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877A - 여과형 생태 수중보 - Google Patents

여과형 생태 수중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877A
KR20130127877A KR1020120051708A KR20120051708A KR20130127877A KR 20130127877 A KR20130127877 A KR 20130127877A KR 1020120051708 A KR1020120051708 A KR 1020120051708A KR 20120051708 A KR20120051708 A KR 20120051708A KR 20130127877 A KR20130127877 A KR 2013012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downstream
log
underwater
ec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518B1 (ko
Inventor
서정식
Original Assignee
서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식 filed Critical 서정식
Priority to KR102012005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51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형 생태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 대략 2 m의 폭으로 하천의 양안을 가로질러 하상보호석(11)이 설치되는 상류 하상보호부(10)와; 상기 상류 하상보호부(10)에 인접하여 하류측으로 대략 1m의 폭으로 하천의 양안을 가로질러 여과형 생태망(21)이 설치되는 생태망 설치부(20)와; 상기 생태망 설치부(20)에 인접하여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말뚝과 통나무로 구성되는 통나무 수중보(30)와; 상기 통나무 수중보(30)에 이어져 대략 10m의 폭으로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하상보호석(11)으로 구성되는 하류 하상보호부(40)로 구성되어 갈수기에 유량이 부족할 때 하천수가 유속이 저하된 상태에서 수중보(30)를 월류하게 됨으로써 수중보(30) 앞의 하상(12)이 패이는 현상을 수중보(30)의 윗면에 여울턱(36)을 설치하여 방지할 수 있고, 여울턱(36)에 의해 낙차높이가 증가하여 폭기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물속의 산소가 증가하게 된다.

Description

여과형 생태 수중보{filtering type weir for an ecological river}
본 발명은 여과형 생태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보에 쇄석을 담은 여과형 생태망을 설치하여 쇄석에 부착된 생물체에 의해 수질을 지속적으로 정화하고 수중보의 윗면에 월류하는 하천수를 먼거리로 낙차시키기 위한 여울턱을 설치하여 낙차높이의 증가로 인한 폭기작용의 증가로 인해 산소전달율을 높일 수 있는 여과형 생태 수중보에 관한 것이다.
인류 및 모든 생물이 생명을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한 물은 식수부터 시작하여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에 사용되는 물은 우리 생활에 가장 필수적인 요소이며 소중한 자산이다.
이렇게 중요한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댐과 수중보를 활용한다. 우리나라 수중보의 경우 대부분이 담수 확보를 위한 용도로써, 담수는 확보하게 되었지만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개발되고 설치되었다.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수질오염 및 수중생태계의 파괴로 이어지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수중보는 내구성의 목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고,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개발되고 설치되어 기존의 하천들은 홍수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획일적으로 저수로와 제방이 콘크리트로 정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자연하천의 정비는 천변 일부에서만 수생식물이 식재하고 있어 수생식물에 의한 자연 정화능력을 사실상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천에 자연 생태계 서식처를 확보하여 하천의 자연정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자연형 하천 공법에 대한 기술이 강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법은 하천 바닥을 자갈 등의 여재 또는 진흙 등의 세라믹으로 만든 여재 등으로 채워 미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하천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자연형 하천은 자연친화적이면서 설치비도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법은 단순히 협잡물을 포함한 부유물질의 제거 정도의 여과 효과만을 얻을 수 있고, 또한 폐액 현상이 자주 일어나고, 고정화된 미생물의 농도가 낮은데 비해 탈락이 쉬워 용존성유기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는 등 생물학적 처리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96178호에 발명의 명칭: "미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용 필터"가 개시되고, 도 1에 그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용 필터"는 유입홀(4)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연통홀(5)이 외부면에 형성된 지지통로(1)와, 상기 지지통로(1)를 중심으로 감기어 설치되고 다수개의 수질정화체(6)가 일렬로 이어져 형성된 수질정화띠(2)와, 상기 지지통로(1)에 감기어 설치된 수질정화띠(2) 외측에 설치되는 보호망(3)으로 구성된다.
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용 필터"는 미생물이 담체된 수질정화띠를 견고하게 감아 설치하여, 하천 경사면에 설치되는 식생블록, 옹벽블록, 개비온, 자연석 블록 등등에 삽입설치하고 이를 통해 수질을 정화할 수 있지만 갈수기 때 물속의 부유물질의 정화에 한계가 있고, 수중보를 넘어 월류하는 하천수에 폭기작용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에 설치된 수중보에 쇄석을 담은 여과형 생태망을 설치하여 쇄석에 부착된 생물체에 의해 수질을 지속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여과형 생태 수중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중보의 상류측에 생물체가 부착된 쇄석을 스테인레스 망에 담아 설치하여 수중보의 물이 통과하는 길을 제공하고 쇄석에 부착된 생물체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과형 생태 수중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통목 수중보의 윗면에 월류하는 하천수를 먼거리로 낙차시키기 위한 여울턱을 설치하여 낙차높이의 증가로 인한 폭기작용의 증가로 인해 산소전달유을 높일 수 있고, 자정능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여과형 생태 수중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과형 생태망의 쇄석에 수중 생물체가 서식하도록 하여 생물체의 번식, 생육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수분의 흡수 및 통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여과형 생태 수중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 수중보는 하천의 양안을 가로질러 하상보호석이 설치되는 상류 하상보호부와; 상기 상류 하상보호부에 인접하여 하류측으로 대략 1m의 폭으로 하천의 양안을 가로질러 여과형 생태망이 설치되는 생태망 설치부와; 상기 생태망 설치부에 인접하여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말뚝과 통나무로 구성되는 통나무 수중보와; 상기 통나무 수중보에 이어져 대략 10m의 폭으로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하상보호석으로 구성되는 하류 하상보호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통나무 수중보는 방부처리된 통나무로 제작되고 하천의 양안을 가로지르면서 하상에 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방부 원통목으로 구성되는 지수목과; 상기 지수목의 상부에 겹쳐 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고 넘치는 하천수를 하류로 넘기기 위하여 방부 원통목으로 구성되는 월류목과; 상기 지수목과 월류목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방부 상기 지수목과 월류목의 주면과 접촉하면서 하상에 박혀 상기 지수목과 월류목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폴리에틸렌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고정말뚝과; 상기 하상에 박혀 상기 지수목의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말뚝과; 상기 고정말뚝과 상기 월류목을 고정시키는 스테인레스 철강 재질로 구성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하류측 고정말뚝의 윗면과 상기 월류목의 측면에 직각삼각형 기둥모양으로 형성되고 월류하는 하천수를 먼거리로 낙차되게 하는 여울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여울턱은 방부처리된 통나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여울턱은 상기 월류목을 타고 흐르는 하천수가 상기 여울턱에 의해 통나무 수중보로부터 1m 이상 멀리 낙차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통나무 수중보의 앞에 기준 하상이 패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여울턱에 의해 낙차높이가 증가하여 폭기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물속의 산소가 증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보의 윗면에 여울턱을 설치하여 갈수기에 유량이 부족할 때 하천수가 유속이 저하된 상태에서 수중보를 월류하게 됨으로써 수중보 앞의 하상이 패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여울턱에 의해 낙차높이가 증가하여 폭기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물속의 산소를 증가하게 되고, 쇄석이 채워진 생태망을 수중보를 따라 설치하여 수중보 내부에 물이 저장되게 하여 갈수기에 어류에게 서식공간을 제공하고 수서생물의 은신처를 제공할 수 있고, 생태망의 쇄석에 형성된 생물막에 부착된 미생물이 하천 속의 유기물을 흡수소화하게 되어 수질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용 필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 수중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다단형 생태 하천보를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종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망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망의 쇄석 표면에 부착한 미생물이 산화 분해작용에 의해 하천을 정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 수중보에 사용되는 통나무 수중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여울턱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여울턱에 의해 낙차가 길게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효과, 특징 및 이점들이 첨부된 도면과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명확히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 수중보의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 수중보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 수중보(100)는 대략 2 m의 폭으로 하천의 양안을 가로질러 하상보호석(11)이 설치되는 상류 하상보호부(10)와; 상기 상류 하상보호부(10)에 인접하여 하류측으로 대략 1m의 폭으로 하천의 양안을 가로질러 여과형 생태망(21)이 설치되는 생태망 설치부(20)와; 상기 생태망 설치부(20)에 인접하여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말뚝과 통나무로 구성되는 통나무 수중보(30)와; 상기 통나무 수중보(30)에 이어져 대략 10m의 폭으로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하상보호석(11)으로 구성되는 하류 하상보호부(40)로 구성된다.
상류 하상보호부(10)는 상류측 하상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통나무 수중보(30)의 상류측 기준하상(12)에 다수의 하상보호석(11)을 편평하게 깔아 대략 2m의 폭이 되도록 설치하여 구성한다.
생태망 설치부(20)는 미생물이 부착된 쇄석을 채워넣은 다수의 여과형 생태망(21)을 상기 통나무 수중보(30)를 따라 1m의 폭으로 설치한다.
통나무 수중보(30)는 상기 생태망 설치부(20)에 인접하여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하천을 가로지르는 통나무와 상기 통나무를 지지하는 말뚝으로 구성된다.
하류 하상보호부(40)는 상기 통나무 수중보(30)에서부터 하상(12)에 하상보호석(11)을 대략 10m의 폭으로 하류측으로 설치한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망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망(21)은 1000×1000×1000 ㎜ 규격의 스테인레스 또는 아연도금 철선으로 된 금속망(22)에 쇄석(23)(3㎝ 이상) 또는 호박돌 등을 가득 충전시켜 상기 통나무 수중보(30)의 상류측에 설치하여 시공한다.
상기 여과형 생태망(21)에 채워지는 쇄석(23)은 충분한 내구성과 강도를 지닌 것으로서 일정한 크기(예를 들면, 3∼10㎝)를 가지며 풍화로 인한 변색, 변질하지 않은 양질의 것으로 한다.
여과형 생태망(21)을 하상(12)에 시공하게 되면 상류에서 흘러내려오는 물이 충전망에 도달되면 유속이 저하되면서 돌 틈사이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때 돌 표면에 생물막이 형성되어 있어서 생물막에 부착되어 있는 미생물이 유입되는 하천의 물속에 포함된 유기물을 흡수소화하게 되어 BOD가 약 25∼30 % 감소하게 되고 부유물은 약 35∼40 % 가 감소하게 되는 등 하천 수질개선에 기여하게 된다.
여과형 생태망(21)의 정화 원리는 자연스럽게 미생물막이 쇄석(23)의 표면에 부착 형성되어 생물막에 부착되어 있는 미생물이 유입되는 하천의 물속에 포함된 유기물을 흡수소화함으로써 하천수를 정화하게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여재로서 쇄석(23)을 사용하고, 쇄석(23)의 표면으로 형성된 생물막에 오염된 물을 접촉시켜 유기물을 흡착시키고, 미생물의 산화분해작용(산화라는 것은 미생물이 생체의 유지, 세포합성 등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흡착한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을 말한다)에 의해 정화하는 방법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망의 쇄석 표면에 부착한 미생물이 산화 분해작용에 의해 하천을 정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된다.
수중의 오염물질(25)이 쇄석(여재등)(23) 사이의 공간을 흐르면서 쇄석과 접촉하여 오염물질이 침전(26)되며, 일부 오염물질은 전기적 성질이나 쇄석(23)의 표면에 서식하는 미생물군(24)의 점성에 의해 흡착되어 미생물군(24)의 먹이로 섭취되며 미생물군(24)에 의해 흡수소화된 오염물질은 물과 탄산가스로 분해되어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망(21)은 그 내부에 충전된 쇄석(23)의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군(24)에 의해 인공적으로 자정작용을 재현하여 친환경적인 수질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쇄석(23)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생물군(24)은 수서곤충의 먹이로 이용되어 수서곤충의 증식을 도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망(21)은 수서곤충의 은신처 및 산란처로 제공 된다.
이와 같이 자연적으로 수서곤충의 증식 및 종다양화가 이루어지며, 수서곤충을 먹이로 하는 어류 또한 증가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과형 생태망(21)을 통나무 수중보(30) 앞에 설치하여 하천을 막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수위상승이 극대화되면서 여과형 생태망(21)과 통나무 수중보(30)에 의해 저장된 하천수가 상기 월류목(32)을 타고 하류로 월류하게 된다.
종전에는 유량이 풍부할 때만 수중보 하단 멀리까지 낙차되고 갈수기에 유량이 부족할 대는 대부분 유속이 저하된 상태로 수중보(30)를 월류하게 되는데 이렇게 유속이 저하된 상태에서 수중보(30)를 월류하게 되면 낙차범위가 작아져 통나무를 타고 흐르면서 수중보(30) 앞의 하상(12)이 패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본 발명은 갈수기에 유량이 부족할 때 하천수가 유속이 저하된 상태에서 수중보(30)를 월류하게 됨으로써 수중보(30) 앞의 하상(12)이 패이는 현상을 수중보(30)의 윗면에 여울턱(36)을 설치하여 방지한다.
도 6에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생태 수중보에 사용되는 통나무 수중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통나무 수중보(30)는 방부처리된 통나무로 제작되고 하천의 양안을 가로지르면서 하상(12)에 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방부 원통목으로 구성되는 지수목(31)과; 상기 지수목(31)의 상부에 겹쳐 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고 넘치는 하천수를 하류로 넘기기 위하여 방부 원통목으로 구성되는 월류목(32)과; 상기 지수목(31)과 월류목(2)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방부 상기 지수목(31)과 월류목(2)의 주면과 접촉하면서 하상(12)에 박혀 상기 지수목(31)과 월류목(32)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폴리에틸렌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고정말뚝(33)과; 상기 하상(12)에 박혀 상기 지수목(31)의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말뚝(34)과; 상기 고정말뚝(33)과 상기 월류목(31)을 고정시키는 스테인레스 철강 재질로 구성되는 앵커볼트(35)와; 상기 하류측 고정말뚝(33)의 윗면과 상기 월류목(32)의 측면에 직각삼각형 기둥모양으로 형성되고 월류하는 하천수를 먼거리로 낙차되게 하는 여울턱(36)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나무 수중보(30)의 하류측 고정말뚝(33)의 윗면과 월류목(32)의 측면에 직각삼각형 기둥모양으로 형성된 여울턱(36)을 부착한다.
도 7에 본 발명에 의한 여울턱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여울턱(34)은 방부처리된 통나무 또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 재질로 만들어지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1m, 높이 50㎜, 폭 90 ㎜가 되도록 구성되고, 짧은 변(높이)이 월류목(32)의 하류쪽에 밀착되도록 부착되고, 긴변(폭)은 하류쪽 고정말뚝(33)을 월류목(32)과 접하는 면을 각도 θ 만큼 깍아내어 형성되는 경사면에 접착제로 부착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여울턱(36)을 통나무 수중보(30)의 윗면에 부착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월류목(32)을 타고 흐르는 하천수가 상기 여울턱(36)에 의해 통나무 수중보(30)로부터 1m 이상 멀리 낙차되기 때문에 통나무 수중보(30)의 앞에 하상(12)이 패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여울턱(36)에 의해 낙차높이가 증가하여 폭기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물속의 산소가 증가하게 되는데 산소전달율(E20)은 크게 상승하여 낙차높이 0.9 ∼1 m 인 경우 0.047 이상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상류 하상보호부 11: 하상보호석
12: 기준하상 20: 생태망 설치부
21: 여과형 생태망 22: 금속망
23: 쇄석
30: 통나무 수중보 31: 지수목
32: 월류목 33: 고정말뚝
34: 지지말뚝 35: 앵커볼트
36: 여울턱 40: 하류 하상보호부
100: 여과형 생태수중보

Claims (4)

  1. 하천의 양안을 가로질러 하상보호석(11)이 설치되는 상류 하상보호부(10)와;
    상기 상류 하상보호부(10)에 인접하여 하류측으로 대략 1m의 폭으로 하천의 양안을 가로질러 여과형 생태망(21)이 설치되는 생태망 설치부(20)와;
    상기 생태망 설치부(20)에 인접하여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말뚝과 통나무로 구성되는 통나무 수중보(30)와;
    상기 통나무 수중보(30)에 이어져 대략 10m의 폭으로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하상보호석(11)으로 구성되는 하류 하상보호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형 생태 수중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나무 수중보(30)는 방부처리된 통나무로 제작되고 하천의 양안을 가로지르면서 하상(12)에 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방부 원통목으로 구성되는 지수목(31)과; 상기 지수목(31)의 상부에 겹쳐 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고 넘치는 하천수를 하류로 넘기기 위하여 방부 원통목으로 구성되는 월류목(32)과; 상기 지수목(31)과 월류목(2)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방부 상기 지수목(31)과 월류목(2)의 주면과 접촉하면서 하상(12)에 박혀 상기 지수목(31)과 월류목(32)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폴리에틸렌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고정말뚝(33)과; 상기 하상(12)에 박혀 상기 지수목(31)의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말뚝(34)과; 상기 고정말뚝(33)과 상기 월류목(31)을 고정시키는 스테인레스 철강 재질로 구성되는 앵커볼트(35)와; 상기 하류측 고정말뚝(33)의 윗면과 상기 월류목(32)의 측면에 직각삼각형 기둥모양으로 형성되고 월류하는 하천수를 먼거리로 낙차되게 하는 여울턱(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형 생태 수중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울턱(34)은 방부처리된 통나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형 생태 수중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울턱(34)은 상기 월류목(32)을 타고 흐르는 하천수가 상기 여울턱(36)에 의해 통나무 수중보(30)로부터 1m 이상 멀리 낙차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통나무 수중보(30)의 앞에 하상(12)이 패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여울턱(36)에 의해 낙차높이가 증가하여 폭기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물속의 산소가 증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형 생태 수중보.
KR1020120051708A 2012-05-15 2012-05-15 여과형 생태 수중보 KR10140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708A KR101407518B1 (ko) 2012-05-15 2012-05-15 여과형 생태 수중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708A KR101407518B1 (ko) 2012-05-15 2012-05-15 여과형 생태 수중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877A true KR20130127877A (ko) 2013-11-25
KR101407518B1 KR101407518B1 (ko) 2014-07-02

Family

ID=4985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708A KR101407518B1 (ko) 2012-05-15 2012-05-15 여과형 생태 수중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0279A (zh) * 2019-01-15 2020-06-23 复旦大学 一种具有高效净水功能的新型生态护坡及生态改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4330A (zh) * 2017-10-30 2018-02-23 郑州大学 一种提升河道自净能力的生态系统及其构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613A (ja) * 1994-06-08 1995-12-19 Daimatsu Kensetsu Kk 河川浄化用ボックス装置
KR100488920B1 (ko) 2002-07-22 2005-05-11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
KR101224003B1 (ko) * 2010-04-22 2013-02-08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0279A (zh) * 2019-01-15 2020-06-23 复旦大学 一种具有高效净水功能的新型生态护坡及生态改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518B1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4676B2 (en) Lake rest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US11230483B2 (en) Method for systematically controlling rapid proliferation of cyanobacteria cells in lakes in spring
CN104003574B (zh) 一种适用于农田排水沟渠的迷宫式生态净化池
CN212375123U (zh) 一种用于河道治理的生态滤水坝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KR200441555Y1 (ko) 수질정화용 게비온
CN203021359U (zh) 一种流动水体内漂浮植物的种植装置
CN112939220B (zh) 一种基于清流水网的面源污染控制系统
KR101407518B1 (ko) 여과형 생태 수중보
CN112897807A (zh) 一种养殖尾水处理系统
KR100289084B1 (ko) 수변 식물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KR100899573B1 (ko) 어류산란처 및 수질정화기능이 구비된 하천의 침수방틀
KR100968614B1 (ko)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CN214936806U (zh) 一种养殖尾水沉淀系统
CN214936805U (zh) 一种养殖尾水净化系统
CN217479166U (zh) 用于浅水型湖泊原位净化装置
KR100567943B1 (ko) 생태어소 방틀
JP2001198593A (ja) 植生箱及び該植生箱を使用した水辺地の浄化方法
KR101650479B1 (ko) 생태보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CN108483797A (zh) 污染河流修复与维护系统
JPH08331998A (ja) 自然水系の浄水構造
CN210620392U (zh) 一种复合浸没式反应墙及反应墙系统
JP2008254717A (ja) 界面張力及び水面張力を応用した、水面浮遊物回収装置
JPH04420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