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003B1 -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 Google Patents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4003B1 KR101224003B1 KR1020100037322A KR20100037322A KR101224003B1 KR 101224003 B1 KR101224003 B1 KR 101224003B1 KR 1020100037322 A KR1020100037322 A KR 1020100037322A KR 20100037322 A KR20100037322 A KR 20100037322A KR 101224003 B1 KR101224003 B1 KR 1012240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derwater
- river
- water
- upstream
- beam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보를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다단으로 설치하여 상류측의 하천수가 급격히 하류측의 낮은 수위로 바뀌지 않도록 하여 물이 많을 때에는 물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갈수기 때에도 저류기능으로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하여 물고기 등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한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양안을 가로지르는 통나무 보 형태의 수중보를 하천의 배수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하되, 각각의 수중보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1단 이상의 원통목들과, 이 원통목들의 전후에 밀착하여 상측에서 앵커볼트로 일체의 구조로 연결되어 그 하단이 하상에 정착되는 1쌍의 고정말뚝들과, 상기 고정말뚝들의 외측면을 따라 거석들로 지지되게 구성하여, 각각의 수중보의 하상 및 하천수위가 하류측으로 단계별로 낮아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하천수의 유출을 단계별로 억제하여 수량을 증대시키고, 유속을 감소시켜 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갈수기 때에도 물이 부족하지 않아 어류의 상류진출 및 서식환경의 조성에 따른 생태계 보존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하천수의 유출을 단계별로 억제하여 수량을 증대시키고, 유속을 감소시켜 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갈수기 때에도 물이 부족하지 않아 어류의 상류진출 및 서식환경의 조성에 따른 생태계 보존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자연형 통나무로 설치되는 수중보를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의 수위를 달리하도록 다단으로 설치하여 하천수의 수량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상류측의 하천수가 급격히 하류측으로 배출되지 않게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완만한 속도의 유수처리가 되도록 함으로써 하천수의 체류시간을 증대시켜 갈수기 때에도 하천수를 저류할 수 있고, 아울러 물고기 등의 어류가 상하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서생물의 서식환경을 조성하도록 하는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중보는 자연환경 변화에 따른 물 부족으로 하천이나 농수로 또는 저수지에 물을 담수하여,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수중보 일부의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흐르는 방향쪽으로 경사면을 이루어 그 경사면을 타고 하천수가 폭포처럼 급경사를 타고 흐르게 된다. 이러한 수중보는 통상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고 기울기가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산란을 위해 하천의 하류에서 상류로 어류가 거슬러 올라가지 못하게 됨으로써 물고기 이동로의 단절로 인한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0488920호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2005.05.02 등록)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데, 상기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양안을 가로지르면서 하상에 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방부 원통목으로 이루어진 수중보(1)와, 상기 수중보(1)의 상, 하류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수중보(1)의 주면과 접촉하면서 하천 바닥에 박혀 상기 수중보(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말뚝(2)과, 상기 수중보(1)의 상, 하류측의 고정말뚝(2)을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시키는 앵커볼트(4)와, 상기 수중보(1)의 하부와 고리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하천 바닥에 박혀 상기 수중보(1) 하부의 하상이 세굴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중보(1)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수중보(1)가 위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중앙 지지말뚝(6)과, 상기 수중보(1)의 외주를 따라 수중보(1)의 상류측면 및 하류측면의 하상에 놓여져 상기 고정말뚝(2) 및 중앙 지지말뚝(6)과 함께 수중보를 지지하는 소정크기의 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석(7)과, 상기 지지석(7)들의 사이에 삽목되어 수중 생물의 서식처를 이루는 수목 가지(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8은 저면 매트이다.
이러한 종래의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은 수중보의 기능을 하는 통나무 원통목이 하상에 자연스럽게 놓여져 있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원통목과 하상의 사이에 수서생물이 드나들 수 있는 정도의 틈새가 생겨 이 틈새를 통해 상류와 하류간의 수중 생물이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고, 방부 원통목 주변의 거석들 사이의 틈새에 수중 생물의 자연스러운 은식처와 보금자리를 제공하게 되어 생태계 복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구성으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선등록 기술은 하천을 가로질러 단독으로 수중보를 설치하는 경우로서, 수중보를 경계로 하여 수위가 급격히 낮아지므로 물의 유속이 빠르게 진행되어 하류측으로 빠르게 방류됨으로써 하천수가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 체류시간이 길게 요구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하천수의 수량이 부족한 갈수기, 즉 여름철에 가뭄으로 인해 하천수의 물이 고갈되어 하상 바닥이 드러나거나 겨울철에 적설(積雪), 결빙(結氷) 등으로 물이 흐르지 않는 시기에는 물이 부족하게 됨으로써 직접적으로 하천생태계에 영향을 주어 물고기 등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서생물의 다양한 서식환경이 조성되지 못하여 생태계 교란과 파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친자연형 통나무로 설치되는 수중보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수중보들을 다단으로 설치함으로써 수위가 다른 수중보 내부에 연속적으로 유수를 단계별로 지체시켜 하천수를 저류시키는 기능을 하여 하천수의 수량을 확보하도록 하는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류측의 하천수가 급격히 하류측으로 배출(방류)되지 않도록 단계별로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하천수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키는 저류기능으로 갈수기 때에도 하천수가 고갈되지 않도록 하여 물고기 등이 상하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의 상류와 중류 및 하류 위치에 다단 형태로 설치된 수중보들의 상하류측 하천 바닥에 하상보호석을 깔아 세굴방지는 물론, 물의 유속에 대한 저항으로 완만한 속도의 배수처리기능을 갖도록 하여 물고기 등의 상류진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 물고기 및 수서생물의 서식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도록 한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계별로 수중보 사이의 하상을 좌우방향으로 완만한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하천수가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흐름과 동시에 좌우측 방향으로도 흐르도록 하여 각 단의 수중보 내부에서 하천수의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갈수기 때에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한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 수중보를 통한 여러 단계의 여울목을 형성함으로써 하천수의 낙차 발생시 폭기 기능을 갖도록 하여 하천수에 산소 공급은 물론, 슬러지 적층을 방지하여 자정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하천수 낙차발생시 여울목에서 청량감을 줌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친수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천의 양안을 가로지르는 통나무 보 형태의 수중보를 하천의 유수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설치하고, 각 수중보들은 그 수위가 유수 단계별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하되,
각각의 수중보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1단 이상 적층되는 원통목들과, 이 원통목들의 일정위치의 전후 외주면에 밀착하여 하단이 하상에 정착되고 상측에서 앵커볼트로 원통목들에 일체의 구조로 연결되는 1쌍의 고정말뚝들과, 상기 원통목들과 고정말뚝들의 외측면을 따라 거석들로 지지되게 하며,
각각의 수중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적층되는 원통목들이 하류측 수중보를 향하여 단계별로 낮아지는 형태로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수중보에 설치되는 원통목들은 하천의 양안을 가로지르면서 횡으로 적어도 1단 이상으로 배치되는 월류목 또는 지수목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보들은 상류측의 수중보 쪽으로 단계별로 하류측의 수중보보다 원통목들이 1단씩 추가되어 적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수중보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 하상에는 다수의 하상보호석들이 깔려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보의 상, 하류측 하상에 깔려진 하상보호석들을 지지하는 고정말뚝들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보의 상, 하류측에 깔려진 하상보호석들 사이에 수생식물들이 정착 이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보들의 하상은 하류측을 향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호되게 좌우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에 서로 수위를 달리하는 수중보들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단계로 설치하면서 각각의 수중보의 수위가 단계별로 낮아지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하천수의 유출을 지체시켜 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갈수기 때에도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하는 저류기능으로 어류의 상류진출 및 서식환경의 조성에 따른 생태계 보존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보의 상, 하류측의 하상에 다수의 하상보호석들이 포설됨으로써 하상 세굴방지에 따른 구조의 안정성 확보는 물론, 물의 유속에 대한 저항으로 배수처리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하천수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킴으로써 어류의 상류진출이 보다 용이하며, 또한 물고기 및 수서생물의 서식환경이 조성되어 생태 보존 효율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류측 수중보와 중류측 수중보 및 하류측 수중보의 하상 바닥을 서로 교호되는 반대방향으로 좌우측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하여 하천수가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흐름과 동시에 좌우측 방향으로도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수중보 내부의 하천수 통과시간을 지연 및 연장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물고기 등 수서생물의 활동에 알맞은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류측 수중보와 중류측 수중보 및 하류측 수중보의 여러 단계의 여울목을 거치는 다단계의 낙차 현상으로 폭기 기능을 가짐으로써 하천수에 산소 공급은 물론 슬러지 적층을 방지할 수 있어 자정능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다단의 수중보의 하측으로 여울목들을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청량감을 주어 친수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별도로 구조물의 유지관리가 필요하지 않아 경제성 및 생산성이 있어 하천생태계의 녹색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측면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류측 수중보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중류측 수중보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하류측 수중보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천수 배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은 측면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류측 수중보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중류측 수중보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하류측 수중보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천수 배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의 양안을 가로질러 통나무 보 형태의 상류측 수중보(10)와 중류측 수중보(11) 및 하류측 수중보(12)가 서로 다른 높이로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상기 상류측 수중보(10)와 하류측 수중보(12) 및 하류측 수중보(12)의 상하류측의 하상에는 다수의 하상보호석(13)들이 포설되며, 각각의 하상들이 서로 교호되게 반대방향으로 좌우측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하천수가 상류(A)에서 하류(B)측으로 완만하게 배수됨과 동시에 화살표와 같이 좌우측으로도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여러 개의 선(L)들은 하상보호석(13)을 고정하기 위해 하천의 양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하상에 정착되는 원주목(미도시됨)의 고정말뚝들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라인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류측 수중보(10)와 중류측 수중보(11) 및 하류측 수중보(12)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단차를 이루는 것으로, 상류측 수중보(10)로부터 중류측 수중보(11) 및 하류측 수중보(12)로 갈수록 단계별로 점차 하상높이와 수위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즉, 중류측 수중보(11)는 상류측 수중보(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하류측 수중보(12)는 중류측 수중보(1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단의 수중보 하상에 다수 구비된 하상보호석(13)들은 하상에 일정간격으로 정착된 고정말뚝의 기능을 하는 원주목(14)에 의해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류측 수중보(10)는 하천의 양안측으로 간격을 두고 하상에 다수 정착되고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배수되는 방향의 전후 한 쌍으로 구비된 고정말뚝(2) 사이에, 중앙 지지말뚝(6)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는 2단의 지수목(5) 위에 1단의 월류목(3)이 적층 구비되고, 상기 월류목(3) 또는 상측의 지수목(5)은 앵커볼트(4)에 의해 전후 고정말뚝(2)에 고정된다.
상기 월류목(3)은 방부 처리된 통나무로써 하천을 가로질러 하상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수중보 기능을 하며, 상기 고정말뚝(2)은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PE고분자 재료와 같이 물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지수목(5)의 하면과 중앙 지지말뚝(6)의 상면은 고리 등을 이용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 지지말뚝(6)은 월류목(3) 및 지수목(5)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능과 월류목(3)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류측 수중보(11)는 하천의 양안측으로 간격을 두고 하상에 다수 정착되고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유출되는 방향의 전후 한 쌍으로 구비된 고정말뚝(2) 사이에, 중앙 지지말뚝(6)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는 1단의 지수목(5) 위에 1단의 월류목(3)이 적층되고, 상기 월류목(3)은 앵커볼트(4)에 의해 전후 고정말뚝(2)에 고정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류측 수중보(12)는 하천의 양안측으로 간격을 두고 하상에 다수 정착되고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배수되는 방향의 전후 한 쌍으로 구비된 고정말뚝(2) 사이에, 1단의 월류목(3)이 구비되고, 상기 월류목(3)은 앵커볼트(4)에 의해 전후 고정말뚝(2)에 고정된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통나무 보인 월류목 또는 지수목은 친환경 자재의 원통목으로서, 대략 길이는 3m이고, 그 직경은 40㎝로서, 하상 지반내 매설깊이는 20㎝이고 나머지 부분은 하상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상류측 3단의 원통목이 설치되는 경우는 100㎝의 수위를 가지며, 중류측 2단의 원통목이 설치되는 경우는 60㎝의 수위를 가지며, 하류측은 1단의 원통목으로 20㎝의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3단 형태의 수중보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이상으로 수중보들을 추가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하상보호석(13)들은 400~900㎝의 크기를 갖는 암석들로 이루어지며, 고정말뚝의 기능을 하는 원주목(14)은 직경 160㎜, 길이 2m정도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적어도 정착매설 깊이는 1m이상을 갖도록 설치하되 현장여건에 알맞게 설치된다. 아울러, 하상에 포설된 하상보호석을 지지하는 고정말뚝인 원주목(14)의 간격은 1,5~2.5m의 간격으로 하상보호석(13)들을 하류측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천수의 배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하천수가 유출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단의 수중보들을 나타내는 실시예로서, 하천수의 수위가 단계별로 하류측으로 낮아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천수의 배수를 단계별로 완화시킴으로써 저류기능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단 형태의 수중보들은 상류측에서 전후 한 쌍으로 구비된 고정말뚝(2) 사이에, 중앙 지지말뚝(6)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는 2단의 지수목(5) 위에 앵커볼트(4)에 의해 고정말뚝(2)에 고정된 1단의 월류목(3)이 적층되어 3단을 이루는 상류측 수중보(10)와,
상기 상류측 수중보(10)로부터 하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후 한 쌍으로 구비된 고정말뚝(2) 사이에, 중앙 지지말뚝(6)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는 1단의 지수목(5) 위에 앵커볼트(4)에 의해 고정말뚝(2)에 고정된 1단의 월류목(3)이 적층되어 2단을 이루는 중류측 수중보(11)와,
상기 중류측 수중보(11)로부터 하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후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고정말뚝(2) 사이에 1단의 월류목(3)이 구비된 하류측 수중보(12) 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류측으로 단계별로 점차 하상의 높이 및 수위가 낮아지게 단차를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류측의 하천수가 급격히 하류측의 낮은 수위로 바뀌지 않고 단계별로 하천수를 지체시켜 저류기능을 갖게 되고, 이와 더불어 하상보호석들에 의하여 물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갈수기 때에도 물이 부족하지 않아 어류의 상류진출 및 수서생물들의 서식환경이 조성된다.
그리고, 상류측 수중보(10)와 중류측 수중보(11) 및 하류측 수중보(12)의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발생하는 낙차 현상으로 폭기 기능을 가짐으로써 하천수에 산소 공급은 물론 슬러지 적층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류측 수중보(10)와 중류측 수중보(11) 및 하류측 수중보(12)의 상, 하류측에 다수의 하상보호석(13)들을 포설하고 있기 때문에 낙차에 의한 세굴방지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하천수의 유속에 대한 저항으로 배수처리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수서생물들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역할도 한다. 아울러, 각각의 수중보 하측의 하천수 낙차발생시 여울목에서 하천수의 떨어지는 소리로 청량감을 줌으로써 하천의 경관성 향상과 환경친화적인 친수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상류측 수중보와 중류측 수중보 및 하류측 수중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다단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상류측의 하천수가 급격히 하류측의 낮은 수위로 바뀌지 않도록 하천수를 지체시켜 저류기능을 가지며, 하천수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갈수기 때에도 물이 부족하지 않아 어류의 상류진출 및 서식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고, 상류측 수중보와 중류측 수중보 및 하류측 수중보의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발생하는 낙차현상으로 폭기 기능을 함으로써 하천에 산소 공급은 물론 슬러지 적층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2: 고정말뚝 3: 월류목
4: 앵커볼트 5: 지수목
6: 중앙 지지말뚝 10: 상류측 수중보
11: 중류측 수중보 12: 하류측 수중보
13: 하상보호석 14: 고정말뚝(원주목)
4: 앵커볼트 5: 지수목
6: 중앙 지지말뚝 10: 상류측 수중보
11: 중류측 수중보 12: 하류측 수중보
13: 하상보호석 14: 고정말뚝(원주목)
Claims (7)
- 하천의 양안을 가로지르는 통나무 보 형태의 수중보를 하천의 유수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설치하고, 각 수중보들은 그 수위가 유수 단계별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하되,
각각의 수중보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1단 이상 적층되는 원통목들과, 이 원통목들의 일정위치의 전후 외주면에 밀착하여 하단이 하상에 정착되고 상측에서 앵커볼트로 원통목들에 일체의 구조로 연결되는 1쌍의 고정말뚝들과, 상기 원통목들과 고정말뚝들의 외측면을 따라 거석들로 지지되게 하며,
각각의 수중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적층되는 원통목들이 하류측 수중보를 향하여 단계별로 낮아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수중보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 하상에는 다수의 하상보호석들이 깔려있는 구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중보들의 하상은 하류측을 향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호되게 좌우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중보에 설치되는 원통목들은 하천의 양안을 가로지르면서 횡으로 적어도 1단 이상으로 배치되는 월류목 또는 지수목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보들은 상류측의 수중보 쪽으로 단계별로 하류측의 수중보보다 원통목들이 1단씩 추가되어 적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보의 상, 하류측 하상에 깔려진 하상보호석들을 지지하는 고정말뚝들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보의 상, 하류측에 깔려진 하상보호석들 사이에 수생식물들이 정착 이식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7322A KR101224003B1 (ko) | 2010-04-22 | 2010-04-22 |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7322A KR101224003B1 (ko) | 2010-04-22 | 2010-04-22 |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7855A KR20110117855A (ko) | 2011-10-28 |
KR101224003B1 true KR101224003B1 (ko) | 2013-02-08 |
Family
ID=4503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7322A KR101224003B1 (ko) | 2010-04-22 | 2010-04-22 |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400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7518B1 (ko) | 2012-05-15 | 2014-07-02 | 서정식 | 여과형 생태 수중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32537B (zh) * | 2018-03-12 | 2020-02-11 | 四川大学 | 治理山区河流冲刷性河段河床下切的漂石阶梯结构布置方法 |
CN110761250A (zh) * | 2019-12-10 | 2020-02-07 |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 多级生态景观溢流堰结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7369A (ko) * | 2001-12-10 | 2003-06-18 |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
KR100488920B1 (ko) * | 2002-07-22 | 2005-05-11 |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 |
-
2010
- 2010-04-22 KR KR1020100037322A patent/KR1012240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7369A (ko) * | 2001-12-10 | 2003-06-18 |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
KR100488920B1 (ko) * | 2002-07-22 | 2005-05-11 |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7518B1 (ko) | 2012-05-15 | 2014-07-02 | 서정식 | 여과형 생태 수중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7855A (ko) | 2011-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e Lay et al. | Wood entrance, deposition, transfer and effects on fluvial forms and processes: problem statements and challenging issues | |
CN106884411B (zh) | 库滨带生态防护系统 | |
JP6532278B2 (ja) | ミズゴケ湿原再生方法及び再生基盤 | |
KR20150109701A (ko) |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224003B1 (ko) | 다단 저류기능의 생태하천 수중보 | |
KR101250185B1 (ko) | 자체 토사 조절기능을 갖는 사방댐 | |
KR200441555Y1 (ko) | 수질정화용 게비온 | |
KR100913772B1 (ko) | 자연형 하천의 생태 어도보 | |
KR101119972B1 (ko) | 친환경 어도구조물 | |
KR100465647B1 (ko) | 하천의 물속 생태계 복원 공법 | |
KR101223653B1 (ko) |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 |
KR200433035Y1 (ko) |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 |
KR100574741B1 (ko) | 토목 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생태여울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 |
JP3382602B2 (ja) | 河床および護岸部材とその施行方法 | |
KR20090012167A (ko) | 토목섬유를 이용한 계단형 낙차공/보의 개량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 |
CN107938592B (zh) | 一种直线型城市河道的生态改造结构 | |
CN110655284A (zh) | 一种基流匮乏型河流坝下浅水区生物保育区的构建方法 | |
KR100656939B1 (ko) | 생태수벽 정수 시스템 | |
RU2336388C2 (ru) | Полузапруд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 |
KR20120000137A (ko) |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 |
KR102315337B1 (ko) | 사면 안정 녹화 구조체 | |
KR20150133427A (ko) | 생태보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 |
Lukianas et al. | Water management tasks in the summer polders of the Nemunas Lowland | |
KR101352835B1 (ko) | 자연형 여울-소 조성을 위한 다공질 수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여울-소 조성방법 | |
CN207812392U (zh) | 一种直线型城市河道的生态改造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