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191A -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191A
KR20130134191A KR1020120057522A KR20120057522A KR20130134191A KR 20130134191 A KR20130134191 A KR 20130134191A KR 1020120057522 A KR1020120057522 A KR 1020120057522A KR 20120057522 A KR20120057522 A KR 20120057522A KR 20130134191 A KR20130134191 A KR 20130134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oltage
current
amoun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797B1 (ko
Inventor
차현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797B1/ko
Priority to US13/889,745 priority patent/US9378706B2/en
Publication of KR2013013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균일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할 이미지의 휘도 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과정과, 조절된 전류의 양을 자 발광 소자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회색계열을 표현하는 어두운 영역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여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DISPLAY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균일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와 같은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전자 장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물에 의한 자체 발광으로 인해 높은 명암비와 깊이 있는 색상 표현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시감적인 측면에서 강하게 어필하고 있다. 그러나,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3원색을 구성하는 R/G/B 각각의 활성 메트릭(active metrics)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이 저 휘도 영역에서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으로 인해, 회색계열을 표현하는 어두운 영역에서 얼룩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화면 디스플레이 시, 어두운 영역에서의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균일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의 휘도 값에 따라 소모 전류 량을 제어하여, 어두운 이미지에서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의 휘도 값에 따라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공급될 전류량을 조절하여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공급될 전류량을 제어할 시, 전류 공급 시간을 제어하여 소모되는 에너지 총량을 보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전압을 임계 전압과 비교하여 얼룩 제거 모드 혹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시, 동적으로 변경되는 이미지 휘도 값에 따라 얼룩 제거 모드와 일반 모드 간의 모드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할 이미지의 휘도 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과정과, 조절된 전류의 양을 자 발광 소자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다수의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할 이미지의 휘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조절된 전류의 양을 상기 자 발광 소자들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의 휘도 값에 따라 얼룩 제거 모드 혹은 일반 모드로 동작하여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공급될 전류량 및 전류 공급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저 휘도 영역 즉, 회색계열을 표현하는 어두운 영역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여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GrayScale이 다양하게 표현되는 이미지에서 밝기 단계가 선형적이지 않고 역전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재생 시,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변경되는 이미지 휘도 값에 따라 얼룩 제거 모드와 일반 모드 간의 모드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프로세서 유닛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비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의 휘도 값과 임계 구간을 비교하여 모드 전환을 판단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모드별 전류 공급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휘도 값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휘도 값을 나타내는 전압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휘도 값을 나타내는 전압에 따라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의 휘도 값에 따라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공급될 전류량을 제어하여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유닛(100), 메모리(110), 터치스크린(120), 오디오 처리부(130), 스피커(131) 및 마이크(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 유닛(1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00)은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한다, 프로세서 유닛(100)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 유닛(100)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얼룩 제어 프로그램(113)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의 표시부(124)에 어두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자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이 저 휘도 영역에서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으로 인해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자세히 말해, 프로세서 유닛(100)은 터치스크린(120)에 포함된 표시 제어부(122)로부터 이미지의 휘도 값, 즉, 이미지의 밝기와 Grayscale을 나타내는 Y 값을 수신한 후, 수신된 Y 값을 임계 값과 비교하여 자발광 소자에 대한 전류 공급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여기서,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Y값은 패널의 전체 픽셀에 대한 켜짐 비율 OPR(ON PIXEL RATIO)과 R/G/B 서브 픽셀(sub pixel)의 구성비를 특정 계수(coefficient)와 곱하여 산출되는 값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밝기와 Grayscale 정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발광 소자에 대한 전류 공급 모드는 일반 모드와 얼룩 제거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 모드는 종래에 알려진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모드로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 자발광 소자로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반면, 얼룩 제거 모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모드로서, 전류 공급 시간을 미리 결정된 양 혹은 미리 결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의 양을 미리 결정된 양 혹은 미리 결정된 비율만큼 증가시킨 후, 감소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 증가된 전류 량을 자발광 소자로 제공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모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얼룩 제거 모드는 공급될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면서 전류의 공급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소모되는 전류의 양과 동일한 양의 전류를 소모하면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의 패널 전체에 셋팅되어 있는 R/G/B 서브 픽셀의 개별 발광 효율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휘도 균일도(uniform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00)은 Y값이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해당 이미지가 어두운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하고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발광 소자에 대한 전류 공급 모드를 얼룩 제거 모드로 결정한다. 반면, 프로세서 유닛(100)은 Y값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해당 이미지가 밝은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하고 자발광 소자에 대한 전류 공급 모드를 일반 모드로 결정한다. 프로세서 유닛(100)은 자발광 소자에 대한 전류 공급 모드가 결정될 시, 결정된 모드로의 동작을 요청하는 신호를 표시 제어부(122)로 제공한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10)는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 NAND, N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은 표시 제어 프로그램(112), 터치 처리 프로그램(114)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제어 프로그램(112)은 터치스크린(120)에 포함된 표시 제어부(122)를 제어하여 표시부(124)에 다양한 그래픽(graphics)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각종 명령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그래픽은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표시 제어 프로그램(112)은 프로세서 유닛(100)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 프로그램(112)은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Y값에 따라, 자발광 소자에 대한 전류 공급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얼룩 제거 프로그램(113)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 처리 프로그램(114)은 터치스크린(120)을 구성하는 터치 입력부(126)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즉, 터치 처리 프로그램(114)은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혹은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감지한다.
또한, 메모리(110)는 데이터 저장 DB(115)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 DB(115)는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DB로서, 터치 스크린(120) 상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 DB(115)는 Y값에 대한 임계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임계값은 설계자 및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Y 값은 171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계자 및 사용자에 의해 다른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0)은 전자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 및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 스크린(120)은 표시 제어부(122), 표시부(124) 및 터치 입력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프로세서 유닛(100)으로 전달하고, 프로세서 유닛(100)으로부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매개체이다.
표시 제어부(122)는 표시부(124)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구동 IC(Display Driver IC)일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2)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112)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2)는 표시부(124)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화소들 각각에 대한 R/G/B부화소의 자발광 소자 및 이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들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22)는 각각의 자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각각의 자발광 소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부(122)는 프로세서 유닛(100)의 제어 하에, 이미지의 휘도 값에 의해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표시부(124)를 구성하는 각각의 자발광 소자로 공급될 전류 량 및 각각의 자발광 소자에 대한 전류 공급 시간을 제어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부(122)는 프로세서 유닛(10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Y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Y값을 프로세서 유닛(100)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Y값은 이미지의 상대적인 휘도 값으로서, 해당 이미지의 가장 밝은 부분을 255로 설정하고 해당 이미지의 가장 어두운 부분을 0으로 설정하여 획득한 이미지 전체에 대한 평균 휘도 값일 수 있다. 이후, 표시 제어부(122)는 프로세서 유닛(100)으로부터 일반 모드 혹은 얼룩 제거 모드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 표시 제어부(122)는 프로세서 유닛(100)으로부터 일반 모드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될 시, 종래에 알려진 바와 같이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각각의 부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를 각각의 자발광 소자에 공급한다.
반면, 표시 제어부(122)는 프로세서 유닛(100)으로부터 얼룩 제거 모드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각각의 부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하고,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의 양보다 기 설정된 양 혹은 기 설정된 비율만큼 증가된 전류를 각각의 자발광 소자에 공급한다. 이때, 표시 제어부(122)는 에너지 총량을 보존하기 위해서 각각의 자발광 소자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기 설정된 시간 혹은 기 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킨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표시 제어부(122)가 특정 이미지를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T1시간 동안 A1만큼의 전류를 공급하는 상황을 가정하면, 얼룩 제거 모드로 동작하는 표시 제어부(122)는 특정 이미지를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T1보다 작은 T2시간 동안 A1보다 큰 A2만큼의 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해당 이미지에 대해 일반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체 전류 량 P1(300)과 얼룩 제거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체 전류 량 P2(310)는 동일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설명하면, 60Hz의 프레임율(frame rate)에서, 표시 제어부(122)가 표시부(124)를 구성하는 자발광 소자를 60번 점멸하여 해당 밝기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1회 점멸을 위해 각각의 자발광 소자로 16.7ms 동안 100cd(candela)의 밝기를 나타내는 전류 량 A를 공급하는 상황임을 가정한다. 이때, 표시 제어부(122)는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1회 점멸을 위해 각각의 자발광 소자로 16.7ms동안 전류량 A를 공급하는 반면, 얼룩 제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1회 점멸을 위해 각각의 자발광 소자로 16.7ms의 절반의 시간인 8.35ms동안에 A의 두 배에 해당하는 전류량을 공급할 수 있다. 즉 표시 제어부(124)는 얼룩 제거 모드에서 일반 모드 보다 절반의 시간 동안에만 밝기를 표현하는 대신에, 절반의 시간 동안에 밝기에 기여하는 전류의 양을 2배로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밝기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자발광 소자에 높은 전류를 공급하여 패널 전체에 선형적 발광 효율을 분포시켜 해당 이미지의 어두운 영역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부(124)는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흘리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능동형 자체 발광 디스플레이 기술인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다. 표시부(124)는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화소들 각각에 대한 R/G/B부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여, 표시 제어부(122)로부터 각각의 트랜지스터들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대응하는 자발광 소자의 발광을 제어한다. 즉, 표시부(124)는 표시 제어부(122)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부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하여 전류를 공급받고, 공급되는 전류 량에 따라 각 트랜지스터에 대한 자발광 소자가 발광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대한 각 픽셀의 색상 및 밝기를 표현한다.
터치 입력부(126)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표시부(124)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다. 터치 입력부(126)는 터치 처리 프로그램(114)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혹은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프로세서 유닛(100)으로 제공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131) 및 마이크로폰(132)과 결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동영상 재생 시, 프로세서 유닛(1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유닛(100), 메모리(110), 터치스크린(120), 오디오 처리부(130), 스피커(131) 및 마이크(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 유닛(1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00)은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한다, 더하여, 프로세서 유닛(100)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 유닛(100)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교기(1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비교기(104)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교기(104)가 프로세서 유닛(100)에 포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설계 방식에 따라 프로세서 유닛(100)의 외부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터치 스크린(120)의 표시 제어부(122)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 유닛(100)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얼룩 제어 프로그램(113)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의 화면 즉, 표시부(124)에 어두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자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이 저 휘도 영역에서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으로 인해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먼저, 프로세서 유닛(100)의 비교기(104)는 터치스크린(120)에 포함된 표시 제어부(122)로부터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Y 값에 대응하는 전압(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Y 전압' 이라 칭함)을 수신한 후, 수신된 Y 전압을 임계 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프로세서(102)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비교기(10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수신된 Y 전압을 임계 전압과 비교하여 Y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얼룩 제거 모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고, Y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일반 모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비교기(104)는 VCC단자(201)로부터 전원을, IN-단자(203)로부터 기준 전압을, IN+단자(205)로부터 Y 전압(203)을 제공받아, 기준 전압과 Y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OUT단자(207)로 얼룩 제거 모드 혹은 일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신호(205)를 출력한다. 다른 예로, 비교기(104)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미도시)일 수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교기를 이용할 경우,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 각각의 휘도 값에 따라 Y전압이 계속적으로 변경되어 얼룩 제거 모드와 일반 모드 간의 모드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시, 모드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이용하여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비교기(104)는 출력 신호의 일부 전압을 분압한 히스테리시스 전압을 정궤환시켜, 입력되는 Y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히스테리시스 전압만큼 크거나 작을 경우에 출력 신호가 변경되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계값이 171에 대응하는 임계 전압 T(211)에 대하여, 히스테리시스 전압만큼 낮은 전압을 저임계 전압(210)이라 하고, 히스테리시스 전압만큼 높은 전압을 고임계 전압(212)이라 하며, 현재 모드가 얼룩 제거 모드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비교기(104)는 수신된 Y 전압이 임계 전압 T(211)보다 크지만 고임계 전압(212)보다 작은 경우(A, 220), 일반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얼룩 제거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비교기(104)는 수신된 Y 전압이 임계 전압 T(211)보다 크고 고임계 전압(212)보다 큰 경우(B, 221), 얼룩 제거 모드에서 일반 모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비교기(104)는 수신된 Y 전압이 임계 전압 T(211)보다 작지만 저임계 전압(210)보다 큰 경우(C, 222), 얼룩 제거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일반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비교기(104)는 수신된 Y 전압이 임계 전압 T(211)보다 작고 저임계 전압(210)보다 작 경우(D, 223), 일반 모드에서 얼룩 제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비교기(104)를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로 구성함으로써,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 각각의 휘도 값에 따라 Y전압이 계속적으로 변경되더라도 얼룩 제거 모드와 일반 모드 간의 모드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비교기(104)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로 동작을 요청하는 신호를 표시 제어부(122)로 제공한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10)는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 NAND, N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은 표시 제어 프로그램(112), 터치 처리 프로그램(114)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제어 프로그램(112)은 터치스크린(120)에 포함된 표시 제어부(122)를 제어하여 표시부(124)에 다양한 그래픽(graphics)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각종 명령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그래픽은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표시 제어 프로그램(112)은 프로세서 유닛(100)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표시부(124)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 프로그램(112)은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Y 값을 Y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Y 전압에 따라 자발광 소자에 대한 전류 공급 모드를 결정한 후, 결정된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얼룩 제거 프로그램(113)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 처리 프로그램(114)은 터치스크린(120)을 구성하는 터치 입력부(126)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즉, 터치 처리 프로그램(114)은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혹은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감지한다.
또한, 메모리(110)는 데이터 저장 DB(115)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 DB(115)는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DB로서, 터치 스크린(120) 상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 DB(115)는 Y 전압에 대한 임계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임계 전압은 설계자 및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0)은 전자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 및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 스크린(120)은 표시 제어부(122), 표시부(124) 및 터치 입력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프로세서 유닛(100)으로 전달하고, 프로세서 유닛(100)으로부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매개체이다.
표시 제어부(122)는 표시부(124)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구동 IC(Display Driver IC)일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2)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112)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2)는 표시부(124)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화소들 각각에 대한 R/G/B부화소의 자발광 소자 및 이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들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22)는 각각의 자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각각의 자발광 소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부(122)는 프로세서(102)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휘도 값에 의해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표시부(124)를 구성하는 각각의 자발광 소자로 공급될 전류 량 및 각각의 자발광 소자에 대한 전류 공급 시간을 제어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부(122)는 프로세서(102)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Y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Y 값을 Y 전압으로 변경하여, 프로세서 유닛(100)에 포함된 비교기(104)로 제공한다. 여기서,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Y값은 이미지의 밝기 및 Grayscale에 따른 상대적인 밝기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해당 이미지의 가장 밝은 부분을 255로 설정하고 해당 이미지의 가장 어두운 부분을 0으로 설정하여 획득한 이미지 전체에 대한 평균 밝기 값일 수 있다. 이후, 표시 제어부(122)는 프로세서(102)로부터 일반 모드 혹은 얼룩 제거 모드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 표시 제어부(122)는 프로세서(102)로부터 일반 모드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시, 종래에 알려진 바와 같이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색상을 나타내기 위해 각각의 부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를 각각의 자발광 소자에 공급한다.
반면, 표시 제어부(122)는 프로세서(102)으로부터 얼룩 제거 모드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시, 해당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각각의 부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하고,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의 양보다 기 설정된 양 혹은 기 설정된 비율만큼 증가된 전류를 각각의 자발광 소자에 공급한다. 이때, 표시 제어부(122)는 에너지 총량을 보존하기 위해서 각각의 자발광 소자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기 설정된 시간 혹은 기 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킨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표시 제어부(122)가 특정 이미지를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T1시간 동안 A1만큼의 전류를 공급하는 상황을 가정하면, 얼룩 제거 모드로 동작하는 표시 제어부(122)는 특정 이미지를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T1보다 작은 T2시간 동안 A1보다 큰 A2만큼의 전류를 공급한다.
표시부(124)는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흘리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능동형 자체 발광 디스플레이 기술인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다. 표시부(124)는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화소들 각각에 대한 R/G/B부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여, 표시 제어부(122)로부터 각각의 트랜지스터들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대응하는 자발광 소자의 발광을 제어한다. 즉, 표시부(124)는 표시 제어부(122)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부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하여 전류를 공급받고, 공급되는 전류 량에 따라 각 트랜지스터에 대한 자발광 소자가 발광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대한 각 픽셀의 색상 및 밝기를 표현한다.
터치 입력부(126)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표시부(124)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다. 터치 입력부(126)는 터치 처리 프로그램(114)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혹은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프로세서 유닛(100)으로 제공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131) 및 마이크로폰(132)과 결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동영상 재생 시, 프로세서 유닛(1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도 1a 및 도 1b에서는 프로세서 유닛(100)이 메모리(110)에 저장된 얼룩 제어 프로그램(113)을 실행함으로써, 이미지 휘도 값에 따라 얼룩 제거 모드 혹은 일반 모드로의 동작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은 프로세서 유닛(100)이 메모리에 저장된 별도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프로세서 유닛(100)의 자체적인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유닛(100)이 프로세서(102) 이외에 얼룩 제어 제어부(106)를 포함함으로써, 얼룩 제거 제어부(106)를 통해 상술한 도 1a 및 도 1b에서 나타낸 얼룩 제어 프로그램(113)의 기능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 얼룩 제거 제어부(106)는 프로세서(102)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비교기(104)는 설계 방식에 따라 프로세서 유닛(10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a 및 도 1b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의 Y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각 이미지의 Y값에 대한 Y 전압을 임계 전압과 비교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구성에 대해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는 설계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에서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해당 이미지의 Y값에 대한 Y 전압을 임계 전압과 비교할 수도 있으며,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 동영상을 구성하는 각 이미지의 Y 값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휘도 값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401단계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특정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이 선택되거나 혹은 특정 동영상 재생 기능이 선택되는 것을 감지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403단계에서 디스플레이할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Y값을 확인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표시 제어부(122) 즉, 디스플레이 구동 IC(Display Driver IC)의 특정 레지스터값에 접근하여 디스플레이할 이미지의 Y값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의 Y값은 이미지의 밝기 및 Grayscale에 따른 상대적인 밝기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해당 이미지의 가장 밝은 부분을 255로 설정하고 해당 이미지의 가장 어두운 부분을 0으로 설정하여 획득한 이미지 전체에 대한 평균 밝기 값일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405단계에서 이미지의 Y값이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이미지의 Y값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전자 장치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구동 IC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 자발광 소자들로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자발광 소자가 공급된 전류 량에 따라 발광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한 색상 및 밝기를 표현하도록 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417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전자 장치는 디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4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는 반면,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시 413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이벤트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전자 장치는 413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이벤트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시 본 발명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이미지의 Y값이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전자 장치는 407단계에서 얼룩 제거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고, 409단계로 진행하여 전류 공급 시간을 미리 결정된 양 혹은 미리 결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의 양을 미리 결정된 양 혹은 미리 결정된 비율만큼 증가시킨 후, 감소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 증가된 전류 량을 자발광 소자들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표시부(124)를 구성하는 각각의 자발광 소자는 공급된 전류량에 따라 발광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한 색상 및 밝기를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이미지의 Y값이 임계값보다 작을 시, 얼룩 제거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모드 보다 짧은 시간 동안에 더 높은 전류 량으로 밝기를 표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밝기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패널 전체에 선형적 발광 효율을 분포시켜 해당 이미지의 어두운 영역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전자 장치는 디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4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는 반면,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시 413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이벤트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전자 장치는 413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이벤트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시, 본 발명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휘도 값을 나타내는 전압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501단계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특정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이 선택되거나 혹은 특정 동영상 재생 기능이 선택되는 것을 감지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503단계에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Y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Y값을 전압(Y 전압)으로 변경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표시 제어부(122) 즉, 디스플레이 구동 IC(Display Driver IC)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이미지의 Y값을 Y 전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의 Y 값은 이미지의 상대적인 밝기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해당 이미지의 가장 밝은 부분을 255로 설정하고 해당 이미지의 가장 어두운 부분을 0으로 설정하여 획득한 이미지 전체에 대한 평균 밝기 값일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505단계에서 이미지의 Y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표시 제어부(122) 내에 비교기를 구비하거나, 혹은 프로세서 유닛(100) 내에 비교기를 구비하여, 구비된 비교기를 이용하여 Y 전압을 임계 전압과 비할 수 있다.
만일, 이미지의 Y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전자 장치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구동 IC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 자발광 소자들로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자발광 소자가 공급된 전류 량에 따라 발광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한 색상 및 밝기를 표현하도록 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517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전자 장치는 디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5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는 반면,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시 513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이벤트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전자 장치는 513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이벤트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시 본 발명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이미지의 Y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전자 장치는 507단계에서 얼룩 제거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고, 509단계로 진행하여 전류 공급 시간을 미리 결정된 양 혹은 미리 결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의 양을 미리 결정된 양 혹은 미리 결정된 비율만큼 증가시킨 후, 감소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 증가된 전류 량을 자발광 소자들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표시부(124)를 구성하는 각각의 자발광 소자는 공급된 전류량에 따라 발광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한 색상 및 밝기를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이미지의 Y값이 임계값보다 작을 시, 얼룩 제거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모드 보다 짧은 시간 동안에 더 높은 전류 량으로 밝기를 표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밝기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패널 전체에 선형적 발광 효율을 분포시켜 해당 이미지의 어두운 영역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513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전자 장치는 디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5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는 반면,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시 513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이벤트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전자 장치는 513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이벤트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시, 본 발명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휘도 값을 나타내는 전압에 따라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601단계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특정 동영상 재생 기능이 선택되는 것을 감지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603단계에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Y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Y값을 전압(Y 전압)으로 변경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표시 제어부(122) 즉, 디스플레이 구동 IC(Display Driver IC)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이미지의 Y값을 Y 전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의 Y 값은 이미지의 상대적인 밝기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해당 이미지의 가장 밝은 부분을 255로 설정하고 해당 이미지의 가장 어두운 부분을 0으로 설정하여 획득한 이미지 전체에 대한 평균 밝기 값일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605단계에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이미지의 Y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표시 제어부(122) 내에 비교기를 구비하거나, 혹은 프로세서 유닛(100) 내에 비교기를 구비하여, 구비된 비교기를 이용하여 Y 전압을 임계 전압과 비할 수 있다. 이때, 비교기는 출력 신호의 일부 전압을 분압한 히스테리시스 전압을 정궤환시켜, 입력되는 Y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히스테리시스 전압만큼 크거나 작을 경우에 출력 신호가 변경되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일 수 있다.
만일, 이미지의 Y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전자 장치는 621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구동 IC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 자발광 소자들로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자발광 소자가 공급된 전류 량에 따라 발광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한 색상 및 밝기를 표현하도록 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623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동영상 재생 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동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해야 하므로, 해당 이미지에 대한 디스플레이 시간이 만료될 경우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자동적으로 발생된다.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 발생 시, 전자 장치는 625단계에서 디스플레이할 다른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Y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Y값을 전압(Y 전압)으로 변경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627단계에서 이미지의 Y 전압이 저 임계 전압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저 임계 전압은 임계 전압보다 히스테리시스 전압만큼 낮은 전압을 의미한다. 즉, 전자 장치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이용하여 Y 전압이 저 임계 전압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Y 전압이 저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시, 전자 장치는 631단계에서 일반 모드를 유지하고, 62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Y 전압이 저 임계 전압보다 작을 시, 전자 장치는 629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모드에서 얼룩 제거 모드로 전환한 후, 609단계로 진행하여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즉, 전자 장치는 동영상 재생 시에 이미지의 Y 값에 모드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Y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작더라도 저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얼룩 제거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일반 모드를 유지하며, Y 전압이 저 임계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만 얼룩 제거 모드로 전환한다.
반면, 이미지의 Y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전자 장치는 607단계에서 얼룩 제거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고, 609단계로 진행하여 전류 공급 시간을 미리 결정된 양 혹은 미리 결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류의 양을 미리 결정된 양 혹은 미리 결정된 비율만큼 증가시킨 후, 감소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 증가된 전류 량을 자발광 소자들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표시부(124)를 구성하는 각각의 자발광 소자는 공급된 전류량에 따라 발광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한 색상 및 밝기를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이미지의 Y값이 임계값보다 작을 시, 얼룩 제거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모드 보다 짧은 시간 동안에 더 높은 전류 량으로 밝기를 표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밝기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패널 전체에 선형적 발광 효율을 분포시켜 해당 이미지의 어두운 영역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611단계에서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동영상 재생 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동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해야 하므로, 해당 이미지에 대한 디스플레이 시간이 만료될 경우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자동적으로 발생된다.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 발생 시, 전자 장치는 613단계에서 디스플레이할 다른 이미지의 휘도 값을 나타내는 Y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Y값을 전압(Y 전압)으로 변경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627단계에서 이미지의 Y 전압이 고 임계 전압보다 큰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고 임계 전압은 임계 전압보다 히스테리시스 전압만큼 높은 전압을 의미한다. 즉, 전자 장치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이용하여 Y 전압이 고 임계 전압보다 큰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Y 전압이 고 임계 전압보다 클 시, 전자 장치는 617단계에서 얼룩 제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62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Y 전압이 고 임계 전압보다 작거나 같을 시, 전자 장치는 619단계로 진행하여 얼룩 제거 모드를 유지하고, 609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즉, 전자 장치는 동영상 재생 시에 이미지의 Y 값에 모드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Y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더라도 고 임계 전압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일반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얼룩 제거 모드를 유지하며, Y 전압이 고 임계 전압보다 클 경우에만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할 이미지의 휘도 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과정과,
    조절된 전류의 양을 자 발광 소자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기 설정된 양 혹은 비율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에 따라 전류 공급 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 상기 조절된 전류의 양을 자 발광 소자로 공급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공급 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전류 공급 시간을 기 설정된 시간 혹은 비율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전류 공급 시간을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에 소모되는 에너지의 총 량과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소모되는 에너지의 총 량이 동일하도록 상기 전류 량 및 전류 공급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을 전압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전압을 기 설정된 임계 전압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기 설정된 양 혹은 비율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과 기 설정된 임계 전압과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전류 공급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류 공급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공급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는 얼룩 제거 모드로의 동작을 전환하고, 상기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공급 전류의 양을 유지하는 일반 모드로의 동작을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시, 상기 전류 공급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얼룩 제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에 대한 전압을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소정 전압만큼 큰 고 임계 전압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전압이 상기 고 임계 전압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얼룩 제거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전압이 상기 고 임계 전압보다 클 경우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시, 상기 전류 공급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일반 모드로의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에 대한 전압을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소정 전압만큼 작은 저 임계 전압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전압이 상기 저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일반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전압이 상기 저 임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얼룩 제거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는, 기 설정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에 상기 자발광 소자로 상기 유지되는 전류의 양을 공급하는 모드이고,
    상기 얼룩 제거 모드는, 기 설정된 전류 공급 시간 보다 짧은 시간 동안에 상기 자발광 소자로 상기 증가된 전류의 양을 공급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11. 다수의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할 이미지의 휘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조절된 전류의 양을 상기 자 발광 소자들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기 설정된 양 혹은 비율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에 따라 전류 공급 시간을 조절하는 명령어와, 상기 조절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 상기 조절된 전류의 양을 자 발광 소자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전류 공급 시간을 기 설정된 시간 혹은 비율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전류 공급 시간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에 소모되는 에너지의 총 량과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소모되는 에너지의 총 량이 동일하도록 상기 전류 량 및 전류 공급 시간을 조절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입력 전압을 임계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의 휘도 값을 전압으로 변경한 후, 상기 변경된 전압을 상기 비교기의 입력 전압으로 전달하고,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 상기 입력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기 설정된 양 혹은 비율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입력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급 전류의 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압과 기 설정된 임계 전압과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전류 공급 모드를 전환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류 공급 모드를 전환하는 명령어는, 상기 입력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공급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는 얼룩 제거 모드로의 동작을 전환하고, 상기 입력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공급 전류의 양을 유지하는 일반 모드로의 동작을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시, 상기 전류 공급 모드를 전환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얼룩 제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입력 전압을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소정 전압만큼 큰 고 임계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고 임계 전압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얼룩 제거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고 임계 전압보다 클 경우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시, 상기 전류 공급 모드를 전환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일반 모드로의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입력 전압을 기 설정된 임계 전압보다 소정 전압만큼 작은 저 임계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저 임계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일반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저 임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얼룩 제거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는, 기 설정된 전류 공급 시간 동안에 상기 자발광 소자로 상기 유지되는 전류의 양을 공급하는 모드이고,
    상기 얼룩 제거 모드는, 기 설정된 전류 공급 시간 보다 짧은 시간 동안에 상기 자발광 소자로 상기 증가된 전류의 양을 공급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20057522A 2012-05-30 2012-05-30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54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22A KR101954797B1 (ko) 2012-05-30 2012-05-30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3/889,745 US9378706B2 (en) 2012-05-30 2013-05-08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22A KR101954797B1 (ko) 2012-05-30 2012-05-30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91A true KR20130134191A (ko) 2013-12-10
KR101954797B1 KR101954797B1 (ko) 2019-03-06

Family

ID=4966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522A KR101954797B1 (ko) 2012-05-30 2012-05-30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78706B2 (ko)
KR (1) KR101954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0733B2 (en) 2014-10-24 2018-01-16 Samsung Display Co., Ltd. Data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133B1 (ko) * 2014-08-20 2021-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 구동 유닛,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324865B1 (ko) * 2014-12-29 2021-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휘도 제어 방법
JP6548517B2 (ja) * 2015-08-26 2019-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2439245B1 (ko) * 2016-01-29 2022-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695369B (zh) * 2017-12-26 2020-06-0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應用於顯示驅動電路之顯示模式轉換方法
US20200177195A1 (en) * 2018-12-04 2020-06-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operating method of analog-to-digital converter
JP7261203B2 (ja) * 2020-07-22 2023-04-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30065423A (ko) 2021-11-04 2023-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902B1 (ko) * 2006-08-17 2007-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밝기조정방법
KR20070117847A (ko) * 2006-06-0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백라이트장치 및 그 밝기조절방법
KR20110027630A (ko) * 2009-09-09 2011-03-16 이그니스 이노베이션 인크. 능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위한 구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013B1 (ko) * 2004-02-19 2008-03-3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US20060007205A1 (en) * 2004-06-29 2006-01-12 Damoder Reddy Active-matrix display and pixel structure for feedback stabilized flat panel display
US20070285379A1 (en) * 2006-06-09 2007-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adjusting brightness for the same
US20080042943A1 (en) * 2006-06-16 2008-02-21 Cok Ronald S Method and apparatus for averaged luminance and uniformity correction in an am-el display
US20120105402A1 (en) * 2010-10-27 2012-05-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light output from a light sour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847A (ko) * 2006-06-0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백라이트장치 및 그 밝기조절방법
KR100759902B1 (ko) * 2006-08-17 2007-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밝기조정방법
KR20110027630A (ko) * 2009-09-09 2011-03-16 이그니스 이노베이션 인크. 능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위한 구동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0733B2 (en) 2014-10-24 2018-01-16 Samsung Display Co., Ltd. Data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21486A1 (en) 2013-12-05
US9378706B2 (en) 2016-06-28
KR101954797B1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4191A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77467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제어 방법
JP5241154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60307490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06532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9526835A (ja) インフレーム感知及び適応感知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11402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60125555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70037710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0665157B2 (en) Pre-compensation for pre-toggling-induced artifacts in electronic displays
US2016018960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9541811A (ja) 映像補償装置および方法
JP2006309134A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2483946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11247981A (ja) 画像表示装置
KR20160059573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399163B2 (ja) 表示装置
KR2020006812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위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KR20160071589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500062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24366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동적 감마 적용방법
US201501308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KR102336685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4852772B2 (ja) 表示装置、電気装置、表示装置を駆動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42358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