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595A -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595A
KR20130134595A KR1020120058212A KR20120058212A KR20130134595A KR 20130134595 A KR20130134595 A KR 20130134595A KR 1020120058212 A KR1020120058212 A KR 1020120058212A KR 20120058212 A KR20120058212 A KR 20120058212A KR 20130134595 A KR20130134595 A KR 20130134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uction cap
hole
coupled
central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516B1 (ko
Inventor
방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6735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13459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
Priority to KR102012005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516B1/ko
Priority to CN201380028792.7A priority patent/CN104334211B/zh
Priority to PCT/KR2013/004542 priority patent/WO2013180422A1/ko
Priority to US14/401,626 priority patent/US9468748B2/en
Publication of KR2013013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vaccinating or cleaning the skin previous to the vaccination
    • A61B17/205Vaccinating by means of needles or other punct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6Port wine st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61Removing layer of skin tissue, e.g. wrinkles, scars or cancerous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69Tattoo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는, 다수개로 구비되는 니들; 니들의 앞쪽 부분은 노출시키고, 니들이 고정되게 뒤쪽 부분을 감싸는 중앙허브; 니들 및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중앙허브에 밀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앞쪽에 니들이 관통하는 니들관통공이 형성되는 석션캡; 및 석션캡 뒤쪽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조정부의 일측 면에는 회전방향으로 연속된 숫자 또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는, 다수개로 구비되는 니들; 니들의 앞쪽 부분은 노출시키고, 니들이 고정되게 뒤쪽 부분을 감싸는 중앙허브; 니들 및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중앙허브에 밀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앞쪽에 니들이 관통하는 니들관통공이 형성되는 석션캡; 및 석션캡 뒤쪽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중앙허브 후방을 형성하며 조정부가 결합되는 조절관부가 마련되며, 조절관부의 일측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숫자 또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A multi-needle assembly with readily adjustable structure}
본 발명은 피부 시술용 멀티니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피부에 시술되는 깊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수단 없이 조정이 가능한 멀티니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다수의 미세한 홀을 천공하고 약물 등이 체내로 투입되도록 하는 시술법(이하 '멀티홀 시술법')은 주름, 기미, 잡티, 튼살, 여드름, 주근깨, 색소 침착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 트러블을 없애고, 두발 건강을 유지하며 탈모를 개선하고, 비만 치료에 적용하는 등 폭넓게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홀 시술법은 손상된 피부 조직의 자생력을 이용하여 새살이 돋도록 하거나, 미세한 홀을 통하여 약물 등이 체내로 침투되게 함으로써 빠른 시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멀티홀 시술법은 시술자가 바늘을 피시술자의 피부에 일일이 꽂았다 빼는 동작을 반복하는 피시술자의 직관에 의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피시술자가 고통을 호소하거나 일정한 깊이로 바늘이 주입되지 못하여 약물 침투 또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멀티홀 시술법은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어가는 중장년층에게 시술할 경우 희망하는 깊이로 홀을 천공하고자 하여도 피부에 무수히 많은 미세한 홀을 천공하는 도중에 적절한 피부의 긴장도, 즉 텐션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즉, 전술한 멀티홀 시술법은 다수의 홀이 천공되는 과정에서 피부가 밀리고, 바늘 등의 시술 도구가 피부의 희망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천공을 하지 못하고 미끄러지거나 바늘이 피부에 박힌 채로 밀리면서 피시술자에 통증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15018호는 "주사기용 석션어댑터"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니들과 니들허브로 이루어진 주사기바늘에 결합되고 주사될 피부부위에 음압(陰壓)을 가할 수 있도록 공기흡입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니들허브가 수용되는 제1공간부와, 니들허브에 결합되는 니들이 돌출될 수 있도록 제1공간부에 연통되는 관통공 및 상면이 개방된 제2공간부; 및 제2공간부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흡입기와 연결되는 공기흡입기 연결부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며, 주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석션어댑터에 밀착고정시키고 제2공간부의 공기를 공기흡입기로 흡입시킴으로써 주사장치 방향으로 피부층을 상승시켜 주사액을 주입함으로써 피부의 원하는 깊이에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15018호는 멀티니들용 석션어댑터를 개시하며, 니들의 노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개시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2공간부의 상당부 및 돌출부의 높이가 니들의 노출분을 제외한 니들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니들의 노출길이를 고려한 멀티니들용 석션어댑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15018호에서 개시되는 형태의 석션어댑터를 사용하는 경우, 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석션어댑터를 사용하여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실제로 '조절'의 개념은 아닌 것이고, 필요에 따라 개별 사이즈를 갖는 석션어댑터를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석션어댑터를 일일이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4612호는 "피부 시술용 모듈"을 개시하며, 이에 따른 피부 시술용 모듈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본체와, 본체에 내장되어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 결합으로 정, 역회전하면서 전, 후진하는 왕복 어셈블리와, 왕복 어셈블리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왕복 어셈블리와 접촉되게 내장되고 본체의 일단부를 통하여 출입하는 복수의 니들이 마련된 니들 어셈블리와, 단부가 피부와 접촉하며 니들의 단부 각각이 내외로 출입하고 본체의 일단부가 회전을 허용 가능하게 결합되며 피부와 밀착되게 단부에 접촉되는 피부와 연통하여 에어가 흡입되는 가이드 석션 어셈블리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4612호에 따르면, 본체 내에서 나사 결합되어 정, 역회전에 따라 전, 후진하는 왕복 어셈블리, 또는 본체 내에서 왕복하는 왕복 어셈블리를 회전운동으로 전,후진시키는 회전 어셈블리에 의하여 니들 어셈블리의 니들이 출입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피부에 시술되는 깊이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조정된 니들의 노출길이의 확인을 위하여는 별도의 수단(측정수단)이 필요하였으며, 노출길이의 확인에 불편함이 있었다.
즉, 니들의 노출을 위한 조정 자체는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나, 그러한 노출의 정도가 의도한 노출길이에 해당하는지 확인을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의 깊이조정이 정확히 요구되는 특성상, 노출길이의 정확한 확인 없이 시술이 이루어질 수는 없으므로 이러한 점에 대한 해결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4612호에 따른 피부 시술용 모듈의 사용시, 가이드석션 어셈블리가 니들어셈블리와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가이드석션 어셈블리와 왕복어셈블리가 니들어셈블리를 기준으로 함께 회전하는 경우(특히, 미숙한 사용자의 경우 이러한 경우는 더욱 빈번히 발생)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니들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간단한 조작으로 피부에 시술되는 깊이를 정확하게 조정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정된 작동으로 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는, 다수개로 구비되는 니들; 상기 니들의 앞쪽 부분은 노출시키고, 상기 니들이 고정되게 뒤쪽 부분을 감싸는 중앙허브; 상기 니들 및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상기 중앙허브에 밀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앞쪽에 상기 니들이 관통하는 니들관통공이 형성되는 석션캡; 및 상기 석션캡 뒤쪽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의 일측 면에는 회전방향으로 연속된 숫자 또는 눈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는, 다수개로 구비되는 니들; 상기 니들의 앞쪽 부분은 노출시키고, 상기 니들이 고정되게 뒤쪽 부분을 감싸는 중앙허브; 상기 니들 및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상기 중앙허브에 밀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앞쪽에 상기 니들이 관통하는 니들관통공이 형성되는 석션캡; 및 상기 석션캡 뒤쪽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허브 후방을 형성하며 상기 조정부가 결합되는 조절관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절관부의 일측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숫자 또는 눈금이 형성된다.
상기 석션캡에는, 앞쪽에 상기 니들관통공에서 이격된 밀착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밀착공과 연통되는 흡입기연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석션캡이 상기 중앙허브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범위 내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할 때, 상기 니들은 상기 석션캡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중앙허브의 외측과 석션캡의 내측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홈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가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돌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상기 중앙허브 후방을 형성하며 상기 조정부가 결합되는 조절관부가 마련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절관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관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숫자 또는 눈금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관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부가 삭제되어 면을 구비하는 눈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관부에 형성되는 숫자 또는 눈금은 상기 눈금부상에 위치한다.
상기 조정부는 상기 석션캡 후단에 밀착하고, 상기 석션캡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중앙허브는, 상기 니들이 고정되어 결합하는 결합부와, 후단에 주사기 노즐이 결합되고 테두리에 상기 조정부가 결합되는 조절관부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니들 각각이 관통하는 제1관통구와, 상기 제1관통구 후단에서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각각 형성되는 제1연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관부에는, 상기 주사기 노즐과 연통되는 제2관통구와, 상기 제2관통구 전단에 형성되는 제2연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통홈은 상기 니들 전부와 연통된다.
상기 결합부의 후단과 조절관부의 전단 중 어느 하나에는 2 이상의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꼭 맞게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니들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구 내부로 접착제가 채워지면서 상기 니들이 고정된다.
상기 중앙허브 및 석션캡은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는, 조정부와 조절관부 간에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정부와 조절관부에 눈금이 표시되도록 하여, 니들의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노출된 니들의 길이가 요구된 길이에 해당하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확인을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 없고 용이한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딩 범위 내에서 석션캡이 가장 앞쪽에 위치할 때, 니들은 석션캡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이러한 위치에서 석션캡의 전단부는 니들의 전단부와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조정부의 회전 정도가 니들의 노출길이에 대응되므로 니들의 노출길이 조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조정부는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중앙허브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조정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석션캡을 기준으로 중앙허브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중앙허브와 석션캡에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석션캡이 중앙허브를 기준으로 안정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석션캡이 중앙허브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니들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조절관부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부가 삭제되어 면을 이루는 눈금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조정부와 조절관부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발생되어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니들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중앙허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멀티니들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및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시술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니들 조립체(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1)는, 다수의 니들(100)과, 중앙허브(200), 석션캡(300) 및 조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1)는, 일반적인 주사기(syringe)와 같이 주사액 등을 주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별도의 수단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특히 중앙허브(200)의 후단이 주사기의 노즐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이하, 상기 석션캡(300)이 형성되는 방향을 앞쪽, 주사기 등과 결합되는 방향을 뒤쪽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니들(100)은, 다수개로 구비되고, 주사기를 통하여 멀티니들 조립체(1) 내부로 주입된 주사액 내지는 약물 등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허브(200)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1)의 중심을 이루며, 상기 니들(100)을 고정한다.
상기 중앙허브(200)는 크게 결합부(210)와 조절관부(220)로 구분되며, 전체적으로 상기 니들(100)의 후단에 결합된다. 즉, 상기 중앙허브(200)는 상기 니들(100)의 앞쪽 부분은 노출시키고 상기 니들(100)이 고정되게 뒤쪽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허브(200)와 니들(100)의 결합형태는 도 3에 도시된다. 상기 중앙허브(20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석션캡(300)은 상기 니들(100) 및 중앙허브(20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중앙허브(200) 테두리와 밀착한 형태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석션캡(300)의 앞쪽에는 상기 니들(100)이 관통하는 니들관통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관통공(310)과 인접하여 밀착공(320)이 형성된다. 상기 니들관통공(310)은 시술시 니들(100)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면 충분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니들(100)의 직경과 거의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니들관통공(310)은 상기 석션캡(300) 내외로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착공(320)은 후술할 흡입기연결공(340)과 연통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1)에서, 상기 석션캡(300)의 앞쪽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들관통공(310)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앞쪽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 부분에서 역시 상기 니들관통공(310)이 형성되는 돌기와 같은 높이 또는 약간 높은 높이(시술되는 피부에서 효과적인 흡입력 발생을 위하여 약 0.2mm 정도 높은 것이 바람직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니들관통공(310)이 형성된 돌기에서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에서 상기 밀착공(3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흡입기의 작동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흡입되면서 피부(S)와 석션캡(300)의 전단 사이에 충실한 밀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니들관통공(310)의 단부가 피부(S)에 안정되게 밀착하고 상기 밀착공(320)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지속적인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니들관통공(310) 뒤쪽으로는 상기 중앙허브(200)의 앞쪽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런 공간과 상기 니들관통공(310)이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상기 밀착공(320)과 연통되는 형태로 흡입기연결공(340)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기연결공(340)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며, 상기 흡입기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석션캡(300)의 전단 테두리벽이 형성하는 공간 내부는 압력이 감소하면서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석션캡(300)은 상기 중앙허브(20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360)과 가이드홈(214) 등의 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고 상기 석션캡(300)과 중앙허브(200)간 회전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중앙허브(200)는 상기 석션캡(300)과 조정부(400) 사이에 구속되어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 범위 내에서 상기 석션캡(300)이 가장 앞쪽에 위치할 때, 상기 니들(100)은 상기 석션캡(300)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석션캡(300)의 전단부는, 상기 니들(100)의 전단부와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석션캡(300) 전방으로 니들(100)이 돌출되지 않고, 후술할 조정부(400)의 회전정도가 상기 니들(100)의 노출길이에 대응되므로 상기 니들(100)의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석션캡(300) 뒤쪽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앙허브(200)를 감싸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조정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조정부(400)는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상기 중앙허브(20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조정부(4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상기 석션캡(300)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허브(20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허브(200)와 석션캡(300)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홈(214)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214)이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돌기(360)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허브(200)에 가이드홈(214)이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석션캡(300)에 가이드돌기(36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홈(214)와 가이드돌기(360)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석션캡(300)이 상기 중앙허브를 기준으로 안정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 석션캡(300)이 상기 중앙허브(200)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중앙허브(2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중앙허브(200)는 상기 니들(100)이 고정결합되고 주사기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니들(100)이 고정되어 결합하는 결합부(210)와, 상기 중앙허브(200) 후방을 형성하며 테두리에 상기 조정부(400)가 결합되는 조절관부(220)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10)와 조절관부(220)은 서로 결합되는데, 상기 조절관부(220)의 전단이 상기 결합부(210) 후단에 삽입되어 끼워져 걸림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관부(220)의 전단에는 끼움돌기(225)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10) 후단에는 상기 끼움돌기(225)가 꼭 맞게 끼워지는 끼움홈(215)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210)와 조절관부(220)의 상대적인 회전이 저지될 뿐 아니라, 제2관통구(221), 제2연통홈(222) 및 니들(100) 간의 연통이 보장되는 범위에서 상기 결합부(210)와 조절관부(22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조정부(400)는 상기 조절관부(220)에 끼워진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조정부(400)와 조절관부(220)는 서로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조정부(400)와 조절관부(220)의 나사결합은 헐거운 형태로 결합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조정부(400)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마찰력이 작용하는 정도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정부(400)의 테두리는 미끄럼 방지 및 조정의 용이를 위하여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부(400)의 뒤쪽 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된 숫자 또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숫자 등이 눈금판(410)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속된 숫자는 상기 조정부(400)가 상기 조절관부(220) 뒤쪽으로 이동할수록 증가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정부(400)는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조절관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상대적인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조정부(400)의 이동거리는 상기 석션캡(300)의 후방 이동거리, 즉 상기 니들(100)의 노출길이가 되는 것이므로, 상기 숫자 또는 눈금은 상기 니들(100)의 노출길이 조정 및 확인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니들(100)의 노출길이 정도의 확인을 위한 수단으로서 눈금 등은, 상기 조정부(400) 뿐 아니라 상기 조절관부(2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상기 조절관부(220)는 완전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면이 절개되어 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러한 면에 눈금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관부(220)에서 눈금 등이 형성된 부분이 눈금부(223)에 해당한다.
상기 조절관부(220)에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분의 외경이 상기 조정부(400)의 내경과 완전이 꼭 맞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조정부(400)와 조절관부(220) 사이에는 큰 마찰력이 작용하여 상기 조정부(400)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나, 한편으로 너무 큰 마찰력은 상기 조정부(400)의 조작을 방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조절관부(220)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부가 삭제되어 면을 이루는 눈금부(223)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정부(400)와 조절관부(220)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발생되어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눈금부(223) 상에 길이방향으로 숫자 또는 눈금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니들(100)의 노출길이 확인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정부(400)에는 눈금 등이 직접 형성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부(400)에 결합되는 별도의 눈금판(4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정부(400)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관부(220)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정부(400)는 상기 조절관부(220)에 끼워져 가장 앞쪽에 위치할 때 영점이 맞추어져야 되는 것인데, 상기 조정부(400) 및 조절관부(220)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위치 및 크기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영점의 조정이 쉽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정부(400)를 상기 조절관부(220)에 끼워 가장 앞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눈금판(410)을 상기 조정부(400)에 끼워 영점을 맞추어 조정함으로써 정확한 영점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이때 상기 니들(100)의 전단은 상기 니들관통공(310)의 전단과 일치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210)에는, 상기 니들(100) 각각이 관통하는 제1관통구(211)와, 상기 제1관통구(211) 후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연통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구(211)는 그 직경이 상기 니들(100)에 꼭 맞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부 영역에서 상기 니들(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제1연통홈(210) 각각은 상기 제1관통구(211)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제1연통홈(212)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후자의 경우, 상기 제1관통구(211)의 앞쪽에서는 대체로 상기 니들(100)의 직경에 꼭맞게 형성되고 뒤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상기 제1관통구(211)의 앞쪽과 뒤쪽에서는 대체로 상기 니들(100)의 직경에 꼭맞게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서는 상기 니들(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관부(220)에는, 주사기 노즐(N)과 연통되는 제2관통구(221)와, 상기 제2관통구(221) 전단에 형성되는 제2연통홈(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통홈(222)은 상기 제1연통홈(212) 전부와 연통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앙허브(20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10)와 조절관부(220)가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 후 결합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여 상기 니들(100)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주사기 노즐(N)로부터 전달된 주사액의 각 니들(100)로 분배되는 형태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1)는, 주사기 노즐(N)과 같은 하나의 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주사액을 균일하게 분배한 뒤 각 니들(100)로 이동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구조적인 특성상 상기 중앙허브(200)의 내부는 다소 복잡(제1관통구(211)와 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의하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결합부(210) 내부에 상기 제1관통구(211)와 제1연통홈(2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관통구(211)가 상기 니들(100)의 직경보다 큰 경우, 상기 제1연통홈(212)을 통하여 상기 제1관통구(211) 내부로 접착제 등을 주입하여 채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니들(100) 각각은 상기 결합부(2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관통구(211)가 상기 니들(100)에 꼭 맞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연통홈(212)은 상기 제1관통구(211)보다 직경이 크므로, 상기 제1연통홈(212)에 접착제 등을 채움으로써 상기 니들(100)을 상기 결합부(21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니들(100)의 후단은 제2연통홈(222)에 삽입되어 연통되게 된다.
상기 조절관부(220) 전단에는 제2연통홈(222)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2연통홈(222)은 상기 제1연통홈(212) 전부, 궁극적으로 상기 니들(100)의 전부와 연통되게 되므로, 상기 조절관부(220)를 상기 결합부(210) 후단에 결합시키는 경우, 주사기 노즐(N)로부터 토출되는 주사액 등은 상기 니들(100) 각각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어 이동하게 된다.
도 6 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멀티니들 조립체(1)를 도시한 단면도 및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1)의 작동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멀티니들 조립체(1)에서 상기 니들(100)이 노출되어야 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조정부(400)를 회전하여 노출 길이를 조정한다.
상기 니들(100)이 상기 석션캡(300) 전단에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석션캡(300)을 기준으로 상기 조정부(4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중앙허브(200)는 상기 조정부(400) 앞쪽으로 이동하며, 역시 상기 석션캡(300)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니들(100)이 상기 니들관통공(310) 앞으로 돌출되게 된다. 상기 니들(100)의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조정부(400)의 눈금판(410) 및/또는 상기 조절관부(220)의 눈금부(223)에 표시된 숫자 등에 의하여 바로 확인이 가능하며, 별도의 도구 없이 시술자가 원하는 길이와 같은 정도의 노출길이 조정 및 확인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1)의 후단, 즉 상기 조절관부(220)의 후단에 주사기 노즐(N)을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 흡입기연결공(340)에 흡입기를 연결한다. 이후, 피시술자의 피부(S)에 상기 석션캡(300)의 전단을 밀착시키고 시술을 준비한다.
피부에 상기 니들(100)이 삽입된 후, 흡입기가 작동하면 상기 석션캡(300)의 전단 테두리벽이 형성하는 앞쪽 공간 내부의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이에 의하여 피시술자의 피부(S)는 상기 밀착공(320) 방향으로 밀착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니들관통공(310)의 단부에 더욱 밀착하게 된다.
도 7과 같이 상기 니들(100)이 피부(S)에 완전히 삽입되면 주사기 노즐(N)을 통하여 주사액 등을 주입하며 시술을 마무리한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니들 조립체(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중앙허브(200), 특히 상기 결합부(210)는 단면의 대체적인 형상이 4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석션캡(300) 또한 단면의 대체적인 형상이 4각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석션캡(300)은 상기 중앙허브(200)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므로, 단면의 형상이 4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후방향이외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조정부(40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 안정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결합부(210) 및 석션캡(300)은 단면의 형상이 4각 이외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1 : 멀티니들 조립체 100 : 니들
200 : 중앙허브 210 : 결합부
211 : 제1관통구 212 : 제1연통홈
214 : 가이드홈 215 : 끼움홈
220 : 조절관부 221 : 제2관통구
222 : 제2연통홈 223 : 눈금부
225 : 끼움돌기
300 : 석션캡 310 : 니들관통공
320 : 밀착공 330 : 흡입공간
340 : 흡입기연결공 360 : 가이드돌기
400 : 조정부 410 : 눈금판
S : 피부 N : 주사기 노즐

Claims (13)

  1. 다수개로 구비되는 니들;
    상기 니들의 앞쪽 부분은 노출시키고, 상기 니들이 고정되게 뒤쪽 부분을 감싸는 중앙허브;
    상기 니들 및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상기 중앙허브에 밀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앞쪽에 상기 니들이 관통하는 니들관통공이 형성되는 석션캡; 및
    상기 석션캡 뒤쪽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의 일측 면에는 회전방향으로 연속된 숫자 또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2. 다수개로 구비되는 니들;
    상기 니들의 앞쪽 부분은 노출시키고, 상기 니들이 고정되게 뒤쪽 부분을 감싸는 중앙허브;
    상기 니들 및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상기 중앙허브에 밀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앞쪽에 상기 니들이 관통하는 니들관통공이 형성되는 석션캡; 및
    상기 석션캡 뒤쪽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앙허브 일측을 감싸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허브 후방을 형성하며 상기 조정부가 결합되는 조절관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절관부의 일측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숫자 또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캡에는, 앞쪽에 상기 니들관통공에서 이격된 밀착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밀착공과 연통되는 흡입기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캡이 상기 중앙허브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범위 내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할 때, 상기 니들은 상기 석션캡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허브의 외측과 석션캡의 내측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홈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가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돌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허브 후방을 형성하며 상기 조정부가 결합되는 조절관부가 마련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절관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숫자 또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8. 제 2 항 또는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부가 삭제되어 면을 구비하는 눈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관부에 형성되는 숫자 또는 눈금은 상기 눈금부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석션캡 후단에 밀착하고, 상기 석션캡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허브는, 상기 니들이 고정되어 결합하는 결합부와, 후단에 주사기 노즐이 결합되고 테두리에 상기 조정부가 결합되는 조절관부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니들 각각이 관통하는 제1관통구와, 상기 제1관통구 후단에서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각각 형성되는 제1연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관부에는, 상기 주사기 노즐과 연통되는 제2관통구와, 상기 제2관통구 전단에 형성되는 제2연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통홈은 상기 니들 전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후단과 조절관부의 전단 중 어느 하나에는 2 이상의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꼭 맞게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니들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구 내부로 접착제가 채워지면서 상기 니들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허브 및 석션캡은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니들 조립체.
KR1020120058212A 2012-05-31 2012-05-31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KR101398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212A KR101398516B1 (ko) 2012-05-31 2012-05-31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CN201380028792.7A CN104334211B (zh) 2012-05-31 2013-05-23 具有可容易调节的针露出长度的多针组件
PCT/KR2013/004542 WO2013180422A1 (ko) 2012-05-31 2013-05-23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US14/401,626 US9468748B2 (en) 2012-05-31 2013-05-23 Multi-needle assembly with readily adjustabl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212A KR101398516B1 (ko) 2012-05-31 2012-05-31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595A true KR20130134595A (ko) 2013-12-10
KR101398516B1 KR101398516B1 (ko) 2014-05-27

Family

ID=4967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212A KR101398516B1 (ko) 2012-05-31 2012-05-31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68748B2 (ko)
KR (1) KR101398516B1 (ko)
CN (1) CN104334211B (ko)
WO (1) WO201318042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256A1 (ko) * 2015-05-21 2016-11-24 주식회사 세이퍼위드 주사기 조립체
WO2017204430A1 (ko) * 2016-05-26 2017-11-30 (주)에스비메드 약물 주입 장치 및 가스주입장치
KR20200038135A (ko) * 2018-10-02 2020-04-10 김정권 피부 시술용 멀티 니들 모듈
KR102331962B1 (ko) * 2021-07-26 2021-12-02 주식회사 노투스 균일한 주사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멀티 니들 어셈블리
CN114082044A (zh) * 2020-12-21 2022-02-25 艾诺克医美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高精度控制出针长度的多针注射针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0518A1 (en) 2013-05-23 2014-11-27 Allergan, Inc. Syringe extrusion accessory
KR101526474B1 (ko) * 2014-02-07 2015-06-16 주식회사 파나시 주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사방법
US10029048B2 (en) 2014-05-13 2018-07-24 Allergan, Inc. High force injection devices
US10226585B2 (en) 2014-10-01 2019-03-12 Allergan, Inc. Devices for injection and dosing
JP2018507771A (ja) 2015-03-10 2018-03-22 アラーガ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イルランド) アンリミテッド カンパニー 多針注入器
WO2016147136A1 (en) * 2015-03-18 2016-09-22 Aps S.R.L. Operating head for an automatic device for skin microdermabrasion
KR101714756B1 (ko) * 2015-09-15 2017-03-09 주식회사 파나시 니들카트리지가 구비된 고주파 핸드피스
CN105396205A (zh) * 2015-12-10 2016-03-16 厦门波耐模型设计有限责任公司 多针注射针头
CN105582613A (zh) * 2015-12-10 2016-05-18 厦门波耐模型设计有限责任公司 多孔多针注射针头
RU2725968C2 (ru) 2016-04-08 2020-07-07 Аллерган, Инк. Аспирационно-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9629991B1 (en) 2016-06-08 2017-04-25 Eclipse Aesthetics, LLC Disposable radio frequency needle cartridges having absorbing containment barriers
US9636491B1 (en) 2016-06-08 2017-05-02 Eclipse Aesthetics, LLC Disposable needle cartridges having absorbing contaminant barriers
US10220195B2 (en) 2016-06-08 2019-03-05 Eclipse Medcorp, Llc Radio frequency needling device for use with disposable needle cartridges
USD836774S1 (en) * 2016-12-16 2018-12-25 Sorrento Therapeutics, Inc. Cartridge for a fluid delivery apparatus
USD867582S1 (en) 2017-03-24 2019-11-19 Allergan, Inc. Syringe device
KR101993706B1 (ko) * 2017-06-13 2019-06-28 기 수 한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CN107376096B (zh) * 2017-09-04 2023-05-19 合肥美亚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管线输送装置
US20190133634A1 (en) * 2017-11-06 2019-05-09 Emvera Technologies, LLC Micro-Needling System
KR20190119930A (ko) * 2018-04-13 2019-10-23 봄텍전자 주식회사 경사방향 피부시술에 적합한 멀티니들모듈
US10893885B2 (en) 2018-12-27 2021-01-19 Panace Co., Ltd. Multi-needle assembly for suction injector
CN109498909A (zh) * 2018-12-30 2019-03-22 张炳泰 一次性医学美容深度可调注射器
CN112075958B (zh) * 2019-06-13 2024-05-07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种穿刺取样装置
CN111569243A (zh) * 2020-04-13 2020-08-25 昆山安卓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九孔水光针
CN111569190A (zh) * 2020-04-13 2020-08-25 昆山安卓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五孔水光针
CN117180557A (zh) * 2021-03-19 2023-12-08 罗春梅 深度补水抗衰老的精准智能针式水光仪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677U (ko) * 2008-02-25 2009-08-28 최재영 주사기 바늘의 노출길이 조절기구
MX2010013973A (es) 2008-07-09 2011-02-24 Sanofi Aventis Deutschland Dispositivo de entrega de medicacion y un metodo de ensamblar un dispositivo de entrega de medicacion.
KR20100015018A (ko) * 2008-08-04 2010-02-12 최종수 주사기용 석션어댑터
KR20120044612A (ko) * 2010-10-28 2012-05-08 (주)엠툴즈 피부 시술용 모듈
US8795230B2 (en) 2010-11-30 2014-08-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djustable height needle infusion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256A1 (ko) * 2015-05-21 2016-11-24 주식회사 세이퍼위드 주사기 조립체
WO2017204430A1 (ko) * 2016-05-26 2017-11-30 (주)에스비메드 약물 주입 장치 및 가스주입장치
KR20200038135A (ko) * 2018-10-02 2020-04-10 김정권 피부 시술용 멀티 니들 모듈
CN114082044A (zh) * 2020-12-21 2022-02-25 艾诺克医美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高精度控制出针长度的多针注射针头
CN114082044B (zh) * 2020-12-21 2024-04-12 艾诺克医美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高精度控制出针长度的多针注射针头
KR102331962B1 (ko) * 2021-07-26 2021-12-02 주식회사 노투스 균일한 주사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멀티 니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34211A (zh) 2015-02-04
CN104334211B (zh) 2016-08-17
US20150133862A1 (en) 2015-05-14
KR101398516B1 (ko) 2014-05-27
WO2013180422A1 (ko) 2013-12-05
US9468748B2 (en)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4595A (ko)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KR10138374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멀티니들 조립체
KR20140137688A (ko)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KR101508067B1 (ko) 피부시술용 멀티니들모듈
EP2633882A1 (en) Module for use in skin surgery
CN107106121B (zh) 注射针头穿刺用导向装置
KR101539664B1 (ko) 피부 시술용 약물 주입장치
KR101596716B1 (ko) 시술장치
US10751472B2 (en) Drug injecting implement equipped with sliding attachment unit
KR20170019368A (ko) 핸드헬드 약물 분배 시스템과 장치 및 방법
US20170290985A1 (en) Revolving multi-cartridge hypodermic syringe and method of use
KR101391165B1 (ko) 피부 시술용 모듈
KR101541159B1 (ko) 피부 시술용 모듈
US9687606B2 (en) Articulating applicators/injectors for administration of liquid anesthetic and other liquids
CN107361830B (zh) 一种超声引导下的臂丛神经阻滞针套件及其使用方法
KR101639415B1 (ko) 피부 시술장치용 니들 조립체
KR101502555B1 (ko) 피부시술용 니들모듈
CN210354856U (zh) 一种硬膜外麻醉辅助进针器
JP2001299909A (ja) 内視鏡用注射針
US20150328444A1 (en) Capillary injection needle
US20230211138A1 (en) System for use in the application and removal of tattoos and other skin treatments
KR20160044635A (ko) 범용적 약품용기 결합이 가능한 약물주입 시술기기
CN218739248U (zh) 一种用于小鼠颅内超微注射的给药装置
KR20230131673A (ko) 피부시술용 약물주입장치
KR20230102415A (ko) 약액 추출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