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784A -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784A
KR20130134784A KR1020120058540A KR20120058540A KR20130134784A KR 20130134784 A KR20130134784 A KR 20130134784A KR 1020120058540 A KR1020120058540 A KR 1020120058540A KR 20120058540 A KR20120058540 A KR 20120058540A KR 20130134784 A KR20130134784 A KR 20130134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electrode
circuit board
sensing electrode
electro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6241B1 (ko
Inventor
조성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241B1/ko
Priority to US13/906,896 priority patent/US9236200B2/en
Publication of KR2013013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64Protective enclosures, baffle plates, or screens for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윈도우의 화면영역 상에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감지전극, 상기 화면영역과 상이한 비활성영역에 상기 전극패턴에 대응되는 배선패턴을 형성하는 배선부, 상기 배선부로부터 전달된 터치감지신호를 구동칩으로 전달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와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본딩영역, 및 상기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도포되는 절연물질을 포함하는 터치윈도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TOUCH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명윈도우와 연성회로기판이 접착되는 본딩영역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터치윈도우(Touch Window)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발광소자(ELD; Electro Luminescence Device)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 패널을 가압하여 전자기기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윈도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터치윈도우는 외부의 터치 입력을 수용하는 투명윈도우(Window), 상기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전극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수용하는 화면영역(V/A; View Area)과 상기 터치 입력을 수용하지 않는 비활성영역(D/A; Dead Area)을 구현하는 터치스크린패널(Touch Screen Panel; TSP) 및 상기 터치스크린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투명윈도우의 기능키 영역(Function Area; F/A)에 버튼(아이콘)으로 구현되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비활성영역에는 상기 화면영역의 전극패턴에 대응하여 배선패턴이 형성된 배선영역과 상기 배선패턴을 통해 전달된 터치감지신호를 구동칩으로 전달하는 패드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윈도우는 패드영역을 통해 구동칩이 내장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과 결합하게 된다.
즉, 종래기술은 패드영역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별도로 가공한 후, 패드영역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결합하기 위한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본딩공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접착되는 패드영역(110)의 테두리에는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패드영역(110)의 테두리에 빈공간이 형성되게 되면, 빈공간으로 이물질이 끼거나, 부식이 발생하게 되어 터치윈도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성회로기판과 접합되는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절연물질을 도포함으로써, 본딩영역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윈도우는 투명윈도우의 화면영역 상에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감지전극, 상기 화면영역과 상이한 비활성영역에 상기 전극패턴에 대응되는 배선패턴을 형성하는 배선부, 상기 배선부로부터 전달된 터치감지신호를 구동칩으로 전달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와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본딩영역, 및 상기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도포되는 절연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물질은 상기 본딩영역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안쪽에 도포되지 않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바깥쪽 및 양 옆쪽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절연물질은 PET, PC, PES, PI 및 PMMA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은 상기 투명윈도우 상에 직접 제1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감지전극의 타면과 접착층으로 접착된 베이스기판 상에 제2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은 상기 투명윈도우에 접착된 베이스기판의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제1 전극패턴 및 제2 전극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 상에 접착된 제1 베이스기판 상에 제1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감지전극의 타면과 접착층으로 접착된 제2 베이스기판 상에 제2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은 투명윈도우의 화면영역 상에 전극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화면영역과 상이한 비활성영역에 상기 전극패턴과 대응되는 배선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배선패턴으로부터 전달된 터치감지신호를 구동칩으로 전달하는 패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선패턴과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절연물질을 도포하며, 상기 본딩영역에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접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성회로기판과 접합되는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절연물질을 도포함으로써, 본딩영역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윈도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윈도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터치윈도우를 세로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윈도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터치윈도우는 투명윈도우의 화면영역(V/A; View Area) 상에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감지전극, 상기 화면영역과 상이한 비활성영역(D/A; Dead Area)에 상기 전극패턴에 대응되는 배선패턴을 형성하는 배선부, 상기 배선부로부터 전달된 터치감지신호를 구동칩으로 전달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이 접합되는 본딩영역, 및 상기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도포되는 절연물질(210)을 포함한다.
즉, 절연물질(210)은 상기 본딩영역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안쪽에 도포되지 않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상기 본딩영역의 바깥쪽 및 양 옆쪽에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물질(210)은 상기 본딩영역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물질(21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및 PMMA(PolyMethly MethaAcrylate)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은 투명윈도우의 화면영역 상에 전극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화면영역과 상이한 비활성영역에 상기 전극패턴과 대응되는 배선패턴을 형성한다(310). 여기서, 상기 화면영역은 터치 입력을 수용할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비활성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을 수용할 수 없는 영역이며, 상기 배선패턴을 가리기 위한 인쇄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상기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은 ITO(Indium-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Ag 나노와이어(Ag NW) 및 전도성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전극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은 상기 배선패턴을 통해 전달된 터치감지신호를 구동칩으로 전달하는 패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칩은 연성회로기판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은 상기 배선패턴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절연물질을 도포한다(320). 상기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은 상기 절연물질을 상기 본딩영역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안쪽에 도포하지 않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상기 본딩영역의 바깥쪽 및 양 옆쪽에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은 상기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PET, PC, PES, PI 및 PMMA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절연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은 상기 절연물질을 도포 후 건조시킨다(330).
상기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은 상기 본딩영역에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접합한다(340).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윈도우 제조방법은 상기 본딩영역에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접합한 후, 상기 본딩영역의 빈공간에 절연물질을 충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윈도우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가지는 터치윈도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터치윈도우를 세로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터치윈도우는 외부의 터치 입력을 수용하는 투명윈도우(10), 투명윈도우(10)의 하부에 전극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수용하는 화면영역과 상기 터치 입력을 수용하지 않는 비활성영역을 구현하는 터치스크린패널(Touch Screen Panel; TSP) 및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하부에 양면테이프(60)로 액정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과 접착된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상기 화면영역에는 상기 터치 입력을 수용하는 감지전극이 형성되는데, 감지전극을 형성하는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감지전극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베이스기판 상에 각각 전극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투명윈도우(10)의 일면 상에 제1 접착물질층(20)을 통해 제1 베이스기판(30)을 접착하고, 제1 베이스기판(30)에 패턴화되는 제1 전극패턴(31)을 포함하는 제1 감지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기판(30) 일면에 제2 접착물질층(40)을 통해 제2 베이스기판(50)을 접착하고, 제2 베이스기판(50)에 패턴화되는 제2 전극패턴(51)을 포함하는 제2 감지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전극패턴과 제2 전극패턴과 연결되는 배선패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제1 접착물질층(20) 및 제2 접착물질층(40)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DPSA(Detackified PS Adhesives), 또는 WAA(Water Activated Adhesives)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감지전극은 하나의 베이스기판 상에 두 개의 전극패턴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투명윈도우(10)의 일면 상에 제1 접착물질층(20)을 통해 제1 베이스기판(30)을 접착하고, 제1 베이스기판(30)의 일면에 제1 전극패턴(31)을 패턴화하고, 제1 베이스기판(30)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제2 전극패턴(32)을 패턴화함으로써, 상기 감지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 하부에는 상기 감지전극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61)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필름(61)은 하부에 양면테이프(60)로 액정모듈과 접착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감지전극은 투명윈도우(10)와 하나의 베이스기판 상에 두 개의 전극패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투명윈도우(10) 상에 직접 제1 전극패턴(31)이 패턴화되어 제1 감지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윈도우(10)는 제1 접착물질층(20)을 통해 제1 베이스기판(30)과 접착되어, 제1 베이스기판(30) 상에 패턴화되는 제2 전극패턴(32)을 포함하는 제2 감지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전극패턴(32)은 제1 접착물질층(20)과 제1 베이스기판(30)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베이스기판(30) 하부에는 양면테이프(60)로 액정모듈과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뿐만 아니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 구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이 터치스크린패널(TSP; Touch Screen Panel)에 전달되어 접촉 감지 패널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접촉 감지 패널과 표시 장치 사이에 차단층 (Shield Layer)을 배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투명윈도우
20, 40: 접착물질층
30, 50: 베이스기판
31, 51: 전극패턴
60: 양면 테이프

Claims (10)

  1. 투명윈도우의 화면영역(V/A; View Area) 상에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감지전극;
    상기 화면영역과 상이한 비활성영역(D/A; Dead Area)에 상기 전극패턴에 대응되는 배선패턴을 형성하는 배선부;
    상기 배선부로부터 전달된 터치감지신호를 구동칩으로 전달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이 접합되는 본딩영역; 및
    상기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도포되는 절연물질
    을 포함하는 터치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물질은,
    상기 본딩영역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안쪽에 도포되지 않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바깥쪽 및 양 옆쪽에 도포되는, 터치윈도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물질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및 PMMA(PolyMethly MethaAcrylate)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터치윈도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은,
    상기 투명윈도우 상에 직접 제1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감지전극의 타면과 접착층으로 접착된 베이스기판 상에 제2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제2 감지전극
    을 포함하는 터치윈도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은,
    상기 투명윈도우에 접착된 베이스기판의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제1 전극패턴 및 제2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터치윈도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 상에 접착된 제1 베이스기판 상에 제1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감지전극의 타면과 접착층으로 접착된 제2 베이스기판 상에 제2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제2 감지전극
    을 포함하는, 터치윈도우.
  7. 투명윈도우의 화면영역 상에 전극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화면영역과 상이한 비활성영역에 상기 전극패턴과 대응되는 배선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배선패턴으로부터 전달된 터치감지신호를 구동칩으로 전달하는 패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선패턴과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는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절연물질을 도포하며,
    상기 본딩영역에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접합하는, 터치윈도우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절연물질을 도포하는 것은,
    상기 본딩영역에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접합한 후, 상기 본딩영역의 빈공간에 절연물질을 충진하는, 터치윈도우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영역의 테두리에 PET, PC, PES, PI 및 PMMA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상기 절연물질을 도포하는, 터치윈도우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ITO(Indium-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Ag 나노와이어(Ag NW) 및 전도성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전극패턴을 구성하는, 터치윈도우 제조방법.
KR1020120058540A 2012-05-31 2012-05-31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101966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40A KR101966241B1 (ko) 2012-05-31 2012-05-31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US13/906,896 US9236200B2 (en) 2012-05-31 2013-05-31 Touch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40A KR101966241B1 (ko) 2012-05-31 2012-05-31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784A true KR20130134784A (ko) 2013-12-10
KR101966241B1 KR101966241B1 (ko) 2019-04-05

Family

ID=4966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540A KR101966241B1 (ko) 2012-05-31 2012-05-31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36200B2 (ko)
KR (1) KR1019662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707A (ko) * 2013-12-16 2015-06-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60013696A (ko) * 2014-07-28 2016-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85B1 (ko) * 2013-10-18 2020-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253530B1 (ko) * 2014-11-21 2021-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CN104461149B (zh) * 2014-12-16 2018-06-15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显示装置
WO2019203548A1 (ko) * 2018-04-17 2019-10-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460A (ko) * 2003-12-26 2006-09-29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회로의 접속 구조 및 접속 방법
KR101069747B1 (ko) * 2011-02-01 2011-10-04 박준영 터치 패널용 패드와 기판의 결합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결합체
KR20110111222A (ko) * 2010-04-02 2011-10-10 (주)멜파스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919B1 (ko) * 2008-09-25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20075233A1 (en) * 2010-09-28 2012-03-29 Symbol Technologies, Inc. Device display with a touch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460A (ko) * 2003-12-26 2006-09-29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회로의 접속 구조 및 접속 방법
KR20110111222A (ko) * 2010-04-02 2011-10-10 (주)멜파스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69747B1 (ko) * 2011-02-01 2011-10-04 박준영 터치 패널용 패드와 기판의 결합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결합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707A (ko) * 2013-12-16 2015-06-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60013696A (ko) * 2014-07-28 2016-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6200B2 (en) 2016-01-12
US20130319835A1 (en) 2013-12-05
KR101966241B1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825B1 (ko) 전극패턴의 구조가 개선된 터치윈도우
KR101661160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장치
KR101966241B1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US20120146919A1 (en) Touch screen panel
KR20160061563A (ko)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US9087972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80154B1 (ko) 터치패널
KR101987338B1 (ko) 터치윈도우
KR101415585B1 (ko) 터치윈도우 및 상기 터치윈도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80672B1 (ko) 터치윈도우
KR20150045311A (ko) 터치 패널
US9146413B2 (en) Touch window
KR101160797B1 (ko) 전극-윈도우 일체형 접촉 감지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62961B1 (ko) 터치윈도우
KR20160028586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2549B1 (ko) 터치 패널
KR101916200B1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101238174B1 (ko) 터치윈도우
KR101765945B1 (ko) 터치윈도우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공정
KR20130130293A (ko) 장비 커넥터와 직접 연결되는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101303637B1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101250416B1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7761A (ko) 자가 커패시턴스 터치윈도우
KR20120120719A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1142A (ko) 터치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