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019A - 나노와이어 용액,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와이어 용액,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019A
KR20130129019A KR1020120053323A KR20120053323A KR20130129019A KR 20130129019 A KR20130129019 A KR 20130129019A KR 1020120053323 A KR1020120053323 A KR 1020120053323A KR 20120053323 A KR20120053323 A KR 20120053323A KR 20130129019 A KR20130129019 A KR 20130129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wire
diameter
substrate
cross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혁
문종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9019A/ko
Publication of KR2013012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용액은, 나노와이어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와이어의 일 횡단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장직경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단직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직경이 상기 단직경보다 길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와이어의 일 횡단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장직경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단직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직경이 상기 단직경보다 길다.

Description

나노와이어 용액,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NANOWIRE SOLUTION AND TOUCH PANEL}
본 기재는 나노와이어 용액,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태양 전지, 모바일 장치 등의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투명 도전성 물질을 이용한 투명 전극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투명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도전성 물질로 나노미터(nanometer) 수준의 크기를 가지는 와이어 형상 구조체인 나노 와이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 와이어는 터치 패널, 태양 전지 및 액정 표시 장치 등에 투명 전극층을 제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나노 와이어는 우수한 전기 전도성, 유연성 및 투과도를 지녀 투명 전극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투명 전극을 제조시 전도성 나노 재료의 사용량이 적으면 투과도 및 헤이즈(haze) 등의 광특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게 되고, 반면에 나노 재료의 사용량이 많으면 전기적 특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광특성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나노와이어들은 입사하는 빛을 산란시키는 특성이 있어, 나노와이어를 포함한 전극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동일한 나노와이어 재료를 이용하여 전극 형성 시, 전극의 면적당 밀도가 높으면 면저항이 작아지지만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 심해진다. 따라서, 터치 패널의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면적당 밀도가 낮으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은 줄어들지만 면저항이 커져서 성능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뿌옇게 보이는 현상은 최소화하면서 면저항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실시예는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용액은, 나노와이어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와이어의 일 횡단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장직경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단직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직경이 상기 단직경보다 길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와이어의 일 횡단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장직경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단직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직경이 상기 단직경보다 길다.
실시예에서는 나노와이어들이 일정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나노와이어의 형상을 통해 나노와이어와 빛이 상호작용하는 면을 최소화하면서도, 전도도에 기여하는 부분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즉, 나노와이어의 투영면적은 늘리지 않고 나노와이어의 횡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전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노와이어가 입사하는 빛을 산란시켜 전극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전극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용액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나노와이어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의 단면도들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용액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용액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나노와이어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의 단면도들이다.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용액은 용매 및 나노와이어(100)를 포함한다.
상기 용매는 물, 비극성 용매인 아세톤 또는 폴리올 등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나노와이어(100)는 양 끝단을 포함한다.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일 횡단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장직경(D)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단직경(d)을 포함한다. 상기 장직경(D)과 상기 단직경(d)은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직경(D)이 상기 단직경(d)보다 길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직경(D)이 상기 단직경(d)보다 1.1 배 내지 3배 더 길다.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상기 횡단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나노와이어(100)는 만곡된다. 따라서, 상기 나노와이어(100)는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률반경은 10 ㎛ 내지 150 ㎛일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00)가 만곡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추후에 상기 나노와이어(100)가 기판 상에 형성되었을 때, 기판 상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나노와이어(100)가 상기 기판 상에서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어느 한 면과 접하는 제1 평면(210) 및 상기 제1 평면(210)과 평행하고, 상기 나노와이어(100)와 접하는 제2 평면(220) 사이에 일정한 간격(S)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은 상기 장직경(D)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나노와이어(100)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장직경(D)과 평행하고, 상기 나노와이어(100)를 샌드위치하는 평면들 중 서로의 간격이 최소화되는 제1 평면(210) 및 제2 평면(220)이 정의되고, 상기 제1 평면(210) 및 상기 제2 평면(220)이 서로 평행한다.
상기 제1 평면(210) 및 상기 제2 평면(220) 사이의 간격(S)은 상기 장직경(D) 이상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길이의 1/3.14 이하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나노와이어(100)가 추후 기판 상에 위치하였을 때,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를 참조하면, 나노와이어(100)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밖에, 지그재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일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상기 일 횡단면의 형상은 타원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직경(D)이 상기 단직경(d)보다 길면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00)는 나노임프린트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임프린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포토공정의 마스크 패턴 역할을 하는 몰드 제작이 필요하다. 몰드에는 원하는 패턴이 표면으로부터 양각으로 도출되어 있다. 몰드 내에 잉크가 선택적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후, 상기 채워진 잉크 상에 폴리머를 위치시키고 열을 가한다. 이때, 상기 폴리머와 나노와이어(100) 사이의 열팽창률이 다르기 때문에 나노와이어(100)가 휘어지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즉, 나노와이어(100)가 만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냉각 후 폴리머를 제거하고 나노와이어(100)를 떼어냄으로써,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는, 입력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AA)과, 이 유효 영역(AA)의 외곽으로 위치하는 더미 영역(DA)이 정의된다.
여기서,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투명 전극(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더미 영역(DA)에는 투명 전극(40)에 연결되는 배선(50) 및 이 배선(50)을 외부 회로(도시하지 않음, 이하 동일)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6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영역(DA)에는 외곽 더미층(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곽 더미층(20)에는 로고(logo)(20a)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기판(10)에 외곽 더미층(20), 투명 전극(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투명 전극(40)에 배선(50)이 연결되고, 이 배선(50)에 인쇄 회로 기판(60)이 연결될 수 있다.
기판(10)은 이 위에 형성되는 외곽 더미층(20), 투명 전극(40), 배선(50)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은 일례로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0)의 외곽 영역(DA)에 외곽 더미층(20)이 형성된다. 외곽 더미층(20)은 배선(50)과 인쇄 회로 기판(60)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곽 더미층(20)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 외곽 더미층(20)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로고(도 6의 참조부호 20a)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곽 더미층(20)은 증착, 인쇄, 습식 코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기판(10)의 상면에 투명 전극(40)이 형성된다. 투명 전극(40)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곽 더미층(20)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투명 전극(40)이 외곽 더미층(20) 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전극(40)이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42, 44)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 감지하는 센서부(42a, 44a)와, 이러한 센서부(42a, 44a)를 연결하는 연결부(42b, 44b)를 포함한다. 제1 전극(42)의 연결부(42b)는 센서부(42a)를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고, 제2 전극(44)의 연결부(44b)는 센서부(44a)를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결한다.
제1 전극(42)의 연결부(42b)와 제2 전극(44)의 연결부(44b)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는 이들 사이에 절연층(46)이 위치하여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4)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46)은 연결부(42b, 44b)를 절연할 수 있는 투명 절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절연층(46)은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 또는 아크릴 등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제1 및 제2 전극(42,44)의 센서부(42a, 44a)가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센서부(42a, 44a)를 단일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투명 전도성 물질층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터치 패널(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100)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되고, 이 차이가 발생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투명 전극(40)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투명 전극(40)을 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투명 전극(40)은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투명 전극(40)은 나노와이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투명 전극(40)은 은(Ag) 나노와이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00)는 양 끝단을 포함한다.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일 횡단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장직경(D)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단직경(d)을 포함한다. 상기 장직경(D)과 상기 단직경(d)은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직경(D)이 상기 단직경(d)보다 길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직경(D)이 상기 단직경(d)보다 1.1 배 내지 3배 더 길다. 상기 장직경(D)이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나노와이어(100)의 단면적이 증가하면서도, 위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투영면적은 증가하지 않아 면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기판(10)과 교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기판(10)의 상면은 수직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기판(10)의 상면 사이의 각도는 60 °내지 90 °일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기판(10)과 나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기판(10)의 상면은 평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기판(10)의 상면 사이의 각도는 0 °내지 30 °일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상기 횡단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횡단면은 상기 기판(10)과 교차한다. 도면에는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상기 횡단면의 형상은 타원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이 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100)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과장되게 그렸으나, 실제로 상기 기판(10)의 두께보다 상기 나노와이어(100)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나노와이어(100)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이를 포함한 다수 개의 나노와이어(100)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횡단면은 제1 단측면(110), 제2 단측면(120), 외주면(130) 및 내주면(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측면(110)과 상기 제2 단측면(120)은 서로 마주본다. 상기 제1 단측면(110) 또는 상기 제2 단측면(120)은 상기 기판(1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측면(110) 또는 상기 제2 단측면(120)은 상기 기판(10)의 상면에 대항하여 배치된다.
상기 외주면(130)은 상기 제1 단측면(110) 또는 상기 제2 단측면(120)과 교차한다. 상기 외주면(130)과 상기 내주면(140)은 서로 마주본다. 상기 외주면(130) 또는 상기 내주면(140)은 상기 기판(10)과 교차한다. 상기 외주면(130)은 상기 나노와이어(100)가 만곡되는 부분에서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주면(140)은 상기 나노와이어(100)가 만곡되는 부분에서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00)의 형상을 통해 나노와이어(100)와 빛이 상호작용하는 면을 최소화하면서도, 전도도에 기여하는 부분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즉, 나노와이어(100)의 투영면적은 늘리지 않고 나노와이어(100)의 횡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전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노와이어(100)가 입사하는 빛을 산란시켜 전극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전극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40)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기판(10)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투명 전극(40)은 딥 코팅법에 의해 상기 기판(10)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딥 코팅은 코팅 방법의 한 종류이며, 피코팅재를 코팅용액 또는 슬러리에 담그어 피코팅재 표면에 전구체(precursor)층을 형성한 후 적당한 온도로 소성하여 도막을 얻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투명 전극(40)은 스핀(spin) 코팅, 플로우(flow) 코팅, 스프레이(spray) 코팅, 슬럿 다이(slot die) 코팅 및 롤(roll) 코팅 등의 다양한 코팅 방법으로 상기 기판(10) 상에 코팅될 수 있다.
다시 도 7를 참조하면, 기판(10)의 더미 영역(DA)으로 투명 전극(40)에 연결되는 배선(50) 및 이 배선(50)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6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선(50)은 더미 영역(DA)에 위치하므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60)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40)을 덮으면서 보호층(70)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나노와이어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와이어의 일 횡단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장직경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단직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직경이 상기 단직경보다 긴 나노와이어 용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직경이 상기 단직경보다 1.1 배 내지 3배 더 긴 나노와이어 용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직경과 상기 단직경은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나노와이어 용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나노와이어 용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의 상기 횡단면의 형상은 사각형, 오각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인 터치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는 만곡되는 나노와이어 용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나노와이어 용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반경은 10 ㎛ 내지 150 ㎛인 나노와이어 용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직경과 평행하고, 상기 나노와이어를 샌드위치하는 평면들 중 서로의 간격이 최소화되는 제1 평면 및 제2 평면이 정의되고,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이 서로 평행하며,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장직경 이상 상기 나노와이어의 길이의 1/3.14 이하인 나노와이어 용액.
  10.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와이어의 일 횡단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장직경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단직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직경이 상기 단직경보다 긴 터치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면과 교차하는 터치 패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기판의 상면 사이의 각도는 60 °내지 90 °인 터치 패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는 터치 패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기판의 상면 사이의 각도는 0 °내지 30 °인 터치 패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은 상기 기판과 교차하는 터치 패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직경이 상기 단직경보다 1.1 배 내지 3배 더 긴 터치 패널.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직경과 상기 단직경은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터치 패널.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은 제1 단측면, 상기 제1 단측면과 마주보는 제2 단측면, 상기 제2 단측면과 교차하는 외주면 및 상기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측면 또는 상기 제2 단측면은 상기 기판의 상면과 대항하는 터치 패널.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측면 또는 상기 제2 단측면은 상기 기판의 상면과 접촉하는 터치 패널.
  20.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와이어의 일 횡단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장직경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단직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직경이 상기 단직경보다 긴 터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20053323A 2012-05-18 2012-05-18 나노와이어 용액,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29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323A KR20130129019A (ko) 2012-05-18 2012-05-18 나노와이어 용액,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323A KR20130129019A (ko) 2012-05-18 2012-05-18 나노와이어 용액,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019A true KR20130129019A (ko) 2013-11-27

Family

ID=4985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323A KR20130129019A (ko) 2012-05-18 2012-05-18 나노와이어 용액,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90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633A (ko) * 2019-12-18 2021-06-29 덕산하이메탈(주) 전도층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633A (ko) * 2019-12-18 2021-06-29 덕산하이메탈(주) 전도층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6659B (zh) 觸控面板與顯示器
TWI446229B (zh) 觸控螢幕感測器
TWI447615B (zh) 具有低能見度導體之觸控螢幕感測器
TWI726741B (zh) 觸控面板及窄邊框顯示器
US9990085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625995B (zh) 配線體、配線基板以及觸控感測器
JP6735212B2 (ja) 配線体、配線基板、タッチセンサ、及び配線体の製造方法
US20130299222A1 (en) Electrode member and touch window including the same
TWI524361B (zh) 透明導電膜
US9983448B2 (en) Wiring body assembly, structure with conductor layer, and touch sensor
KR200482910Y1 (ko) 투명 전도성 필름
CN113534976A (zh) 具虚设图案的触控面板
TWI656460B (zh) Touch detec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detection device
KR101665906B1 (ko) 도전성 필름, 도전성 필름 제조 방법, 및 도전성 필름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JP6195969B2 (ja) タッチセンサ、タッチデバイス及びタッチセンサの製造方法
TWI492356B (zh) 觸控面板之導電薄膜與電極層、其製造方法與其觸控面板
KR20160020997A (ko) 전도성 필름,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29019A (ko) 나노와이어 용액,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23288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9392700B2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WI649767B (zh) 配線體、配線基板及觸控感測器
CN113534975A (zh) 触控电极及应用其的触控面板与触控显示器
KR20130129020A (ko) 터치 패널 및 전극 형성 방법
JP2020173503A (ja) 配線体、配線板、及びタッチセンサ
CN212515719U (zh) 具虚设图案的触控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