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229A -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229A
KR20130130229A KR1020120037549A KR20120037549A KR20130130229A KR 20130130229 A KR20130130229 A KR 20130130229A KR 1020120037549 A KR1020120037549 A KR 1020120037549A KR 20120037549 A KR20120037549 A KR 20120037549A KR 20130130229 A KR20130130229 A KR 20130130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nonwoven fabric
woven fabric
carpe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희
황용한
Original Assignee
(주) 금토일산업
이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금토일산업, 이명용 filed Critical (주) 금토일산업
Priority to KR1020120037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0229A/ko
Publication of KR2013013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32B37/1292Application of adhesive selectively, e.g. in stripes, in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2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이 우수하고, 중량이 가볍고 빗물이나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및 냄새 발생, 차량 바닥면의 부식이 없는 바닥재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카펫(1)과, 카펫 저면에 일체로 형성시키는 고강성부직포(2)와, 고강성부직포(2) 저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케미컬부직포(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펫(1)과 고강성부직포(2) 사이는 접착성 파우더(3)를 사용하여 도트 형태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강성부직포(2)와 케미컬부직포(4) 사이는 열압착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특징은, 카펫(1)과, 카펫 저면에 일체로 형성시키는 고강성부직포(2)와, 고강성부직포(2) 저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폴리프로필렌이나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장섬유(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강성부직포(2)는 P.E.T. 50-95 중량%와, 저융점(L.M)화이버 5-50중량% 를 혼합한 재료의 것을 포함하며, 니들펀칭기로 니들 펀칭하여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파우더(3)의 성분은 HDPE 파우더, P.E., PP, ABC, 나이론 재질의 파우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미컬부직포(4)에는 통공(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loor m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 바닥의 금속 재질과 접하여 설치하는 매트, 즉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351340 호(2004. 05. 12)
[문헌2] 공개특허공부 10-2009-0018407 호(2009. 02. 20)
현재 사용중인 자동차 바닥재는 부직포 카펫 또는 B.C.F. 루프파일카펫이 있다. B.C.F(bulked Continuous Filament(장섬유)) Loop pile 카페트는 처음부터 끝까지 실이 이어져 있으므로 잔털이 빠지지 않는 위생적인 제품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제품은 상기 카펫 저면에 PE코팅을 한 것으로 인해, 통기성이 없고 중량이 무겁고 습기가 차면 PE코팅으로 통기성이 차단되어 곰팡이가 발생하고 냄새가 나며 차량 바닥의 금속에 부식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바닥재 저면에 글라스 재질을 도포한 글라스매트도 있으나, 이는 강성은 우수하나 글라스 자체가 인체에 해로워 바람직하지 못하고 제작 및 취급에 불리하며 불량률 발생이 높고, 매트를 라운드진 부분에 설치시 매트가 뻣뻣하여 라운드 처리에 불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개발한 것으로, 통기성이 우수하고, 중량이 가볍고 빗물이나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및 냄새 발생, 차량 바닥면의 부식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고 취급이 용이한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고강성부직포롤(20)에서는 고강성부직포(2)를, 케미컬부직포롤(10)에서는 케미컬부직포(4)를 각각 공급하는 단계; 공급되는 상기 고강성부직포와 케미컬부직포를 열롤러(11)를 통과시켜 열압착으로 합지하여 합지시크(30)를 만드는 단계; 합지된 합지시트(30)를 냉각롤러(12)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냉각된 합지시트(30)를 접착성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공급장치(16)로 보내어 합지시트(30) 상면에 도트 형태로 접착성 파우더를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파우더를 열처리챔버(32)에서 녹여 내는 융착단계; 융착된 파우더가 도포된 합지시트(30)를 냉각롤러(40)로 이송시키는 단계; 카펫롤(33)에서 공급되는 카펫(1)을 상기 냉각롤러(40)로 보내어 상기 파우더가 융착된 합지시트(30)와 합지시켜 매트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매트를 숙성챔버(37)에 보내어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된 매트를 냉각롤러(36)에 보내어 냉각시키는 단계; 냉각된 매트를 권취롤(39)에서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강성부직포(2)는 P.E.T. 50-95 중량%와, 저융점(L.M)화이버 5-50중량% 를 혼합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파우더(3)의 성분은 HDPE 파우더, P.E., PP, ABC, 나이론 재질의 파우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미컬부직포(4)에는 통공(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강성부직포(2)는 니들펀칭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바닥재는 통기성이 좋고, 가벼워 차량 경량화에 기여하고 그에 따라 차량 유류 절감에 효과적이다. 또한 바닥재가 공기가 통하므로 곰팡이, 냄새, 차체 바닥면의 부식을 미연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바닥재는 차량 바닥재의 무게 감량률이 종래 보다 약 16-20% 정도 감량 가능하고, 취급이 용이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흡음, 차음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바닥재를 예시하는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 은 종래 바닥재의 예시도
도 4 는 시판되는 케미컬부직포(4)에 대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바닥재를 예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기존의 카펫(1) 저면에 PE 코팅 처리하는 대신 고강성 부직포(2)를 파우더(3)로 접착하고, 그 아래에는 케미컬 부직포(4)를 부착하였다. 도 3 은 참고로 종래의 카펫 2 종류에 대하여 그 저면을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예시한 것으로, PE코팅으로 인해 마치 고무 재질과 같이 공기가 전혀 통하지 못한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강성부직포(2)는 P.E.T. 성분 재료 50-95 중량%와, 저융점(L.M)화이버 5-50중량% 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며, 선택적으로 니들펀칭기로 니들 펀칭하여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니들펀칭한 것을 사용하면, 강성이 향상되고 굽힘성이 좋아 다루기 좋으며 통기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니들 펀칭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고강성 부직포(2)는 한지처럼 통기성이 우수하다.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은 수분 흡수성이 좋고 강성이 강하며, 융점이 섭씨 약 250도에 이루며, 습기에 강하여 내습성을 부여해 준다.
저융점화이버는 낮은 온도에서 녹아 접착력을 주기 위한 섬유로 상기 범위의 성분을 포함시키는 것이 접착에 유리하다. 상기 범위 이하면 접착성이 떨어지며 그 범위 이상이면 지나친 접착 성분의 낭비와 함께 P.E.T. 성분의 특성인 통기성과 흡수성 등의 특성이 떨어진다
파우더(3)의 성분은 예를 들어, HDPE 파우더, P.E., PP, ABC, 나이론 재질의 파우더 등 석유화학 물질 계통의 어떠한 접착용 파우더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파우더(3)에 의한 접착은 도트 형태로 접착 파우더를 접착하고자 하는 면 표면에 떨어뜨려, 이를 가열장치를 거쳐 융착시켜 녹여서 카펫(1)과 고강성부직포(2)를 접착한다. 이와 같이 표면 전체를 면접착을 하지 않고, 도트 형태로 파우더를 분산 시켜 접착하는 이유는 접착되는 두 부재 사이에 통기성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케미컬 부직포(4)는 시중에 시판되는 제품으로, 니들에 의해 펀칭되어 있어 도 4 에서 보듯이, 그 면에 통공(50)이 다수 형성되어 통기성이 있으며 압착으로 이루어져 고강성의 케미컬 부직포이며, 소위, "심지"라고 말하는 소재로, 압착이 가능하여 열 롤러로 압착하여 점착한다
케미컬부직포(4) 대신 장섬유로 대체할 수도 있다
장섬유는 폴리프로필렌이나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은 수분 흡수성이 좋고 강성이 강하며, 융점이 섭씨 약 250도에 이루어, 습기에 강하고 내습성을 주며 소재의 보강에 유리하다. 장섬유(3)의 다른 재료인 폴리프로필렌은 반대로 수분을 흡수하지 않고 강도는 약하나 융점이 섭씨 170도로 비교적 높고 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차량의 특성 기타 소비자의 요구 또는 필요에 따라 두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장섬유는 국내 회사, 예를들어 코오롱 그룹 및 도래이새한(주)에서 양산되는 제품으로, 무게가 15-200그램/m2의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섬유는 부직포와 달리 섬유가 방향성이 없어 한쪽 방향으로 편향되어 늘어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바닥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강성부직포(2)와 케미컬부직포(4)를 열압착으로 접착하는 방법은 먼저, 고강성부직포롤(20)에 감겨둔 고강성부직포(2)와 케미컬부직포롤(1)에 감아둔, 케미컬부직포(4)를 열롤러(11)와 냉각롤러(12)를 거치도록 한다.
열롤러(11)에서는 상기 두 부직포 재료들을 열에 의하여 압착으로 접착하고, 그리고 접착되어 나오는 두 소재를 냉각롤러(12)에서 식혀준다. 이렇게 합지된 소재인 합지시트(30)는 파우더공급장치(16)로 보내어진다.
파우더공급장치(16)에서는 롤러 표면에 오목한 형상이 형성되어 이 오목한 형상의 홈에 접착을 위한 접착 파우더(15)가 공급되어, 롤러가 회전하면서 저면으로 일정량씩 파우더를 공급하는 파우더공급롤(17)에 의하여 도트 방식으로 합지시트(30)의 표면에 파우더(15)를 떨어 뜨려 분산시켜 준다
합지시트(30)의 상면에 공급되는 파우더(15)는 즉, 고강성 부직포(2) 상면에 떨어뜨려 주는 것이다. 그리고 열처리챔버(32)에서 열처리되어 파우더(15)가 녹아 표면에 부착되어 나오면, 카펫롤(33)에 권취된 카펫(1)이 공급되어 합지시트(30)와 일체로 접착된다. 그리고 냉각롤러(40)를 거쳐 냉각된 후, 숙성챔버(37)를 통과시킨다.
숙성챔버(37)에서는 열처리에 의해 부착된 본 발명의 바닥재를 재차 가열시켜 접착면과 그 내부 소재가 골고루 접착이 이루어지게 하며 주름을 펴주도록 한다. 그런 후 다시 냉각롤러(36)를 거쳐 권취롤(39)에서 권취 또는 규격별 자동컷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바닥재의 제조가 완성된다.
참고로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바닥재를 예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카펫(1)위에 고강성부직포(2)와 통공(50)이 형성된 케미컬부직포(4)가 적층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케미컬부직포(4) 면에 차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면이다
1 카펫 2 고강성부직포
3 파우더 4 케미컬 부직포
50 통공

Claims (5)

  1. 고강성부직포롤(20)에서는 고강성부직포(2)를, 케미컬부직포롤(10)에서는 케미컬부직포(4)를 각각 공급하는 단계;
    공급되는 상기 고강성부직포와 케미컬부직포를 열롤러(11)를 통과시켜 열압착으로 합지하여 합지시크(30)를 만드는 단계;
    합지된 합지시트(30)를 냉각롤러(12)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냉각된 합지시트(30)를 접착성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공급장치(16)로 보내어 합지시트(30) 상면에 도트 형태로 접착성 파우더를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파우더를 열처리챔버(32)에서 녹여 내는 융착단계;
    융착된 파우더가 도포된 합지시트(30)를 냉각롤러(40)로 이송시키는 단계;
    카펫롤(33)에서 공급되는 카펫(1)을 상기 냉각롤러(40)로 보내어 상기 파우더가 융착된 합지시트(30)와 합지시켜 매트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매트를 숙성챔버(37)에 보내어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된 매트를 냉각롤러(36)에 보내어 냉각시키는 단계;
    냉각된 매트를 권취롤(39)에서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부직포(2)는 P.E.T. 50-95 중량%와, 저융점(L.M)화이버 5-50중량% 를 혼합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3)의 성분은 HDPE 파우더, P.E., PP, ABC, 나이론 재질의 파우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닥재 재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부직포(4)에는 통공(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부직포(2)는 니들펀칭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
KR1020120037549A 2012-04-10 2012-04-10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 KR20130130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549A KR20130130229A (ko) 2012-04-10 2012-04-10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549A KR20130130229A (ko) 2012-04-10 2012-04-10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229A true KR20130130229A (ko) 2013-12-02

Family

ID=4997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549A KR20130130229A (ko) 2012-04-10 2012-04-10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02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9263A (zh) * 2017-08-28 2017-11-28 广州林骏汽车内饰件有限公司 一种吸音地毯结构及其加工设备
CN108914383A (zh) * 2018-09-12 2018-11-30 北京麻世纪麻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花香纤维地毯的制备方法及花香纤维地毯
KR20190037024A (ko) * 2017-09-28 2019-04-05 원풍물산주식회사 타공필름과 합성수지 파우더를 갖는 다층구조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9263A (zh) * 2017-08-28 2017-11-28 广州林骏汽车内饰件有限公司 一种吸音地毯结构及其加工设备
KR20190037024A (ko) * 2017-09-28 2019-04-05 원풍물산주식회사 타공필름과 합성수지 파우더를 갖는 다층구조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108914383A (zh) * 2018-09-12 2018-11-30 北京麻世纪麻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花香纤维地毯的制备方法及花香纤维地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046B1 (ko) 자동차용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4518131A5 (ko)
JP6560353B2 (ja) 自動車内外装用成形体の製造方法
US20060003142A1 (en) Sound absorbing carp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175690B2 (ja)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
JP2006160237A (ja) 自動車用内装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30229A (ko) 자동차용 바닥재 제조방법
JP2014065382A (ja) 空調ダク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61202B2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を含む吸音材
KR101343123B1 (ko) 자동차용 바닥재
KR101401674B1 (ko) 자동차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바닥재
JP2014037647A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を含む吸音材
KR101446261B1 (ko) 흡음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바닥재
JP5403470B2 (ja) 自動車内装用保護膜付繊維、および自動車内装部材
CN104424941A (zh) 一种吸音材料及其制备方法
JP6774042B2 (ja) 積層吸音材
JP2010506779A5 (ko)
JP2018111407A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54216A (ja) 積層吸音材
JP2010260490A (ja) 自動車用フロア材
JP3133470U (ja) 吸音材
JP2010045987A (ja) 農業用資材、その製造方法、その使用方法
JP2012192894A (ja) 自動車用カーペ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13619A (ko) 효과적인 자동차용 흡음 바닥재
JP2004122545A (ja) 熱成形性芯材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