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188A - 부텐-1 공중합체를 갖는 감압 접착제 - Google Patents

부텐-1 공중합체를 갖는 감압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188A
KR20130129188A KR1020137009674A KR20137009674A KR20130129188A KR 20130129188 A KR20130129188 A KR 20130129188A KR 1020137009674 A KR1020137009674 A KR 1020137009674A KR 20137009674 A KR20137009674 A KR 20137009674A KR 20130129188 A KR20130129188 A KR 20130129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ene
polymer
pressure sensitive
sensitive adhesiv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495B1 (ko
Inventor
잔루카 무사치
잉게 엘리자베트 루쿠르
잠파올로 펠레가티
클리페라이르 요한 데
스테파노 스파타로
Original Assignee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30129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52Polymer derived only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80 중량% 이상 의 부텐-1 유래 단위체 함량; 80 MPa 이하의 굴곡 탄성율 (MEF); 110℃ 미만의 용융 온도 DSC (TmI), 및 임의로는 점착제 (B) 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 조성물 및 이의 다층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텐-1 공중합체를 갖는 감압 접착제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TH BUTENE-1 COPOLYMERS}
본 발명은 부텐-1 (공)중합체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 조성물 및 재밀폐성 감압 접착제층 내에 부텐-1 (공)중합체를 갖는 다층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박리가 용이하고 재밀폐 가능한 유연 포장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연동 잠금 장치 또는 지퍼와 같은 기계적 스트립, 및 외부 필름 표면 상 또는 필름 구조 내에 위치한 접착제 스트립이 있다.
본 발명은 기질, 예컨대 강체 용기 및 박리성 뚜껑, 또는 필름 및/또는 적층판으로 만들어진 유연 필름 포장 간에 박리성 가열 밀봉 및 재밀폐성을 제공하는 다층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스티렌 용기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또는 PET 용기 또는 폴리올레핀 용기를 포함하는 강체 용기에서 사용하는 경우 적절하고, 거의 일정한 박리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중합체 기질에 밀봉성을 필요로 하는 강체 용기 또는 유연 필름 포장에 관한 것이다. 밀봉은 광범위한 가열 밀봉 온도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쉽게 박리가능하다. 밀봉 강도는 밀폐성 및 보호성 조건에서 포장을 유지하기에 적절하면서, 필요시 박리에 의한 개봉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같은 방출 특성을 또한 나타내야만 한다. 용어 '재밀폐성' 은 1 차 박리 후 재밀폐되는 필름 포장에서의, 2 차 및 추가의 개봉 때까지 밀폐성 및 보호성 조건에서 포장을 유지하기에 적절한 밀봉 강도를 다시 제공하는, 적층판 또는 기질 및 뚜껑의 능력을 지칭한다. 용어 '박리성' 은 필름 찢김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밀봉 표면의 접촉면에서 주로 발생하는 밀봉 실패를 지칭한다.
점착성의 감압 접착제 (PSA) 는 재밀폐 가능 구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WO 0245949 에서는, 접착 재밀폐성 층을 포함하는 개봉이 용이하고 재밀폐 가능한 열 밀봉 물질을 구체적으로 기재한 다층 구조에서의 열 밀봉성 및 재밀폐성의 포괄적인 원칙이 개시되고 있다. 특히, 스티렌 수지 (30 중량% 이상 SIS 또는 SBS 수지), 50 중량% 이상의 점착제, 6 중량% 이상의 보강 충전제 성분 및 7 중량% 이하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고 용융 접착 조성물로 만들어진 접착 재밀폐성 층이 개시되고 있다.
US 2007/0082161 은 3 개 이상의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박리성 재밀봉 가능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필름은 분리 후 재밀봉되도록 개조된 박리성 재밀봉 가능 접촉면을 포함한다. 접촉면을 "재밀봉" 시키는 힘은 필름에 가해진 수동 압력에 비례한다. US 2007/0082161 에 개시된 박리성 재밀봉 가능 다층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이의 이오노머 또는 배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의 제 1 중합체 층, 점착성 감압 접착제의 제 2 중합체 층, 및 5℃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제 3 중합체 층을 포함하여, 제 2 및 제 3 층 간에 형성된 결합이 박리성 재밀봉 가능 접촉면을 포함한다. US 2007/0082161 에서의 제 2 중합체 층은 스티렌/고무 공중합체의 점착제 제 1 성분 및 엘라스토머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이며, 제 3 중합체 층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케톤, 폴리스티렌, 아크릴 에스테르계 중합체, 시클릭 올레핀 공중합체, 메틸펜텐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US 2007/0082161 에서는 제 2 (내부) 중합체 층에서 점착성 감압 접착제의 성분으로서 PB-1 공중합체가 발견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점착제" 는 일반적으로 최종 접착제의 유동학적 특성을 개질시키는 역할을 하는 접착 부가제이다. 특히, 점착제 수지는 접착 조성물의 점착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점착" 은 접착제의 "끈적거림" 또는 기질로부터의 제거 또는 변형에 대한 이의 저항성을 지칭한다. 점착제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 바람직하게는 수지 또는 탄화수소 수지 물질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점착제는 ExxonMobil Chemical Company (Houston, Texas, U.S.A.) 사로부터 이용가능한 ESCOREZ® 5400 시리즈, ESCOREZ® 1102, ESCOREZ® 1304, ESCOREZ® 1315, ESCOREZ® 1310, ESCOREZ® 2510, ESCOREZ® 2520; Sartomer Company, Inc. (Exton, Pennsylvania, U.S.A.) 사로부터 이용가능한 WINGTAK® 수지; Eastman Chemicals (Kingsport, Tennessee, U.S.A) 사로부터 이용가능한 PICCOTAC® 1020, 1095, 1098, 1100, 1115, REGALREZ® 1018, 1085, 1094, 1126, 1128, 1139, 6108, 3102, EASTOTAC® H-100E, H-100R, H-100L, H-100W, H-115E, H-115R, H115L, H-115W, REGALITE® C6100, C6100L, C8010, R1010, R1090, R1100 CG, R1100, R1125, R7100, R9100 및 POLY-PALE ESTER 10; Arakawa Europe (Schwalbach/Ts, GERMANY) 사로부터 이용가능한 ARKON P90, P100, P115 및 Arizona Chemical (AB ALMERE, The Netherlands) 사로부터 이용가능한 SYLVAGUM TR 90, SYLVARES TP 105 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상품명 ARKON P100 및 ARKON P115 로 시판되는 수지이다. 본 발명에서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 중 바람직한 점착제는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의 용융 온도를 가져 향상된 재밀폐성을 제공하는 것들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은 "재밀폐성"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구조에서의 재밀폐 후 측정한 효과적인 재밀폐의 수 및 재-개봉 박리 강도 (힘) 의 수준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1 회 초과의 재밀폐가 가능해야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회 이상의 재밀폐 주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재-개봉 박리력은 0.1 N 초과, 바람직하게는 0.5 N 초과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어구 "박리 강도" 는 필름이 제 2 의 열가소성 필름에 밀봉되었을 때 2 개의 인접 내부 필름 층 간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을 지칭한다. 이러한 결합 강도를 측정하는 한 방법을 실험 부분에서 기재하고 사용한다.
놀랍게도, 식품 접촉 적용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적합성과 열 밀봉 강도 및 재밀폐성의 최적의 균형을 제공하는 주성분으로서 특정 부텐-1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구조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본질적으로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감압 접착제 (PSA) 를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이 이제 발견되었다. 임의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하나 이상의 점착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점착제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접착제 층의 재밀폐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점착제는 통상 스티렌 수지 기재의 공지된 감압 접착 조성물에 관해 감소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SA 조성물은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구조에서의 점착성의 재밀폐성 층에 대해 감압 접착제로 사용되는 중합체 성분으로서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스티렌 고무에 대한 대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 밀봉 재밀폐 가능 다층 필름은 캐스트 또는 취입 필름 공압출 방법을 사용하여 3 개 이상의 별개의 중합체 층의 공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소량의 부가제, 예컨대 슬립제 또는 블로킹 방지제, 안료 및 기타 처리 보조제가 본 발명에 따른 박리성 재밀봉 가능 다층 필름 내의 임의의 층, 또는 유연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어 금속화 또는 기타 적층 필름 구조) 에 추가로 부가된 임의의 층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하기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감압 접착제이다:
A) 하기를 갖는 부텐-1 (공)중합체;
- 8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4 중량% 이상의 부텐-1 유래 단위체 함량,
- 80 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M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MPa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 MPa 이하의 굴곡 탄성율 (MEF),
- 1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의 용융 온도 DSC (TmI); 및 임의로는
B) 점착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제는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 임.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60-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80 중량% 의 상기 부텐-1 (공)중합체 (A),
5-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 의 점착제 (B).
성분 (A) 및 (B) 는 예를 들어 공압출 방법으로 직접 배합되거나 공압출 방법에서 이후 사용되도록 배합되고 펠렛화된 용융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접착제 (PSA)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주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부텐-1 (공)중합체 (A) 는 통상 엘라스토머성에서 플라스토머성으로의 거동을 나타내며 부텐-1 과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부텐-1 과 상이한) 의 공중합체 또는 단일중합체일 수 있다. 부텐-1 (공)중합체에서 공단량체로서 존재할 수 있는 α-올레핀으로서 바람직한 것은, 화학식 H2CH=CHR (식 중, R 은 H 또는 메틸 또는 C3-6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임) 의 것들, 특히 에틸렌, 프로필렌, 펜텐-1, 헥센-1, 4-메틸펜텐 및 옥텐-1 이다. 공단량체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부텐-1 (공)중합체 (A) 는, X 선을 통해 측정된,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의 낮은 결정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텐-1 (공)중합체는 0.899 g/cm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95 g/cm3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875 g/cm3 미만의 밀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텐-1 (공)중합체는 9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미만의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텐-1 (공)중합체는 0℃ 에서 1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미만의 자일렌 불용성 분획물 함량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텐-1 (공)중합체는 135℃ 에서 1 내지 4 dL/g,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dL/g 의, 테트랄린에서 측정된 고유 점도 [η] 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텐-1 (공)중합체는 GPC 에서 측정된 4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 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텐-1 (공)중합체는 본원에서 하기 실험 부분에서 기재된 DSC 방법에 따라, 샘플의 열 이력 취소 후 측정된 용융 온도 (TmII) DSC 를 갖지 않는다.
부텐-1 (공)중합체 (A) 는 바람직하게는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A1)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의 이소택틱 펜타드 백분율 (mmmm%) 을 갖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갖는 부텐-1 공중합체 또는 단일중합체:
- GPC 에 의해 측정된 3 초과,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의 분자량 분포 (Mw/Mn); 및
- 4,1 삽입된 부텐 단위체의 부재;
(A2) GPC 에 의해 측정된 3 이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의 분자량 분포 (Mw/Mn) 를 갖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초과,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 초과의 이소택틱 펜타드 백분율 (mmmm%) 을 갖는 부텐-1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부텐-1/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부텐-1/에틸렌/프로필렌 삼원중합체.
부텐-1 (공)중합체 (A1) 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mol% 의 공단량체 유래 단위체 함량을 갖는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한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이다. 부텐-1 (공)중합체 (A1) 은 하기를 포함하는 지글러 나타 촉매계의 존재 하 중합 조건 하에, 1-부텐 및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알파 올레핀을 접촉시켜 수득될 수 있다:
(a) MgCl2 에 지지된 내부 전자-공여체 화합물 및 Ti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성분;
(b) 알킬알루미늄 조촉매; 및
(c) 외부 공여체로서 화학식 (I) 의 화합물:
Figure pct00001
.
식 중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R3 및 R4 는 수소 원자 또는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20 탄화수소 라디칼이거나; 2 개의 R1, R2, R3 및 R4 는 연결되어 C5-C20,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고리는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10 탄화수소 라디칼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촉매의 입체규칙성에 있어서의 감소는 외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과 연관된 것으로 간주된다. 외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 (c) 는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상기 전자 공여체 화합물 간의 몰비 (Al/c) 가 2 초과,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공급된다.
활성 형태의 이염화마그네슘은 바람직하게는 지지체로서 사용된다. 활성 형태의 이염화마그네슘이 지글러 나타 촉매에 대한 지지체로서 특히 적합하다는 것이 특허 문헌으로부터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USP 4,298,718 및 USP 4,495,338 은 지글러 나타 촉매 작용에서의 이들 화합물의 용도를 최초로 기재하였다. 촉매 성분에 사용된 바람직한 티타늄 화합물은 TiCl4 및 TiCl3 이고; 또한, 화학식 Ti(OR)n- yXy (식 중, n 은 티타늄의 원자가이고, X 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이고, y 는 1 내지 n 의 수이고, R 은 탄소수 1-18 의 탄화수소 라디칼임) 의 Ti-할로알코올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내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벤조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프탈산 또는 숙신산의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며,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기는 탄소수가 1 내지 18 이다. 바람직한 내부 공여체는 가능하게는 치환된 프탈산의 C1-C20 알킬 에스테르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C1-C6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에스테르이다. 특정예는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n-프로필 프탈레이트, 디-n-부틸 프탈레이트, 디-n-펜틸 프탈레이트, 디-i-펜틸 프탈레이트, 비스(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에틸-이소부틸 프탈레이트, 에틸-n-부틸 프탈레이트, 디-n-헥실 프탈레이트,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이다. 일반적으로, 내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은 MgCl2 에 대해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의 몰비로 사용된다.
고체 촉매 성분의 제조는 여러 방법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구체 형태 촉매 성분의 제조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출원 EP-A-395083, EP-A-553805, EP-A-553806, EPA-601525 및 WO98/44001 에 기재되어 있다.
알킬-Al 화합물 (b) 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 예컨대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n-부틸알루미늄, 트리-n-헥실알루미늄, 트리-n-옥틸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트리알킬알루미늄의 알킬알루미늄 할로겐화물, 알킬알루미늄 수소화물 또는 알킬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 예컨대 AlEt2Cl 및 Al2Et3Cl3 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외부 공여체 (c) 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Ia) 의 화합물에서 선택된다:
Figure pct00002
.
식 중에서, R1 및 R2 는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20-알킬 라디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2,3-디메톡시-톨루엔, 3,4-디메톡시-톨루엔이다. 상기 촉매계 및 이러한 촉매계를 이용하는 중합 방법의 예를 국제 특허 출원 PCT/EP2010/054356 에서 발견할 수 있다.
부텐-1 (공)중합체 (A2) 는 에이징 (aging) 후 측정가능한 용융 엔탈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실온에서 에이징 10 일 후 측정된, (A2) 의 용융 엔탈피는 25 J/g 미만,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 J/g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텐-1 (공)중합체 (A2) 는 부텐-1 (공)중합체 중량에 대해 약 7 내지 10 중량% 에 상응하는, 18 mol%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8 mol% 의 에틸렌 유래 단위체 함량을 갖는 부텐-1/에틸렌 공중합체이다.
부텐-1 (공)중합체 (A2) 는 하기를 접촉시켜 수득가능한 메탈로센 촉매계의 존재 하에 단량체(들) 를 중합하여 수득될 수 있다:
- 입체강성 메탈로센 화합물;
- 알킬 메탈로센 양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알루목산; 및, 임의로는,
-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상기 촉매계 및 이러한 촉매계를 이용하는 중합 방법의 예를 WO2004/099269 및 WO2009/000637 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텐-1 (공)중합체 (C) 의 제조를 위한 중합 방법은 알려져 있는 기술, 예를 들어 희석제로서 액체 불활성 탄화수소를 사용하는 슬러리 중합, 또는 예를 들어 반응 매질로서 액체 부텐-1 을 사용하는 용액 중합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유동층 또는 기계적 교반층 반응기에서 작동하는 기체상에서의 중합 방법을 또한 실행할 수 있다. 반응 매질로서 액체 부텐-1 에서 실행된 중합이 바람직하다.
보통, 중합 온도는 일반적으로 -10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를 포함한다.
중합 압력은 일반적으로 0.5 내지 100 bar 를 포함한다.
중합은, 분자량 조절제의 농도, 공단량체 농도, 외부 전자 공여체 농도, 온도, 압력 등과 같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반응 조건 하에서 작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부텐-1 (공)중합체 플라스토머 (A) 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PSA 조성물의 주요 성분 (5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초과) 으로서 존재한다. 부텐-1 (공)중합체 플라스토머 (A) 는 더 유리하게는 하기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일 수 있으며:
i) 상기 (A1 또는 A2) 의 특성을 갖는 8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3-90% 의 부텐-1 중합체, 및
ii)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중량% 의 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단, 조성물 (i) + (ii) 내의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 유래 단위체의 총 함량은 16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ii) 는 바람직하게는 저 SIT 프로필렌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삼원중합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C4-C8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이의 배합물이다. 플라스토머 (A)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 작용으로부터의 플라스토머인 경우) 의 전체 취급성은 유리하게는, 20 중량% 이하의 상기 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 (ii) 의 횡렬 혼합공정 (in line compounding) 에 의해 기타 기계적 특성의 실질적인 저하 없이 향상될 수 있다. 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ii) 는 통상 230℃, 2.16 kg 에서 0.6 내지 10 g/10 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g/10 분의 용융 유동 지수 (MFR), 130℃ 내지 160℃ 의 용융 온도 DSC 를 갖는다.
저 sit 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ii) 내의 에틸렌 총 함량은 1 중량% 내지 5 중량% 이고, 상기 조성물 (ii) 내의 C4-C8 알파-올레핀 총 함량은 2.4 중량% 내지 12 중량% 이다.
관례적 일상으로서, 관련 전문가는 1-부텐 (공)중합체 (A) 에 추가의 성분 부가제 (예컨대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방식제, 조핵제, 가공 보조제 등), 및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특정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기 및 무기 충전제 모두를 추가할 수 있다.
점착제 수지 (B) 는 바람직하게는, 220℃ (428℉) 이하의 비등점을 갖는 크래킹된 석유 저장물의 저비등 증류물로부터의 방향족 치환 올레핀의 촉매 중합, 및 생성된 방향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의 후속적 촉매 환원에 의해 제조된, 방향족 석유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 (CAS 등록 번호 88526-47-0)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중합체와의 배합물 중의 성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생성된 바람직한 수지는 100-120℃ 의 용융 온도 (Tm) 를 갖는 것들이다. 바람직한 것은 식품 접촉 물질의 제조에 또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점착제이다. 실시예에서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사에 의해 상품명 Arkon P100 (Tm 100℃) 및 Arkon P115 (Tm 115℃) 로 시판되는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 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하나 이상의 내부층이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접착제로 만들어지거나 이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열 밀봉 적용물에 대한 다층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필름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에 대한 열 밀봉을 위한 바람직한 다층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필름 구조는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다층 공압출 필름이다:
- 밀봉 외부층 (3-10 마이크론, 예를 들어 5 마이크론 두께가 바람직함).
- 감압 접착제 내부층 (10 내지 30 마이크론, 바람직하게는 15-25 마이크론, 예를 들어 20 마이크론 두께가 바람직함):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접착제를 포함하거나 실질적으로 이로 이루어짐.
- 상기 내부층과 다른 면에서 접촉하는 외부 지지체층 (10 내지 50 마이크론, 예를 들어 약 30 마이크론 두께가 바람직함).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지지체에 대한 열 밀봉을 위해 특히 바람직한 다층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필름 구조는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다층 공압출 취입 필름이다:
- 0.1 내지 8 g/10 분의, 190℃/2.16 Kg 에서의 MIE, 0.916 내지 0.935 g/cm3 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과 다른 C3-C10 알파-올레핀의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단일중합체, 바람직하게는 LLdPE 또는 LDPE 또는 MDPE 로 만들어진 밀봉 외부층 (3-10 마이크론, 예를 들어 5 마이크론 두께가 바람직함).
- 감압 접착제 내부층 (10 내지 30 마이크론, 바람직하게는 15-25 마이크론, 예를 들어 20 마이크론 두께가 바람직함):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접착제를 포함하거나 실질적으로 이로 이루어짐.
- 0.5 내지 15 g/10 분의, 230℃/2.16 Kg 에서의 MIL, 0.880 내지 0.910 g/cm3 의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다른 C4-C10 알파-올레핀의 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단일중합체로 만들어진, 상기 내부층과 다른 면에서 접촉하는 외부 지지체층 (10 내지 50 마이크론, 예를 들어 약 30 마이크론 두께가 바람직함).
관련 전문가는 상이한 물질,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스티렌 수지, PVC, PET 강성 지지체 또는 필름 또는 시트에 대한 열 밀봉을 위해 밀봉 외부층 및 외부 지지체층의 성질을 어떻게 개조하는지를 알 것이다. 특히 바깥 (외부) 지지체층은 또한 상이한 물질 (예를 들어, LLDPE, mLLDPE 또는 기타 무작위 공중합체 또는 혼성중합체 예컨대 친화성 유형) 의 것일 수 있으며 복합체 적층 구조 (종이, 알루미늄 호일 및/또는 금속화 또는 잉크-인쇄 층 포함) 내에 다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을 하기 실시예에 제공하여,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설명한다.
하기의 표준 절차를 사용하여 실시예 및 일반 기술에서 규정한 특성을 시험하였다.
- MFR : ISO 1133 (190℃ 에서 2.16 kg 의 하중) (상이한 온도 및 하중이 명기되는 경우 제외);
- 고유 점도: 135℃ 에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에서 측정 (ASTM D 2857);
- 밀도: ISO 1183;
- 굴곡 탄성 계수: ISO 178
- 경도 ( 쇼어 A): ISO 868;
- DMTA 분석을 통한 Tg 측정
인장 응력용 DMTA 기기에 76 mm x 13 mm x 1 mm 의 성형 표본을 고정하였다. 샘플의 연결 및 장력의 빈도를 1 Hz 에서 고정한다. DMTA 는 표본의 탄성 응답을 -100℃ 에서 시작하여 130℃ 까지 분석한다. 이렇게 하여, 탄성 응답 대 온도를 도표화할 수 있다. 점탄성 물질에 대한 탄성 계수는 E = E' + iE" 로서 정의된다. DMTA 로 그의 공명에 의해 2 개 성분 E' 및 E" 를 분할할 수 있으며 E' 대 온도 및 E'/E" = tan (δ) 대 온도를 도표화할 수 있다.
유리 전이 온도 Tg 는 곡선 E'/E" = tan (δ) 대 온도의 최대치에서의 온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 공단량체 함량: IR 분광학 또는 NMR (명기되는 경우) 에 의해 측정.
특히 부텐-1 (공)중합체에 대해서 공단량체의 양을 실시예의 공중합체의 13C-NMR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하였다. 120℃ 에서 이중 중소화된 1,1,2,2-테트라클로로-에탄에서의 중합체 용액 (8-12 중량%) 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였다. 1H-13C 커플링이 제거되도록 펄스와 CPD (WALTZ16) 사이 15 초 딜레이, 90°펄스를 사용하여 120℃ 에서 푸리에 변환 모드에서 150.91 MHz 에서 작동하는 Bruker AV-600 분광광도계에서 13C NMR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약 1500 트랜션트 (transient) 가 60 ppm 의 스펙트럼 윈도우 (0-60 ppm) 를 사용하여 32K 데이터 포인트에 저장되었다.
- 공중합체 조성물
- 하기 관계식을 사용하여 13C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디아드 (Diad) 분포를 계산한다:
PP = 100 I1/∑
PB = 100 I2/∑
BB = 100 (I3 - I19)/∑
PE = 100 (I5 + I6)/∑
BE =100 (I9 + I10)/∑
EE = 100 (0.5 (I15 + I6 + I10) + 0.25 (I14))/∑
이때, ∑ = I1+ I2 + I3 - I19 + I5 + I6 + I9 + I10 + 0.5 (I15 + I6 + I10) + 0.25 (I14).
하기 관계식을 사용하여 디아드로부터 몰 함량을 수득한다:
P (m%)= PP + 0.5 (PE+PB)
B (m%)= BB + 0.5 (BE+PB)
E (m%)= EE + 0.5 (PE+BE)
I1, I2, I3, I5, I6, I9, I6, I10, I14, I15, I1913C NMR 스펙트럼에서의 피크의 적분값이다 (29.9 ppm 에서의 EEE 시퀀스의 피크를 참조물로 함). 이들 피크의 지정을 J.C. Randal, Macromol . Chem Phys., C29, 201 (1989), M. Kakugo, Y. Naito, K. Mizunuma and T. Miyatake, Macromolecules, 15, 1150, (1982), 및 H.N. Cheng, Journal of Polymer Science , Polymer Physics Edition, 21, 57 (1983) 에 따라 수행한다. 이를 표 A 에 수집한다 (C.J. Carman, R.A. Harrington and C.E. Wilkes, Macromolecules, 10, 536 (1977) 에 따른 명명법).
표 A.
Figure pct00003
- 25℃ 에서 자일렌 중 가용성 및 불용성인 분획물 ( XS 25℃): 2.5 g 의 중합체를 교반 하에 135℃ 에서 250 mL 의 자일렌에 용해한다. 20 분 후 용액을 여전히 교반하면서 25℃ 로 냉각시킨 후, 30 분 동안 가라앉혔다. 침전물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용액을 질소 흐름 중에서 증발시키고, 일정한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잔류물을 80℃ 에서 진공 하 건조시켰다. 따라서, 실온 (25℃) 에서의 중합체 가용물 (자일렌 가용물 - XS) 및 불용물의 중량% 를 계산한다.
주변 온도 (25℃) 에서의 자일렌 중 중합체 불용물의 중량% 는 중합체의 이소택틱 지수인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값은, 정의상 폴리프로필렌의 이소택틱 지수가 되는, 비등하는 n-헵탄으로의 추출에 의해 측정된 이소택틱 지수에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 0℃ 에서 자일렌 중 가용성 및 불용성인 분획물 ( XS 0℃): 2.5 g 의 부텐-1 (공)중합체 (성분 (C)) 를 교반 하에 135℃ 에서 250 ml 의 자일렌에 용해한다. 30 분 후 용액을 여전히 교반하면서 100℃ 로 냉각시킨 후, 빙수조에 넣어 0℃ 로 냉각시킨다. 그 후, 용액을 빙수조에서 1 시간 동안 가라앉힌다. 침전물을 여과지로 여과한다. 여과 동안, 플라스크를 빙수조에 두어 플라스크 내부 온도가 가능한 한 0℃ 에 가깝도록 유지시킨다. 여과가 완료되고 나면, 메스 플라스크를 수류조 (water-flowing bath) 에 약 30 분 동안 담그어 여과물 온도를 25℃ 에서 균형을 이루게 한 후, 2 개의 50 ml 분취액으로 나눈다. 용액 분취액을 질소 흐름 중에서 증발시키고, 일정한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잔류물을 80℃ 에서 진공 하 건조시켰다. 두 잔류물 간의 중량 차이는 3% 미만이어야만 하며, 그렇지 않으면 시험을 반복해야한다. 따라서, 잔류물의 평균 중량으로부터 중합체 가용물 (0 ℃ 에서의 자일렌 가용물 = XS 0℃) 의 중량% 를 계산한다. 0℃ 에서의 o-자일렌 중 불용성 분획물 (0℃ 에서의 자일렌 불용물 = XI%0℃) 은 다음과 같다: XI%0℃ = 100 - XS%0℃.
- X 선 결정도의 측정
고정된 틈을 갖는 Cu-Kα1 방사선을 사용하고 회절 각 2Θ = 5°내지 2Θ = 35°(6 초 마다 0.1°의 단계) 사이에서 스펙트럼을 수집하여, X 선 분말 회절분석기로 X 선 결정도를 측정하였다.
두께 약 1.5-2.5 mm 및 직경 2.5-4.0 cm 의 디스크 형태의 압축 성형 표본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였다. 이들 표본을, 10 분 동안 어떠한 주목할만한 압력도 가하지 않고 200℃ ± 5℃ 의 온도에서 압축 성형 프레스에서 수득한다. 그 후 대략 수 초 동안 약 10 Kg/cm2 의 압력을 가하고, 상기 마지막 공정을 3 회 반복한다.
회절 패턴을 사용하여, 전체 스펙트럼에 대해 적합한 선형 기준선을 정의하고, 스펙트럼 프로파일과 기준선 사이의 계수/초ㆍ2Θ 로 표현한 총 면적 (Ta) 을 계산함으로써 결정화도에 필요한 모든 성분을 유도하였다.
그 후, 전체 스펙트럼을 따라, 2 상 모델에 따라서 결정질 부위로부터 무정형 부위를 분리시키는, 적합한 무정형 프로파일을 정의하였다. 따라서, 계수/초ㆍ2Θ 로 표현한 무정형 면적 (Aa) 을 무정형 프로파일과 기준선 사이의 면적으로서; 및 계수/초ㆍ2Θ 로 표현한 결정질 면적 (Ca) 을 Ca = Ta- Aa 로서 계산할 수 있다.
하기 식에 따라 샘플의 결정화도를 계산하였다:
%Cr = 100 x Ca / Ta
- 열 특성 (용융 온도 및 엔탈피 ) 을 Perkin Elmer DSC-7 기구에서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에 의해 측정하였다. 부텐-1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용융 온도를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 TmII (2 차 가열 실험에서 측정): 중합으로부터 수득한 칭량된 샘플 (5-10 mg) 을 알루미늄 팬에 밀봉하고 20℃/분에 상응하는 주사 속도로 200℃ 에서 가열하였다. 샘플을 200℃ 에서 5 분 동안 유지시켜 모든 결정립을 완전 용융시킴으로써 샘플의 열 이력을 취소시켰다. 연속하여, 10℃/분에 상응하는 주사 속도로 -20℃ 로 냉각한 후, 피크 온도를 결정화 온도 (Tc) 로서 선택하였다. -20℃ 에서 5 분 동안 정치시킨 후, 샘플을 10℃/분에 상응하는 주사 속도로 200℃ 에서 두 번째로 가열하였다. 상기 두 번째 가열 실험에서, (존재하는 경우) 피크 온도를 폴리부텐-1 (PB) 결정질 형태 II 의 용융 온도 (TmII) 로서, 그리고 면적을 글로벌 용융 엔탈피 (ΔHfII) 로서 선택하였다.
- 10 일 후 용융 엔탈피 및 결정질 형태 I 의 용융 온도 ( TmI ) 를, Perkin Elmer DSC-7 기구에서의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중합으로부터 수득한 칭량된 샘플 (5-10 mg) 을 알루미늄 팬에 밀봉하고 20℃/분에 상응하는 주사 속도로 200℃ 에서 가열하였다. 샘플을 200℃ 에서 5 분 동안 유지시켜 모든 결정립을 완전 용융시켰다. 샘플을 이후 실온에서 10 일 동안 보관하였다. 10 일 후 샘플을 DSC 로 측정하고, -20℃ 로 냉각시킨 후, 이를 10℃/분에 상응하는 주사 속도로 200℃ 에서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 실험에서, 온도 기록도에서의 저온 측에서 기인하는 제 1 피크 온도를 용융 온도 (TmI) 로서, 그리고 면적을 10 일 후 글로벌 용융 엔탈피 (ΔHf) 로서 선택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ii) 의 추가에 기인하는 프로필렌 결정도가 존재하는 경우, 추가적인 용융 온도 피크 (PP) 가 더 높은 온도에서 검출될 수 있다.
- 이소택틱 펜타드 함량의 측정: 50 mg 의 각 샘플을 0.5 mL 의 C2D2Cl4 에 용해하였다.
13C NMR 스펙트럼을 Bruker DPX-400 (100.61 Mhz, 90°펄스, 펄스 간 12 초 딜레이) 에서 획득하였다. 약 3000 트랜션트를 각 스펙트럼에 대해 저장하고; mmmm 펜타드 피크 (27.73 ppm) 를 참조물로서 사용하였다.
미세구조 분석을 문헌 (Macromolecules 1991, 24, 2334-2340, Asakura T. et Al. 및 Polymer, 1994, 35, 339, Chujo R. et Al.)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부텐-1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에 대한 실험 부분에서 제공된 펜타드 입체규칙성의 백분율 값 (mmmm%) 은, 알파-올레핀 공단량체 (예를 들어,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 유래 단위체) 로 인해 동일 부위에 포함되는 입체불규칙성 펜타드 사이의 중첩 및 이들 신호를 충분히 고려하여, 분지형 메틸렌 탄소의 NMR 부위 (BBBBB 이소택틱 시퀀스에 지정된 약 27.73 ppm) 에서의 관련 펜타드 신호 (피크 면적) 로부터 계산한 바와 같은 입체규칙성 펜타드 (이소택틱 펜타드) 의 백분율이다.
-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 GPC ) 에 의한 MWD 측정
모든 샘플에 대한 분자량 매개변수 및 분자량 분포를, 4 개 PLgel Olexis 혼합 겔의 컬럼 세트 (Polymer Laboratories) 및 IR4 적외선 검출기 (PolymerChar) 가 장착된 Waters GPCV 2000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컬럼의 치수는 300 x 7.5 mm 이고 그의 입자 크기는 13 μm 였다. 사용한 이동상은 1-2-4-트리클로로벤젠 (TCB) 이었고, 이의 유량을 1.0 mL/분에서 유지시켰다. 모든 측정을 150℃ 에서 실행하였다. 용액 농도는 TCB 중 0.1 g/dL 이었으며, 0.1 g/L 의 2,6-디테르부틸-p-크레졸을 추가하여 분해를 방지하였다. GPC 계산을 위해서, Polymer Laboratories 사에서 공급되는 10 개 폴리스티렌 (PS) 표준 샘플 (피크 분자량 범위 580 내지 8500000) 을 사용하여 범용 보정 곡선을 수득하였다. 제 3 다항 맞춤 (polynomial fit) 을 사용하여 실험 데이터를 삽입하고 관련 보정 곡선을 수득하였다. 데이터 획득 및 처리를 Empower (Waters) 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마크-휴윙크 (Mark-Houwink) 관계식을 사용하여 분자량 분포 및 관련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K 값은, PS 및 PB 에 대해 각각 K PS = 1.21 x 10-4 dL/g 이고 K PB = 1.78 x 10-4 dL/g 인 한편, 마크-휴윙크 지수 α = 0.706 (PS 에 대함) 및 α = 0.725 (PB 에 대함) 를 사용하였다.
부텐/에틸렌 공중합체에 대해서, 데이터 평가가 관련되는 한, 조성물이 분자량 전체 범위에서 일정하였으며 하기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 결합을 사용하여 마크-휴윙크 관계식의 K 값을 계산하였다는 것이 각 샘플에 대해 추정되었다:
K EB = χ E K PE + χ B K PB
식 중에서, K EB 는 공중합체의 상수이고, K PE (4.06 x 10-4 dL/g) 및 K PB (1.78 x 10-4 dL/g) 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부텐의 상수이고, χ E χ B 는 에틸렌 및 부텐 중량% 함량이다. 마크-휴윙크 지수 α = 0.725 를 모든 부텐/에틸렌 공중합체에 대해, 그의 조성에 관계없이 사용하였다.
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에 대해서, PP 및 PB 가 매우 유사한 K 를 갖기 때문에 수정을 가하지 않았으며, PB 의 K 및 α 값을 사용하여 공중합체를 적분하였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물질
표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부텐-1 (공)중합체 (A1 유형 및 A2 유형) 및 비교예의 구조 및 특성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Nd = 검출 불가
Na = 해당 없음
* 제 2 가열 실험에서 수집한 DSC 온도 기록도로부터의 것임 (샘플의 열 이력 취소 후)
** 프로필렌 유래 단위체 (C3) 의 함량은 230℃, 2.16 kg 에서의 MIL 5.50 g/10 분을 갖는 저 sit 결정질 프로필렌 삼원중합체 성분 (ii) 7 중량% 로의 횡렬 혼합공정으로 인한 것이고, 에틸렌 유래 단위체 함량은 약 3 중량% 이고, 부텐-1 유래 단위체 함량은 약 9 중량% 임
PB1 은 국제 출원 WO2006/042815 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 및 저 입체특이성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수득된 부텐-1 단일중합체 (A1 유형) 이다. 본 발명의 A1 유형 중합체를 수득하기 위해 촉매의 입체규칙성을 추가로 감소시키는데 사용한 외부 공여체는 외부 공여체 3,4-디메톡시-톨루엔이었다. 액체 부텐-1 이 액체 매질을 구성한 액체상 교반 반응기에서 PB1 중합을 실행하였다.
고체 촉매 성분을 500 ml 4 구 둥근 플라스크에 미리 제조하고, 질소로 퍼징하고, 225 ml 의 TiCl4 를 0℃ 에서 도입하였다. 교반하면서, 6.8 g 의 미소구체 MgCl2ㆍ2.7C2H5OH (USP 4,399,054 의 실시예 2 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으나 10,000 rpm 대신 3,000 rpm 에서 작동시킴) 를 추가하였다. 플라스크를 40℃ 로 가열하고 4.4 mmol 의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를 이에 추가하였다. 온도를 100℃ 로 승온시키고 2 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교반을 중단하고, 고체 생성물을 가라앉히고 상청액을 빨아들였다.
200 ml 의 새 TiCl4 를 추가하고, 혼합물을 120℃ 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상청액을 빨아들이고 수득한 고체를 무수 헥산 (6 x 100 ml) 으로 60℃ 에서 6 회 세척한 후 진공 하 건조시켰다. 촉매 성분은 2.8 중량% 의 Ti 및 12.3 중량% 의 프탈레이트를 함유하였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한 고체 촉매 성분을 AliBu3 (TIBAL) 및 외부 공여체 3,4-디메톡시-톨루엔과 tibal/공여체 비 5.7 및 공여체/촉매 비 8.83 으로 사전접촉시켰다.
수득한 촉매를 하기 조건 하에 가동하는 반응기 연속물에 주입하였다 (0.6 g/시간):
온도: 76℃
부텐 공급 = 90.9 Kg/시간
수소 공급 = 0.65 g/시간
체류 시간: 135 분
약 20 Kg/시간의 중합체 생성. 최종 중합체에서 실행한 분석 결과를 PB1 에 대해 표 1 에서 나타낸다.
PB2 및 PB4 는 WO2004/099269 및 WO2009/000637 에서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텐-1/에틸렌 공중합체 (A2 유형) 이다.
(공)중합체 조성물 (A)=(i)+(ii)=PB2+(ii) 의 중량에 대해 7 중량% 의 양으로 추가한 결정질 저 sit 삼원중합체 (ii) 의 횡렬 혼합공정에 의해 PB2 로부터 PB3 을 수득하였다.
PB5 는 PB1 에 대해 또한 사용한 동일 지글러 나타 촉매로 제조하였으나 국제 출원 WO2006/042815 A1 에서 기재된 방법에 따라 외부 공여체 부재 하에 제조된 프로필렌과의 비교 부텐-1 공중합체이다.
PB6 은 190/2.16 Kg 에서의 MIE = 0.9 g/10 분, 밀도 0.906 g/cc, 용융 온도 DSC TmI 114℃, 결정도 46%, 굴곡 탄성율 250 MPa 인, 추가적인 비교 부텐-1 중합체로서 사용한 비교 부텐-1 단일중합체이다.
부텐-1 (공)중합체 (A) 를 그 자체로서 (표 3 에서의 실시예 4-9) 또는 표 2 실시예 1-3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양으로 점착제와 용융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9 의 생성된 조성물을 펠렛화하고 시판 부가제, 점착방지제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조성물의 취급성에 기여하게 하였다. 마감 처리로, 최종 펠렛 중 부가제 총량이 통상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미만 (부가제 당 약 100-1500 ppm 이하) 이 된다. 이러한 마감 처리의 예는 국제 특허 출원 PCT/EP2010/056159 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후 실시예 1-9 에 따른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3 층 취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의 조성물로 만들어진 내부층 (두께 약 20 마이크론) 을 한 쪽에서 밀봉 외부층과, 다른 쪽에서 외부 지지체층과 접촉시켜 공압출하였다. 밀봉 외부층 (두께 약 5 마이크론) 은 190℃/2.16 Kg 에서의 MIE = 1.9 g/10 분, 밀도 0.925 g/cm3 인 LDPE 로 만들어진다. 외부 지지체층 (두께 30 마이크론) 은 에틸렌 함량이 약 3 중량% 이고 230℃/2.16 Kg 에서의 MIL = 2 g/10 분, 밀도 0.900 g/cm3 인, 프로필렌의 에틸렌과의 공중합체로 만들어진다.
210-215℃ 의 용융 온도에서 3 층 공압출 취입 필름 라인이 장착된 단축 Dr. Collin 압출기에서 외부층에 대해 각각의 시험 조성물 및 중합체를 압출하여 취입 필름을 제조하였다. 처리량은 약 20 kg/시간이었다. 압출기에는 직경 80 mm 의 고리형 다이가 장착되었으며 다이 갭은 1.2 mm 였다. 필름을 주변 온도에서 냉각 공기로 이중 흐름 (dual flow) 냉각 고리에 의해 냉각시켰다. 버블을 평평하게 층상화시키고 9 m/분의 필름 인발 속도로 감았다. 필름을 버블 벽 두께 55 μm 로 제조하였는데, 이는 수득한 최종 표본 두께이다.
3 층 공압출 취입 필름을 190℃/2.16 Kg 에서의 MIE = 0.75 g/10 분, 밀도 0.923 g/cm3 인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폴리에틸렌 지지체 필름에 대한 박리 강도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RDM 밀봉 기계로 다양한 온도에서 열 밀봉 후 박리 (1 차 박리) 를 측정하고, 수동 압력 재밀폐 후 (약 2 bar 의 재밀폐 압력에 상응함) 다시 개봉되었을 때 추가 측정하였다.
- 박리 강도를 ASTM F2029/ASTM F88 을 참조로 하여 (N/15mm) 로 측정하였다. 각 시험에 대해 상기 제조한 3 층 필름 표본을 폴리에틸렌 필름과 일렬로 중첩시켰다 (인접층이 3 층 필름 및 폴리에틸렌 지지체 필름의 밀봉 외부층임). 중첩된 표본을 압출로부터 7 일 이상 후, RDM 밀봉기, 모델 HSE-3 멀티 실 (multi seal) 로 횡 방향으로 밀봉한다. 밀봉 시간은 4 bar 의 압력에서 0.5 초이다. 밀봉 온도를 100℃ 부터 시작하여, 각 밀봉에 대해 증가시킨다. 밀봉된 샘플을 냉각되도록 두고 표준 조건 (23℃ 및 50% 상대 습도) 하에 7 일 보관하였다. 밀봉 샘플을 15 mm 너비 스트립으로 절단하여, 밀봉되지 않은 말단을 Instron 기계에 부착시키고, 50 mm 의 그립 사이 초기 거리로 100 mm/분의 견인 속도에서 이를 시험한다. 인장 시험 동안 측정한 평균 힘 (안정기) 을 박리 강도로서 정의한다.
각 온도에서의 1 차 박리 강도 측정 후, 각각의 재개봉 주기에서 박리력을 측정하는 동일 절차로 스트립을 수동으로 재밀폐하고 재개봉한다. 결과를 하기 표 2 및 3 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5
표 3 - 내부층에서 그 자체로서의 부텐-1 (공)중합체
Figure pct00006

Claims (10)

  1. A) 하기를 갖는 부텐-1 (공)중합체:
    - 80 중량% 이상의 부텐-1 유래 단위체 함량,
    - 80 MPa 이하의 굴곡 탄성율 (MEF),
    - 110℃ 미만의 용융 온도 DSC (TmI); 및 임의로는
    B) 점착제
    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60-95 중량% 의 부텐-1 (공)중합체 (A),
    5-40 중량% 의 점착제 (B).
  3. 제 1 항에 있어서, 부텐-1 (공)중합체 (A) 가 X 선을 통해 측정된 40% 미만의 결정도를 갖는 감압 접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부텐-1 (공)중합체가 90 미만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감압 접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가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 인 감압 접착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부텐-1 (공)중합체 (A) 가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감압 접착제:
    (A1) 10% 내지 50% 의 이소택틱 펜타드 백분율 (mmmm%) 을 갖는 부텐-1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A2) 3 미만의, GPC 에 의해 측정된 분자량 분포 (Mw/Mn) 를 갖는 부텐-1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특히 부텐-1/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부텐-1/에틸렌/프로필렌 삼원중합체.
  7. 감압 접착제 제조를 위한, 하기를 갖는 부텐-1 (공)중합체 (A) 의 용도:
    - 80 중량% 이상의 부텐-1 유래 단위체 함량,
    - 80 MPa 이하의 굴곡 탄성율 (MEF),
    - 110℃ 미만의 용융 온도 DSC (TmI).
  8. 하나 이상의 내부층이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압 접착제로 만들어지거나 실질적으로 이로 이루어지는, 열 밀봉 적용물을 위한 다층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필름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열 밀봉을 위한 다층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필름 구조로서, 다층 공압출 필름이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구조:
    - 하기로 만들어지거나 실질적으로 이로 이루어지는 감압 접착제 내부층;
    A) 하기를 갖는 부텐-1 (공)중합체;
    - 80 중량% 이상의 부텐-1 유래 단위체 함량,
    - 80 MPa 이하의 굴곡 탄성율 (MEF),
    - 110℃ 미만의 용융 온도 DSC (TmI); 및 임의로는
    B) 점착제,
    - 밀봉 외부층,
    - 다른 쪽에서 상기 내부층과 접촉하는 다른 외부 지지체층.
  10.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다층 박리 용이성 재밀폐 가능 필름 구조:
    - 하기로 만들어지거나 실질적으로 이로 이루어지는 감압 접착제 내부층;
    (A) 하기를 갖는 부텐-1 (공)중합체;
    - 80 중량% 이상의 부텐-1 유래 단위체 함량,
    - 80 MPa 이하의 굴곡 탄성율 (MEF),
    - 110℃ 미만의 용융 온도 DSC (TmI); 및 임의로는
    B) 점착제,
    - 0.1 내지 8 g/10 분의, 190℃/2.16 Kg 에서의 MIE, 0.916 내지 0.935 g/cm3 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과 다른 C3-C10 알파-올레핀의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단일중합체로 만들어진 밀봉 외부층,
    - 0.5 내지 15 g/10 분의, 230℃/2.16 Kg 에서의 MIL, 0.880 내지 0.910 g/cm3 의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다른 C4-C10 알파-올레핀의 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단일중합체로 만들어진 다른 외부 지지체층.
KR1020137009674A 2010-10-21 2011-10-18 부텐-1 공중합체를 갖는 감압 접착제 KR101958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88301.5 2010-10-21
EP10188301 2010-10-21
US40567210P 2010-10-22 2010-10-22
US61/405,672 2010-10-22
PCT/EP2011/068177 WO2012052429A1 (en) 2010-10-21 2011-10-18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th butene-1 copolym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188A true KR20130129188A (ko) 2013-11-27
KR101958495B1 KR101958495B1 (ko) 2019-03-14

Family

ID=4480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674A KR101958495B1 (ko) 2010-10-21 2011-10-18 부텐-1 공중합체를 갖는 감압 접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84475B2 (ko)
EP (1) EP2630211B1 (ko)
JP (1) JP6005649B2 (ko)
KR (1) KR101958495B1 (ko)
CN (1) CN103154176B (ko)
BR (1) BR112013009717B1 (ko)
WO (1) WO20120524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523A1 (ko) * 2017-12-27 2019-07-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중합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079549A (ko) * 2017-12-27 2019-07-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중합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0773A1 (en) * 2013-06-05 2014-12-10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Butene-1 copolymer tie layer in multilayer film structures having a low seal temperature and improved hot tack
JP6460344B2 (ja) 2013-09-24 2019-01-3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性組成物
US20170029670A1 (en) * 2013-11-25 2017-02-02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olefin based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JP6326253B2 (ja) * 2014-03-13 2018-05-16 三井化学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用接着剤組成物
CN107257833B (zh) 2015-01-23 2020-01-03 波士胶公司 茂金属聚烯烃基低活化温度热封热熔性粘合剂
AU2016220188B2 (en) * 2015-02-16 2019-01-24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Multi-layer film and reclosable film package
ES2865028T3 (es) 2016-06-20 2021-10-14 Henkel Ag & Co Kgaa Adhesivo sensible a la presión extruible basado en polibuteno-1 adecuado para envasados que se pueden volver a cerrar
ES2826475T3 (es) * 2016-07-07 2021-05-18 Savare I C S R L Adhesivos termofusibles procesables mediante procedimientos de alta velocidad
PL3266824T3 (pl) * 2016-07-07 2022-05-09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Kompozycja polimerowa butenu-1 o wysokim wskaźniku szybkości płynięcia
PT3266825T (pt) 2016-07-07 2022-04-11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Composição polimérica de buteno-1 tendo um índice de fluidez elevado
IT201700030594A1 (it) * 2017-03-20 2018-09-20 Savare I C S R L Adesivi termofusibili applicabili con processi ad alta velocita'
PT3323866T (pt) * 2016-11-22 2019-08-21 Henkel Ag & Co Kgaa Adesivo extrudável sensível a pressão, à base de polímero de polibuteno-1 e um copolímero de estireno, adequado para embalagens refecháveis
US11267911B2 (en) * 2017-08-04 2022-03-08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high melt flow rate
JP2019038965A (ja) * 2017-08-28 2019-03-14 住友化学株式会社 接着剤
EP3757162A1 (en) 2019-06-24 2020-12-30 Sika Technology Ag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flexibility
EP3819317A1 (en) * 2019-11-07 2021-05-12 Sika Technology Ag Waterproofing membrane with a self-healing layer
WO2021124741A1 (ja) * 2019-12-20 2021-06-24 共同印刷株式会社 再封性包材
CN116917355A (zh) * 2021-03-08 2023-10-20 三井化学株式会社 1-丁烯·乙烯共聚物、包含该1-丁烯·乙烯共聚物和丙烯系聚合物的1-丁烯系聚合物组合物、包含该1-丁烯·乙烯共聚物、丙烯系聚合物和乙烯系聚合物的1-丁烯系聚合物组合物及其用途
WO2024023433A1 (fr) * 2022-07-27 2024-02-01 Bostik Sa Auto-adhesifs thermofusibles pour emballage refermable
FR3138438A1 (fr) * 2022-07-27 2024-02-02 Bostik Sa Auto-adhesifs thermofusibles pour emballage refermable
WO2024053644A1 (ja) * 2022-09-05 2024-03-14 三井化学株式会社 シーラン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FR3140791A1 (fr) * 2022-10-12 2024-04-19 Bostik Sa Recyclage d’un systeme multicouch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7104A1 (de) * 2008-06-04 2009-12-10 Tesa Se Klebstoff aus isotaktischem 1-butenharz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63977B (ko) 1968-11-21 1974-02-11 Montedison Spa
YU35844B (en) 1968-11-25 1981-08-31 Montedison Spa Process for obtaining catalys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es
IT1098272B (it) 1978-08-22 1985-09-07 Montedison Spa Componenti,di catalizzator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elle alfa-olefine
US4568713A (en) 1984-05-30 1986-02-04 Shell Oil Company Hot melt poly(butylene/ethylene) adhesives
US4937138A (en) 1988-02-29 1990-06-26 Shell Oil Company Hot melt polybutylene and poly(butylene/ethylene) adhesives and laminar structures
IT1230134B (it) 1989-04-28 1991-10-14 Himont Inc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IT1262934B (it) 1992-01-31 1996-07-22 Montecatini Tecnologie Srl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IT1262935B (it) 1992-01-31 1996-07-22 Montecatini Tecnologie Srl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IT1256648B (it) 1992-12-11 1995-12-12 Montecatini Tecnologie Srl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elle olefine
JPH08253738A (ja) * 1995-03-14 1996-10-01 Daiabondo Kogyo Kk 反応性粘着テープおよび反応性粘着シート
AUPO591797A0 (en) 1997-03-27 1997-04-24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High avidity polyvalent and polyspecific reagents
FR2817502B1 (fr) 2000-12-06 2003-02-28 Pechiney Emballage Flexible Eu Materiau d'operculage pelable et refermable
FR2820751B1 (fr) 2001-02-09 2005-01-14 Bostik Findley Adhesifs thermofusibles auto-adhesifs extrudables a chaud et leur utilisation dans les films multicouches
WO2003070786A1 (fr) 2002-02-20 2003-08-28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rocede pour produire un polymere de butene-1 modifie et polymere de butene-1 modifie obtenu grace au procede
KR101060985B1 (ko) 2003-05-12 2011-08-31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1-부텐의 중합 방법
JP4722427B2 (ja) * 2004-08-06 2011-07-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RU2007118505A (ru) 2004-10-18 2008-11-27 Базелль Полиолефин Италия С.Р.Л. (It) (со)полимеры бутена-1 с низкой изотактичностью
US7927679B2 (en) 2005-10-11 2011-04-19 Curwood, Inc. Easy-open reclosable films having an interior frangible interfac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5377474B2 (ja) * 2007-04-27 2013-12-25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イタリア・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ブテン−1ター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000637A1 (en) 2007-06-25 2008-12-31 Basell Polyolefine Gmbh 1-butene ethylene copolymers
JP5117255B2 (ja) 2008-03-31 2013-01-16 三菱樹脂株式会社 再封機能付き多層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7104A1 (de) * 2008-06-04 2009-12-10 Tesa Se Klebstoff aus isotaktischem 1-butenharz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523A1 (ko) * 2017-12-27 2019-07-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중합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079549A (ko) * 2017-12-27 2019-07-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중합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00340A (ja) 2014-01-09
JP6005649B2 (ja) 2016-10-12
US20130202836A1 (en) 2013-08-08
KR101958495B1 (ko) 2019-03-14
EP2630211B1 (en) 2016-05-18
CN103154176A (zh) 2013-06-12
BR112013009717A2 (pt) 2016-07-19
CN103154176B (zh) 2016-08-10
BR112013009717B1 (pt) 2020-03-31
WO2012052429A1 (en) 2012-04-26
US9284475B2 (en) 2016-03-15
EP2630211A1 (en)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495B1 (ko) 부텐-1 공중합체를 갖는 감압 접착제
EP3328955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improved hot-tack force
US20180194911A1 (en) Articles Comprising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olypropylene Resins
US20120171405A1 (en) Heat-Sealable Polyolefin Films
EP1697445A1 (en) Sealing layer resin compositions
US10814588B2 (en) Butene-1 copolymer tie layer in multilayer film structures having a low seal temperature and improved hot tack
JP7411454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KR101671654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용 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WO2011039314A1 (en) Heat-sealable polyolefin films
WO2015010858A1 (en) Heat-sealable polyolefin films and sheets
WO2021186283A1 (en) Multilayer film structure
CN110869439B (zh) 树脂、多层膜和包含其的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