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455A -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455A
KR20130133455A KR1020120056715A KR20120056715A KR20130133455A KR 20130133455 A KR20130133455 A KR 20130133455A KR 1020120056715 A KR1020120056715 A KR 1020120056715A KR 20120056715 A KR20120056715 A KR 20120056715A KR 20130133455 A KR20130133455 A KR 20130133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path
departure
intersec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riority to KR1020120056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3455A/ko
Publication of KR20130133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08G1/09682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nboar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제1단계, 경로 안내에 따라 주행하는 제2단계,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을 판단하여 경로 이탈시 제5단계로 진행하고, 경로 이탈이 아니면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고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과 이를 적용한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경로 안내를 받는 주행 차량이 교차로에서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교차로 통과 전 미리 탐색하여 저장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바로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함으로써, 경로 이탈 후에 경로 재탐색으로 인해 새로운 경로 안내까지 지연되는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경로 이탈 후에도 미리 저장된 경로를 이용하여 즉시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함으로써, 경로 이탈로 인한 지연시간을 줄여 운전자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경로를 신속하게 제시하고 안내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A method for multi-path search and a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경로 안내를 받는 주행 차량이 교차로에서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교차로 통과 전 미리 탐색하여 저장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바로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함으로써, 경로 이탈 후에 경로 재탐색으로 인한 지연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킨 다중 경로 탐색방법과 이를 적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발전과 더불어 차량에 장착되는 필수적인 장치가 되었으며, 단말기 자체의 성능 향상으로 새로운 기능들이 계속 추가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기능들이 계속 추가된다고 해도 가장 많이 이용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기능은 가장 기본적인 경로 안내 기능으로서, 운전자가 지정한 목적지에 대해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고, 전파 측위 시스템(Radio Positioning System)에서 수신한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아래 선행기술문헌에서 제시한 특허문헌1에서는 목적지를 입력받고, 제1차 추천 경로를 산출하는 제1단계와, 차량 주행 중 상기 제1차 추천 경로를 1차 이탈했는지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차 추천 경로를 1차 이탈했으면, 상기 목적지까지 제2차 추천 경로를 재차 산출하여 안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재차 산출된 경로를 2차 이탈했으면, 고의 이탈로 간주하여 상기 이탈 경로를 사용자 선호 경로로 저장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방법과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1의 발명은 내비게이션에서 추천하는 경로를 1회 이상 고의 이탈하고, 목적지에 도착했을 경우, 고의이탈한 경로를 저장하여 동일한 목적지에 대해 차후에 탐색하여 저장된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개인성향을 반영한 나만의 경로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허문헌2는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의한 경로 탐색 시 교차로 수에 의한 경로 탐색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교차로 수에 의한 경로 탐색이 설정되어 있으면 지도 데이터에서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가능한 적어도 둘 이상의 경로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된 각 경로들의 도로상에 존재하는 교차로 수를 카운트 하는 과정과, 상기 카운트된 교차로 수가 가장 적은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 맵 매칭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교차로 수에 의한 경로 탐색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2의 발명은 교차로 수에 의한 경로 탐색 방법을 제공하므로 교통 혼잡 요인 중 하나인 교차로 수가 적은 경로를 안내받으므로 사용자가 교통혼잡 지역을 피해 주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기술한 종래기술에 제시된 발명들은 개인 성향을 반영하거나 교차로 수가 적은 경로를 안내하는 효과는 있으나, 실제로 주행 차량이 안내받는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경로 재안내 방안에 대해서는 특별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한다.
본 발명이 주안점을 두는 것은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안내를 받는 차량이 경로 이탈을 하는 경우, 신속하게 다시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안내를 받으면서 주행하던 중 차량이 교차로에서 경로 이탈을 하게 되면 경로 이탈을 인지하고 나서 경로 재탐색을 실시하게 되는데, 경로 이탈을 감지하는 시간과 경로 재탐색 시간 동안은 경로 안내를 받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지연 시간은 상황에 따라 최대 10초가 넘을 수도 있어, 운전자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시간 동안 경로 안내를 받지 못하며, 경로 안내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초보 운전자인 경우에는 매우 당황스러운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경로 이탈의 원인은 대부분 도로의 출구에서 빠지지 못하고 직진한 경우이므로, 가까운 위치에 또 다른 최적 경로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 신속하게 재탐색을 실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고속도로와 고속화도로에서는 그 중요성이 더 크며, 이러한 상황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분당에서 수서 방향으로 분당-수서간 도로를 주행하다 보면 야탑 부근에서 C병원으로 빠질 수 있는 출구가 연달아 2개 존재한다. 해당 출구의 간격은 일반적인 속도에서 약 8초 정도의 거리이다. 출구1로 안내받고 주행을 하던 중 출구1로 나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5초 이내에 새로운 경로를 안내받으면 출구 2로 나올 수 있으나, 5초 이후에 새로운 경로를 안내받으면 사실상 출구2로 빠져나오기 힘들다. 출구2로 빠져나오지 못하면 운전자는 잠실까지 주행해서 돌아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예에서, 경로 이탈시 신속하게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KR 10-2009-0129869 A 2009.12.17. KR 10-2007-0056388 A 2007.06.0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경로 안내를 받는 주행 차량이 교차로에서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교차로 통과 전 미리 탐색하여 저장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바로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함으로써, 경로 이탈 후에 경로 재탐색으로 인한 지연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킨 다중 경로 탐색방법과 이를 적용한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경로 이탈 후에도 미리 저장된 경로를 이용하여 즉시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함으로써, 경로 이탈로 인한 지연시간을 줄여 운전자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경로를 안내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제1단계, 경로 안내에 따라 주행하는 제2단계,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을 판단하여 경로 이탈시 제5단계로 진행하고, 경로 이탈이 아니면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고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제1단계, 차선 인식이 가능한 전파 측위 시스템(Radio Positioning System)과 연동하여 주행 도로의 차선을 인식하고, 경로 안내에 따라 주행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인식된 차선에 따라,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을 판단하여 경로 이탈시 제5단계로 진행하고, 경로 이탈이 아니면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고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파 측위 시스템(Radio Positioning System)과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 수신부,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색된 경로에 따라 안내하며, 주행시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안내된 경로를 이탈하면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중 경로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착탈 가능하며 맵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위치 및 경로를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Touch UI: Touch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바로 다음 교차로에서 이동 가능한 방향이 총 n개인 경우, 현재 안내되는 경로에 해당하는 방향을 제외하고 이동 가능한 n-1개의 방향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시에 상기 이탈 경로가 호출된 후에는 상기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제외한 다중 경로 데이터를 삭제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저장된 다중 경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선 인식이 가능한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하는 전파 측위 시스템(Radio Positioning System)과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 수신부,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 도로의 차선을 인식하고 탐색된 경로에 따라 안내하며, 상기 인식된 차선에 따라 주행시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안내된 경로를 이탈하면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중 경로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착탈 가능하며 맵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위치 및 경로를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Touch UI: Touch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현재 차선과 이와 인접한 좌우 두 차선으로 이동가능한 방향에 대해서만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시에 상기 이탈 경로가 호출된 후에는 상기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제외한 다중 경로 데이터를 삭제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저장된 다중 경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경로 안내를 받는 주행 차량이 교차로에서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교차로 통과 전 미리 탐색하여 저장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바로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함으로써, 경로 이탈 후에 경로 재탐색으로 인해 새로운 경로 안내까지 지연되는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경로 이탈 후에도 미리 저장된 경로를 이용하여 즉시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함으로써, 경로 이탈로 인한 지연시간을 줄여 운전자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경로를 신속하게 제시하고 안내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경로 안내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경로 안내 과정을 보인 도면.
도 2는 경로 이탈시 본 발명에 따라 새로운 경로가 안내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을 적용한 단말기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간단하게 비교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경로 안내 과정을 보인 도면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경로 안내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경로 이탈 감지 시간을 Ta, 경로 재탐색 시간을 Tb라 하면, 기존 경로 재탐색 및 새경로 표출 방식을 나타내는 도 1(a)의 경우, 교차로에서 경로 이탈시 Ta+Tb 시간 후 새로운 경로를 안내받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을 나타내는 도 1(b)의 경우, 교차로에서 경로 이탈을 하게 되면 Ta 시간 후 새로운 경로를 안내받게 되며, 경로 이탈을 하지 않으면 미리 탐색한 경로는 삭제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경로 재탐색 시간인 Tb 만큼의 지연시간을 감소시키게 된다.
경로 이탈은 교차로에서 회전을 해야 하는데 직진하거나, 직진을 해야 하는데 회전을 하는 경우 주로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차로 또는 출구를 지나기 전에 미리 경로 계산을 하고, 경로 이탈을 할 경우 바로 해당 경로를 호출하여 경로 안내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 교차로 통과시 차량이 안내받은 경로를 이탈했을 때를 대비하여 예비 경로인 이탈경로1과 이탈경로2를 미리 계산하고, 운전자가 교차로에서 우회전을 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직진한 경우, 이탈경로1을 즉시 안내함으로써 최단거리로 목적지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하게 되면 이탈경로2를 즉시 안내함으로써 좌회전한 상황에서의 최단거리로 목적지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리 경로를 계산해두지 않았으면, 운전자는 재탐색을 통해 훨씬 먼거리를 돌아서 운전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은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제1단계(도 3의 S1), 경로 안내에 따라 주행하는 제2단계(도 3의 S2),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도 3의 S3),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을 판단하여 경로 이탈시 제5단계로 진행하고, 경로 이탈이 아니면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4단계(도 3의 S4),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고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5단계(도 3의 S5)를 포함한다. 바로 다음 교차로에서 이동 가능한 방향이 총 n개 있다고 가정하면, 이 중 한 방향은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안내하고 있는 방향이므로, 이 방향을 제외한 n-1개의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를 가정하여 미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단계는 바로 다음 교차로에서 이동 가능한 방향이 총 n개인 경우, 현재 안내되는 경로에 해당하는 방향을 제외하고 이동 가능한 n-1개의 방향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프로세싱과 저장 능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과부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의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보통 3~4개 정도까지는 한꺼번에 경로 계산을 하므로, 예를 들어, 연속해서 4개의 교차로가 있는 경우라도 1개 교차로를 지나면서 다음 교차로 이탈을 대비한 경로 탐색을 실시하고, 다음 교차로를 지나는 순간, 그 다음 교차로 이탈을 대비한 경로 탐색을 실시하면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한번에 1개의 교차로만 고려하여 다중 경로를 탐색하고 저장하면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과부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상기 제4단계는 경로 이탈이 아닌 경우,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기 전에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다중 경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는 단계(도 3의 S6)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5단계는 호출된 상기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제외한 다중 경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처리 속도와 다중 작업(Multi-tasking) 처리를 감안하여 상기 제3단계는 탐색된 상기 다중 경로를, 다중 경로 탐색방법이 실행되는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다중 경로의 탐색과 저장은 백엔드 프로세서(back end processor)에서 수행되거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background process)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좀 더 간략하게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3단계 내지 상기 제5단계는 고속화도로, 고속도로, 또는 주요한 순환도로에서만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도로 구간에서만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은 목적지에 도착시 경로 안내를 종료하는 단계(도 4의 S7)를 더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대한 과부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차로 통과전 탐색하고 저장하는 다중 경로의 개수를 감소시켜 구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탐색방법은 차선 인식이 가능한 전파 측위 시스템(Radio Positioning System)과 연동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이 방식의 다중 경로 탐색방법은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제1단계, 차선 인식이 가능한 전파 측위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행 도로의 차선을 인식하고, 경로 안내에 따라 주행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인식된 차선에 따라,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을 판단하여 경로 이탈시 제5단계로 진행하고, 경로 이탈이 아니면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고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파 측위 시스템은 차선 인식이 가능한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한다. DGPS는 오차 보정을 통해 일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보다 정밀한 위치 안내가 가능하므로 차선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차선 인식이 가능한 다른 방식의 측위 기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선 인식이 가능할 경우에,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서 인식된 현재 차선과 이와 인접한 좌우 두 차선으로 이동가능한 방향에 대해서만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DGPS를 이용해 차선을 인식하고, 현재 차선과 좌우 두차선으로 이동가능한 방향에 대해서만 경로 탐색을 하면, 최대 3개 경로를 계산하면 된다. 1차선이 좌회전, 2차선이 직진, 3차선이 직진, 4차선이 우회전 차로인 경우, 차량이 1차선을 주행하면, 좌회전과 직직하는 방향의 경로만 고려하면 되고, 2차선을 주행하면 좌회전과 직직하는 방향의 경로만 고려하면 되며, 3차선을 주행하면, 직진과 우회전 방향의 경로만 고려하면 되며, 4차선을 주행하면, 직진과 우회전 방향의 경로만 고려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보다 고려해야할 경로의 개수를 줄이므로, 단말기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대한 과부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4단계는 경로 이탈이 아닌 경우,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기 전에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다중 경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단계는 호출된 상기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제외한 다중 경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을 적용한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는 전파 측위 시스템(Radio Positioning System)과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 수신부(100),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색된 경로에 따라 안내하며, 주행시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안내된 경로를 이탈하면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다중 경로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10), 착탈 가능하며 맵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20), 위치 및 경로를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Touch UI: Touch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140),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50), 사용자 입력부(160)를 포함하며, 제어부(130)는 바로 다음 교차로에서 이동 가능한 방향이 총 n개인 경우, 현재 안내되는 경로에 해당하는 방향을 제외하고 이동 가능한 n-1개의 방향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시에 상기 이탈 경로가 호출된 후에는 상기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제외한 다중 경로 데이터를 삭제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저장된 다중 경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도록 제어한다. 위에서 설명한 저장부(120)는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며, 맵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저장부(120)로 이용가능한 저장매체의 예로는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마이크로 SD 카드(Micro Secure Digital Card),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SSD(Solid State Drive), HDD(Hard Disc Drive), USB 메모리(Universal Serial Bus)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모바일 단말기에 접속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저장 매체가 이용가능하다.
또한, 차선 인식이 가능한 전파 측위 시스템과 연동하여 구성한 단말기는, 차선 인식이 가능한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하는 전파 측위 시스템과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 수신부(100),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 도로의 차선을 인식하고 탐색된 경로에 따라 안내하며, 상기 인식된 차선에 따라 주행시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안내된 경로를 이탈하면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다중 경로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10), 착탈 가능하며 맵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20), 위치 및 경로를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Touch UI: Touch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140),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50), 사용자 입력부(160)를 포함하며, 제어부(130)는 상기 인식된 현재 차선과 이와 인접한 좌우 두 차선으로 이동가능한 방향에 대해서만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시에 상기 이탈 경로가 호출된 후에는 상기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제외한 다중 경로 데이터를 삭제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저장된 다중 경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도록 제어한다.
도 5의 단말기는 내비게이션 단말기가 일반적이나, 이러한 단말기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ID(Mobile Internet Devic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P(MP3 Player), 태블릿형 피씨(Tablet PC), 노트북, 넷북 등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를 가지고 차량에 탑승할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함을 예상할 수 있다.
100: 내비게이션 데이터 수신부 또는 통신부
110: 메모리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오디오 출력부
160: 사용자 입력부

Claims (15)

  1.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제1단계;
    경로 안내에 따라 주행하는 제2단계;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을 판단하여 경로 이탈시 제5단계로 진행하고, 경로 이탈이 아니면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고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바로 다음 교차로에서 이동 가능한 방향이 총 n개인 경우, 현재 안내되는 경로에 해당하는 방향을 제외하고 이동 가능한 n-1개의 방향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경로 이탈이 아닌 경우,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기 전에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다중 경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호출된 상기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제외한 다중 경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탐색된 상기 다중 경로를, 다중 경로 탐색방법이 실행되는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다중 경로의 탐색과 저장은 백엔드 프로세서(back end processor)에서 수행되거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background process)로 처리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목적지에 도착시 경로 안내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내지 상기 제5단계는 고속화도로, 고속도로, 순환도로에서만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도로 구간에서만 수행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9.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제1단계;
    차선 인식이 가능한 전파 측위 시스템(Radio Positioning System)과 연동하여 주행 도로의 차선을 인식하고, 경로 안내에 따라 주행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인식된 차선에 따라,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을 판단하여 경로 이탈시 제5단계로 진행하고, 경로 이탈이 아니면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고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측위 시스템은 차선 인식이 가능한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서 인식된 현재 차선과 이와 인접한 좌우 두 차선으로 이동가능한 방향에 대해서만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경로 이탈이 아닌 경우,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기 전에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다중 경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호출된 상기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제외한 다중 경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경로 탐색방법.
  14. 전파 측위 시스템(Radio Positioning System)과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 수신부;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색된 경로에 따라 안내하며, 주행시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안내된 경로를 이탈하면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중 경로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착탈 가능하며, 맵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위치 및 경로를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Touch UI: Touch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바로 다음 교차로에서 이동 가능한 방향이 총 n개인 경우, 현재 안내되는 경로에 해당하는 방향을 제외하고 이동 가능한 n-1개의 방향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시에 상기 이탈 경로가 호출된 후에는 상기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제외한 다중 경로 데이터를 삭제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저장된 다중 경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15. 차선 인식이 가능한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하는 전파 측위 시스템(Radio Positioning System)과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 수신부;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 도로의 차선을 인식하고 탐색된 경로에 따라 안내하며, 상기 인식된 차선에 따라 주행시 바로 다음 교차로에 대한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안내된 경로를 이탈하면 저장된 다중 경로 중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호출하여 새로운 경로 안내를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중 경로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착탈 가능하며, 맵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위치 및 경로를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Touch UI: Touch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현재 차선과 이와 인접한 좌우 두 차선으로 이동가능한 방향에 대해서만 다중 경로를 탐색하여 저장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시에 상기 이탈 경로가 호출된 후에는 상기 이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를 제외한 다중 경로 데이터를 삭제하며, 교차로 통과시 경로 이탈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저장된 다중 경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KR1020120056715A 2012-05-29 2012-05-29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KR20130133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715A KR20130133455A (ko) 2012-05-29 2012-05-29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715A KR20130133455A (ko) 2012-05-29 2012-05-29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455A true KR20130133455A (ko) 2013-12-09

Family

ID=4998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715A KR20130133455A (ko) 2012-05-29 2012-05-29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34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111A (ko) * 2015-01-19 2016-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행 경로 재설정 장치 및 방법
US11334073B2 (en) * 2018-11-19 2022-05-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utonomous driv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111A (ko) * 2015-01-19 2016-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행 경로 재설정 장치 및 방법
US11334073B2 (en) * 2018-11-19 2022-05-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utonomous dri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6743B2 (en) Vehicle navigation route search system, method, and program
EP2650646B1 (en) Moving body position detection system, moving body position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197691B2 (ja)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880342B2 (en) Moving body position detection system, moving body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moving body position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696170B2 (en) Route calculation system, route calcul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20078513A1 (en) Map image display device, map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676499B2 (en) Movement guidance system, movement guidance device, movement guid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6050900A (ja)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024109A1 (en) Travel guidance system, travel guidance apparatus, travel guid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WO2018061619A1 (ja) 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5158469A (ja)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75685B2 (ja) 経路作成装置
WO2018151005A1 (ja) 走行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330550B2 (ja)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358468A1 (en) Traffic Notifications During Navigation
JP4760792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7041038A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942924B2 (en) Travel guidance system, travel guidance apparatus, travel guid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597265B2 (ja) 移動案内システム、移動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30133455A (ko) 경로 이탈을 고려한 다중 경로 탐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JP200805811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9459109B2 (en) Navigation device
JP5902890B2 (ja) 携帯型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6048227A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916840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