디바이스(100)는 메인 컨트롤 유닛(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오디오 출력 유닛(130), 커뮤니케이션 유닛(140), 센서 유닛(150), 스토리지 유닛(160) 및 파워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메인 컨트롤 유닛(11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메인 컨트롤 유닛(11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인 경우, 터치 센서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 유닛(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 유닛은 홈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오디오 출력 유닛(130)은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출력 유닛(130)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1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메인 컨트롤 유닛(11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홈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오디오 출력 유닛(13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홈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구비할 경우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 및 상기 영상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홈 디바이스(100)가 오디오 출력 유닛(130)을 구비할 경우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및 상기 음성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센서 유닛(150)은 홈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인풋 또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메인 컨트롤 유닛(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유닛(150)은 복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15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사용자의 환경을 센싱하여, 컨트롤 디바이스(100)가 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홈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서 유닛(150)은 촬상 센서(1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센서(150a)는 상기 홈 디바이스(100) 주변의 이미지를 디텍트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10)에 제공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10)은 상기 촬상 센서(150a)를 통해 디텍트 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100) 주변의 유저 존재 유무를 디텍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10)은 상기 촬상 센서(150a)를 통해 디텍트 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개별 유저의 인식이 가능하며, 제스처 입력, 모션 입력, 시선 입력 등의 유저 입력의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촬상 센서(150a)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적외선 센서(미도시)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홈 디바이스(100)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100) 주변의 유저 존재 유무를 디텍트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서 유닛(150)은 오디오 입력 센서(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입력 센서(150b)는 상기 홈 디바이스(100)에 대한 유저의 음성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입력 센서(150b)는 마이크 등의 오디오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토리지 유닛(160)은, 비디오, 오디오, 사진,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60)은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낸다.
파워 유닛(170)은 디바이스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 홈 디바이스(1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인 컨트롤 유닛(110)은 데이터 통신 또는 방송 신호를 수신된 컨텐츠, 또는 상기 스토리지 유닛(160)에 저장된 컨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10)은 상술한 홈 디바이스(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홈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도 2에 도시된 메인 컨트롤 유닛(110)은 도 3의 각 단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디바이스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310). 상기 컨텐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출력은 홈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하여, 상기 음성 출력은 홈 디바이스의 음성 출력 유닛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홈 디바이스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320). 본 발명에서 상기 유저 입력은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모션 입력, 터치 입력, 버튼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및 시선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수단의 입력을 포함한다. 상기 유저 입력은 홈 디바이스의 센서 유닛에 의해 수신되어 메인 컨트롤 유닛에 전달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저 입력은 별도의 센서 유닛을 구비한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어, 상기 홈 디바이스의 메인 컨트롤 유닛에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홈 디바이스는 수신된 상기 유저 입력에 기초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저 입력이 특정 작업에 대한 명령일 경우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질문일 경우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위한 연산 또는 검색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저 입력에 기초한 작업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홈 디바이스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홈 디바이스는 상기 유저 입력 수신 자체에 대한 응답으로서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는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의 출력을 위해 홈 디바이스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을 디텍트 한다(S330).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적어도 하나의 컨디션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음성 컨디션,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영상 컨디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각각 상기 홈 디바이스가 출력중인 컨텐츠의 음성 출력 중요도 및 영상 출력 중요도를 정수 또는 플래그로 나타낸 값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가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기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유무 및 영상 출력 유무에 기초하여 각각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홈 디바이스는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디텍트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의 유저 디텍트 여부를 나타내는 유저 디텍트 컨디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은 홈 디바이스의 촬상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의 센서 유닛에 의해 디텍트 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은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사람이 디텍트 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홈 디바이스에 유저 입력을 수행한 해당 유저가 디텍트 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유저 입력의 수단을 나타내는 유저 입력 컨디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저 입력은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모션 입력, 터치 입력, 버튼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및 시선 입력 등의 다양한 유저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입력 컨디션은, 홈 디바이스가 수신 가능한 복수의 유저 입력 수단 가운데 어떠한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 입력이 수신되었는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디바이스는 상기 열거된 컨디션 가운데 하나 이상의 컨디션을 조합하여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디바이스가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을 디텍트하면, 상기 홈 디바이스는 상기 디텍트 된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다(S340).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는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를 포함하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하는지 여부 또한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결정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컨텐츠가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기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홈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카테고리 별로 컨텐츠 음성 출력 중요도 및 컨텐츠 영상 출력 중요도에 대한 미리 지정된 값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가 어떠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지를 기초로 하여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을 디텍트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지정된 범위의 정수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그 값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4(a)를 참조로 하면, 컨텐츠의 각 카테고리 별로 0 ~ 3의 범위에서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도 4(a)에서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그 설정된 값이 높을수록 중요도가 높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카테고리의 컨텐츠는 영화나 드라마 카테고리의 컨텐츠보다 영상 출력 중요도가 낮을 수 있고, 웹 페이지 카테고리의 컨텐츠는 음악 카테고리의 컨텐츠보다 음성 출력 중요도가 낮을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로 하면, 컨텐츠의 각 카테고리 별로 0 또는 1의 플래그 값으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도 4(b)에서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1의 값을 가질 경우 그 중요도가 높고, 0의 값을 가질 경우 그 중요도가 낮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홈 디바이스는 현재 실행중인 컨텐츠가 기 설정된 카테고리 중 어떠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하고, 해당 카테고리의 기 설정된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 값을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컨텐츠의 카테고리 분류, 각 카테고리 별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의 구체적인 값 등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하나의 예시로써,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면서,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지정된 범위의 정수값 또는 플래그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유무 및 영상 출력 유무에 기초하여 각각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홈 디바이스는 현재 실행중인 컨텐츠의 음성 출력 유무를 디텍트하여, 음성 출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을 1로, 음성 출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홈 디바이스는 현재 실행중인 컨텐츠의 영상 출력 유무를 디텍트하여, 영상 출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컨텐츠 영상 컨디션을 1로, 영상 출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컨텐츠 영상 컨디션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 디바이스는 현재 실행중인 컨텐츠의 음성 출력 유무 및 영상 출력 유무를 실시간으로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 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트 영상 컨디션의 값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디바이스가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을 디텍트 하면, 디텍트 된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각각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먼저,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미리 지정된 범위의 정수값으로 설정된 경우, 각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값을 갖는지 여부를 기초로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실시예에서 임계값이 2로 설정되었다면, 각 카테고리에서 2 이상의 값을 갖는 컨텐츠 음성 컨디션 또는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할 수 있다(음영 표시). 이때, 상기 임계값은 각 홈 디바이스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유저가 설정을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플래그 값으로 설정된 경우, 각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상기 플래그 값을 기초로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의 실시예에서, 각 카테고리에서 1의 값을 갖는 컨텐츠 음성 컨디션 또는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할 수 있다(음영 표시).
본 발명에서 홈 디바이스는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각각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유저 입력 리스폰스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유저 입력의 수단을 나타내는 유저 입력 컨디션 및 이에 기초하여 유저 입력 리스폰스의 출력 방법을 조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디바이스는 다양한 유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 입력은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모션 입력, 터치 입력, 버튼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또는 시선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유저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유저 입력 컨디션은 수신된 유저 입력의 수단이 어떠한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홈 디바이스가 수신 가능한 복수의 유저 입력 수단 가운데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 유저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또는 어떠한 수단들의 조합을 이용해 유저 입력이 수신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홈 디바이스는 상기 유저 입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유저 입력 리스폰스의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포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로 출력될 지, 영상 리스폰스로 출력 될지, 또는 음성 리스폰스와 영상 리스폰스 모두를 통해 출력될 지 여부는 수신된 유저 입력이 어떠한 입력 수단에 의해 수행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로 하면, 유저 입력이 음성 입력일 경우에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만을 포함할 수 있지만, 유저 입력이 제스처 입력일 경우에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입력이 터치 입력일 경우에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각 유저 입력 컨디션 별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하나의 예시로써,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홈 디바이스는 상기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을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조정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컨텐츠 음성 컨디션, 컨텐츠 영상 컨디션, 유저 디텍트 컨디션, 및 유저 입력 컨디션 등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 여부, 출력 방법, 및 출력 레벨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의 출력이 조정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Case 1) 컨텐츠 음성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고,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지 않으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됨을 나타낼 경우.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홈 디바이스의 음성 출력 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을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레벨 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가 음성이 중요한 컨텐츠를 청취하는 중에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의 출력이 상기 컨텐츠의 청취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홈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상기 영상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리스폰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출력되는 영역은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하며, 기 설정된 영역 또는 상기 영상 리스폰스의 속성에 의해 결정된 영역에 출력 될 수 있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를 모두 포함할 경우, 상기 음성 리스폰스와 영상 리스폰스를 각각 본 Case의 전술한 방법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Case 2) 컨텐츠 음성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고,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지 않으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되지 않음을 나타낼 경우.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홈 디바이스의 음성 출력 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을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레벨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가 홈 디바이스의 유저 디텍트 범위 이상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상기 음성 리스폰스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까지 상기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을 지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이 지연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10)가 홈 디바이스(100)에 대하여 유저 입력(12)을 수행하면, 상기 홈 디바이스(100)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는 상기 유저 입력(12)에 기초한 작업을 수행한 뒤,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디바이스(100)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되지 않을 경우, 홈 디바이스(100)는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을 지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 디바이스(100)는 촬상 센서(150a)를 이용하여 홈 디바이스(100) 주변의 유저 디텍트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도 6(c)를 참조로 하면, 상기 지연된 영상 리스폰스(14)는 홈 디바이스(100)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리스폰스(40)는 홈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리스폰스(40)의 출력 방법은 해당 영상 리스폰스(40)의 출력 시점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리스폰스(40)의 출력 시점의 컨텐츠 영상 컨디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리스폰스(40)의 출력 방법이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리스폰스(40)의 출력이 지연됨에 따라, 유저가 홈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상기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상기 영상 리스폰스가 출력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를 모두 포함할 경우, 상기 음성 리스폰스와 영상 리스폰스를 각각 본 Case의 전술한 방법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레벨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은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까지 지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 상기 음성 리스폰스와 영상 리스폰스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Case 3) 컨텐츠 음성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지 않고,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됨을 나타낼 경우.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홈 디바이스의 음성 출력 유닛을 통해 상기 음성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 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은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하며, 기설 정된 레벨 또는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속성에 의해 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출력 될 수 있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영상 리스폰스는 홈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과 중첩되지 않는 기 설정된 영상 리스폰스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리스폰스(40)가 홈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의 기 설정된 영상 리스폰스 영역(124)에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7(a)를 참조로 하면, 상기 영상 리스폰스 영역(124)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출력 중인 컨텐츠의 영상 출력(2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리스폰스 영역(124)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20)이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로 하면, 홈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분할하여 각 분할 된 영역(120a, 120b)에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20)이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과 상기 영상 리스폰스 영역(124)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두 개의 영역(120a, 120b)으로 분할 될 경우, 영역 120a에는 컨텐츠의 영상 출력(20)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영역 120b에는 영상 리스폰스 영역(124)이 형성되어 상기 영상 리스폰스(40)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리스폰스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을 방해하지 않는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 디바이스는 상기 영상 리스폰스가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과 중첩되어 출력 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영상 리스폰스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를 모두 포함할 경우, 상기 음성 리스폰스와 영상 리스폰스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Case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리스폰스는 홈 디바이스의 음성 출력 유닛을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영상 리스폰스는 홈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기 설정된 영상 리스폰스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Case 4) 컨텐츠 음성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지 않고,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되지 않음을 나타낼 경우.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홈 디바이스의 음성 출력 유닛을 통해 상기 음성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기 Case 3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까지 상기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을 지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6을 참조로 상기 Case 2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를 모두 포함할 경우, 상기 음성 리스폰스와 영상 리스폰스를 각각 본 Case의 전술한 방법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리스폰스는 홈 디바이스의 음성 출력 유닛을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은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까지 지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 상기 음성 리스폰스와 영상 리스폰스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Case 5)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각각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고,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됨을 나타낼 경우.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홈 디바이스의 음성 출력 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을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레벨 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영상 리스폰스는 홈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과 중첩되지 않는 기 설정된 영상 리스폰스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7을 참조로 상기 Case 3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를 모두 포함할 경우, 상기 음성 리스폰스와 영상 리스폰스를 각각 본 Case의 전술한 방법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레벨 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리스폰스는 홈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과 중첩되지 않는 기 설정된 영상 리스폰스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Case 6)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각각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고,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되지 않음을 나타낼 경우.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홈 디바이스의 음성 출력 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을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레벨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까지 상기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을 지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6을 참조로 상기 Case 2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만약,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를 모두 포함할 경우, 상기 음성 리스폰스와 영상 리스폰스를 각각 본 Case의 전술한 방법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레벨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리스폰스의 출력은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까지 지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 상기 음성 리스폰스와 영상 리스폰스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100)는 유저(10)의 시선을 디텍트 하고, 상기 디텍트 된 유저(10)의 시선에 기초하여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홈 디바이스(100) 주변에 유저(10)가 디텍트 됨을 나타내고,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홈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텍트 된 유저(10)가 다수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디텍트 된 유저(10)가 한 명일 경우, 홈 디바이스(100)는 촬상 센서(150a)를 이용하여 해당 유저(10)의 시선을 디텍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텍트 된 유저(10)의 시선이 향하는 곳에 영상 리스폰스(4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10)의 시선이 홈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의 특정 영역을 향하고 있다면, 홈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의 해당 영역에 영상 리스폰스(4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10)의 시선이 홈 디바이스(100)와 네트워크(300)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고 있다면, 홈 디바이스(100)는 해당 외부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영상 리스폰스(4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홈 디바이스(100)는 디텍트 된 상기 유저(10)의 시선이 향하는 영역에 가장 근접한 외부 디바이스(200)를 검색하여 해당 외부 디바이스(200)로 영상 리스폰스(40)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리스폰스(40)를 전달 받은 외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상기 영상 리스폰스(40)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가 별도의 촬상 센서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해당 외부 디바이스(200)가 유저(10)의 시선을 직접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저(10)의 시선이 해당 외부 디바이스(200)로 향하였을 경우 상기 홈 디바이스(100)로부터 전달된 영상 리스폰스(40)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상기 영상 리스폰스(40)와 함께 음성 리스폰스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유저 입력이 홈 디바이스(100)와 네트워크(300)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200)를 통해 수신된 경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로 하면, 유저(10)는 홈 디바이스(100)와 네트워크(300)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200)를 통해 유저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상기 유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100)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를 통해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한 작업을 수행한 뒤,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홈 디바이스(100) 주변에 유저(10)가 디텍트 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홈 디바이스(100) 주변에 유저(10)가 디텍트 되지 않을 경우, 홈 디바이스(100)는 상기 유저 입력을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200)를 통해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홈 디바이스(100)는 유저 입력을 수신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로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해당 외부 디바이스(200)의 음성 출력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유저 12 : 유저 입력
20 : 컨텐츠 영상 출력 40 : 영상 리스폰스
100 : 홈 디바이스 120 : 디스플레이 유닛
130 : 오디오 출력 유닛 150a : 촬상 센서
200 : 외부 디바이스 300 : 네트워크

Claims (26)

  1. 홈 디바이스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으로서,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음성 컨디션,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영상 컨디션 및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의 유저 디텍트 여부를 나타내는 유저 디텍트 컨디션을 포함함; 및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는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은 상기 디텍트 된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조정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가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기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각각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유무 및 영상 출력 유무에 기초하여 각각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은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모션 입력, 터치 입력, 버튼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및 시선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상기 유저 입력의 수단을 나타내는 유저 입력 컨디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의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포함 여부는 상기 유저 입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고,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됨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을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레벨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고,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되지 않음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을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레벨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되지 않음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까지 상기 영상 리스폰스 출력을 지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고,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됨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과 중첩되지 않는 기 설정된 영상 리스폰스 영역에 상기 영상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됨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디텍트 된 유저가 다수인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텍트 된 유저가 한 명일 경우, 상기 유저의 시선을 디텍트 하고,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텍트 된 유저의 시선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텍트 된 유저의 시선이 향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영상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이 상기 홈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유저 입력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입력을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14. 홈 디바이스로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의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의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출력하고,
    유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을 디텍트하되,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음성 컨디션,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 중요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영상 컨디션 및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의 유저 디텍트 여부를 나타내는 유저 디텍트 컨디션을 포함하고,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되,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는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은 상기 디텍트 된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가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기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각각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 및 컨텐츠 영상 컨디션은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유무 및 영상 출력 유무에 기초하여 각각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은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모션 입력, 터치 입력, 버튼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및 시선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컨디션은 상기 유저 입력의 수단을 나타내는 유저 입력 컨디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의 음성 리스폰스 및 영상 리스폰스 포함 여부는 상기 유저 입력 컨디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고,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됨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을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레벨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성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고,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되지 않음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음성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음성 리스폰스의 출력 레벨을 상기 컨텐츠의 음성 출력 레벨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되지 않음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될 때까지 상기 영상 리스폰스 출력을 지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 컨디션이 기 설정된 중요도를 만족하고,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됨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컨텐츠의 영상 출력과 중첩되지 않는 기 설정된 영상 리스폰스 영역에 상기 영상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됨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가 영상 리스폰스를 포함할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디텍트 된 유저가 다수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디텍트 된 유저가 한 명일 경우, 상기 유저의 시선을 디텍트 하고, 상기 디텍트 된 유저의 시선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디텍트 된 유저의 시선이 향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영상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유저 입력이 상기 홈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되었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유저 디텍트 컨디션이 상기 홈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디텍트 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유저 입력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유저 입력을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유저 입력 리스폰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KR1020120058541A 2012-05-31 2012-05-31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 KR20130134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41A KR20130134785A (ko) 2012-05-31 2012-05-31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
US13/529,767 US20130321256A1 (en) 2012-05-31 2012-06-21 Method and home device for outputting response to user input
EP12877716.6A EP2856765B1 (en) 2012-05-31 2012-11-20 Method and home device for outputting response to user input
PCT/KR2012/009839 WO2013180354A1 (en) 2012-05-31 2012-11-20 Method and home device for outputting response to user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41A KR20130134785A (ko) 2012-05-31 2012-05-31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785A true KR20130134785A (ko) 2013-12-10

Family

ID=4966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541A KR20130134785A (ko) 2012-05-31 2012-05-31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321256A1 (ko)
EP (1) EP2856765B1 (ko)
KR (1) KR20130134785A (ko)
WO (1) WO20131803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0935B (zh) * 2015-01-17 2018-07-06 深圳市索飞翔科技有限公司 Hdmi音视频切换装置
WO2018084576A1 (en) * 2016-11-03 2018-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13162A (ko) 2018-07-19 2020-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3340B2 (en) * 2000-03-16 2010-06-22 Microsoft Corporation Positioning and rendering notification heralds based on user's focus of attention and activity
US7171108B1 (en) 2001-07-31 2007-01-30 Keen Personal Media, Inc. Audiovisual system to interrupt viewing of a first audiovisual program to provide notification of a second audiovisual program of interest to the user
EP1706996B1 (en) * 2004-01-23 2015-11-04 Thomson Licensing Selectable audio output configuration
JP4716083B2 (ja) * 2004-07-27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8237770B2 (en) * 2004-10-15 2012-08-07 Lifesize Communications, Inc. Audio based on speaker position and/or conference location
US7716697B2 (en) * 2005-12-08 2010-05-11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4929721B2 (ja) * 2006-01-12 2012-05-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80046406A1 (en) * 2006-08-15 2008-02-21 Microsoft Corporation Audio and video thumbnails
US8243141B2 (en) * 2007-08-20 2012-08-14 Greenberger Hal P Adjusting a content rendering system based on user occupancy
US8130257B2 (en) * 2008-06-27 2012-03-06 Microsoft Corporation Speaker and person backlighting for improved AEC and AGC
EP2395420B1 (en) * 2009-02-05 2018-07-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668246B1 (ko) * 2010-03-03 2016-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880100B2 (ja) * 2010-06-01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処理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コンテンツ処理方法
KR20120031722A (ko) 2010-09-27 2012-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응답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120127012A1 (en) * 2010-11-24 201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mining user intent from position and orientation information
US20130028443A1 (en) * 2011-07-28 2013-01-31 Apple Inc. Devices with enhanced audio
KR20130032966A (ko) * 2011-09-26 201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8937591B2 (en) * 2012-04-06 2015-01-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unteracting a perceptual fading of a movable indicator
US20140181910A1 (en) * 2012-12-21 2014-06-26 Jim Fingal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parental controls based on user engagement with a medi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0354A1 (en) 2013-12-05
US20130321256A1 (en) 2013-12-05
EP2856765B1 (en) 2019-07-31
EP2856765A4 (en) 2016-01-13
EP2856765A1 (en)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894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US10972476B2 (en) Method for limiting usage of application, and terminal
US10228730B2 (en) Automatic shape adjustment of flexible display
KR102354763B1 (ko)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KR102279600B1 (ko) 휴대 기기에서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휴대 기기 및 컨텐츠 재생 장치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0202418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601808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9134949B2 (en) Head mou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the same
KR102275033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2824537A1 (en) Wearable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0258934A1 (zh) 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102265244B1 (ko)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395946B2 (en) Image viewing system, arbitrating terminal, image viewing method, and arbitrating method
KR102345649B1 (ko) 휴대용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07890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
CN111083684A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EP29475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KR20150040127A (ko) 전력 절감을 위하여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60071785A (ko)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102215178B1 (ko)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5199806A1 (en) Controlling brightness of a remote display
KR102219910B1 (ko) 컨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6464976B (zh) 显示设备、用户终端设备、服务器及其控制方法
KR102232583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웹 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