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758A -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서버,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서버,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758A
KR20130133758A KR20137005992A KR20137005992A KR20130133758A KR 20130133758 A KR20130133758 A KR 20130133758A KR 20137005992 A KR20137005992 A KR 20137005992A KR 20137005992 A KR20137005992 A KR 20137005992A KR 20130133758 A KR20130133758 A KR 20130133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ftware
module
social infrastructure
ev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0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마츠다
요시타카 고바야시
마코토 오치아이
모토오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13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6Software re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4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an electric power subs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8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30State monitoring, e.g. fault, temperature monitoring, insulator monitoring, corona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은, 제어 장치와, 데이터베이스와, 센서와, 수집부와, 산출부와, 선택부와, 작성부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커뮤니티의 사회 인프라를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모듈을 기억한다. 센서는 사회 인프라에 관한 이벤트를 검지하고 이벤트 정보를 출력한다. 수집부는 센서로부터의 이벤트 정보를 수집한다. 산출부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사회 인프라 또는 커뮤니티의 특성을 산출한다. 선택부는 산출된 특성에 따른 모듈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한다. 작성부는 선택된 모듈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를 작성한다.

Description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서버,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SOCIAL INFRASTRUCTURE CONTROL SYSTEM, SERVER,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사회 인프라를 제어하는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생활하는 사회(커뮤니티)는, 예를 들면 전력, 수도, 교통, 철도, 통신 및 빌딩 등의 다양한 사회 인프라에 의해 지탱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환경의식의 고조나 절박한 에너지 사정에 의해, 사회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화가 요구되고 있다. 사람들에게 불편한 생활을 강요하지 않고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사회 시스템을 어떻게 형성할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종래의 사회 시스템에서는, 사회 인프라는 기본적으로 개개로 독립되어 관리, 운영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전력 인프라를 예로 들어 보아도, 국가 단위로의 에너지 절약화는 물론, 자치 단체(시읍면)마다, 지역마다, 혹은 호별 가정마다의 에너지 최적화 제어는 아직 실현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목적은,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서버,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은, 제어 장치와, 데이터베이스와, 센서와, 수집부와, 산출부와, 선택부와, 작성부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커뮤니티의 사회 인프라를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모듈을 기억한다. 센서는 사회 인프라에 관한 이벤트를 검지하고 이벤트 정보를 출력한다. 수집부는 센서로부터의 이벤트 정보를 수집한다. 산출부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사회 인프라 또는 커뮤니티의 특성을 산출한다. 선택부는 산출된 특성에 따른 모듈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한다. 작성부는 선택된 모듈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를 작성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되는 이벤트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국가 클라우드(100)의 데이터베이스(20)에 축적되는, 이벤트 정보(20a)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되는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시읍면 레벨 MS(30)의 주요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읍면 레벨 MS(30)의 처리 수순의 일례 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개시되는 개념의 요점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국가 레벨 MS(10)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되는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시읍면 레벨 MS(30)의 주요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벤더 MS(80)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되는 시스템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사업자 MS(1)로부터 벤더 MS(80)에 송신되는 이벤트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되는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사업자 MS(1)의 주요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되는 벤더 MS(80)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3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벤더 MS(80)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사회 인프라 및 커뮤니티의 발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6은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사업자 MS(1)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소프트웨어 모듈군의 분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소위 스마트 그리드로서 알려진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기존의 전력망(grid)에서는 원자력, 화력, 수력 등의 기존 발전소와, 일반 가정이나, 빌딩, 공장 등의 다종다양한 수요자가 전력망에 의해 접속된다. 차세대의 전력 계통(Power grid)에서는 이들 외에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 PV) 시스템이나 풍력 발전 장치 등의 분산형 전원이나 축전 장치, 신교통 시스템이나 충전 스탠드 등이 전력 계통에 접속된다. 이들 다종다양한 요소는 통신 그리드를 통하여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너지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 EMS)으로 총칭된다. EMS는 그 규모 등에 따라서 몇가지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일반 가정용의 HEMS(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빌딩용의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등이 있다. 이 외에, 집합 주택용의 MEMS(Mansion Energy Management System), 커뮤니티용의 CEMS(Community Energy Management System), 공장용의 FEMS(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등이 있다. 이들 시스템이 연계함으로써 치밀한 에너지 최적화 제어가 실현된다.
이들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의 발전소, 분산형 전원, 태양광이나 풍력 등의 재생 가능 에너지원 및 수요자의 상호간에서 고도의 협조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자연 에너지를 주체로 하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이나, 수요자와 사업자의 쌍방향 연계에 의한 수요자 참가형의 에너지 수급 등의, 신규 또한 스마트한 형태의 전력 공급 서비스가 창출된다.
사회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그리드로 대표되는 사회 인프라에 의해 사회 생활에 쾌적함이나 편리함을 제공한다. 앞으로의 사회 시스템은 정보 처리 기술이나 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다종다양한 사회 인프라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에너지 절약화 등의 사회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 가능한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을, 논리적인 계층 구조로 형성한다. 도 2에 있어서는 상위층 및 하위층 외에, 상위층보다도 하위, 하위층보다도 상위의 중간층을 구비하는 형태를 나타낸다. 계층화의 단계는 3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간층을 더욱 다층화한 아키텍쳐도 실현 가능하다. 반대로, 상위층 및 하위층만을 구비하는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있어서는 상위층을 국가, 중간층을 도도부현, 하위층을 시읍면의, 계층적인 행정 구분에 대응시켜 나타낸다.
실시 형태에서는, 각 층을 클라우드화한 형태를 생각한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컴퓨터(2)와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한다. 컴퓨터(2)는 단체이어도 복수이어도 된다. 데이터베이스는 1개의 컴퓨터(2)에 구비되어도, 복수의 컴퓨터(2)에 분산되어 배치되어도 된다.
도 2에 있어서, 하위층은, 사회 인프라를 구비하는 지역에 형성되는 지역 시스템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A시, B시, H읍, I군의 지역마다 클라우드가 형성되고, 클라우드마다 컴퓨터(2)와 데이터베이스 DB가 구비된다. 각 지역 클라우드간은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접속되고, 각 지역 클라우드는 층 내에 있어서의 상호의 연계를 유지하고 있다.
중간층은 하위층을 논리적인 상위층으로부터 제어한다. 예를 들면 A시와 B시는 X현에 의해 제어되고, H읍과 I군은 Y현에 의해 제어된다. X현 및 Y현도 클라우드화되어, 각각 컴퓨터(2) 및 데이터베이스 DB를 구비한다. X현 및 Y현도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호의 연계를 유지하고 있다.
상위층은 중간층을 논리적인 상위층으로부터 제어한다. 예를 들면 X현과 Y현은 국가에 의해 제어된다. 국가도 클라우드화된다. 또한, 상위층에는 다른 국가도 존재할 수 있고, 이들 복수의 국가는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보다 서로 상호의 연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위층의 클라우드에 부호 100을 부여하여 국가 클라우드(100)로 표기한다. 중간층의 클라우드에 부호 200을 부여하여 현(縣) 클라우드(200)로 표기한다. 하위층의 클라우드에 부호 300을 부여하여 시(市) 클라우드(300)로 표기한다.
국가 클라우드(100), 현 클라우드(200), 시 클라우드(300) 모두 사회 인프라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 클라우드(300)의 사회 인프라를 국가 클라우드(100) 또는 현 클라우드(200)로부터 제어하는 형태를 생각하면, 시 클라우드(300)를 지역 시스템, 국가 클라우드(100) 또는 현 클라우드(200)를 상위 시스템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현 클라우드(200)의 사회 인프라를 국가 클라우드(100)로부터 제어하는 형태를 생각하면, 현 클라우드(200)를 지역 시스템, 국가 클라우드(100)를 상위 시스템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국가 클라우드(100)는 국가 레벨 관리 시스템(10)과, 데이터베이스(20)를 구비한다. 현 클라우드(200)는 도도부현 레벨 관리 시스템(60)과, 데이터베이스(70)를 구비한다. 커뮤니티에 관련지어 형성된 시 클라우드(300)는, 시읍면 레벨 관리 시스템(30)과, 데이터베이스(40)와, 복수의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를 구비한다.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관리 시스템을 MS(Management System)로 표기한다. 국가 레벨 관리 시스템(10)을 국가 MS(10)로 표기한다. 도도부현 레벨 관리 시스템(60)을 현 MS(60)로 표기한다. 시읍면 레벨 관리 시스템(30)을 시 MS(30)로 표기한다. 관리 시스템 MS는, 하드웨어로서의 컴퓨터를 구비한다. 컴퓨터는 단체이어도 복수이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국가 MS(10) 또는 현 MS(60)가 서버로서의 지위에 있고, 시 MS(30)가 제어 장치로서의 지위에 있다.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는, 예를 들면 수도망, 냉열원 플랜트 시스템, 전력망, 교통망, 의료 시스템, 점포 네트워크, 빌딩 시스템, 가정(홈)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공장 시스템, 콘텐츠 배신 시스템, 혹은 철도망 등이다. 또한 사회 인프라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국가 클라우드(100), 현 클라우드(200) 및 시 클라우드(300)는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통신망 NW는, 요구되는 통신 대역(통신 용량)을 보증 가능한 개런티형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종류의 네트워크로서는 예를 들면 광통신 기술을 응용한 전용 회선을 들 수 있다. 혹은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 형성한 VPN(Virtual Private Network)도 이러한 종류의 네트워크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통신망 NW를 사회 인프라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망 NW의 회선은, 예를 들면 하위층으로부터 상위층으로의 이벤트 정보의 송신(업로드)에 관련되는 리얼타임성을 보증 가능하다.
이벤트란, 각 사회 인프라(51 내지 5n)의 단기적 또는 장기적인 상태 변화나, 상태 그 자체를 의미한다. 또한, 이벤트 정보란, 각 사회 인프라(51 내지 5n)에 구비되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되고, 이 센서(50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또는 이 신호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모든 정보를 나타낸다.
커뮤니티에 관련지어 형성된 시 클라우드(300)의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는, 각각 센서(50a) 및 액추에이터(50b)를 구비한다. 센서(50a)는, 예를 들면 각 사회 인프라에 고유의 이벤트 정보를 검지한다. 혹은, 센서(50a)는, 복수의 사회 인프라에 관계되는 이벤트 정보를 검지한다. 요컨대 센서(50a)는 사회 인프라의 상태를 검지하여 수치화, 혹은 데이터화 가능한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감시 카메라 등도 그 범주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액추에이터(50b)는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을 제어한다. 액추에이터(50b)는 예를 들면 수도 인프라의 정수장 시스템에 구비되는 밸브를 개폐하는 모터이다. 액추에이터(50b)는, 밸브의 개방도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밸브의 개방도 및 물의 유량을 제어한다.
시 MS(30)는,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 기능으로서 제어부(30a), 수집부(30b), 업로드부(30c), 산출부(30d), 선택부(30e), 다운로드부(30f), 작성부(30g) 및 설정부(30h)를 구비한다.
제어부(30a)는, 예를 들면 국가 MS(10) 혹은 현 MS(60)로부터 제공된 제어 데이터, 혹은 자신이 생성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50b)에 제어 지시를 내려,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를 제어한다. 제어 지시로서는, 예를 들면 물 인프라에 있어서의 밸브의 개방도, 혹은 공공 인프라에 있어서의 공조 제어용 인버터의 회전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들 수 있다.
제어부(30a)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를 제어한다. 즉 시 MS(30)는 당해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컴퓨터이다. 또한, 시 클라우드(300)에 구비되는 처리 기능으로서 시 MS(30)를 실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집부(30b)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를 수집한다. 데이터 수집에 관련되는 통신 프로토콜로서는, ECHONET(등록 상표), ECHONET Lite(등록 상표), ZigBee(등록 상표), Z-Wave(등록 상표), KNX(등록 상표)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위 레이어의 통신층으로서는 이더넷(등록 상표) 등의 유선 LAN, 전력선 통신, 무선 LAN, Bluetooth(등록 상표)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업로드부(30c)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를, 국가 클라우드(100)의 국가 MS(10), 혹은 현 클라우드(200)의 현 MS(60)에,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송신한다. 즉 업로드부(30c)는, 이벤트 정보를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회선은 공중 회선이어도 전용선이어도 되고, 이벤트 정보에 관련되는 신호를 전송 가능한 선로(신호선)이면 된다.
이벤트 정보는, 예를 들면 IP 패킷의 페이로드에 기입되어 통신망 NW에 송출된다. 이 IP 패킷에는 수신처 어드레스로서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 어드레스가 기재된다. 국가 MS(10) 및 현 MS(60)는, 이 IP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출부(30d)는, 수집부(30b)에 의해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사회 인프라(51 내지 5n)의 특성을 산출한다. 사회 인프라의 특성이란 예를 들면 입지조건, 환경 조건, 운용 조건, 그 외 다양한, 수치화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이다. 요컨대 사회 인프라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한 정보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바다 근처에 형성되는 사회 인프라와, 산촌부에 형성되는 사회 인프라에서는 당연히 환경면에서의 조건이 상이하다. 예를 들면 기온의 변동이나 일조량, 월마다의 평균 강우량 등이 각각 상이하므로, 이벤트 정보에도 그것이 반영된다. 예를 들면 일조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이 다른 지역보다도 많을 것이 예상되므로,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는, 그것을 반영하는 성능을 특별히 갖게 할 필요가 있다.
혹은, 강우량이 많은 지역이나 근처에 댐 등이 있는 지역에서는, 물 인프라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다른 지역과는 상이한 성능이 기대된다. 산출부(30d)는 수집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사회 인프라마다의, 혹은 커뮤니티마다의 특성을 산출한다.
혹은 산출부(30d)는, 수집부(30b)에 의해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사회 인프라(51 내지 5n) 그 자체의 특성, 혹은 사회 인프라(51 내지 5n)의 대상으로 하는 영역(도메인)의 특성을 산출한다.
사회 인프라의 대상 영역이란, 예를 들면 각각의 인프라가 제어 대상, 혹은 관리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인 영역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전력 인프라이면 각 가정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량이나 그것에 기초하는 배전 제어, 전력 생산량, 혹은 배전 네트워크의 상태 등이 이것에 상당한다. 특히, 사회 인프라를 구비하는 지역 사회를, 당해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대상 영역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상 영역의 특성이란, 예를 들면 전력 인프라에 있어서는 전력 소비량의 특성, 경향 등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PV 시스템의 설치 대수의 증가에 수반되는 호별 생산 전력의 증가의 경향이나, 역조류 전력의 양 등의 개념이 이것에 상당한다. 사회 인프라의 대상 영역의 특성은, 지역 사회의 특성으로서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회 인프라 그 자체의 특성과 밀접하게 관계된다고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택부(30e)는, 산출부(30d)에 의해 산출된 특성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을, 국가 클라우드(100)의 데이터베이스(20)에 축적되는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으로부터 선택한다. 즉 사회 인프라의 특성, 혹은 사회 인프라의 대상 영역의 특성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이 선택된다. 즉, 사회 인프라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모듈이 선택된다. 특히 선택부(30e)는, 시간의 경과 등에 수반되는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선택을 정기적으로, 혹은 부정기적으로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운로드부(30f)는, 선택부(30e)에 의해 선택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시 MS(30)에 다운로드한다. 즉 소프트웨어 모듈을,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취득한다. 작성부(30g)는,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조합하여, 제어부(30a)의 소프트웨어를 작성한다. 여기서 말하는 작성은,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서의 컴파일(compile), 혹은 빌드(build)와 공통되는 개념이다.
특히 작성부(30g)는, 예를 들면 선택부(30e)에 의해 소프트웨어 모듈의 선택이 실시되면, 그때마다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소프트웨어를 갱신(업데이트)한다.
설정부(30h)는, 선택된 소프트웨어 모듈의 파라미터를, 상기 산출된 특성에 따라서 설정한다. 즉,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해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을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구비한다. 설정부(30h)는 이 파라미터를 조작하여, 소프트웨어를 지역 사회의 특성에 매치시킨다.
데이터베이스(40)는 이벤트 정보(40a)를 축적한다. 이 중 이벤트 정보(40a)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정보이다. 즉 시 MS(30)는 자신이 수집한 이벤트 정보(40a)를 국가 MS(10)에 송신함과 함께, 로컬에 있어서도 축적한다.
국가 MS(10)는, 시 MS(30)에,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제어 장치로서의 시 MS(30)에 대한 서버로서의 지위에 있다. 국가 MS(10)도, 프로그램에 의해 기능하는 컴퓨터, 혹은 국가 클라우드(100)에 의해 제공되는 처리 기능이다. 국가 MS(10)는,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 기능으로서 취득부(10a) 및 송신부(10b)를 구비한다.
취득부(10a)는, 시 MS(30)로부터 송신된 이벤트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된 이벤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0)에 이벤트 정보(20a)로서 축적된다. 이 이벤트 정보(20a)는 복수의 시 클라우드(300)(도 2)로부터 송신된 이벤트 정보 모두를 집중적으로 축적한 것이다.
송신부(10b)는, 시 MS(30)로부터 요구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시 MS(30)에 송신한다.
데이터베이스(20)는, 이벤트 정보(20a) 외에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을 축적한다. 주지와 같이 소프트웨어 모듈은, 1개의 소프트웨어를 작성하기 위한 소위 부품이며, 플러그인 모듈 등과도 공통되는 오브젝트 혹은 엔티티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시 MS(30), 현 MS(60) 및 국가 MS(10)는, 인터페이스부(6)를 통하여 통신망 NW의 회선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관리 장치이다. 이 컴퓨터는 단체로 그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 구비되는 복수의 컴퓨터의 연계 처리에 의해, 시 MS(30), 현 MS(60) 및 국가 MS(10)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a), 수집부(30b), 업로드부(30c), 산출부(30d), 선택부(30e), 다운로드부(30f), 작성부(30g), 설정부(30h), 취득부(10a) 및 송신부(10b)를 어떻게 시스템에 임플리먼트할지는, 당업자에 의하면 용이하게 이해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되는 이벤트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센서(50a)로서 스마트 미터를 예로 하면, 예를 들면 그 스마트 미터의 식별 정보(센서 ID : IDentification), 설치되는 지점의 위치 정보(위도, 경도), 전력 소비량의 계측값 및 계측 시점의 타임 스탬프를, 이벤트 정보의 항목의 예로서 드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국가 클라우드(100)의 데이터베이스(20)에 축적되는, 이벤트 정보(20a)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정보(20a)는, 각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를 그대로, 소위 있는 그대로의 데이터를 일원적으로 축적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20)에는 특히 대용량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필요로 한다. 단독의 스토리지 디바이스가 아니라, 클라우드 상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20)를 구축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는 BigData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되는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은 각각 고유의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이하, 모듈로 약기함)을 포함한다. 각 모듈의 실태는 특정한 언어로 기술된 코드 열이어도 되고, 기계어 레벨로까지 디코드된 바이너리 데이터, 혹은 이것을 암호화한 데이터이어도 된다.
각 모듈에는 구별을 위해서, 예를 들면 일련 번호가 부여된다. 또한 각 모듈은 예를 들면 각각의 사회 인프라에 대응하는 솔루션마다 유닛화되어 관리된다. 또한, 유닛마다, 예를 들면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서 S, A, B, …의 랭크를 설정하고, 랭크마다 모듈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계층화 구조는 다방면에 걸친 모듈을 관리하는 데에 편리하다.
각 모듈은 그 벤더(제공자)에 의해 갱신 혹은 버전 업된다. 이에 의해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은 축차적으로 확충된다. 각 모듈의 벤더는, 모듈이 다운로드될 때마다 상응하는 과금을 서비스 수익자에게 부과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등의 비지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모듈에 의해 어떠한 기능이 제공될 것인지라고 하는 정보나, 각 모듈을 개별로 특정하기 위한 일련 번호, 갱신 이력 등은, 일람표나 XML 데이터 등의 형식으로 시 MS(30)에 통지된다. 시 MS(30)는, 이 통지된 내용으로부터, 다운로드해야 할 모듈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시 MS(30)의 주요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시 MS(30)는, 통신망 NW의 회선에 접속 가능한 인터페이스부, 유저(오퍼레이터)와의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표시부(34) 및 입출력부(36),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스토리지 유닛(35)을 구비한다. 또한 시 MS(30)는, 통신망 NW의 회선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스탠드 얼론 상태에서도, 실시 형태에 관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 MS(30)는, 제어부(30a)(도 3) 및 프로그램 메모리(32)를 구비한다. 제어부(30a)는 소프트웨어(31)에 의해 그 기능을 한다. 소프트웨어(31)는 복수의 모듈을 조합하여 작성된다. 모듈은 프로그램 메모리(32)에 로드되어,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한 연산 처리 하에서 소프트웨어(31)의 기능을 실현한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 MS(30)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시 MS(30)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를 수집한다(스텝 S1). 다음에 시 MS(30)는, 수집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고(스텝 S2), 그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 인프라(51 내지 5n)의 특성을 산출한다(스텝 S3).
다음에 시 MS(30)는, 상기 산출한 특성에 따른 모듈을, 예를 들면 미리 통지되는 일람표(도 6에 도시된 소프트웨어 모듈군(20b))로부터 선택한다(스텝 S4). 다음에 시 MS(30)는, 선택한 모듈의 송신을,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국가 클라우드(100)에 요구한다. 그리고 시 MS(30)는, 선택한 모듈을, 국가 클라우드(100)의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5). 그리고 시 MS(30)는, 취득한 모듈을 조합하여, 컴파일이나 빌드 등의 처리를 행하여 소프트웨어(31)를 작성한다(스텝 S6).
작성된 소프트웨어(31)는, 시 MS(30)에 대하여 별도로 설치되는 용장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그리고, 현재 가동 중인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의 인계나 어드레스 변경 처리 등이 완료된 후, 용장 컴퓨터를 유효로 함으로써, 서비스의 중단을 수반하지 않고 소프트웨어가 갱신된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개시되는 개념의 요점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사회 시스템마다 그 관리ㆍ제어 대상을 분석함으로써 물, 열, 혹은 전기 등의 복수의 솔루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요소 기술군을 추출한다. 그리고, 솔루션마다 모듈이 축적된다.
한편, 각 커뮤니티(커뮤니티 A 내지 커뮤니티 E)는 각각 클라우드화되어, 행정이나, 벤더에 속하는 상위 클라우드에 대한 하위 클라우드로서 기능한다. 커뮤니티는 천차만별이며, 다종다양한 특성을 가지므로, 필요로 되는 솔루션도 상이하다.
따라서, 산출부에 의해 사회 인프라의 특성을 산출하고, 이에 의해 커뮤니티가 요구하는 솔루션을 파악하고, 그것에 따른 모듈을 각 클라우드에 다운로드한다. 이에 의해, 소위 테일러메이드하도록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를 그대로 국가 MS(10)에 송신하여 집중적으로 축적함과 함께, 시 MS(30)에 있어서도 로컬로 유지한다. 이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사회 인프라마다의 특성을 산출하고, 그 결과에 따른 모듈을 선택하여 시 MS(30)에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다운로드한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사회 인프라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였으므로, 각 커뮤니티에서의 사회 시스템의 관리, 운영에 필수적인 소프트웨어를 테일러메이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회 시스템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시시각각 수집되는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사회 인프라의 특성을 산출하고,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사회 시스템의 발전 혹은 축소에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버전 업해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커뮤니티의 발전에 따라 주민의 인구가 증가하고, 세대수가 증가해 가면, PV 시스템의 설치 대수가 증가하거나 하여 상응하는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반대로, 인구가 줄어들면 그때까지 필요했던 제어가 불필요해지거나, 고령자가 늘어 가면 의료 분야에서의 서비스를 충실하게 하는 등의 새로운 수요가 환기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사회 시스템의 변화는, 이벤트 정보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는 임계값 판정 등에 의해 머신측에서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변화를 검출하고, 사회 시스템의 변화에 추종하여 소프트웨어를 버전 업해 감으로써, 인적 개입에 수반되는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도 사회 시스템을 최적으로 제어해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3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여기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시스템은, 사회 인프라의 특성을 해석하는 기능 및 모듈을 선택하는 기능을 국가 클라우드(100)의 국가 MS(10)에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즉 국가 MS(10)는, 수집부(10c), 산출부(10d), 선택부(10e), 다운로드부(10f) 및 설정부(10g)를 구비한다. 시 MS(30)는, 제어부(30a), 업로드부(30c) 및 작성부(30g)를 구비한다.
수집부(10c)는, 시 MS(30)로부터 송신되는 이벤트 정보를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20)에 축적한다. 산출부(10c)는 축적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사회 인프라(51 내지 5n)의 특성을 산출한다. 선택부(10e)는 산출된 특성에 따라서 모듈을 선택하고, 다운로드부(10f)는 선택된 모듈을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시 MS(30)에 다운로드한다. 설정부(10g)는 모듈의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시 MS(30), 현 MS(60) 및 국가 MS(10)는,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6)를 통하여 통신망 NW의 회선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컴퓨터이다. 이 컴퓨터는 단체로 그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 구비되는 복수의 컴퓨터의 연계 처리에 의해, 시 MS(30), 현 MS(60) 및 국가 MS(10)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a), 업로드부(30c), 작성부(30g), 수집부(10c), 산출부(10d), 선택부(10e), 다운로드부(10f) 및 설정부(10g)를 어떻게 시스템에 임플리먼트할지는, 당업자에 의하면 용이하게 이해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국가 MS(10)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국가 MS(10)는, 시 MS(30)에 있어서 취득된 이벤트 정보를,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수집한다(스텝 S11). 다음에 국가 MS(10)는, 수집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고(스텝 S12), 그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 인프라(51 내지 5n)의 특성을 산출한다(스텝 S13).
다음에 국가 MS(10)는, 상기 산출한 특성에 따른 모듈을, 데이터베이스(20)의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으로부터 선택한다(스텝 S14). 그리고 국가 MS(10)는, 선택한 모듈을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취득하고,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시 MS(30)에 송신한다(스텝(15)). 모듈을 수신한 시 MS(30)는, 작성부(30g)에 의해 소프트웨어(31)를 작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최적의 모듈의 조합이 국가 MS(10)에 있어서 선택된다. 즉 시 클라우드(300)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가 국가 클라우드(100)에 수집되어, 국가 클라우드(100)에 있어서 필요한 연산이 실행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 외에, 시 클라우드(300)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시 MS(30)가 주체적으로, 모듈의 송신을 국가 클라우드(100)에 요구하였다. 이것 대신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국가 MS(10)가 주체가 되어 모듈을 선택하고, 시 클라우드(300)에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소위 푸시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 10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여기서는 주로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사회 인프라의 제어, 관리, 혹은 운영에 관련되는 서비스의 일례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사회 인프라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존재를 고려한다. 이 사업자를 벤더라 총칭한다.
도 12에 도시된 시스템은, 벤더 클라우드(500)를 구비한다. 벤더 클라우드(500)는 통신망 NW의 회선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벤더 클라우드(500)는, 벤더에 의해 관리, 운영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이며, 벤더 MS(80) 및 데이터베이스(90)를 구비한다. 벤더 클라우드(500)는 예를 들면 서버 기능을 구비하는 컴퓨터, 혹은 컴퓨터군이다. 컴퓨터는, 실시 형태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벤더 MS(80)는 컴퓨터 그 자체, 컴퓨터에 의한 처리 기능의 하나, 혹은, 데이터 센터 등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90)는 벤더 MS(80)에 구비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기억되어도 되고, 벤더 MS(80)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에 기억되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벤더 MS(80)가 서버로서의 지위에 있고, 시 MS(30)가 제어 장치로서의 지위에 있다.
벤더 MS(80)는, 실시 형태에 관한 기능 블록으로서, 수집부(10c), 산출부(10d), 선택부(10e), 작성부(30g), 다운로드부(10f), 카운터(80a), 요금 관리부(80b) 및 설정부(10g)를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90)는, 이벤트 정보(20a)와,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을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소프트웨어 모듈마다, 예를 들면 벤더에 의해 미리 단가가 설정된다. 이 단가는 예를 들면 도 13(후술)에 도시된 유닛마다 또는 서비스 내용에 따라서, 혹은 서비스의 랭크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무료라고 하는 단가가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벤더 MS(80)의 수집부(10c)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20a)를 시 MS(30)로부터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90)에 보존한다. 또한 국가 MS(10)의 수집부(10c)도, 시 MS(30)로부터 송신된 이벤트 정보(20a)를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취득하고, 데이터베이스(20)에 축적한다.
산출부(10d)는 이벤트 정보(20a)를 해석하여, 사회 인프라(51 내지 5n)의 특성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이벤트 정보에 관련되는 사회 인프라가 전력 인프라이면, 산출부(10d)는, 전력 인프라가 설치되는 지역의 특성, 각 가정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량이나 그것에 기초하는 배전 제어, 전력 생산량, 혹은 배전 네트워크의 상태 등을 산출한다.
선택부(10e)는, 데이터베이스(90)의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으로부터, 사회 인프라(51 내지 5n)의 특성에 적합한 모듈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대상으로 하는 전력 인프라가 도시부에 있으면, 예를 들면 디맨드 리스펀스 제어에 적합한 모듈이 선택된다. 전력 인프라가 맑은 날이 많은 지역에 있으면, PV 시스템의 역조류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모듈이 선택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사회 인프라의 특성에 적합한 모듈이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으로부터 선택된다.
작성부(30g)는, 선택된 모듈에 기초하여, 시 MS(30)의 제어부(30a)에 인스톨하는 것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작성한다. 즉 작성부(30g)는, 선택부(10e)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모듈을 조합하여, 컴파일/링크/빌드, 혹은 그것과 비슷한 처리를 실시하여 소프트웨어를 작성한다. 그때, 설정부(10g)에 의해 모듈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운로드부(10f)는,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시 MS(30)에 송신한다. 즉 다운로드부(10f)는, 당해 소프트웨어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예를 들면 압축 파일로 인코드하고, 시 MS(30)의 IP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생성한 IP 패킷을 통신망 NW의 회선에 송출한다.
카운터(80a)는, 소프트웨어가 시 MS(30)에 다운로드된 양을 카운트한다. 여기서 말하는 "양"이란, 다운로드된 수, 데이터 크기, 바이트수 등, 정량적으로 카운트 가능하여 과금의 근거로 되어야 할 양이면 어떠한 양이어도 된다.
요금 관리부(80b)는, 카운터(80a)에 의해 카운트된 양을 취득하고, 선택된 모듈의 단가에 기초하여 과금 데이터(90a)를 산출한다. 과금 데이터(90a)는 예를 들면 시읍면마다 테이블화되어 관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과금 데이터(90a)는 벤더 MS(80)의 기억부(도시 생략), 혹은 데이터베이스(90)에 기억된다. 이 과금 데이터(90a)는, 예를 들면 시 MS(30)의 운영 사업체(지방 자치 단체 등)나, 주민 등의 수익자에게 과금할 때에 사용되며, 벤더에 있어서는 수입원으로 되는 정보이다.
시 MS(30)는, 제어부(30a), 업로드부(30c) 및 수신부(1a)를 구비한다. 업로드부(30c)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를 벤더 MS(80)에,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통신망 NW의 회선에는 국가 클라우드(100), 현 클라우드(200) 등이 접속될 수 있다.
수신부(1a)는, 벤더 MS(80)로부터 시 MS(30) 앞으로 송신된 IP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시 MS(30)는, 수신한 IP 패킷의 페이로드로부터 소프트웨어의 압축 파일을 추출하고, 이 압축 파일을 디코드하여 소프트웨어를 재생하여 스스로 인스톨한다. 제어부(30a)는, 이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 하에서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시 MS(30), 현 MS(60), 국가 MS(10) 및 벤더 MS(80)는,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6)를 통하여 통신망 NW의 회선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컴퓨터이다. 이 컴퓨터는 단체로 그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 구비되는 복수의 컴퓨터의 연계 처리에 의해, 시 MS(30), 현 MS(60), 국가 MS(10) 및 벤더 MS(80)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a), 업로드부(30c), 수신부(1a), 작성부(30g), 수집부(10c), 산출부(10d), 선택부(10e), 다운로드부(10f), 카운터(80a), 요금 관리부(80b) 및 설정부(10g)를 어떻게 시스템에 임플리먼트할지는, 당업자에 의하면 용이하게 이해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되는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은 각각 고유의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모듈로 약기함)을 포함한다. 각 모듈의 실태는 특정한 언어로 기술된 코드 열이어도 되고, 기계어 레벨로까지 디코드된 바이너리 데이터, 혹은 이것을 암호화한 데이터이어도 된다.
각 모듈에는 구별을 위해서, 예를 들면 일련 번호가 부여된다. 또한 각 모듈은 예를 들면 각각의 사회 인프라에 대응하는 솔루션마다 유닛화되어 관리된다. 또한, 유닛마다, 예를 들면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서 S, A, B, …의 랭크를 설정하고, 랭크마다 모듈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계층화 구조는 다방면에 걸치는 모듈을 관리하는 데에 편리하다.
각 모듈은, 도시하지 않은 벤더(제공자)의 단말기에 의해 갱신 혹은 버전 업된다. 이에 의해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은 축차적으로 확충된다. 각 모듈의 벤더는, 모듈이 다운로드될 때마다 상응하는 과금을 서비스 수익자에게 부과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등의 비지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모듈에 의해 어떠한 기능이 제공될 것인지라고 하는 정보나, 각 모듈을 개별로 특정하기 위한 일련 번호, 갱신 이력 등은, 일람표나 XML 데이터 등의 형식으로 시 MS(30)에 통지된다. 시 MS(30)는, 이 통지된 내용으로부터, 다운로드해야 할 모듈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시 MS(30)의 주요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시 MS(30)는, 통신망 NW의 회선에 접속 가능한 인터페이스부, 유저(오퍼레이터)와의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표시부(34) 및 입출력부(36),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스토리지 유닛(35)을 구비한다. 또한 시 MS(30)는, 통신망 NW의 회선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스탠드 얼론의 상태에서도, 실시 형태에 관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 MS(30)는, 제어부(30a)(도 12) 및 프로그램 메모리(32)를 구비한다. 제어부(30a)는 소프트웨어(31)에 의해 그 기능을 한다. 소프트웨어(31)는 복수의 모듈을 조합하여 작성된다. 모듈은 프로그램 메모리(32)에 로드되어,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한 연산 처리 하에서 소프트웨어(31)의 기능을 실현한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벤더 MS(80)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벤더 MS(80)는, 시 MS(30)에 있어서 취득된 이벤트 정보를,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수집한다(스텝 S21). 다음에 벤더 MS(80)는, 수집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고(스텝 S22), 그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 인프라(51 내지 5n)의 특성을 산출한다(스텝 S23).
다음에 벤더 MS(80)는, 상기 산출한 특성에 따른 모듈을, 데이터베이스(90)의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으로부터 선택한다(스텝 S24). 그리고 벤더 MS(80)는, 선택한 모듈을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모듈을 조합하여, 컴파일이나 빌드 등의 처리를 행하여 소프트웨어(31)를 작성한다(스텝 S25).
다음에 벤더 MS(80)는, 작성한 소프트웨어(31)를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시 MS(30)에 다운로드 송신한다(스텝 S26). 그리고 벤더 MS(80)는, 소프트웨어(31)가 시 MS(30)에 다운로드된 양을 카운트하고(스텝 S27),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과금 데이터(90a)를 산출한다(스텝 S28).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벤더에 의해, 소프트웨어 모듈군(20b)과, 사회 인프라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제공된다. 그리고, 모듈, 혹은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될 때마다 과금 데이터가 산출되고, 이 과금 데이터는 소프트웨어의 수익자마다 관리된다. 이에 의해 벤더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대가로 수익자로부터 요금을 징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벤더에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확충해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작자(벤더에 속하는 오퍼레이터 등)는, 리모트 단말기(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벤더 MS(80)에 액세스하여, 다양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큐리티 인증에 통과한 오퍼레이터는, 벤더 MS(80)의 데이터베이스(90)로부터 과금 데이터(90a)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과금 데이터(90a)는 고객별 과금 데이터나 누적 과금 데이터 등으로 가공되어, 리모트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혹은, 과금 데이터(90a)를 인쇄하여 출력하거나, CSV 형식 등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데이터베이스(90)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모듈의 갱신 버전이나 개량 버전, 혹은 새롭게 개발된 모듈을, 리모트 단말기로부터 통신망 NW의 회선 경유로 업로드할 수도 있다. 이 케이스에 있어서도 인증 처리는 필요로 되겠지만, 소프트웨어 모듈을 클라우드에 저장해 둠으로써, 메인터넌스나 버전업에 관련되는 다양한 장점이 생기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사회 인프라를 구비하는 커뮤니티를 제어의 대상으로 한다. 커뮤니티는, 사람들의 생활을 지탱하는 에너지 인프라, 수도 인프라, 의료 인프라 등의 다양한 사회 인프라를 구비하고 있다. 쾌적성이나 안전성, 에너지 절약성 등을, 인프라를 통합 제어함으로써 실현하는 커뮤니티는 특히 스마트 커뮤니티라 칭해진다.
최근에는, 디벨로퍼, 관리 회사, 혹은 일괄 수전 도급 회사 등에 의해 관리되는 형태의 커뮤니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커뮤니티에서는, 전력 회사로부터 일괄적으로 수전한 전력을 커뮤니티 내의 복수의 수요자에게 분배 공급한다고 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뮤니티로서는 쇼핑몰, 아파트, 공업 단지, 혹은 주택가 등을 들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커뮤니티를 관리, 운영하는 디벨로퍼 등의, 사업자의 존재를 고려한다. 예를 들면, 전력을 전력 회사로부터 일괄 수전하여 커뮤니티에 분배하는 업자 등을, 사업자의 일례로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사업자에게, 벤더가 소프트웨어를 유상으로 제공한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K현이 상위층에 위치한다. K현의 현 클라우드(200)는,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국가 클라우드(100) 및 Y시, P시의 각 시 클라우드(300)에 접속된다.
이 중 Y시의 시 클라우드(300)는,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복수의 에리어 클라우드(400)에 접속된다. 도 16에 있어서는 K 에리어, M 에리어, Y 에리어의 각 클라우드가 도시된다.
K 에리어, M 에리어, Y 에리어 모두, Y시에 있는 자치 단체, 혹은 자치 단체군으로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K 에리어, M 에리어, Y 에리어는, 예를 들면 사람들이 생활하는, 어떤 넓이(예를 들면 3㎞ 사방권)를 갖는 구역, 공장 지대, 오피스 구역이며,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K 에리어의 에리어 클라우드(400), M 에리어의 에리어 클라우드(400), Y 에리어의 에리어 클라우드(400)는, 각각 컴퓨터(2) 및 데이터베이스 DB를 구비한다. 각 에리어 클라우드(400)는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접속함으로써, 상호의 연계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되는 시스템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Y시의 시 클라우드(300)는,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M 에리어, K 에리어(및 Y 에리어)에 접속된다. 각 에리어는 각각의 에리어를 담당하는 사업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2)를 구비한다.
M 에리어는 예를 들면 초고층의 오피스 빌딩이 늘어서 있는 빌딩가에 있어서의 커뮤니티이며, K 에리어는 예를 들면 주택가에 있어서의 커뮤니티이다. 따라서 M 에리어를 제어하는 컴퓨터(2) 및 K 에리어를 제어하는 컴퓨터(2)는, 각각의 커뮤니티에 적합(fit)한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통신망 NW의 회선에는,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소프트웨어 벤더(벤더 클라우드(500))가 접속된다. 각 컴퓨터(2)에 인스톨되는 소프트웨어는, 벤더에 의해 제공된다.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시스템은, 벤더 클라우드(500)를 구비한다. 벤더 클라우드(500)는 통신망 NW의 회선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벤더 클라우드(500)는, 벤더에 의해 관리, 운영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이며, 벤더 MS(80) 및 데이터베이스(90)를 구비한다. 벤더 클라우드(500)는 예를 들면 서버 기능을 구비하는 컴퓨터, 혹은 컴퓨터군이다. 컴퓨터는, 실시 형태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벤더 MS(80)는 컴퓨터 그 자체, 컴퓨터에 의한 처리 기능의 하나, 혹은, 데이터 센터 등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90)는 벤더 MS(80)에 구비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기억되어도 되고, 벤더 MS(80)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에 기억되어도 된다.
한편, 도 18에 있어서, 예를 들면 K 에리어, M 에리어, 혹은 Y 에리어(도 16)에 대응하는 커뮤니티(700)는 커뮤니티 클라우드(600)에 의해 관리된다. 커뮤니티 클라우드(600)는, 사업자 MS(1)를 구비한다. 사업자 MS(1)는 예를 들면 컴퓨터(2)(도 17)이며, 커뮤니티 클라우드(600)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접속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벤더 MS(80)가 서버로서의 지위에 있고, 사업자 MS(1)가 제어 장치로서의 지위에 있다.
커뮤니티(700)는 복수의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를 구비한다.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물 인프라, 열 인프라, 전기 인프라, 교통 인프라, 빌딩 인프라 등이다.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는, 각각 센서(50a), 액추에이터(50b)를 구비한다.
벤더 클라우드(500)의 벤더 MS(80)는, 실시 형태에 관한 기능 블록으로서, 수집부(10c), 산출부(10d), 선택부(10e), 작성부(80c), 다운로드부(10f), 카운터(80a), 요금 관리부(80b), 설정부(10g) 및 갱신부(80d)를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90)는, 이벤트 정보(20a)와, 소프트웨어 모듈군(20b)과, 과금 데이터(90a)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각 소프트웨어 모듈에, 예를 들면 벤더에 의해 미리 단가가 설정된다. 이 단가는 예를 들면 도 20(후술)에 도시되는 유닛마다 또는 서비스 내용에 따라서, 혹은 서비스의 랭크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무료라고 하는 단가가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집부(10c)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20a)를 사업자 MS(1)로부터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90)에 보존한다.
산출부(10d)는 이벤트 정보(20a)를 해석하여,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를 구비하는 커뮤니티(700)의 특성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이벤트 정보에 관련되는 사회 인프라가 전력 인프라 및 의료 인프라이면, 산출부(10d)는, 발전소, 변전소, 전력 그리드 및 병원 등이 설치되는 주소, 이들의 인프라가 설치되는 지역의 특성, 주민의 연령 구성, 병원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량, 혹은 우선적으로 전력을 배분해야 할 병원에 도달하는 배전 네트워크의 상태 등을 산출한다.
선택부(10e)는, 데이터베이스(90)의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으로부터, 커뮤니티(700)의 특성에 적합한 모듈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대상으로 하는 커뮤니티가 M 에리어(도 17)이면, 예를 들면 BEMS용의 디맨드 리스펀스에 적합한 모듈이 선택된다. 대상으로 하는 커뮤니티가 K 에리어이면, 예를 들면 HEMS용의 디맨드 리스펀스 제어나 호별 PV 시스템의 제어에 적합한 모듈이 선택된다. 이와 같이, 커뮤니티의 특성에 적합한 모듈이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으로부터 선택된다.
작성부(80c)는, 선택된 모듈에 기초하여, 사업자 MS(1)의 제어부(30a)에 인스톨하는 것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작성한다. 즉 작성부(80c)는,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모듈을 조합하여, 컴파일/링크/빌드, 혹은 그것과 비슷한 처리를 실시하여 소프트웨어를 작성한다. 그때, 설정부(10g)에 의해 모듈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운로드부(10f)는,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사업자 MS(1)에 송신한다. 즉 다운로드부(10f)는, 당해 소프트웨어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예를 들면 압축 파일로 인코드하고, 사업자 MS(1)의 IP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생성한 IP 패킷을 통신망 NW의 회선에 송출한다.
카운터(80a)는, 소프트웨어가 시 MS(30)에 다운로드된 양을 카운트한다. 여기서 말하는 "양"이란, 다운로드된 수, 데이터 크기, 바이트수 등, 정량적으로 카운트 가능하여 과금의 근거로 되어야 할 양이면 어떠한 양이어도 된다.
요금 관리부(80b)는, 카운터(80a)에 의해 카운트된 양을 취득하고, 다운로드된 패킷의 바이트수나, 선택된 모듈의 단가에 기초하여 과금 데이터(90a)를 산출한다.
과금 데이터(90a)는 예를 들면 사업자 혹은 커뮤니티마다 테이블화되어 관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과금 데이터(90a)는 벤더 MS(80)의 기억부(후술), 혹은 데이터베이스(90)에 기억된다. 이 과금 데이터(90a)는, 예를 들면 커뮤니티의 운영 사업체나 커뮤니티의 주민 등의 수익자에게 과금할 때에 사용되며, 벤더에 있어서는 수입원으로 되는 정보이다.
갱신부(80d)는, 산출부(10d)에 의해 산출된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사업자 MS(1)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한다. 즉 갱신부(80d)는, 사회 인프라(51 내지 5n)의 특성, 혹은 커뮤니티(700)의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사업자 MS(1)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한다.
한편, 사업자 MS(1)는, 제어부(30a), 업로드부(30c) 및 수신부(1a)를 구비한다. 업로드부(30c)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를 벤더 MS(80)에,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통신망 NW의 회선에는 현 클라우드(200), 시 클라우드(300) 등이 접속될 수 있다.
도 19는 사업자 MS(1)로부터 벤더 MS(80)에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송신되는 이벤트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벤트 정보는, 예를 들면 IP 패킷의 형태로 통신망 NW의 회선에 송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IP 패킷의 페이로드에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센싱 데이터와, 당해 센싱 데이터에 관련되는 사회 인프라의 종별과, 이 사회 인프라를 구비하는 커뮤니티(7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Identification : ID)가 예를 들면 기재된다.
IP 패킷의 헤더에는, 송신원(사업자 MS(1))의 IP 어드레스와, 멀티캐스트 어드레스가 예를 들면 기재된다. 벤더 MS(80), 국가 MS(10) 및 현 MS(60)는, 이 IP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이벤트 정보로서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IP 패킷의 페이로드에 센싱 데이터와 인프라 종별을 기재하는 형태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로 되돌아가서, 사업자 MS(1)의 수신부(1a)는, 벤더 MS(80)로부터 사업자 MS(1) 앞으로 송신된 IP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사업자 MS(1)는, 수신한 IP 패킷의 페이로드로부터 소프트웨어의 압축 파일을 추출하고, 이 압축 파일을 디코드하여 소프트웨어를 재생하여 스스로 인스톨한다. 제어부(30a)는, 이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 하에서 커뮤니티(70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사업자 MS(1)는, 벤더 MS(80)로부터 취득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커뮤니티(700)의 각 인프라(51 내지 5n)의 센서(50a), 액추에이터(50b)를 제어하여, 커뮤니티(700)에 있어서의 시민의 쾌적 또한 안전한 생활을 지원한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되는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은 각각 고유의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모듈)을 포함한다. 각 모듈의 실태는 특정한 언어로 기술된 코드 열이어도 되고, 기계어 레벨로까지 디코드된 바이너리 데이터, 혹은 이것을 암호화한 데이터이어도 된다.
각 모듈에는 구별을 위해서, 예를 들면 일련 번호가 부여된다. 또한 각 모듈은, 예를 들면 도시형 커뮤니티, 농산어촌형 커뮤니티, 쇼핑몰형 커뮤니티, 혹은 오피스형 커뮤니티 등의, 상이한 타입의 커뮤니티에 대응하는 솔루션마다 유닛화되어 관리된다.
또한, 유닛마다, 예를 들면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서 S, A, B, …의 랭크를 설정하고, 랭크마다 모듈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계층화 구조는 다방면에 걸치는 모듈을 관리하는 데에 편리하다.
각 모듈은, 벤더나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에 의해 갱신 혹은 버전 업된다. 이에 의해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은 축차적으로 확충된다. 각 모듈의 벤더는, 모듈이 다운로드될 때마다 상응하는 과금을 서비스 수익자에게 부과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등의 비지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모듈에 의해 어떠한 기능이 제공될 것인지라고 하는 정보나, 각 모듈을 개별로 특정하기 위한 일련 번호, 갱신 이력 등은, 일람표나 XML 데이터 등의 형식으로 시 MS(30)에 통지된다. 사업자 MS(1)는, 이 통지된 내용으로부터, 다운로드해야 할 모듈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은 사업자 MS(1)의 주요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사업자 MS(1)는, 통신망 NW의 회선에 접속 가능한 인터페이스부, 유저(오퍼레이터)와의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표시부(34) 및 입출력부(36),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스토리지 유닛(35)을 구비한다. 또한 사업자 MS(1)는, 통신망 NW의 회선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스탠드 얼론 상태에서도, 실시 형태에 관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업자 MS(1)는, 제어부(30a)(도 18) 및 프로그램 메모리(32)를 구비한다. 제어부(30a)는 소프트웨어(31)에 의해 그 기능을 한다. 소프트웨어(31)는 복수의 모듈을 조합하여 작성된다. 모듈은 프로그램 메모리(32)에 로드되어,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한 연산 처리 하에서 소프트웨어(31)의 기능을 실현한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되는 벤더 MS(80)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벤더 MS(80)는, 입출력부(14), 인터페이스부(6), 기억부(13), Central Processing Unit(CPU)(11) 및 프로그램 메모리(12)를 구비한다. 즉 벤더 MS(80)는, 프로그램 메모리(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11)가 실행함으로써 기능하는 컴퓨터이다.
입출력부(14)는, 오퍼레이터 등에 의해 조작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조작 패널이나 스위치 등)이다. 입출력부(14)는, Graphical User Interface(GUI) 환경을 형성하여 유저에 의한 정보 입력을 접수하고, 또한,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부(6)는 통신망 NW의 회선 및 데이터베이스(90)에 접속되어, 통신망 NW의 회선 및 각 클라우드(500, 200, 300, 600)와의 통신 기능을 담당한다. 기억부(46)는 과금 데이터(90a)를 기억한다.
프로그램 메모리(12)는,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 기능에 필요한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서의, 수집 프로그램 P1, 산출 프로그램 P2, 선택 프로그램 P3, 작성 프로그램 P4, 다운로드 프로그램 P5, 카운트 프로그램 P6, 요금 관리 프로그램 P7, 설정 프로그램 P8 및 갱신 프로그램 P9를 기억한다. 이들 프로그램은, CD-ROM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도, 통신 회선(통신망 NW의 회선을 포함함)을 통하여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CPU(11)는 프로그램 메모리(12)로부터 각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하드웨어에 의한 연산 처리를 행하는 것이며, 그 처리 기능으로서, 상기 설명한 수집부(10c), 산출부(10d), 선택부(10e), 작성부(80c), 다운로드부(10f), 카운터(80a), 요금 관리부(80b), 설정부(10g) 및 갱신부(80d)를 구비한다.
도 23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벤더 MS(80)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에 있어서 벤더 MS(80)는, 사업자 MS(1)에 있어서 취득된 이벤트 정보를, 도 19에 도시된 IP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수집한다(스텝 S31). 다음에 벤더 MS(80)는, 수집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고(스텝 S32), 그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를 포함하는 커뮤니티의 특성을 산출한다(스텝 S33).
다음에 벤더 MS(80)는, 상기 산출한 특성에 따른 모듈을, 데이터베이스(90)의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으로부터 선택한다(스텝 S34). 그리고 벤더 MS(80)는, 선택한 모듈을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모듈을 조합하여, 컴파일이나 빌드 등의 처리를 행하여 소프트웨어(31)를 작성한다(스텝 S35).
다음에 벤더 MS(80)는, 작성한 소프트웨어(31)를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사업자 MS(1)에 다운로드 송신한다(스텝 S36). 그리고 벤더 MS(80)는, 소프트웨어(31)가 사업자 MS(1)에 다운로드된 양을 카운트하고(스텝 S37),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과금 데이터(90a)를 산출한다(스텝 S38).
이상의 수순은 부정기적으로, 혹은 정기적으로 반복하여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시간의 경과 등에 수반되는 커뮤니티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사업자 MS(1)의 소프트웨어는 부정기적으로, 혹은 정기적으로 갱신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벤더 MS(80)에 의해 커뮤니티(700)의 특성을 산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벤더(80)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사업자 MS(1)는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수신하고, 스스로 인스톨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소프트웨어를 작성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벤더 MS(80)측에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나 과금 데이터, 라이센스 정보 등을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에 의해 시스템 벤더 및 커뮤니티(700)의 사업자 양쪽에 있어서 유익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벤더에 의해, 커뮤니티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제공된다. 그리고,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될 때마다 과금 데이터가 산출되고, 이 과금 데이터는 소프트웨어의 수익자마다 관리된다. 이에 의해,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인센티브를 벤더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커뮤니티에 생활하는 시민은 물론, 소프트웨어 벤더에게 있어서도 유익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회 시스템으로서의 커뮤니티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시시각각 수집되는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커뮤니티의 특성을 산출하고,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커뮤니티의 발전 혹은 축소에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버전 업해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는 제4 실시 형태의 벤더 MS(80)에 있어서의 갱신부(80d)의 작용을 상세하게 개시한다.
도 24는 사회 인프라 및 커뮤니티의 발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예를 들면 K 에리어(도 17)가 형성된 초기 단계에서는,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요자의 수, 혹은 스마트 미터(5)의 수도, 초기 상태에 걸맞은 수로 된다. 스마트 미터(5)는 이벤트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50a)의 일례이다. 스마트 미터(5)에 의하면, 수요자마다의 전력 수요, 전력 소비량, PV 시스템의 발전량 등이, 이벤트 정보로서 취득된다.
도 24의 (a)의 상태로부터 K 에리어의 커뮤니티가 발전해 가면,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 및 수요자의 수가 증가하고, 이에 수반하여 스마트 미터(5)의 수가 증가한다. 또한, 초기 단계에서는 스마트 미터(5)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주택에도, 후에 스마트 미터(5)가 설치되는 것도 생각된다. 이와 같이 커뮤니티의 발전에 수반하여, 센서의 수가 증대되어 가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벤더 MS(80)의 갱신부(80d)는, 예를 들면 사업자 MS(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혹은 이벤트 정보에 기재되는 센서 ID의 수를 임계값 판정하여, 사업자 MS(1)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벤더 MS(80)는 그때까지 축적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커뮤니티의 새로운 특성을 산출한다. 이 특성에 기초하여 벤더 MS(80)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고,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작성하여 사업자 MS(1)에 다운로드 송신한다. 이와 같이 제4 및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커뮤니티의 발전에 수반하여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되므로, 커뮤니티의 운영 사업자, 혹은 수요자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 실시 형태]
도 25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5에 있어서 도 3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여기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5에 도시된 시스템은, 커뮤니티의 특성을 해석하는 기능 및 모듈을 선택하는 기능을 커뮤니티 클라우드(600)의 사업자 MS(1)에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즉 사업자 MS(1)는, 제어부(30a), 수집부(30b), 업로드부(30c), 산출부(30d), 선택부(30e), 다운로드부(30f), 작성부(30g) 및 설정부(30h)를 구비한다. 벤더 MS(80)는, 취득부(10a) 및 송신부(10b)를 구비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벤더 MS(80)가 서버로서의 지위에 있고, 사업자 MS(1)가 제어 장치로서의 지위에 있다.
제어부(30a)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50b)에 제어 지시를 내려,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를 제어한다.
수집부(30b)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40)에 보존한다.
업로드부(30c)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를, 벤더 클라우드(500)의 벤더 MS(80)에,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송신한다. 즉 업로드부(30c)는, 이벤트 정보를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송신한다.
산출부(10d)는 이벤트 정보(40a)를 해석하여, 사회 인프라(51 내지 5n)를 구비하는 커뮤니티(700)의 특성을 산출한다.
선택부(30e)는, 데이터베이스(90)의 소프트웨어 모듈군(20b)으로부터, 커뮤니티(700)의 특성에 적합한 모듈을 선택한다.
다운로드부(30f)는, 선택부(30e)에 의해 선택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데이터베이스(90)로부터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사업자 MS(1)에 다운로드한다. 즉 소프트웨어 모듈을, 데이터베이스(90)로부터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취득한다. 작성부(30g)는,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조합하여, 제어부(30a)의 소프트웨어를 작성한다.
특히 작성부(30g)는, 예를 들면 선택부(30e)에 의해 소프트웨어 모듈의 선택이 실시되면, 그때마다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소프트웨어를 갱신(업데이트)한다.
설정부(30h)는, 선택된 소프트웨어 모듈의 파라미터를, 상기 산출된 특성에 따라서 설정한다. 설정부(30h)는 이 파라미터를 조작하여, 소프트웨어를 커뮤니티의 특성에 매치시킨다.
벤더 MS(80)의 취득부(10a)는, 사업자 MS(1)로부터 송신된 이벤트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된 이벤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90)에 이벤트 정보(20a)로서 축적된다. 송신부(10b)는, 사업자 MS(1)로부터 요구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사업자 MS(1)에 송신한다.
도 26은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사업자 MS(1)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에 있어서 사업자 MS(1)는,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를 수집한다(스텝 S41). 다음에 사업자 MS(1)는, 수집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고(스텝 S42), 그 결과에 기초하여, 커뮤니티(700)의 특성을 산출한다(스텝 S3).
다음에 사업자 MS(1)는, 상기 산출한 특성에 따른 모듈을, 예를 들면 미리 통지되는 일람표(도 6에 도시된 소프트웨어 모듈군(20b))로부터 선택한다(스텝 S44). 다음에 사업자 MS(1)는, 선택한 모듈의 송신을, 통신망 NW의 회선을 통하여 벤더 MS(80)에 요구한다. 그리고 사업자 MS(1)는, 선택한 모듈을, 벤더 클라우드(500)의 데이터베이스(90)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45). 그리고 사업자 MS(1)는, 취득한 모듈을 조합하여, 컴파일이나 빌드 등의 처리를 행하여 소프트웨어(31)를 작성한다(스텝 S46).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사업자 MS(1)에 있어서 커뮤니티(700)의 특성을 산출하고, 이에 의해 커뮤니티가 요구하는 솔루션을 파악하고, 그것에 따른 모듈을 벤더 클라우드(500)로부터 취득한다. 이에 의해, 소위 테일러메이드하도록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를 그대로 벤더 MS(80)에 송신하여 집중적으로 축적함과 함께, 사업자 MS(1)에 있어서도 로컬로 유지한다. 이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커뮤니티의 특성을 산출하고, 그 결과에 따른 모듈을 선택하여 사업자 MS(1)에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다운로드한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사회 인프라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였으므로, 각 커뮤니티에서의 사회 시스템의 관리, 운영에 필수적인 소프트웨어를 테일러메이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산출부(30d, 10d)에 의해 산출된 사회 인프라의 특성이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모듈, 혹은 작성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성능 등을 시각화하여, 시 MS(30)의 표시부(34)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솔루션마다 유일한 것을 작성해도 되고, 복수의 솔루션에서 공용하도록 해도 된다.
도 27은 소프트웨어 모듈군의 분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홈, 빌딩, 공장의 복수의 인프라를 생각한다. 홈 인프라는 가정 및 아파트를 포함하고, 빌딩 인프라는 고층 빌딩, 저층 빌딩, 인텔리전트 빌딩을 포함하고, 공장 인프라는 대규모 공장 및 소규모 공장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비용 절감을 실현하는 모듈은, 가정 및 저층 빌딩에 있어서 특히 요구가 높은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케이스에서는, 비용 절감용의 모듈을 가정과 저층 빌딩에서 공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에너지 절약을 실현하기 위한 모듈은, 예를 들면 아파트, 고층 빌딩, 인텔리전트 빌딩 및 대규모 공장에서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나의 모듈을 복수의 솔루션에서 공용하도록 하면, 모듈 개발에 드는 비용이나 수고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작성하기 위한 모듈의 조합은, 유일하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복수의 모듈의 조합을 머신측에서 선택하고, 각 조합 하에서 얻어지는 소프트웨어의 성능, 제공 가능한 서비스 등을 표시하여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소프트웨어의 작성 시에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개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특히 행정 서비스의 제공자에게 있어서는 유용하고, 요구도 높을 것이다.
또한, 센서(50a)에 의해 검지된 이벤트 정보는 국가 클라우드(100), 현 클라우드(200), 시 클라우드(300), 혹은 벤더 클라우드(500), 커뮤니티 클라우드(600)의 어디에 축적되어도 된다. 소프트웨어 모듈군(20b), 산출부(10d), 선택부(10e), 설정부(10g), 수집부(30b), 산출부(30d), 선택부(30e), 작성부(30g), 설정부(30h), 카운터(80a), 과금 처리부(80b), 작성부(80c), 갱신부(80d) 등의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시스템 내의 장소를 불문하고 임플리먼트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들 기능 블록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혹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으로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2)

  1.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으로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커뮤니티의 사회 인프라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복수의 모듈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회 인프라에 관한 이벤트를 검지하고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수집된 상기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사회 인프라 또는 상기 커뮤니티의 특성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산출된 상기 특성에 따른 모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된 상기 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작성부를 구비하는,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듈에 미리 설정되는 단가에 기초하는 과금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더 구비하는,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당해 모듈의 기능을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된 모듈이 상기 파라미터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산출된 특성에 따라서 당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갱신부를 더 구비하는,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5. 복수의 모듈로부터 작성되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커뮤니티의 사회 인프라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로서,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사회 인프라에 관한 이벤트에 관련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수집된 상기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사회 인프라 또는 상기 커뮤니티의 특성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복수의 모듈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된 상기 특성에 따른 모듈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는,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작성부와,
    작성된 상기 소프트웨어를 상기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모듈에 미리 설정되는 단가에 기초하는 과금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더 구비하는, 서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당해 모듈의 기능을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구비하고,
    선택된 상기 모듈이 상기 파라미터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산출된 특성에 따라서 당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서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갱신부를 더 구비하는, 서버.
  10.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커뮤니티의 사회 인프라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사회 인프라에 관한 이벤트에 관련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수집된 상기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사회 인프라 또는 상기 커뮤니티의 특성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서버에 상기 특성을 통지하는 통지부와,
    상기 특성의 통지에 따라서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소프트웨어 또는 모듈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작성부를 더 구비하는,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상기 서버에 요구하는 요구부를 더 구비하는, 제어 장치.
  13. 제어 방법으로서,
    커뮤니티의 사회 인프라에 관한 이벤트를 검지하는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사회 인프라 또는 상기 커뮤니티의 특성을 산출하고,
    복수의 모듈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된 상기 특성에 따른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소프트웨어를 작성하고,
    작성된 상기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사회 인프라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14. 제어 방법으로서,
    사회 인프라에 관한 이벤트를 검지하는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사회 인프라 또는 상기 사회 인프라를 갖는 커뮤니티의 특성을 산출하고,
    복수의 모듈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된 상기 특성에 따른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모듈로부터 작성되는 상기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사회 인프라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또한, 선택된 상기 모듈에 미리 설정되는 단가에 기초하는 과금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어 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당해 모듈의 기능을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구비하고,
    또한, 선택된 상기 모듈이 상기 파라미터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산출된 특성에 따라서 당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어 방법.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 방법.
  18.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커뮤니티의 사회 인프라에 관한 이벤트를 검지하는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사회 인프라 또는 상기 커뮤니티의 특성을 산출하고,
    복수의 모듈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된 상기 특성에 따른 모듈을 선택하는, 프로그램.
  19. 제18항에 있어서,
    또한, 선택된 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프로그램.
  20. 제18항에 있어서,
    또한, 선택된 상기 모듈에 미리 설정되는 단가에 기초하는 과금 데이터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당해 모듈의 기능을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구비하고,
    또한, 선택된 상기 모듈이 상기 파라미터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산출된 특성에 따라서 당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프로그램.
  22. 제18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프로그램.
KR20137005992A 2012-03-30 2013-02-20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서버,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30133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1090 2012-03-30
JP2012081090 2012-03-30
PCT/JP2013/054160 WO2013145951A1 (ja) 2012-03-30 2013-02-20 社会インフラ制御システム、サーバ、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33740A Division KR20140146671A (ko) 2012-03-30 2013-02-20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서버,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758A true KR20130133758A (ko) 2013-12-09

Family

ID=492592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05992A KR20130133758A (ko) 2012-03-30 2013-02-20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서버,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47033740A KR20140146671A (ko) 2012-03-30 2013-02-20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서버,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33740A KR20140146671A (ko) 2012-03-30 2013-02-20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 서버,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38066A4 (ko)
JP (1) JP5981418B2 (ko)
KR (2) KR20130133758A (ko)
CN (1) CN103443819A (ko)
SG (1) SG194419A1 (ko)
WO (1) WO20131459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7646A1 (de) 2013-11-05 2015-05-07 Hyundai Mobis Co., Ltd. Griffanordnung eines Handschuhfaches für ein Fahrzeug
KR101658358B1 (ko) 2015-11-16 2016-09-30 (주)대신테크 공압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9182B (zh) * 2014-10-08 2017-12-19 天津大学 基于聚类的城市基础设施突发事件的检测方法
JP6891484B2 (ja) 2016-12-22 2021-06-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005700B2 (ja) * 2020-07-10 2022-02-04 京セラ株式会社 ファームウェア提供システム、ファームウェア提供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7150A (ja) * 1994-11-22 1996-06-07 Toshiba Corp プログラム作成装置
JPH1145101A (ja) * 1997-07-25 1999-02-1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監視制御システム
US6516304B1 (en) * 1998-03-04 2003-02-04 Ricoh Company, Ltd. System component charging and accounting system
JPH11338696A (ja) * 1998-03-04 1999-12-10 Ricoh Co Ltd ソフトウェアモジュ―ルの課金システム
JP3352411B2 (ja) * 1998-03-05 2002-12-03 株式会社東芝 制御システム、電力系統保護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4034712B2 (ja) * 2003-08-20 2008-01-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分散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09655B2 (ja) * 2005-11-07 2011-0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部品の付属データ生成装置
JP2008299587A (ja) * 2007-05-31 2008-12-11 Brother Ind Ltd ソフトウェア処理装置、付随情報書込装置及びソフトウェア管理システム
CA2768799C (en) * 2009-07-20 2021-02-23 Allure Energy, Inc.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401709B2 (en) * 2009-11-03 2013-03-19 Spirae, Inc. Dynamic distributed power grid control system
KR101622407B1 (ko) * 2010-04-22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N102193551B (zh) * 2011-05-31 2013-02-27 北京许继电气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智能家居用电潮流优化管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7646A1 (de) 2013-11-05 2015-05-07 Hyundai Mobis Co., Ltd. Griffanordnung eines Handschuhfaches für ein Fahrzeug
KR101658358B1 (ko) 2015-11-16 2016-09-30 (주)대신테크 공압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8066A1 (en) 2015-02-18
CN103443819A (zh) 2013-12-11
JP5981418B2 (ja) 2016-08-31
WO2013145951A1 (ja) 2013-10-03
KR20140146671A (ko) 2014-12-26
SG194419A1 (en) 2013-12-30
JPWO2013145951A1 (ja) 2015-12-10
EP2838066A4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4208B2 (en) Smartgrid energy-usage-data storage and presentation systems, devices, protocol, and processes including an announcement protocol
US9002670B2 (en) Smartgrid energy-usage-data storage and presentation systems, devices, protocol, and processes including a storage distribution process
JP5981418B2 (ja) 社会インフラ制御システム、サーバ、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92099B2 (ja) 社会インフラ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サーバ
ES2720187T3 (es) Procedimiento para la adquisición de datos de ciclo corto para la monitorización de energía y para el control de red en la medición inteligente/red inteligente usando un software intermedio inteligente, distribuido
MX2011013006A (es) Red electrica inteligente a traves de una red de comunicacion de linea electrica.
WO2012173189A1 (ja) 情報統合制御システムと情報処理プログラム、社会インフラ運用システム、運用方法、ローカル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195576A1 (en) Smartgrid energy-usage-data storage and presentation systems, devices, protocol, and processes
CN105226826B (zh) 分布式智能用电管理方法及系统
JP2017004573A (ja) インフラ制御システム、サーバ、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028110A (zh) 一种面向多对象的智能社区综合管理系统
US20130261801A1 (en) Social infrastructure control system, server,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medium
Pol et al. Integration of centralized energy monitoring specifications into the planning process of a new urban development area: a step towards smart cities
G Bhatt et al. E-Governance for Solar Photo Voltaic Powergrid: Solar City Gandhinagar, Gujarat, India
Griful et al. Multi-modal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Residential Demand Response
Caffarel et al. Bat-mp: An ontology-based energy management platform
US20130262580A1 (en) Social infrastructure control system, server, control method, and medium
Prakash et al. An Introduction to Smart Building Energy Management
Ahuja et al. Importance of smart metering in diverse fields of smart cities
KR102041156B1 (ko) 스케줄러 기반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Hill et al. 4 District Energy Management Scheduling using a Participatory Local Energy Market
CN116723148A (zh) 一种实现信息流和能量流融合的能源路由器系统
Sun et al. Energy Management Technologies for Smart Home Applications
Zheng Short-term load forecasting using neural network for future smart grid application
ISEP et al. D2. 3–ENCOURAGE platform reference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