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706B1 -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706B1
KR101993706B1 KR1020170074266A KR20170074266A KR101993706B1 KR 101993706 B1 KR101993706 B1 KR 101993706B1 KR 1020170074266 A KR1020170074266 A KR 1020170074266A KR 20170074266 A KR20170074266 A KR 20170074266A KR 101993706 B1 KR101993706 B1 KR 10199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ousing
hollow
flui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712A (ko
Inventor
기 수 한
한나래
Original Assignee
기 수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수 한 filed Critical 기 수 한
Priority to KR102017007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706B1/ko
Priority to CN201810060318.7A priority patent/CN109078259B/zh
Publication of KR2018013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4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는,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구에 연계되며, 피부에 복수 개의 침부를 가진 침부재와 개폐부재를 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침부재 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켜,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구를 통과한 상기 유체를 상기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에 주입시키는 주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STAMP TYPE APPARATUS FOR INJECTING FLUID}
본 발명은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로서, 피부의 케어나 치료 등에 사용되는 화장품을 포함하는 유체, 또는 모발치료 등에 사용되는 치료액 등의 유체를 주입하는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람의 피부는 표피(외피)층, 진피(내피)층, 피하조직층으로 나뉘는데, 건강하고 젊은 피부는 진피층의 약 80%가 콜라겐, 엘라스틴 등으로 채워져 있다.
그러나, 진피층은 시간이 지날수록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어(수축) 이로 인해 진피층이 얇아져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주름이 발생하여 피부의 탄력이 줄어든다.
따라서,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의 생성이나 도움을 주는 각종 영양물질, 예를 들면 비타민C나 펩타이드 등의 물질(기능성 유체)을 피부에 도포하여 방지해 왔다.
그런데, 피부에 도포된 영양물질들이 표피층을 통과하여 진피층으로 침투되는 양은 전체함량의 0.3% 내외로 상당히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각종 영양물질을 단순히 피부의 표피층에 도포해서는 그 효과를 발휘하는데 상당히 미약하므로, 이러한 영양물질을 피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진피층까지 손실 없이 효과적으로 침투시키는 기구의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81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피부에 대한 유체의 주입율을 높이는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는,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구에 연계되며, 피부에 복수 개의 침부를 가진 침부재와 개폐부재를 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침부재 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켜,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구를 통과한 상기 유체를 상기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에 주입시키는 주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유닛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복수 개가 연장형성된 상기 침부를 가진 상기 침부재; 및 상기 침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유체의 유로가 피부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압박으로 개방되고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침부재는, 상기 바디부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침부가 상기 바디부와 일체형으로서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톱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조립체는,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의 유로로서 상기 토출부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연결하우징; 상기 연결하우징에서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침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중공과 중심축과 일치하는 바홀이 형성된 침하우징;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과 상기 침하우징의 바홀에 관통배치되며, 피부에 대한 누름압박으로 이동되어 상기 중공을 개방시키는 상기 개폐부재; 및 피부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누름압박이 해제 시 탄성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복귀시켜 상기 중공을 차단하도록, 상기 연결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된 유체가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 내측으로 수집되도록,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은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으로 테이퍼지며,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 단부에 내부 측면을 따라 이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침하우징은, 상기 연결하우징에 삽입결합되면서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며, 상기 걸림턱에 양측단부가 안착되어 세워진 상기 침부재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침부재의 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침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침하우징의 침관통홀은, 상기 침부재의 바디부가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가 통과되도록, 횡단면적이 상기 침부재의 바디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으로 갈수록 내면이 상기 침부재의 바디부와의 이격간격을 줄여서 상기 바디부에 근접되도록 테이퍼지며,
상기 침하우징은 상기 침관통홀의 하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침부재는 상기 침하우징의 침관통홀에 삽입되면서도 상기 침관통홀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은 하면이 상기 걸림홈의 내부 하면에 지지되고, 상면이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어 상기 침부재가 상기 연결하우징에 조립고정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에 관통배치되며,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측 단부에 측방향 확장된 확장부가 형성된 개폐바; 및 상기 개폐바에서 상기 중공의 외부 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침하우징의 바홀에 관통배치되며, 상기 개폐바와 연결되는 일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측돌출부가 형성되고, 피부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누름압박이 가능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바홀의 외부에 배치되는 누름바;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바는, 외주면이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 내면과 이격되거나, 외주면에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바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는, 피부에 침부재와 개폐부재를 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토출부로부터 침부재 측으로 이어지는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켜, 수용부재의 토출부를 통과한 유체를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에 주입시키도록 주입유닛이 구성됨으로써, 침부재로 피부에 미세구멍을 빠른 시간 내에 많이 천공시키면서 동시에 미세구멍을 통해 많은 양의 유체를 피부에 주입시킴에 따라, 피부에 대한 유체의 주입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를 조립한 것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에서 침부재가 피부에 롤링압박되면서 유체가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에서 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에서 개폐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침부재가 조립된 침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침부재가 조립된 침하우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를 조립한 것을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에서 침부재가 피부에 롤링압박되면서 유체가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울러, 도 6은 도 2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에서 개폐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에서 침홀더의 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1000)는 수용부재(100)와 주입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부재(100)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나오는 통로로서 하부에 토출부(100a)가 형성되는데, 외형을 포함한 구체적인 형상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유체를 수용할 수 있고 토출부가 있는 구조라면 종래의 어떠한 구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상기 유체는 피부(1)의 케어나 치료 등에 사용되는 화장품, 또는 모발치료 등에 사용되는 치료액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유닛(200)은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에 연계되며, 피부(1)에 침부재(210)와 개폐부재(240)를 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토출구로부터 침부재(210) 측으로 이어지는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따라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과한 유체를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1)에 주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유닛(200)은 침부재(210)와 하우징조립체(H)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침부재(210)는 바디부(211)와 침부(212)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침부(212)는 바디부(211)로부터 복수 개가 연장형성된 구조를 지닌다.
일례로서, 상기 침부재(210)는 톱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침부재(210)는 톱 형상으로서, 상기 바디부(211)가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침부(212)가 상기 바디부(211)와 일체형으로서 상기 바디부(211)의 끝단에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침부재(210)는 톱 형상을 취하는데 반하여, 기존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1000)에서 사용되는 니들은 침봉 형상을 취하는데, 이러한 형상차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침부재(210)와 종래기술에 따른 니들은 소재, 제조방법 및 조립방법이 차이가 남에 따라, 종국적으로 생산성 측면에 있어서 기존 발명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침부재(210)가 현저히 높은 효율을 가진다.
먼저, 소재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침부재(210)는 금속판을 소재로 하는데 반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니들은 금속와이어를 소재로 한다.
이에 따라 제조방법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침부재(210)는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화학적 에칭을 통해 빠르면서도 간편하게 제조되는데 반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니들은 가느다란 금속와이어를 하나하나 일일이 가공해야 함에 따라 제조공정이 굉장히 복잡하면서도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아울러, 침부(212)의 개수를 기준으로 하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침부재(210)로도 20개의 침부(212)를 가질 수 있지만, 종래기술은 20개의 침부(212)를 가지기 위해서는 20개의 니들을 만들어야 함에 따라 제품의 생산시간 및 작업부하가 현저하게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조립방법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침부재(210)는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잡아서 용이하게 하우징조립체(H)에 넣어서 조립할 수 있는 반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니들은 직경이 아주 작은 봉(와이어) 형상을 취함으로써, 작업자가 핀셋으로 일일이 잡아서 하우징에 넣어야 함에 따라, 본 발명은 노동의 난이도 및 시간 측면에 있어서 노동부하가 상당히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종국적으로, 생산성 측면에 있어서, 상술된 비교사항들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1000)는 생산성이 월등히 높음에 따라 최종 제품가격이 상당히 낮게 책정할 수 있는데 이점이 있는데 반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1000)는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현격히 떨어짐에 따라 본 발명보다 최종 제품가격이 몇 배수의 높은 가격으로 책정해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조립체(H)는 침부재(210)가 장착되며, 유체의 유로가 피부(1)에 대한 개폐부재(240)의 압박으로 개방되고 탄성부재(2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조립체(H)는 연결하우징(220), 침하우징(230), 개폐부재(240), 및 탄성부재(2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하우징(220)은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의 유로로서 토출부(100a)와 연통되는 중공(220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00)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유체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으로 유입되어 중공(220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하우징(220)은 후술되는 개폐부재와 침하우징이 인입배치된 연결홈(220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하우징(230)은 연결하우징(220)에서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반대 측 단부에 설치되며, 침부재(210)가 장착되고 중공(220a)과 중심축과 일치하는 하우징홀(230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240)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과 침하우징(230)의 하우징홀(230a)에 관통배치되며, 피부(1)에 대한 누름압박으로 이동되어 중공(220a)을 개방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40)가 피부(1)에 압박되는 경우에는 개폐부재(240)가 수용부재(100) 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막지 않게 된다. 참고로, 이때의 탄성부재(250)는 개폐부재(240)에 의해 상측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50)는 연결하우징(220)에 지지되어 개폐부재(240)를 탄성지지하는데, 피부(1)에 대한 개폐부재(240)의 누름압박이 해제 시 탄성복원력으로 개폐부재(240)를 하측으로 밀어서 개폐부재(240)의 위치를 복귀시켜 중공(220a)을 차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40)의 피부(1)에 대한 압박이 해제된 경우에는 탄성부재(250)가 탄성복원력으로 개폐부재(240)를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강)시킴으로써, 개폐부재(240)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막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재(240)는 개폐바(241)와 누름바(24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바(241)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에 관통배치된다.
이러한 개폐바(241)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차단하도록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 단부에 측방향 확장된 확장부(24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장바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에서 막는 경우에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이 차단되어 유체가 침부재(210) 측으로 흐르지 않게 되고, 확장바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으로부터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으로 이격된 경우에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이 차단되지 않음으로써, 유체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통해 침부재(210) 측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바(241)는 외주면에 중공(220a)과 연통되는 바홈(241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100)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유체는 침부재(210)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통과해야 하는데, 개폐바(241)가 연결하우징(220) 중공(220a)의 내면과 거의 접촉된 상태인 경우에는 틈이 거의 없기 때문에,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통한 유체의 이동량이 거의 미미한 한계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개폐바(241)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과 연통되도록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바홈(241b)이 형성됨에 따라,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 내측으로 유입된 유체가 개폐바(241)의 바홈(241b)을 통해 충분한 양이 침부재(210) 측으로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흘러서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일례로서, 상기 개폐바(241)는 외주면이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 내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연결하우징(220) 중공(220a)의 내면과 개폐바(241) 사이의 이격간격을 통해 침부재(210) 측으로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흘러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바(242)는 개폐바(241)에서 중공(220a)의 외부 측 단부에 연결되어 침하우징(230)의 하우징홀(230a)에 관통배치된다.
이러한 누름바(242)는 개폐바(241)와 연결된 일단부에 탄성부재(25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측돌출부(242a)가 형성되고, 피부(1)에 대한 개폐부재(240)의 누름압박이 가능하도록 타단부가 하우징홀(230a)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누름바(242)는 타단부는 피부(1)에 접촉되어 누름압박되는 부위로서 피부(1)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끝단이 굴곡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은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반대 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하우징(220)은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홈(220b)이 형성되는데,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해 토출된 유체가 제일 먼저 조립홈(220b) 내에 머무르게 된다.
이때, 만약 상기 중공(220a)에서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 부분이 테이퍼지지 않고 단순히 직각구조인 테두리구조를 취한다면, 유체가 연결하우징(2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220a) 측으로 유입이 어렵게 되지만,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 부분이 깔때기 형상으로서 테이퍼진 구조를 취한다면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해 토출된 유체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 내측으로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하우징(220)은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반대 측 단부에 내부 측면을 따라 이어지는 걸림턱(221)이 형성되며, 상기 침하우징(230)은 연결하우징(220)에 삽입결합되면서 걸림턱(221)에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침부재(210)도 연결하우징(220)의 걸림턱(221)에 양측단부가 지지된 구조로서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상기 침하우징(230)은 이러한 침부재(210)가 내부로 삽입되고 침부재(210)의 침부(21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침관통홀(230b)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침하우징(230)의 침관통홀(230b)은 침부재(210)가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체가 통과되도록 횡단면적이 침부재(210)보다 크게 형성되며,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반대 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관통홀(230b) 내부에서 침부재(210)의 주변 틈새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루트를 확보함에 따라 피부(1) 측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아울러 침부재(210)에서 하부 측으로 갈수록 침부재(210)의 주변 틈새가 좁아짐으로써 피부(1)시술 중에도 침부재(210)를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지지함에 따라 안정적인 시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테이퍼진 침관통홀(230b)은 침하우징(230)의 상면으로 이동된 유체가 침관통홀(230b) 측으로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그리고, 상기 침하우징(230)은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관통홀(230b)의 하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홈(230c)이 형성되며, 상기 침부재(210)는 침하우징(230)의 침관통홀(230b)에 삽입되면서도 침관통홀(230b)의 걸림홈(230c)에 걸리도록, 바디부(211)의 상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하우징(230)과 침부재(210)에 걸림홈(230c)과 돌출턱(211a)이 형성됨으로써, 침하우징(230)의 침관통홀(230b)에 침부재(210)가 삽입 시 침부재(210)의 돌출턱(211a)이 침하우징(230)의 걸림홈(230c)에 걸림에 따라, 침하우징(230)의 침관통홀(230b)에 삽입되는 침부재(210)가 침관통홀(230b)을 통과하여 빠지지 않고 견고한 조립고정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는 침부재(210)가 하우징조립체(H) 내부에서 간편하면서도 아주 용이하게 걸림고정구조로 장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술된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1000)가 피부(1)를 압박하여 시술하는 상태에서 유체의 이동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피시술자의 피부(1) 상에 개폐부재(240)를 압박하게 되면, 개폐부재(240)는 피부(1) 상에서 높이의 변화가 없게 되지만, 시술자의 손에 파지된 수용부재(100)의 하방 압박으로 인하여 수용부재(100)와 연결하우징(220)은 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240)의 개폐바(241)에 형성된 확장부(241a)가 연결하우징(220) 중공(220a)의 상부 내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이격됨으로써,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해 토출된 유체의 유로로서 역할을 하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이 개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해 토출된 유체는 중공(220a)을 통해 하강하는데, 구체적으로 개폐바(241)의 바홈(241b)을 따라 흘러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침하우징(230)의 상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종국적으로 침하우징(230)의 관통홀을 통해 침부재(210)까지 이동하게 됨으로써, 종국적으로 침부재(210)에 의해 형성된 피부(1)의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1) 속으로 주입된다.
참고로, 시술자가 수용부재(100)를 들어올려서 피시술자의 피부(1)로부터 개폐부재(240)의 압박이 해제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50)의 상단부가 연결하우징(220)에 지지된 상태에서 개폐부재(240)를 하측으로 밀어냄으로써, 개폐바(241)가 하강함에 따라 개폐바(241)의 확장부(241a)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차단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1000)는, 피부(1)에 침부재(210)와 개폐부재(240)를 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토출부(100a)로부터 침부재(210) 측으로 이어지는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켜,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과한 유체를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1)에 주입시키도록 주입유닛(200)이 구성됨으로써, 침부재(210)로 피부(1)에 미세구멍을 빠른 시간 내에 많이 천공시키면서 동시에 미세구멍을 통해 많은 양의 유체를 피부(1)에 주입시킴에 따라, 피부(1)에 대한 유체의 주입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피부 1000 :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100 : 수용부재 100a : 토출부
200 : 주입유닛 210 : 침부재
211 : 바디부 211a : 돌출턱
212 : 침부 H : 하우징조립체
220 : 연결하우징 220a : 중공
220b : 조립홈 220c : 연결홈
221 : 걸림턱 230 : 침하우징
230a : 하우징홀 230b : 침관통홀
230c : 걸림홈 240 : 개폐부재
241 : 개폐바 241a : 확장부
241b : 바홈 242 : 누름바
242a : 측돌출부 250 : 탄성부재

Claims (10)

  1.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구에 연계되며, 피부에 복수 개의 침부를 가진 침부재와 개폐부재를 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침부재 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켜,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구를 통과한 상기 유체를 상기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에 주입시키는 주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유닛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복수 개가 연장형성된 상기 침부를 가진 상기 침부재; 및 상기 침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유체의 유로가 피부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압박으로 개방되고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침부재는, 상기 바디부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침부가 상기 바디부와 일체형으로서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톱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조립체는,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의 유로로서 상기 토출부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연결하우징; 상기 연결하우징에서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침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중공과 중심축과 일치하는 바홀이 형성된 침하우징;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과 상기 침하우징의 바홀에 관통배치되며, 피부에 대한 누름압박으로 이동되어 상기 중공을 개방시키는 상기 개폐부재; 및 피부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누름압박이 해제 시 탄성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복귀시켜 상기 중공을 차단하도록, 상기 연결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된 유체가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 내측으로 수집되도록,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은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으로 테이퍼지며,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 단부에 내부 측면을 따라 이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침하우징은, 상기 연결하우징에 삽입결합되면서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며, 상기 걸림턱에 양측단부가 안착되어 세워진 상기 침부재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침부재의 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침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침하우징의 침관통홀은, 상기 침부재의 바디부가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가 통과되도록, 횡단면적이 상기 침부재의 바디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으로 갈수록 내면이 상기 침부재의 바디부와의 이격간격을 줄여서 상기 바디부에 근접되도록 테이퍼지며,
    상기 침하우징은 상기 침관통홀의 하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침부재는 상기 침하우징의 침관통홀에 삽입되면서도 상기 침관통홀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은 하면이 상기 걸림홈의 내부 하면에 지지되고, 상면이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어 상기 침부재가 상기 연결하우징에 조립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에 관통배치되며,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측 단부에 측방향 확장된 확장부가 형성된 개폐바; 및
    상기 개폐바에서 상기 중공의 외부 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침하우징의 바홀에 관통배치되며, 상기 개폐바와 연결되는 일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측돌출부가 형성되고, 피부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누름압박이 가능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바홀의 외부에 배치되는 누름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바는, 외주면이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 내면과 이격되거나, 외주면에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바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KR1020170074266A 2017-06-13 2017-06-13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KR10199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66A KR101993706B1 (ko) 2017-06-13 2017-06-13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CN201810060318.7A CN109078259B (zh) 2017-06-13 2018-01-22 印章式流体注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66A KR101993706B1 (ko) 2017-06-13 2017-06-13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712A KR20180135712A (ko) 2018-12-21
KR101993706B1 true KR101993706B1 (ko) 2019-06-28

Family

ID=6483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266A KR101993706B1 (ko) 2017-06-13 2017-06-13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3706B1 (ko)
CN (1) CN10907825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027B1 (ko) 2022-02-07 2022-08-01 한상범 마이크로 니들이 장착된 스탬프형 유체 주입용기
EP4056223A1 (en) 2021-03-09 2022-09-14 Han, Sangbum Device for automatically operating stamp-type fluid injector having fine needles for hair loss care and treatment
KR20230171140A (ko) 2022-06-13 2023-12-20 한상범 마이크로 니들이 장착된 스탬프형 유체 주입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568B1 (ko) * 2019-09-23 2020-11-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탬프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
KR20240039467A (ko) * 2022-09-19 2024-03-26 랩앤피플주식회사 고용량의 약물 전달이 가능한 스탬프형 약물전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130B1 (ko) 2014-03-13 2015-12-16 김근식 피부자극기
KR101582822B1 (ko) * 2015-05-30 2016-01-07 주식회사 하일 피부 자극용 유체 주입 장치
KR101608179B1 (ko) 2015-11-24 2016-03-31 지승구 피부용 약물주입장치
KR101695603B1 (ko) 2016-11-08 2017-01-12 이창우 병목 하단 밀착 구조의 점탄성 연결캡을 포함하는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669A (ko) * 2008-12-05 2010-06-15 폴 곽 마이크로 니들 피부 미용기
KR100972800B1 (ko) * 2010-01-29 2010-07-29 (주)유 바이오메드 마이크로 니들 장치
KR101813735B1 (ko) * 2010-03-19 2017-12-29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프로테오글리칸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KR101398516B1 (ko) * 2012-05-31 2014-05-27 주식회사 파나시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CN104684610B (zh) * 2012-10-17 2017-10-03 凸版印刷株式会社 使用多微针构件的流体注入器操作器具
EP2918307B1 (en) * 2012-11-09 2018-05-23 Toppan Printing Co., Ltd. Needle-lik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40296786A1 (en) * 2013-03-29 2014-10-02 Animas Corporation Fluid cartridge for medical infusion device
JP2017051312A (ja) * 2015-09-08 2017-03-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KR101711350B1 (ko) * 2016-07-25 2017-03-02 김미영 피부용 수동식 인젝터기
CN106730309A (zh) * 2016-12-19 2017-05-31 山东元旭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硅微针基板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130B1 (ko) 2014-03-13 2015-12-16 김근식 피부자극기
KR101582822B1 (ko) * 2015-05-30 2016-01-07 주식회사 하일 피부 자극용 유체 주입 장치
KR101608179B1 (ko) 2015-11-24 2016-03-31 지승구 피부용 약물주입장치
KR101695603B1 (ko) 2016-11-08 2017-01-12 이창우 병목 하단 밀착 구조의 점탄성 연결캡을 포함하는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6223A1 (en) 2021-03-09 2022-09-14 Han, Sangbum Device for automatically operating stamp-type fluid injector having fine needles for hair loss care and treatment
KR20220126439A (ko) 2021-03-09 2022-09-16 한상범 탈모치료용 미세침이 구비된 스탬프 타입 유체 주입기 자동 작동장치
KR102428027B1 (ko) 2022-02-07 2022-08-01 한상범 마이크로 니들이 장착된 스탬프형 유체 주입용기
EP4223354A1 (en) 2022-02-07 2023-08-09 Han, Sangbum Stamp type fluid delivery container with microneedle
KR20230171140A (ko) 2022-06-13 2023-12-20 한상범 마이크로 니들이 장착된 스탬프형 유체 주입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8259A (zh) 2018-12-25
KR20180135712A (ko) 2018-12-21
CN109078259B (zh)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706B1 (ko) 스탬프형 유체주입장치
KR101710887B1 (ko) 화장품 흡수를 위한 피부 자극기
DE60215516D1 (de) Mikronadel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9801432B2 (en) Buckle
KR102086484B1 (ko) 두피 자극봉이 장착된 헤어토닉 용기
EP3287037B1 (en) Needle array-equipped cosmetics container
KR20100112427A (ko) 유체전달을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로 니들 유닛
KR101832750B1 (ko) 약물 주입식 마이크로 니들장치
US10251674B2 (en) Manual follicle-transplanting hair transplanter for increasing graft survival rate
KR101994345B1 (ko)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KR102185763B1 (ko) 미세바늘이 장착된 피부 자극기용 헤드 제조방법
DE60107880D1 (de) Kopf mit mehreren zurückziehbaren nadeln, die zur injektion von fleischstücken bestimmt sind, und injektionsnadel dafür
JP3207092U (ja) 頭皮洗浄ブラシ
JP3218898U (ja) スタンプ型流体注入装置
JP2007037707A (ja) 皮膚用針
JP6147230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と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製造方法
KR101149761B1 (ko) 마이크로 니들 장치
US20230014809A1 (en) Cosmetic injector on which microneedles for inducing absorption of cosmetics are mount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12306490U (zh) 宠物自洁梳
JP3218942U (ja) ローラー型流体注入装置
DE102008052702A1 (de) Nadelanordnung, Spritzgussfor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US6074406A (en) Enclosed clutch for a piercing earring and an integrated disposable cartridge containing the same
KR200481371Y1 (ko) 코끝 성형 삽입물
RU2797118C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инжектор с установленными на нем микроиглами для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впитыва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помянутого инжектора
KR20110083030A (ko) 의료용 침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