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948A -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948A
KR20130128948A KR1020120053176A KR20120053176A KR20130128948A KR 20130128948 A KR20130128948 A KR 20130128948A KR 1020120053176 A KR1020120053176 A KR 1020120053176A KR 20120053176 A KR20120053176 A KR 20120053176A KR 20130128948 A KR20130128948 A KR 20130128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ain body
heater
projecting part
out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318B1 (ko
Inventor
장재모
Original Assignee
장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모 filed Critical 장재모
Priority to KR102012005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31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 대상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서 환상으로 돌출되어 가열기의 열이 중심부근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열전달 면적을 확장하는 제1외측돌출부; 상기 제1외측돌출부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서 환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열기의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열전달 면적을 확장하는 제2외측돌출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에서 환상으로 돌출되어 가열된 상기 본체의 열을 방열(放熱)하여 열방출 면적을 확장한 내측돌출부를 포함하는 조리용기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에 의하면, 본체의 바닥에 제1외측돌출부와 제2외측돌출부를 각각 구비함으로서, 열손실을 방지하여 가스 등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 제1외측돌출부와 제2외측돌출부의 내측에 복수개의 제1 및 제2화기유입홀을 각각 형성하여 열전달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에 내측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국이나 물의 끓는점을 중앙부분에서 발생되게 하여, 조리 시 가열시간을 단축하고, 조리 대상의 영양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조리용기{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에 가해지는 열손실을 방지하고, 열전달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당이나 가정에서 음식물 또는 물 등을 끓이는 솥이나, 냄비 등의 조리용기는 그 저면에 가스렌지 등의 가열기로부터 불꽃이 닿는 열면적을 넓혀 조리 시간을 단축하도록 열효율을 높이는 냄비들이 개시되고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문헌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99179호에는 "냄비의 바닥면(2)에 원주 상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동시에 중심에서 밖으로 등 간격으로 엇갈리도록 다수의 요홈(1)을 형성하는 냄비 바닥구조"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위와 같은 냄비 바닥구조에 있어서, 상기 요홈(1)은 가스렌지 등의 가열기로부터 열면적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가열기의 불꽃 주위의 열은 불꽃의 윗부분만 조리용기의 바닥에 닿고, 불꽃 주위의 열은 조리용기의 외측으로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냄비의 내측에 국이나 물 등을 끓일 경우, 보통 냄비의 내측 측면에서 끓는점이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가운데가 끓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끓는 시간이 오래 걸려 연료로 사용되는 가스등 천연자원의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과 함께 음식의 조리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조리용기의 저면 중심에서 가해지는 열의 손실을 차단하고, 열전달효율은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리 시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 대상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서 환상으로 돌출되어 가열기의 열이 중심부근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열전달 면적을 확장하는 제1외측돌출부; 상기 제1외측돌출부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서 환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열기의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열전달 면적을 확장하는 제2외측돌출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에서 환상으로 돌출되어 가열된 상기 본체의 열을 방열(放熱)하여 열방출 면적을 확장한 내측돌출부를 포함하는 조리용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부는, 상기 가열기의 열이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 및 제2화기유입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부는, 상기 가열기의 열이 통과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 및 제2관통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외측돌출부와 제2외측돌출부의 사이에, 상기 수용부쪽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에 의하면, 본체의 바닥에 제1외측돌출부와 제2외측돌출부를 각각 구비함으로서, 열손실을 방지하여 가스 등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 제1외측돌출부와 제2외측돌출부의 내측에 복수개의 제1 및 제2화기유입홀을 각각 형성하여 열전달 면적을 확장시켜 열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에 내측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국이나 물의 끓는점을 중앙부분에서 발생되게 하여, 조리 시 가열시간을 단축하고 조리 대상의 영양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냄비 바닥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조리용기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조리용기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조리용기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조리용기의 저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100)는, 본체(110)와, 제1외측돌출부(120)와, 제2외측돌출부(130) 및 내측돌출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냄비 형상, 대형 솥, 후라이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조리용기일 수 있다. 더욱이 그 재질에 있어서도 법랑질, 내구성 유리재, 자기질, 도기질, 조리가능한 금속, 스테인레스 스틸 및 필요한 경우 금속에 알루미늄이 코팅된 상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그 외에 조리용기로서 사용 가능한 것이면, 그 재질은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냄비 등과 같이 내측에 조리 대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10)의 수용부(111)에는 국이나, 물 등과 같은 조리 대상물의 수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11)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는 국이나 물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식재료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저면 즉, 바닥에서 환상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는, 그 단면이 대체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즉, 반원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바닥에서 가스렌지나, 버너 등의 가열기(10)에서 가해지는 열원인 화염, 즉 불꽃(11)의 비산(飛散)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는, 상기 가열기(10)의 불꽃(11)이 상기 본체(110)의 저면 중심 부근에서 올라오다 외부로 누출되어 소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기(10)의 불꽃(11)주위의 열은 상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는,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는 상기 본체(110)에서 돌출됨에 따라 그 면적이 확장된다. 이에 따라, 면적이 확장된 본체(110)는, 열전달 면적이 확장되어 결국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외측돌출부(130)는,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외측돌출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바닥에서 상기 가열기(10)에서 가해지는 불꽃(11)의 비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로부터 누출된 상기 가열기(10)의 불꽃(11)이 외부로 소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외측돌출부(130)는, 열전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본체(110)에서 돌출됨에 따라 그 면적이 확장된다. 이에 따라, 면적이 확장된 본체(110)는, 열전달 면적이 확장되어 결국 열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는, 상기 가열기(10)의 열이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화기유입홀(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화기유입홀(121)은 열전달면적을 확장하여, 열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1화기유입홀(121)은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에 복수개의 홀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1화기유입홀(121)은 상기 가열기(10)의 불꽃(11)이 유입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하여 열교환 면적을 확장시킨다.
또한 상기 제2외측돌출부(130)는, 상기 가열기(10)의 열이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2화기유입홀(1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화기유입홀(131)은 열전달면적을 확장하여, 열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화기유입홀(131)은 상기 제2외측돌출부(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에 복수개의 홀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2화기유입홀(131)은 상기 가열기(10)의 불꽃(11)이 유입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하여 열교환 면적을 확장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와 제2외측돌출부(130)가 2개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본체(110)의 열교환 면적을 확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그 개수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상기 본체(110)는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와 제2외측돌출부(130)의 사이에는 함몰부(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함몰부(112)는 열교환 면적을 확장하여 열전달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112)는 상기 수용부(111) 쪽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가열기(10)의 불꽃(11)이 닿는 면적을 확장시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내측돌출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 바닥에서 환상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돌출부(140)는 상기 함몰부(112)의 반대쪽 면에서 돌출된다. 즉, 상기 함몰부(112)로 인하여 반대쪽에서 돌출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내측돌출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열을 방열(放熱)하는 열방출 면적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냄비나, 솥 등의 조리용기로 국이나 물을 끓일 때, 보통 내측 측면에서 끓는점이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가운데가 끓게 된다. 그런데 상기 본체(110)의 내측 바닥에 상기 내측돌출부(140)를 구비함으로서, 국이나 물의 끓는점이 상기 본체(110)의 측면뿐만 아니라, 가운데에서도 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갖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6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용기(200)는, 예를 들면 솥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솥은 대형 무쇠 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함몰부(112)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10)의 종류에 따른 특성에 맞게 제작이 가능하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무쇠 솥처럼 그 단면 두꺼운 경우에는 제조상 또는 그 재질에 따라 생략이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100)(200)에 의하면, 본체(110)의 바닥에 제1외측돌출부(120)와 제2외측돌출부(130)를 각각 구비함으로서, 열손실을 방지하여 가스 등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 제1외측돌출부(120)와 제2외측돌출부(130)의 내측에 복수개의 제1 및 제2화기유입홀(121)(131)을 각각 형성하여 열전달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본체(110)의 내측 바닥에 내측돌출부(140)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국이나 물의 끓는점을 중앙부분에서 발생되게 하여, 조리 시 가열시간을 단축하고, 조리 대상의 영양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300a)(300b)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갖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조리용기(300a)는 제1 및 제2외측돌출부(320a)(33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외측돌출부(320a)는,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서 환상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외측돌출부(320a)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 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본체(110)의 종류나, 소재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b에 나타낸 제1외측돌출부(320b)와 같이, 무쇠 솥처럼 비교적 단면이 두꺼운 경우 내부가 꽉 찬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외측돌출부(320a)는, 복수개의 제1관통홀(32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관통홀(321a)은, 상기 제1외측돌출부(32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321a)은 상기 제1외측돌출부(320a)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관통홀(321a)은 상기 가열기(10)의 열이 외측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며, 열교환 면적을 확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외측돌출부(330a)는, 상기 제1외측돌출부(320a)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서 환상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2외측돌출부(330a)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본체(110)의 종류나 소재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b의 제2외측돌출부(3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쇠 솥처럼 비교적 단면이 두꺼운 경우 내부가 꽉 찬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2외측돌출부(330a)는, 복수개의 제2관통홀(33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관통홀(331a)은 상기 제2외측돌출부(3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331a)은 상기 제2외측돌출부(330a)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2관통홀(331a)은 상기 가열기(10)의 열이 외측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며, 열교환 면적을 확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조리용기(300b)는 대형의 무쇠 솥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외측돌출부(320b)(330b)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부(320b)(330b)는 도 7a에 나타낸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부(320a)(330)의 변형예로서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갖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300a)(300b)에 의하면, 본체(110)의 바닥에 제1외측돌출부(320a)(320b)와 제2외측돌출부(330a)(330b)를 각각 구비함으로서, 열손실을 방지하여 가스 등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 제1외측돌출부(320a)(320b)와 제2외측돌출부(330a)(330b)의 내측에 복수개의 제1관통홀(321a)(331a) 및 제2관통홀(321b)(331b)을 각각 형성하여 열전달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a, 300b: 조리용기 110: 본체
111: 수용부 112: 함몰부
120, 320a, 320b: 제1외측돌출부 121: 제1화기유입홀
130, 330a, 330b: 제2외측돌출부 131: 제2화기유입홀
140: 내측돌출부 321a, 321b: 제1관통홀
331a, 331b: 제2관통홀 10: 가열기
11: 불꽃

Claims (4)

  1. 조리 대상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서 환상으로 돌출되어 가열기의 열이 중심부근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열전달 면적을 확장하는 제1외측돌출부;
    상기 제1외측돌출부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서 환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열기의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열전달 면적을 확장하는 제2외측돌출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에서 환상으로 돌출되어 가열된 상기 본체의 열을 방열(放熱)하여 열방출 면적을 확장한 내측돌출부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부는,
    상기 가열기의 열이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 및 제2화기유입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외측돌출부는,
    상기 가열기의 열이 통과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 및 제2관통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외측돌출부와 제2외측돌출부의 사이에, 상기 수용부쪽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KR1020120053176A 2012-05-18 2012-05-18 조리용기 KR101357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176A KR101357318B1 (ko) 2012-05-18 2012-05-18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176A KR101357318B1 (ko) 2012-05-18 2012-05-18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48A true KR20130128948A (ko) 2013-11-27
KR101357318B1 KR101357318B1 (ko) 2014-02-03

Family

ID=4985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176A KR101357318B1 (ko) 2012-05-18 2012-05-18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3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8740A (zh) * 2014-07-02 2014-10-01 王国祥 一种炒菜节能锅
KR20150132950A (ko) * 2014-05-19 2015-11-27 박정원 조리용기
CN114673972A (zh) * 2022-05-31 2022-06-28 佛山市捷力威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散热装置及捕鱼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6847U (ko) * 1989-11-30 1991-08-01
KR200248132Y1 (ko) * 2001-06-25 2001-10-17 박기영 방열방지바닥을가진조리기
JP3806906B2 (ja) * 2003-11-19 2006-08-09 特定医療法人生長会 食品加熱用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950A (ko) * 2014-05-19 2015-11-27 박정원 조리용기
CN104068740A (zh) * 2014-07-02 2014-10-01 王国祥 一种炒菜节能锅
CN114673972A (zh) * 2022-05-31 2022-06-28 佛山市捷力威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散热装置及捕鱼灯
CN114673972B (zh) * 2022-05-31 2022-08-30 徐连城 一种散热装置及捕鱼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318B1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247B1 (ko) 이중 가열식 냄비 구조
US20140370176A1 (en) Pan, system and method of cooking
KR101357318B1 (ko) 조리용기
JP2010099140A (ja) 調理・湯沸かし器具
JP2010279673A (ja) 調理器具
KR101334557B1 (ko) 조리용기
KR20090015234A (ko) 조리구이판
KR101493881B1 (ko) 가열용기
JP2006087912A (ja) 被加熱具
CN204635961U (zh) 电汤煲的多功能锅具
US20150083730A1 (en) Dual pot
CN106235865B (zh) 电饭煲
KR101561559B1 (ko) 고효율 하이브리드 친환경 조리용기
TWI640281B (zh) 可收納之炊具
KR20210097970A (ko) 열효율이 강화된 냄비
KR20190064952A (ko) 조리용 용기
TWM553162U (zh) 可收納之炊具
KR102571064B1 (ko) 열변형 방지 조리용기
JP3210082U (ja) 省エネ形高速加熱装置
JP7360652B2 (ja) Ih用調理容器
CN207132401U (zh) 燃气炉的金刚罩
KR102325504B1 (ko) 조리용기
JP5725985B2 (ja) 調理用プレート
KR200197441Y1 (ko) 음식물 조리용 팬
KR200409739Y1 (ko) 가스레인지 기기의 과열방지 복사열반사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