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554A - 이식 후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상태의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이식 후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상태의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26554A KR20130126554A KR1020130053814A KR20130053814A KR20130126554A KR 20130126554 A KR20130126554 A KR 20130126554A KR 1020130053814 A KR1020130053814 A KR 1020130053814A KR 20130053814 A KR20130053814 A KR 20130053814A KR 20130126554 A KR20130126554 A KR 201301265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s
- ifn
- cd8cm
- cd8em
- hum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9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the pathological state of an organis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66—Animal cells
- G01N33/56972—White blood cel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antibody frag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66—Animal cel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66—Animal cells
- G01N33/56977—HLA or MHC typ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63—Cytokines, i.e. immune system proteins modifying a biological response such as cell growth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e.g. TNF, CNF, GM-CSF, lymphotoxin, MIF or their receptors
- G01N33/6866—Interfer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63—Cytokines, i.e. immune system proteins modifying a biological response such as cell growth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e.g. TNF, CNF, GM-CSF, lymphotoxin, MIF or their receptors
- G01N33/6869—Interleuki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2—Assays involving cytokines
- G01N2333/555—Interferons [IFN]
- G01N2333/57—IFN-gamma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4—Immunology or allergic disorders
- G01N2800/245—Transplantation related diseases, e.g. graft versus host dis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식 후 면역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CD8 effect memory)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CD8 central memory) IFN-γ양성 세포를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 및 (a) 이식 수술을 받은 개체의 말초혈액에 대해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을 Th17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으로 나눠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 및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이식 후 개체 내의 면역상태를 손쉽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이식 후 처방되는 면역억제제의 과다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환자 개개인에 대한 면역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식 후 환자의 면역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면역억제제의 투여량 감소 시기 및 면역억제제의 투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키트에 관한 것이다.
면역은 생체 조직으로 침입하거나 주입되는 모든 외부 고분자물질(항원)에 대한 생체의 자기보호 체계의 하나이다. 면역체계의 주요한 구성성분으로 림프구가 있는데, 이는 골수에서 만들어져서 혈액을 따라 림프 조직이나 기관, 주로 림프절·비장·편도 등으로 순환하는 백혈구다.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로서, B세포는 적절한 항원에 의해 자극되면 빠르게 증식하여, 그 항원을 중화시킬 특별한 항체(면역글로불린)를 만들어내는 클론을 형성하며, B세포가 생성하는 항체는 체액에서 순환하면서 체액성면역을 수행한다. 또한, T세포는 흉선에서 생성되어 림프 조직으로 이동하는데, 항원을 직접 공격하는 세포매개성면역을 담당한다.
한편, 모든 정상 개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는 자기(self)를 구성하고 있는 항원물질에 대해서는 해롭게 반응하지 않는 반면, 많은 비자기(non-self) 항원에 대해서는 이를 인식하고 반응하여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자기항원에 대한 생체의 무반응을 면역학적 무반응성(immunologic unresponsiveness) 또는 관용(tolerance)이라 한다.
이러한 자기관용을 유도하거나 계속 유지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생기게 되면 자기항원에 대하여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1형 당뇨병, 류마치스 관절염, 하시모토 갑상선염 등의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하게 되며, 뿐만 아니라 이식과 같은 시술 이후 면역거부 반응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성공적인 장기 이식을 위해서는 이식할 세포 및 장기에 대한 수혜자의 면역 거부반응을 극복해야 한다. 이식면역 거부반응의 주요 매개체는 T 세포로서, 이식편(graft)에 발현되어져 있는 주조직적합성분자(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를 T 세포 수용체(T cell receptor)가 인지함으로써 면역반응이 유도되어 이식 거부반응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 외과적 시술 및 HLA 유형(type) 판독기법의 발달과 면역억제제의 개발에 의해 이식 성공률은 높아졌지만 여전히 면역거부반응과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에 의한 사망률이 높아 효과적이고 안전한 새로운 면역억제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모든 면역억제제들의 공통된 목적은 이식편에 대한 T 세포-매개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임상적으로 이식 후 T 세포-매개 급성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매일 비특이적 면역억제제가 투여된다(Pirsch, J. D., curr. opin. organ. transplant., 2, 76-81, 1997).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면역억제제는 글루코코티코스테로이드(glucocoticosteroids)을 포함하여 DNA 합성을 차단하여 T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과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mycophenolate mofetil)이 있으며, 칼시뉴린 억제제(calcineurin inhibitor)인 사이크로스포린 A(cyclosporine A)와 타크로리무스(tacrolimus) 등이 있다.
이들 약재는 비록 장기이식을 수혜 받은 환자의 면역거부반응을 극복하는데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치료효과가 일시적이고 높은 독성이 나타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식 거부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면역억제제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뚜렷한 치료 효과를 보이는 면역억제제의 개발이 미흡한 현 시점에서 면역억제제의 투여로 인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빠른 방법은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식 받은 환자에게 부작용의 두려움으로 인해 면역억제제를 아무 기준없이 감소하여 투여할 경우, 이식 거부 반응으로 인한 고통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보편적인 판단 기준을 가지고 이식 받은 환자 체내에서의 면역 상태를 확인하여 면역 상태가 좋은 환자에게는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키고 그렇지 않은 환자에게는 기존 처리된 양으로 면역억제제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된다면 면역억제제로 인한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식 후 환자의 면역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Th17, Treg, TH1, TEM IFN-γ+ 및 TCM INF-γ+의 세포 내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정량화 함으로써 이식 후 면역억제제의 처리여부 및 처리양을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면역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CD8 effect memory)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CD8 central memory) IFN-γ양성 세포를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이식 수술을 받은 개체의 말초혈액에 대해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을 Th17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으로 나눠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CD8 effect memory)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CD8 central memory) IFN-γ양성 세포를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은, Th17 세포에 대해서는 IL-17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L-17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Treg 세포에 대해서는 Foxp3 항체를 사용하여 Foxp3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Th1 세포에 대해서는 인터페론 감마IFN-γ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FN-γ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CD8EM IFN-γ 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anti- human CCR7 또는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 Effector Memory T 세포의 IFN-r 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및 CD8CM IFN-γ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anti- human CCR7 또는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 Central Memory T 세포의 IFN-r의 생성량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이식 수술을 받은 개체의 말초혈액에 대해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을 Th17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으로 나눠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세포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Th17 세포에 대해서는 IL-17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L-17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Treg 세포에 대해서는 Foxp3 항체를 사용하여 Foxp3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Th1 세포에 대해서는 인터페론 감마(IFN-γ)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FN-γ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CD8EM IFN-γ 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anti- human CCR7 또는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 Effector Memory T 세포의 IFN-r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및 CD8CM IFN-γ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또는 anti- human CCR7,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 Central Memory T 세포의 IFN-r의 생성량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가 1 이상인 경우, 이식 후 개체에 대해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켜 처방하거나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가 1 미만인 경우, 이식 후 개체에 대해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키지 말아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역억제제는 칼시뉴린 억제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면역억제제의 투여량 감소는 최초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100%로 할 경우, 75~50%의 양으로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CD8 effect memory)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CD8 central memory) IFN-γ양성 세포를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 및 (a) 이식 수술을 받은 개체의 말초혈액에 대해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을 Th17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으로 나눠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 및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이식 후 개체 내의 면역상태를 손쉽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이식 후 처방되는 면역억제제의 과다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환자 개개인에 대한 면역 상태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간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 중 면역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로부터 수득한 말초혈액의 단핵세포를 대상으로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켜 가면서 측정한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간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 중 면역상태가 좋은 환자로부터 수득한 말초혈액의 단핵세포를 대상으로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켜 가면서 측정한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실험군에서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50%까지 감소시킨 후 다시 75%로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였을 경우, 면역상태가 회복되는 효과가 있는지를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의 변화를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간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 중 면역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게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달리한 다음 환자로부터 수득한 혈장 내의 IL-17 수치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간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 중 면역상태가 좋은 환자에게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달리한 다음 환자로부터 수득한 혈장 내의 IL-17 수치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 모니터링 키트에 함유된 마커중 하나인 CD8+CD45RA-CCR7+, CD8+CD45RA-CCR7- 세포의 effctor CD4 T 세포의 증식반응을 조절하는 면역조절능 평가를 위해, Mixed lymphocyte Reaction(MLR) 방법으로 측정하여 기존에 CD8 T regulatory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되어진 세포(CD8+CD45RA+CCR7+)의 MLR 값을 1로 기준을 세운 뒤 나머지 세포 population의 MLR 의 결과값을 나누어 Ratio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간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 중 면역상태가 좋은 환자로부터 수득한 말초혈액의 단핵세포를 대상으로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켜 가면서 측정한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실험군에서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50%까지 감소시킨 후 다시 75%로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였을 경우, 면역상태가 회복되는 효과가 있는지를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의 변화를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간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 중 면역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게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달리한 다음 환자로부터 수득한 혈장 내의 IL-17 수치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간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 중 면역상태가 좋은 환자에게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달리한 다음 환자로부터 수득한 혈장 내의 IL-17 수치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 모니터링 키트에 함유된 마커중 하나인 CD8+CD45RA-CCR7+, CD8+CD45RA-CCR7- 세포의 effctor CD4 T 세포의 증식반응을 조절하는 면역조절능 평가를 위해, Mixed lymphocyte Reaction(MLR) 방법으로 측정하여 기존에 CD8 T regulatory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되어진 세포(CD8+CD45RA+CCR7+)의 MLR 값을 1로 기준을 세운 뒤 나머지 세포 population의 MLR 의 결과값을 나누어 Ratio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새로운 면역 상태 모니터링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CD8 effect memory)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CD8 central memory) IFN-γ양성 세포를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키트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식 수술 뿐만 아니라 많은 면역질환 환자에 투여되고 있는 면역억제제는 체내에서 각종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나, 특히 이식과 같은 수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면역 거부 반응의 억제를 위해 불가피하게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음을 감안하고서라도 면역억제제를 처방할 수 밖에 없다.
또한, 현재까지 부작용이 없는 면역억제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어, 현 시점에서 면역억제제로 인한 부작용 감소를 위해서는 처리양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최선이지만 어떠한 시점에서 어느 정도로 약물 투여량을 감소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가 제공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식 후 면역억제제의 과다 복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 개개인에 적용이 가능한 이식 후 예후 관리를 위한 이식후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마커를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 이식 후 면역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마커로서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식 수술을 받은 개체로부터 수득한 말초혈액 의 핵 세포에서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하여 면역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간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상태가 좋은 환자와 면역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켜 가면서 채취한 말초혈액의 핵 세포에 대해 Th17 세포는 IL-17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L-17의 생성량을 측정하였고, Treg 세포에 대해서는 Treg 세포에서 생성되는 Foxp3를 검출할 수 있는 Foxp3의 항체를 사용하여 Foxp3의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Th1 세포에 대해서는 인터페론 감마(IFN-γ)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FN-γ의 생성량을 측정하였고, CD8EM(CD8 effector memory) IFN-γ 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anti- human CCR7 또는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 Effector Memory T 세포의 IFN-r의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CD8CM(CD8 central memory) IFN-γ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anti- human CCR7 또는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 Central Memory T 세포의 IFN-r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이식 후 면역상태가 좋지 않아 면역억제제를 처음 투여량과 동일한 양으로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군은 병인성 세포인 Th17 세포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 참조).
그러나 이식 후 면역상태가 좋아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아도 되거나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켜도 된다고 판단되는 군에서는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수가 유지 또는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병인성 세포인 Th17 세포수는 면역억제제의 복용량 감소로 인해 소폭 증가된 세포수를 보이기는 했으나 증가량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식 후 환자의 면역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표로서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세포수의 측정값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5가지 마커를 이용하여 이식 후 환자의 면역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면역억제제의 투여 여부 및 투여량 조절을 보다 정량적이면서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5가지 마커, 즉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수 측정 값에 대해 이들 값을 Th17 세포수 측정값으로 나눈 비율(ratio)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Th17 세포가 염증 반응의 중요한 인자로서 IL-17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 병인성 세포이므로, 따라서 면역 조절 기능을 갖는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수가 병인성 세포인 Th17 세포수에 비해 얼마의 비율로 환자 체내에 존재하는지를 정량화 한다면 환자의 면역 상태를 계산된 비율 값으로 예측 및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식 후 면역 상태가 좋지 않아 면역억제제를 지속적으로 투여할 필요가 있는 환자의 혈액을 대상으로 상기 5가지 마커에 대한 세포수를 측정하여 그 값을 얻고, 얻은 각각의 마커 측정값을 병인성 세포인 Th17 세포수 측정값으로 나눈 결과, Th1/Th17, Treg/Th17, CD8EM IFN-γ/Th17 및 CD8CM IFN-γ/Th17 의 값이 각각 0.84, 0.43, 0.65 및 0.45로 1미만의 값으로 나타났다(표 2 참조).
반면, 이식 후 면역 상태가 좋아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 또는 투여하지 않아도 되는 환자의 혈액을 대상으로 상기 5가지 마커에 대한 세포수를 측정하여 그 값을 얻고, 얻은 각각의 마커 측정값을 병인성 세포인 Th17 세포수 측정값으로 나눈 결과, Th1/Th17, Treg/Th17, CD8EM IFN-γ/Th17 및 CD8CM IFN-γ/Th17 의 값이 각각 1.71, 2.04, 1.40 및 1.35로 1 이상의 값으로 나타났다(표 6 참조).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Th17 값에 따른 Th1, Treg, CD8EM IFN-r, CD8CM IFN-r 각각의 값(ratio)이 1 미만 일 경우, 면역상태가 좋지 않으며, 면역 거부 반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줄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환자 치료 처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반면, Th17 값에 따른 Th1, Treg, CD8EM IFN-r, CD8CM IFN-r 의 각각의 값(ratio)이 1 이상 일 경우, 면역억제제의 감량에도 면역 상태가 비교적 잘 유지 및 조절 가능하므로,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면역억제제를 더 이상 투여하지 않아도 되는 면역 저항군 또는 면역 안정군으로 판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CD8 effect memory)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CD8 central memory) IFN-γ양성 세포를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측정은,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CD8 effect memory)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CD8 central memory)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할 수 있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 Th17 세포에 대해서는 IL-17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L-17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Treg 세포에 대해서는 Foxp3 항체를 사용하여 Foxp3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Th1 세포에 대해서는 anti-Human CD4 Percp-Cy7 또는 anti-human IFN-r FITC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CD4 T 세포의 IFN-γ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CD8EM IFN-γ 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anti- human CCR7 또는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 Effector Memory T 세포의 IFN-r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CD8CM IFN-γ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anti- human CCR7 또는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 Central Memory T 세포의 IFN-r의 생성량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5가지의 면역 상태 모니터링 마커를 이용하여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a) 이식 수술을 받은 개체의 말초혈액에 대해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을 Th17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으로 나눠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면역억제제는 당업계에 사용되고 있는 모든 면역억제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칼시뉴린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서,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가 1 이상인 경우, 이식 후 개체에 대해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켜 처방하거나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켜도 좋은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면역억제제의 투여량 감소는 최초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100%로 할 경우, (75)~(50)%의 양으로 감소시켜 처방할 수 있다.
또한, 참조로 본 발명에서는 이식 후 면역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지지표로서 면역조절 T 세포, 즉, 면역조절 T 림프구(Treg)를 이용하였는데, Treg는 크게 자연성(natural) Treg 와 적응성(adaptive) Treg 세포로 나눌 수 있으며, 자연성 Treg인 CD4+ CD25+ T 세포는 이 세포가 흉선에서 새로이 만들어질 때부터 면역억제기능을 부여받게 되며, 정상개체의 말초 CD4+ T 림프구 중 5 ~ 10%의 빈도로 존재한다. 아직까지 이 세포의 면역억제 기전은 정확히 파악되지 못하고 있지만, Foxp3라는 유전자의 발현 제어 인자가 이 세포의 분화와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이 최근에 밝혀졌다.
또한, 말초 자연성 T 세포는 특정 환경 하에서 자가 또는 외부항원의 자극을 받으면 면역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데, 이를 적응성(adaptive) 또는 유도성(inducible) Treg로 부르며, IL-10을 분비하는 Tr1, TGF-β를 분비하는 Th3 및 CD8 Ts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Foxp3는 흉선(thymus)으로부터 유래하는 면역조절 T 세포(Regulatory T cell)에 주로 존재하고, CD4+ CD25+ 표지 항원을 가진 세포에 존재하는 전사 조절 인자 (transcriptional factor)로서, 그 기능은 Foxp3를 발현하는 T 세포에 대한 항원인 지시 항원에 대해 저반응성을 가짐과 동시에 흉선으로부터 분화되어 나온 Foxp3를 발현하지 않는 CD4+ CD25- T 세포 중 잠재적으로 자가 면역증을 유발할 수 있는 T 세포들에 대하여 IL-2의 생성과 세포분열 현상을 억제하는 억제자 T 세포 (suppressor T cell)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또한, Foxp3는 Foxp3를 발현하는 조절 T 세포 및 이와 세포-세포간 접촉(cell-cell contact)을 통해 CD25- T 세포에 대하여서는 IL-2 뿐만이 아니라 전사인자인 NFAT의 영향을 받는 IL-4, IFN-감마 등의 전사 조절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Foxp3를 발현하고 있는 T 세포의 경우, 면역반응을 억제 또는 조절하는 작용을 통해 면역질환을 치료하는데 응용되고 있고, 또한, 인간에 존재하는 Foxp3를 발현하는 CD4 T 세포의 자가 항원 특이적인 T 세포(self-antigen specific T cell clone)를 고농도의 IL-2 사이토카인 처리 및 항-CD3, 항-CD28 항체와의 조합처리를 통해서 그 수를 증가시켜 세포 치료방법으로 응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어왔다. 따라서 Foxp3의 발현 확인은 Treg 세포의 활성 또는 증폭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또한, T 세포는 인체의 흉선에서 생성되며 일련의 분화 과정을 거치면서 고유의 특성을 지닌 T 세포로 분화하게 되는데, 분화를 완료한 T 세포는 그 기능에 따라 크게 1형 보조 세포(Th1)와 2형 보조 세포(Th2)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Th1 세포는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며 주된 기능은 세포 매개성 면역에 관여하고, Th2 세포는 체액성 면역에 관여하며, 면역계에서 이러한 두 세포 집단은 서로 과 활성화되지 않도록 서로 견제를 통해 면역계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면역질환의 대부분은 이러한 두 면역 세포간의 불균형으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들 세포의 균형이 적절히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나아가, Th17 세포는 염증 반응의 신호를 최대화시켜 질병의 진행을 가속화시키는 세포독성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Th17 세포로의 분화 또는 활성의 억제는 면역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데, Th17 세포는 IL-17을 분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Th17 세포의 IL-17 생성 및 분비를 억제하는 방법도 면역질환의 치료 방법이 되고 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이식 후 면역억제제의 과다 복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 개개인에 적용이 가능한 이식 후 예후 관리를 위한 이식후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마커로서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CD8 effect memory)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CD8 central memory) IFN-γ양성 세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세포수의 측정 및 측정된 값을 Th17 세포수 측정값으로 나눈 비율(ratio)을 통해 환자의 면역 상태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억제제의 복용량 변화에 따른 면역 상태 확인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동의하에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에 동의한 환자들은 간 이식을 받고 5년 경과된 환자들로서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켜 가면서 세포 내 수준의 Th17(CD4+IL-17+), Treg(CD4+CD25highFoxp3+), Th1(CD4+IFN-r), CD8EM IFN-γ+(CD8+CD45RA-CCR7-IFN-r+), CD8CM IFN-γ+(CD8+CD45RA-CCR7+IFN-r+)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환자군을 대상으로 수행한 실험은 면역억제제인 CNI(calcineurin inhibitor)를 100%(Cyclosporine A를 100mg 복용) 복용한 경우, 75%로 줄여서 복용하게 한 경우 및 50%로 줄여서 복용하게 한 경우를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면역상태가 좋아 보이는 환자 군과 면역상태가 좋지 않아 보이는 환자군으로부터 수득한 시료들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을 수행하였다.
<1-1> 혈청 내
ALT
및
ALP
측정
실험에 응한 환자들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혈액 내 ALT 및 ALP의 측정을 위해 Hitachi 7600-210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2>
Th1
및
Th17
세포 측정
상기 <1-1>에서 실험에 참여한 환자로부터 수득한 말초혈액에 대해 면역억제제를 100%, 75% 및 50%의 양으로 각각 복용하도록 하는 시점에서 해파린을 처리한 튜브를 이용하여 정맥채혈 하여 말초혈액 핵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를 Ficoll Paque TM으로 원심분리기로 비중차를 이용하여 분리 하였다. 이후 CD4 T 세포에서 IFN-r(Th1 세포임을 표시하는 표시자), IL-17(Th17 세포임을 표시하는 표시자)을 발현하는 세포의 IFN-r와 IL-17을 측정하기 위해 48 well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5x105세포 PMA 50ng/ml, Ionomycin 500ng/ml, Golgistop 0.67ul /1x106 동시에 처리한 후 4시간 동안 세포를 자극시키기 위해 배양하였다. 그런 뒤, 수집한 세포에 CD4 PE CY 7 항체를 첨가하고 4℃의 암 조건에서 반응 시킨 뒤 FACs 버퍼(0.002% sodium azide, 0.2% BSA/PBS)로 세척하고, 이 세포를 cytofix/cytoperm 으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Perm wash로 세척한 후, IFN-r FITC, IL-17 PE 항체로 30분간 다시 암 조건에서 반응시킨 다음, Perm wash로 세척하고 FACs 버퍼에 재 부유시킨 후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1-3>
Treg
세포 측정
상기 <1-2>에서 사용한 동일한 방법으로 말초혈액 핵세포를 수득하고, CD4+CD25 high Foxp3+인 Treg 세포를 측정하기 위해 CD4 PE CY 7+ CD25APC 항체를 첨가한 다음, 4℃의 암 조건에서 반응시키고, FACs 버퍼(0.002% sodium azide, 0.2% BSA/PBS)로 세척한 후, 이 세포를 Treg 전용 cytofix/cytoperm 으로 30분간 추가 반응시켰다. 이후 Treg 전용 Perm wash로 세척한 후, Foxp3 항체로 30분간 암 조건에서 반응시킨 후, Treg 전용 Perm wash로 세척하고 FACs 버퍼에 재부유하여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4> CD8 + Central Memory IFN -r+ , CD8 + Effector Memory IFN -r+ 세포 측정
상기 <1-2>에서 사용한 동일한 방법으로 말초혈액 핵세포를 수득하고, 48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5x105세포를 대상으로 PMA 25ng/ml, Ionomycin 250ng/ml, Golgistop 0.67ul /1x106를 모두 동시에 처리한 후 4시간 동안 세포를 자극시키기 위해 배양하였다. 이후 수집한 세포에 CD8APC, CD45RA FITC, CCR7 Percp 항체를 첨가하고 4℃의 암 조건에서 반응시킨 후, FACs 버퍼(0.002% sodium azide, 0.2% BSA/PBS)로 세척하고, 이 세포를 cytofix/cytoperm 으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Perm wash로 세척하고 IFN-r PE 항체로 30분간 암 조건에서 반응시키고 다시 Perm wash로 세척한 후, FACs 버퍼에 재부유하여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5> 혈장에서의
IL
-17 수치변화 측정
상기 실험에 응한 면역상태가 좋아 보이는 환자 군과 면역상태가 좋지 않아 보이는 환자군으로부터 각각 수득한 혈장을 대상으로, 혈장 내 IL-17 수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1-1> 내지 <1-5>에 따른 실험 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들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는데, 먼저 도 1의 결과를 보면, 이식 후 면역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서는 면역억제제의 처리량을 감소시킬수록 간 손상 지수인 ALT 및 ALP의 수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염증성 세포인 TH17 세포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면역 조절 능력을 갖는 세포인 Treg(CD4+CD25highFoxp3+), Th1(CD4+IFN-r), CD8EM IFN-γ+(CD8+CD45RA-CCR7-IFN-r+), CD8CM IFN-γ+(CD8+CD45RA-CCR7+IFN-r+)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 참조).
이에 본 발명자들은 면역상태가 좋지 않은 군에서 면역억제제의 감소로 나타나는 상기와 같은 결과에 대해 다시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증가시켰을 경우, 면역반응이 회복되는지를 조사하였는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역억제제를 50%로 감소시켰다가 다시 75%로 투여량을 증가시킨 경우, ALT 및 ALP의 수치와 염증성 세포인 TH17의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Treg(CD4+CD25highFoxp3+), Th1(CD4+IFN-r), CD8EM IFN-γ+(CD8+CD45RA-CCR7-IFN-r+), CD8CM IFN-γ+(CD8+CD45RA-CCR7+IFN-r+)은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이들 환자군에 대해서는 면역억제제를 감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투여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장 내 IL-17 사이토카인의 수치변화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는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역상태가 좋지 않은 군에서 면역억제제를 100%에서 50%로 감소시킨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의 수치는 2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다시 면역억제제를 50%에서 75%로 복용량을 증가시킨 경우, IL-17 수치도 면역억제제 50% 처리에 비해 75% 처리 군에서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식 시술 후 면역상태가 좋아 보이는 환자군을 대상으로 수행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역억제제를 50%로 감소시켜도 ALT 및 ALP의 수치는 면역억제제를 100% 투여시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고, TH17 세포도 75% 면역억제제 투여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Treg(CD4+CD25highFoxp3+), Th1(CD4+IFN-r), CD8EM IFN-γ+(CD8+CD45RA-CCR7-IFN-r+), CD8CM IFN-γ+(CD8+CD45RA-CCR7+IFN-r+)도 75% 면역억제제 투여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역상태가 좋아 보이는 환자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IL-17 수치 변화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
실시예
2>
면역억제제 처리 양에 따른 본 발명의
면역모니터링
세포들의 변화량 측정
<1-1> 내지 <1-5>에 따른 실험 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들을 대상으로 면역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 및 면역상태가 좋은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변화시켜가며 수득한 시료를 이용하여 측정한 Th17(CD4+IL-17+), Treg(CD4+CD25highFoxp3+), Th1(CD4+IFN-r), CD8EM IFN-γ+(CD8+CD45RA-CCR7-IFN-r+), CD8CM IFN-γ+(CD8+CD45RA-CCR7+IFN-r+)의 변화량을 수치화하여 각 실험군의 값을 비교하였는데, 즉, 각 마커(Th1, Th17, Treg, CD8EM(Effector memory)IFN-r, CD8CM(Central memory) IFN-r)에 대해 면역억제제를 감량하지 않고 100%로 처리한 값을 100%로 정하고, 약물 감량에 따른 Th17, Treg, Th1, CD8EM IFN-γ+ 및 CD8CM IFN-γ+의 변화 비율로 정량값을 환산하여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100% 복용시 Th17세포가 0.75일 때 이것을 100으로 설정하고, 75% 복용시- Th17세포가 0.90일 때 이것은 120이 된다). 또한, 각 마커의 비율은 염증반응의 중요한 인자인 Th17 값으로 나누어 Th17 값에 따른 4가지 marker의 변화를 비율로 나타내었으며, 보다 구체적인 실험 결과는 하기 표들에 기재되어 있다.
Bad outcome | 면역억제제 100% 복용 | 면역억제제 75% 복용 | 면역억제제 50% 복용 |
Th17 | 100 | 54.5 | 113.6 |
Th1 | 100 | 179.9 | 96.0 |
Treg | 100 | 135.5 | 49.2 |
CD8_EM/IFN-r | 100 | 106.2 | 74.2 |
CD8_CM/IFN-r | 100 | 93.9 | 51.3 |
Bad outcome | 100% 복용 | 제 75% 복용 | 50% 복용 |
Th1/Th17 | 1 | 3.30 | 0.84 |
Treg/Th17 | 1 | 2.48 | 0.43 |
CD8_EM IFN-r/Th17 | 1 | 1.95 | 0.65 |
CD8_CM IFN-r/Th17 | 1 | 1.72 | 0.45 |
Bad outcome | 100% 복용 | 75% 복용 | 50% 복용 | 75% 복용 |
Th17 | 100 | 54.5 | 113.6 | 68.2 |
Th1 | 100 | 179.9 | 96.0 | 228.5 |
Treg | 100 | 135.5 | 49.2 | 161.0 |
CD8_EM/IFN-r | 100 | 106.2 | 74.2 | 140.6 |
CD8_CM/IFN-r | 100 | 93.9 | 51.3 | 97.8 |
Bad outcome | 100% 복용 | 75% 복용 | 50% 복용 | 75% 복용 |
Th1/Th17 | 1 | 3.30 | 0.84 | 3.35 |
Treg/Th17 | 1 | 2.48 | 0.43 | 2.36 |
CD8_EM IFN-r/Th17 | 1 | 1.95 | 0.65 | 2.06 |
CD8_CM IFN-r/Th17 | 1 | 1.72 | 0.45 | 1.43 |
Good outcome | 면역억제제 100% 복용 | 면역억제제 75% 복용 | 면역억제제 50% 복용 | 면역억제제 10% 복용 |
Th17 | 100 | 48.5 | 66.0 | 67 |
Th1 | 100 | 82.1 | 113.0 | 92.63 |
Treg | 100 | 173.1 | 134.8 | 182.3 |
CD8_EM/IFN-r | 100 | 82.5 | 92.5 | 125.1 |
CD8_CM/IFN-r | 100 | 115.0 | 88.8 | 87.4 |
Good outcome | 100% 복용 | 75% 복용 | 50% 복용 | 10% 복용 |
Th1/Th17 | 1 | 1.69 | 1.71 | 1.38 |
Treg/Th17 | 1 | 3.57 | 2.04 | 2.72 |
CD8_EM IFN-r/Th17 | 1 | 1.70 | 1.40 | 1.86 |
CD8_CM IFN-r/Th17 | 1 | 2.37 | 1.35 | 1.3 |
분석 결과, 상기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h17 값에 따른 Th1, Treg, CD8EM IFN-r, CD8CM IFN-r 각각의 값(ratio)이 1 미만 일 경우, 면역상태가 좋지 않으며, 면역 거부 반응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우,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줄이지 않는 것이 더 나은 처방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상기 표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Th17 값에 따른 Th1, Treg, CD8EM IFN-r, CD8CM IFN-r 의 각각의 값(ratio)이 1 이상 일 경우, 면역억제제의 감량에도 면역 상태가 비교적 잘 유지 및 조절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키는 처방을 내릴 수 있는 면역 저항군 또는 면역 안정군으로 판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들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5가지 마커인 Th1, Th17, Treg, CD8EM(Effector memory)IFN-r, CD8CM(Central memory) IFN-r)의 수치 측정은 이식 수술 시 발생하는 면역거부 반응에 대한 면역억제제 처리 과장에서 환자의 면역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면역억제제의 처리량, 투여량 및 투여여부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본 발명에서 고안한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에 함유된 면역 모니터링 마커 중 하나인 CD8+CD45RA-CCR7+, CD8+CD45RA-CCR7- 세포의 effctor CD4 T 세포를 억제할 수 있는 역할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Naive CD8 T 세포 (CD8+CD45RA+CCR7+), Effector memory CD8 T 세포 (CD8+CD45RA-CCR7-), Central memroy CD8 T 세포(CD8+CD45RA-CCR7+), Terminal differentiated Effector Memory CD8 T 세포(CD8+CD45RA+CCR7-) 각각의 세포에 대한 Effector CD4 T 세포억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Mixed lymphocyte Reaction(MLR)을 수행하였다. 먼저 사람의 말초단핵구 세포를 분리하여 anti-CD8 APC, anti-CD45RA FITC, anti-CCR7-Percp로 FACS 염색을 시행하여 유세포 분리기(BD CANTO)를 이용하여 각각의 세포를 얻었다.
분리한 각각의 세포, CD4와 APC 세포를 (1X105:1X105:1X105)의 비율로 3일간 공조 배양 진행 하였다. 세포를 수득하기 16시간 전에 3H Thymidine을 처리하고 β-count로 reading 하여 CPM 값을 얻었다.
분석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는데, 기존에 CD8 T regulatory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되어진 Naive CD8 T세포(CD8+CD45RA+CCR7+)의 MLR 값을 1로 보고, 나머지 세포 population의 MLR 의 결과값을 나누어 RATIO로 나타낸 그래프로서, 본 특허에서 면역모니터링 마커로 설정하고 있는 Central Memory CD8 T 세포(CD8+CD45RA-CCR7+) population 이 가장 Effector CD4 T 세포를 효율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CD8 effect memory)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CD8 central memory) IFN-γ양성 세포를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은, Th17 세포에 대해서는 IL-17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L-17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Treg 세포에 대해서는 Foxp3 항체를 사용하여 Foxp3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Th1 세포에 대해서는 인터페론 감마(IFN-γ)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FN-γ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CD8EM IFN-γ 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anti- human CCR7 또는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EM T 세포의 IFN-r 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및 CD8CM IFN-γ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anti- human CCR7 또는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CM T 세포의 IFN-r의 생성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 - (a) 이식 수술을 받은 개체의 말초혈액에 대해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을 Th17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으로 나눠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세포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Th17 세포에 대해서는 IL-17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L-17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Treg 세포에 대해서는 Foxp3 항체를 사용하여 Foxp3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Th1 세포에 대해서는 인터페론 감마(IFN-γ)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FN-γ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CD8EM IFN-γ 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anti- human CCR7 또는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EM T 세포의 IFN-r 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및 CD8CM IFN-γ양성 세포는 anti -human CD8 APC, anti-human CD45RA FITC, anti- human CCR7 또는 anti-human IFN-r PE 항체를 사용하여 CD8CM T 세포의 IFN-r의 생성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가 1 이상인 경우, 이식 후 개체에 대해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켜 처방하거나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가 1 미만인 경우, 이식 후 개체에 대해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감소시키지 말아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억제제는 칼시뉴린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면역억제제의 투여량 감소는 최초 면역억제제의 투여량을 100%로 할 경우, 75~50%의 양으로 감소시켜 처방해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50181 | 2012-05-11 | ||
KR1020120050181 | 2012-05-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6554A true KR20130126554A (ko) | 2013-11-20 |
KR101459227B1 KR101459227B1 (ko) | 2014-11-12 |
Family
ID=4955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3814A KR101459227B1 (ko) | 2012-05-11 | 2013-05-13 | 이식 후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상태의 모니터링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448229B2 (ko) |
KR (1) | KR101459227B1 (ko) |
WO (1) | WO2013168876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9997B1 (ko) * | 2016-09-19 | 2018-02-19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장기 이식 거부반응 또는 이식 후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키트 |
KR20190032198A (ko) * | 2017-09-19 | 2019-03-2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면역원성 측정 방법 |
KR20190113363A (ko) * | 2018-03-28 | 2019-10-08 | 한국과학기술원 | 이식 거부 반응 예측에 관한 정보제공방법 |
KR20210045059A (ko) * | 2019-10-16 | 2021-04-26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식 후 당뇨병의 발병 위험도 예측 방법 |
WO2022092881A1 (ko) * | 2020-10-30 | 2022-05-05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면역억제제 유효량 판별 또는 예측용 마커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82870B1 (en) * | 2013-12-20 | 2019-10-23 | The University of Bristol | Conjugates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identification of patients likely to benefit from such treatment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1017439A1 (en) | 1990-05-09 | 1991-11-14 | Children's Research Institute | Receptor assay for fk-506 |
US20070082356A1 (en) * | 1997-09-24 | 2007-04-12 |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a New York, NY corporation | Methods of evaluating transplant rejection |
WO2007084446A2 (en) * | 2006-01-13 | 2007-07-26 | Renovar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immune responses and predicting outcomes in transplant recipients |
EA020412B1 (ru) | 2006-09-05 | 2014-11-28 | Видовре Хоспитал | Иммунологический мониторинг на основе ip-10 |
WO2008128333A1 (en) * | 2007-04-19 | 2008-10-30 | The Governors Of The University Of Alberta | A method to distinguish antibody-mediated tissue rejection from t cell-mediated tissue rejection |
WO2009001545A1 (ja) * | 2007-06-22 | 2008-12-31 | Sapporo Medical University | 移植片対宿主疾患の検査および治療方法 |
WO2009023267A2 (en) * | 2007-08-15 | 2009-02-19 |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 Methods for modulating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il-17 expressing cells |
WO2009073599A1 (en) * | 2007-11-30 | 2009-06-11 | Therakos, Inc. | Process for reducing effects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using ex vivo expanded cd4+cd25+ regulatory t cells |
US9910039B2 (en) * | 2011-07-01 | 2018-03-06 | Beckman Coulter, Inc. | Regulatory T cells and methods of identifying, obtaining and using to treat immuno-based disorders |
-
2012
- 2012-12-21 WO PCT/KR2012/011293 patent/WO201316887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
- 2013-05-13 KR KR1020130053814A patent/KR1014592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11-07 US US14/536,359 patent/US9448229B2/en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9997B1 (ko) * | 2016-09-19 | 2018-02-19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장기 이식 거부반응 또는 이식 후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키트 |
KR20190032198A (ko) * | 2017-09-19 | 2019-03-2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면역원성 측정 방법 |
KR20190113363A (ko) * | 2018-03-28 | 2019-10-08 | 한국과학기술원 | 이식 거부 반응 예측에 관한 정보제공방법 |
KR20210045059A (ko) * | 2019-10-16 | 2021-04-26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식 후 당뇨병의 발병 위험도 예측 방법 |
WO2022092881A1 (ko) * | 2020-10-30 | 2022-05-05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면역억제제 유효량 판별 또는 예측용 마커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448229B2 (en) | 2016-09-20 |
US20150051108A1 (en) | 2015-02-19 |
KR101459227B1 (ko) | 2014-11-12 |
WO2013168876A1 (ko) | 2013-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lazar et al. | Immune regulatory cell infusion for graft-versus-host disease prevention and therapy | |
Rubio et al. | Early posttransplantation donor-derived invariant natural killer T-cell recovery predicts the occurrence of acute graft-versus-host disease and overall survival | |
KR101459227B1 (ko) | 이식 후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상태의 모니터링 방법 | |
Do et al. | An IL-27/Lag3 axis enhances Foxp3+ regulatory T cell–suppressive function and therapeutic efficacy | |
Beres et al. | Instability of Foxp3 expression limits the ability of induced regulatory T cells to mitigate graft versus host disease | |
Augello et al. | Cell therapy using allogeneic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prevents tissue damage in collagen‐induced arthritis | |
Sánchez–Fueyo et al. | Immunologic basis of graft rejection and tolerance following transplantation of liver or other solid organs | |
Kuwana et al. | Induction of antigen‐specific human CD4+ T cell anergy by peripheral blood DC2 precursors | |
Chen et al. | Diminished frequency and function of CD4+ CD25high regulatory T cells associated with active uveitis in Vogt-Koyanagi-Harada syndrome | |
Kong et al. | Administration of bone marrow stromal cells ameliorates experimental autoimmune myasthenia gravis by altering the balance of Th1/Th2/Th17/Treg cell subsets through the secretion of TGF-β | |
Hill et al. | Cell therapy with autologous tolerogenic dendritic cells induces allograft tolerance through interferon-gamma and epstein-barr virus-induced gene 3 | |
Fontenot et al. | Target organ localization of memory CD4+ T cells in patients with chronic beryllium disease | |
Wang et al. | Decreased IL-27 expression in association with an increased Th17 response in Vogt-Koyanagi-Harada disease | |
Silva et al. | Human naive regulatory T-cells feature high steady-state turnover and are maintained by IL-7 | |
Yamada et al. | Repeated injections of IL-2 break renal allograft tolerance induced via mixed hematopoietic chimerism in monkeys | |
Selleri et al. | Cord-blood-derived mesenchymal stromal cells downmodulate CD4+ T-cell activation by inducing IL-10-producing Th1 cells | |
Lee et al. | Glucocorticoids induce corneal allograft tolerance through expansion of monocytic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 |
Anderson et al. | Immunity 12 years after alemtuzumab in RA: CD5+ B-cell depletion, thymus-dependent T-cell reconstitution and normal vaccine responses | |
Molins et al. | Regulatory T cell levels and cytokine production in active non-infectious uveitis: in-vitro effects of pharmacological treatment | |
US20230324369A1 (en) | Cellular populations and uses thereof | |
Wang et al. | Type I interferon therapy limits CNS autoimmunity by inhibiting CXCR3-mediated trafficking of pathogenic effector T cells | |
Gong et al. | Immunoregulatory effects of sirolimus vs. tacrolimus treatment in kidney allograft recipients | |
Kim et al. | JAK3 inhibitor-based immunosuppression in allogeneic islet transplantation in cynomolgus monkeys | |
Guinan et al. | Donor antigen-specific regulatory T cell administration to recipients of live donor kidneys: A ONE Study consortium pilot trial | |
Jeon et al. | Enhancement of graft-versus-host disease control efficacy by adoptive transfer of type 1 regulatory T cells in bone marrow transplant mod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