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583A -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583A
KR20130133583A KR1020120056959A KR20120056959A KR20130133583A KR 20130133583 A KR20130133583 A KR 20130133583A KR 1020120056959 A KR1020120056959 A KR 1020120056959A KR 20120056959 A KR20120056959 A KR 20120056959A KR 20130133583 A KR20130133583 A KR 20130133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mmunication
antenna device
electronic device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442B1 (ko
Inventor
이동현
곽용수
강경균
손철홍
정성태
변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442B1/ko
Priority to US13/865,645 priority patent/US9502779B2/en
Priority to EP13166172.0A priority patent/EP2669997A1/en
Priority to CN2013102004750A priority patent/CN103457038A/zh
Publication of KR2013013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14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용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주변에서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급전부에 동시에 급전되도록 배치되는 통신용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여, 방송용 안테나 장치 주변의 불용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작동에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한 방사 성능을 유지토록 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ANTENNA FOR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스마트 폰으로 대별되는 통신을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반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과의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에 MP3 음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음악을 청취할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웹 서핑을 즐길 수도 있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고화소의 촬상 소자(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스틸 사진은 물론 동영상, 특히 입체 영상 촬영 기능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방송용 통신 모듈 및 방송용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공중파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용 단말기로 즐길 수 있는 방송은 예를 들어,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국내),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유럽), one-seg(일본),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중남미)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방송용 안테나 장치는 특성상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일정 길이(대체적으로 100mm ~ 110mm)를 가지며 내장되어 있고, 출몰식(retractable type)으로 구성되어 방송을 수신할 경우 안테나 장치를 전자 장치에서 신장시켜 사용하고, 방송을 수신하지 않을 경우 전자 장치의 내부에 잠입시켜 휴대의 용이성을 증가시켰다.
한편, 상술한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들을 모두 구비하면서도 디자인은 좀더 미려하고 부피는 더욱 슬림하게 변모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장치의 제조자들은 해당 기능에 따라 장치에 수반되는 해당 어셈블리들의 기능을 좀더 우수한 방향으로 발전시키면서 소형화하여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 전체의 부피를 줄이고자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통신용 메인 안테나 장치 이외에 WiFi용 안테나 장치, GPS용 안테나 장치, LTE용 서브 안테나 장치 등 다양한 부가 안테나 장치들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모두 설치되어야 하는 바, 각각의 안테나 장치들이 근접하게 되면 커플링에 의해 상호 간섭을 받고 결과적으로 해당 기능에 대한 방사 성능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장치 제조자들은 이러한 안테나 장치들의 상호 간섭을 회피하면서도 장치의 불용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설치 공간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경우 그 주변에 통신용 안테나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방송용 안테나 장치와의 예기치 않은 커플링에 의해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출몰식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신장 및 잠입에 따라 주변에 설치된 통신용 안테나 장치는 성능 변화가 발생하고 이는 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주변, 특히 기판의 방송용 모듈에 급전되며 방송용 안테나 장치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부싱 및 부가 연결 수단(예를 들어, C-클립)이 배치되는 주변에는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안테나 장치를 설치할 수가 없고 이러한 불용 공간의 발생은 장치의 슬림화 및 다기능화라는 최근 추세에 역행하는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불용 공간을 배제시켜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용 안테나 장치 주변에 통신용 안테나 장치를 설치하더라도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작동에 관계 없이 항상 동일한 성능을 유지시키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주변 불용 공간에 통신용 안테나 장치를 설치하고, 방송용 안테나 장치와 동일 급전점을 갖도록 하여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고 장치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방송용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주변에서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급전부에 동시에 급전되도록 배치되는 통신용 안테나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급전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는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성 부싱(bushing)의 지지를 받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출몰식(retractable)으로 동작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용 안테나 패턴은 상기 부싱에 직접 접촉되거나, 상기 부싱에 고정되는 금속성 접촉부, 다수의 금속성 돌기들, C-클립, 금속 스크류 체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술한 통신용 안테나 패턴은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 외면, 내면 또는 인서트 몰딩에 의한 삽입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더욱이, 통신용 안테나 패턴은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에 패터닝 방식으로 형성되는 일정 형상의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용 안테나 장치가 방송용 안테나 장치와 동일 급전점을 갖도록 하여 그 주변의 불용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작동에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한 방사 성능을 유지토록 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안테나 장치가 방송용 안테나 장치와 함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안테나 장치가 방송용 안테나 장치와 함께 기판상에 동일 급전점을 갖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안테나 장치가 방송용 안테나 장치와 동일 급전점을 갖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안테나 장치가 방송용 안테나 장치와 동일 급전점을 갖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설치 예시도; 및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잠입 및 신장시의 주변에 배치된 통신용 안테나 장치의 이득 및 반사 계수를 비교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로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용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통신용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전자 장치로는 예컨대,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용 안테나 장치 이외의 통신용 모듈 및 통신용 안테나 장치에 의한 음성, 영상, 데이터 송수신 등의 통신 기능을 갖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컴퓨터,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전자 장치(100)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01)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2)가 배치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상부에는 이어 피스(ear piece)(103)가 설치되고, 하측으로 마이크로폰 장치(104)가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단부에는 출몰식(retractable)으로써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가 설치된다. 상술한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는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지 않을 경우 전자 장치(100)의 내부로 완전히 잠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휴대성이 향상된다. 반대로,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2)를 사용하여 방송을 시청할 경우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를 전자 장치에서 완전히 신장시킨 상태 즉,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가장 좋은 상태로 위치시킨 후 방송을 시청한다. 미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는 전자 장치(100)의 종방향으로 완전히 신장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와 함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105)을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도, 후면의 배터리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107)이 설치되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6) 등 부가 기능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일측에는 종방향으로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D를 포함하고 있으며, 종래에는 이러한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가 설치되는 영역의 주변 공간 C에는 상술한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와의 커플링으로 인한 방사 특성 저하에 의해 별도의 통신용 안테나 장치가 설치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통신용 안테나 장치는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와 상당히 멀리 이격된 거리를 갖는 도시된 영역 A 또는 B 등에 설치되어 왔고, 이러한 불용 공간 C는 전자 장치(100)의 슬림화에 역행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간 C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설치되어도 근처에 배치된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의 간섭에 의한 방사 성능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상술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와 동일 급전점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에 기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안테나 장치(10)가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와 함께 기판(20)에 동일 급전점을 갖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안테나 장치가 방송용 안테나 장치와 동일 급전점을 갖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안테나 장치의 급전 구조를 설명하면,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20)에는 방송용 모듈(123)과 통신용 모듈(122)이 별도로 구비된다. 또한, 기판(20)에는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를 급전하기 위한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25)가 배치되어 있다. 기판(20)의 상술한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25)가 배치되는 주변에는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를 지지하기 위한 금속성 부싱(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금속성 부싱(23)이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술한 금속성 부싱(23)은 기판(20)의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25)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부싱(23)이 기판(20)과 분리되어 설치될 경우 별도의 전기적 연결 수단, 예를 들어 C-클립(C-clip)과 같은 연결 수단에 의해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역시, 상술한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25)에는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급전부(25)가 기판(20)의 통신용 모듈(122)에 패턴 등의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는 별도의 통신용 급전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25)에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와 동시에 급전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의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와 통신용 안테나 장치는 다이플렉서(120)에 의해 방송용 신호 및 통신용 신호로 각각 필터링 되며, 방송 신호는 방송용 모듈(모뎀)(123)에서 처리되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30)로 제공되며, 통신 신호는 FEM(Front End Module)(120)에 의해 RF 증폭되어 통신용 모듈(모뎀)(122)에 제공되며 최종적으로 제어부(130)에 의해 처리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와 동일 급전점을 갖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설치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안테나 장치(110)는 기판(20) 또는 그 주변에 고정되어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도 3의 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성 부싱(23)의 지지를 받는다. 따라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 역시 이러한 금속성 부싱(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a는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전자 장치(100)의 케이스 프레임(108)의 외면에 부착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통신용 안테나 장치(10)의 패턴(11)은 케이스 프레임(108)의 외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며, 이러한 패턴(11)의 일단은 급전단(12)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프레임(108)을 관통하여 부싱(23)에 고정된 접촉부(231)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패턴(11)의 단부는 기판(20)에 배치된 커패시터(21)와 소정의 전기적 연결 수단(2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폐루프를 갖는 안테나 장치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전기적 연결 수단으로 세선 케이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5b는 역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전자 장치(10)의 케이스 프레임(108)의 외면에 부착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통신용 안테나 장치(10)의 패턴(11)은 케이스 프레임(108)의 외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며, 이러한 패턴(11)의 일단은 급전단(12)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프레임(108)을 관통하여 부싱(23)에 설치된 다수의 금속성 돌기(232)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c는 역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전자 장치(100)의 케이스 프레임(108)의 외면에 부착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통신용 안테나 장치(10)의 패턴(11)은 케이스 프레임(108)의 외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며, 이러한 패턴(11)의 일단은 급전단(12)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프레임(108)을 관통하여 부싱(23)에 고정된 금속성 접촉부(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는 부싱(23)의 스크류 체결부(233)를 관통하여 상술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의 급전단(12)에 체결되는 금속성 스크류(234)에 의해 체결되는 방식으로 고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크류(234) 체결에 의해 상술한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10)는 전자 장치(100)의 케이스 프레임에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5d는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전자 장치(100)의 케이스 프레임(108)의 내면에 부착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이때, 통신용 안테나 장치(10)의 패턴(11)은 케이스 프레임(108)의 내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며, 케이스 프레임(108)과 기판(20)이 조립될 때 통신용 안테나 장치(10)의 급전단(12)이 자연스럽게 부싱(23)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케이스 프레임(108)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는 안테나 설치 공간이 부족할 때 유리할 것이다.
도 5e는 통신용 안테나 장치(10)의 패턴(11)이 케이스 프레임(108)에 인서트 몰딩(insert-molding)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인서트 몰딩에 의해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의 패턴(11)은 자연스럽게 케이스 프레임(108)내에 고정될 것이여, 케이스 프레임(108)의 내면으로 돌출된 급전단(12)이 부싱(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케이스 프레임(108)의 외면 및 내면에 배치될 수 있는 안테나 설치 공간이 부족할 때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모두 케이스 프레임(108)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술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가 기판의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도 3의 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싱(23)에 동시에 급전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고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부싱(23)에 고정되면서도 케이스 프레임(108)에 접촉되지 않고 케이스 프레임과 기판 사이의 공간에 패턴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자립 형태를 갖는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공간이 허여된다면 상술한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특정 패턴 형태로 기판(20)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안테나 장치(10)는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만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통신 모듈 및 통신 모듈과 안테나 방사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전기적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안테나 장치(10)의 패턴(11) 및 급전단(12)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패턴(11) 및 급전단(12)이 서로 전기적인 연결 구성을 갖는다면 분리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는 금속성 플레이트, 가요성 인쇄회로(FPC) 등 다양한 도전체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는 전자 장치(100)의 케이스 프레임(108)에 본딩의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이 유리하나, 초음파 융착 등 여타 공지의 고정 작업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이러한 통신용 안테나 장치(10)로는 공지의 WiFi, GPS, 블루투스 안테나 장치, LTE용 추가 안테나 장치, 메인 대역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등 다양한 통신용 안테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방송용 안테나 장치는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one-seg,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등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잠입 및 신장시의 주변에 배치된 통신용 안테나 장치의 이득 및 반사 계수를 비교한 그래프로써, 방송용 안테나 장치가 설치된 종래의 불용 공간상에 GPS 통신용 안테나 장치를 배치시키고 이에 대한 실험하였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잠입 및 신장 동작에 관계 없이 반사 계수 및 이득이 나오는 주파수는 크게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안테나 장치를 종래에는 설치하지 못하였던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주변 불용 공간에 설치하더라도 상술한 통신용 안테나 장치의 방사 성능 열화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0: 통신용 안테나 장치 11: 패턴
12: 급전단 20: 기판
23: 부싱(bushing) 25: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
110: 방송용 안테나 장치

Claims (13)

  1. 방송용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주변에서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급전부에 동시에 급전되도록 배치되는 통신용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급전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는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의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성 부싱(bushing)의 지지를 받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출몰식(retractable)으로 동작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안테나 패턴은 상기 부싱에 직접 접촉되거나, 상기 부싱에 고정되는 금속성 접촉부, 다수의 금속성 돌기들, C-클립, 금속 스크류 체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는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one-seg,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중 어느 하나의 대역에서 동작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안테나 패턴은 상기 방송용 안테나 장치 근처의 상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 외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스 프레임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상기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에 급전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에 인서트 몰딩(insert-molding)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며 그 단부가 케이스 프레임의 내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에 급전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전자 장치의 기판에 패터닝 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방송용 안테나 급전부에 급전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안테나 패턴의 일단은 상기 전자 장치의 기판에 실장된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루프 형태의 안테나 장치로 동작하도록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안테나 패턴은 GPS, BT, WiFi, 메인 다이버시티 안테나 및 LTE용 서브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에서 동작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용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전자 장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인 통신용 전자 장치.
KR1020120056959A 2012-05-29 2012-05-29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KR101893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59A KR101893442B1 (ko) 2012-05-29 2012-05-29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US13/865,645 US9502779B2 (en) 2012-05-29 2013-04-18 Antenna apparatus including broadcasting antenna and communicating antenna radiator for electronic device
EP13166172.0A EP2669997A1 (en) 2012-05-29 2013-05-02 Antenna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CN2013102004750A CN103457038A (zh) 2012-05-29 2013-05-27 电子设备的天线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59A KR101893442B1 (ko) 2012-05-29 2012-05-29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583A true KR20130133583A (ko) 2013-12-09
KR101893442B1 KR101893442B1 (ko) 2018-10-04

Family

ID=4823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959A KR101893442B1 (ko) 2012-05-29 2012-05-29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02779B2 (ko)
EP (1) EP2669997A1 (ko)
KR (1) KR101893442B1 (ko)
CN (1) CN1034570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5379A (zh) * 2015-06-16 2015-10-07 成都西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外接天线的运动相机
CN104953286B (zh) * 2015-06-30 2018-06-1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的天线信号调谐装置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224B1 (ko) * 1998-02-27 2002-02-27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되도록 적용되는 안테나
KR100263181B1 (ko) * 1998-02-27 2000-08-01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 안테나
KR100274949B1 (ko) * 1998-11-14 2000-12-15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중밴드 자동 안테나 장치
EP1075042A2 (en) * 1999-08-06 2001-02-07 Sony Corporation Antenna apparatus and portable radio set
SE0001537L (sv) 2000-04-27 2001-10-28 Allgon Ab Antennanordning och ett sätt att tillverka en sådan anordning
KR20020022484A (ko) * 2000-09-20 2002-03-27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이중대역 안테나 구현장치 및휩 안테나 연동방법
JP2005176302A (ja) * 2003-09-26 2005-06-30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のアンテナ装置および放送波を受信可能な無線機
MXPA06012487A (es) 2004-04-30 2007-05-10 Amphenol T & M Antennas Ensamble de antena plegable y flexible de contacto de presilla para un dispositivo.
KR101394268B1 (ko) 2007-09-27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본체 내부에 추가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고 있는 휴대단말기
KR100944932B1 (ko) * 2009-02-27 2010-03-02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이동통신 단말기
TWI404264B (zh) 2009-09-02 2013-08-01 Mstar Semiconductor Inc 多頻天線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57038A (zh) 2013-12-18
US20130321217A1 (en) 2013-12-05
EP2669997A1 (en) 2013-12-04
US9502779B2 (en) 2016-11-22
KR101893442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1515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10361743B2 (en) Mobile terminal
KR102010523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US9008737B2 (en) Mobile terminal and an antenna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129799B1 (ko) 이동 단말기
US7656354B2 (en)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71351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150017179A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JP3955041B2 (ja) 携帯電話機
US20100090921A1 (en) Built-i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20150171508A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with antenna device
KR101893442B1 (ko)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안테나 장치
KR20160125831A (ko) 이동 단말기
KR102053867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20130106213A (ko) 이동 단말기
JP2009111698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給電ケーブル配線方法
KR20090079720A (ko) 외장 케이스 일체형 방송 수신용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US8271060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2009290600A (ja) アンテナ素子及び無線通信装置
KR20090017907A (ko)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827114B1 (ko)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160034576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4069A (ko) 이동 단말기
JP2011176604A (ja) 携帯端末
JP2014127736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