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207A -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207A
KR20130126207A KR1020120050107A KR20120050107A KR20130126207A KR 20130126207 A KR20130126207 A KR 20130126207A KR 1020120050107 A KR1020120050107 A KR 1020120050107A KR 20120050107 A KR20120050107 A KR 20120050107A KR 20130126207 A KR20130126207 A KR 20130126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mobile communication
content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244B1 (ko
Inventor
황희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2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이 개시된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개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편집을 수행하며, 편집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S EDITING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중인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로서, 쇼핑몰, 터미널, 관공서, 버스 정류장, 공항, 호텔, 병원, 지하철 등 대중이 움직이는 동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대중에게 정보, 광고와 같은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또는 PD(Public Display) 등으로 불리운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TV가 될 수 있으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 등이 이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적인 이미지뿐만이 아니라 음향, 동영상 등과 함께 동적으로 변하는 화면을 보여줌으로써, 시청자에게 더 매력적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더 많은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광고와 정보 전달 용도의 미디어 시장에서 주목받으며 대체되고 있다. 즉, 기존의 광고 간판으로는 불가능한 음향 및 동영상으로 광고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장소를 타겟에 맞게 특정화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미디어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츠는 주로 이미지나 동영상이 사용되는데, 이는 일반 멀티미디어 기기가 퍼스널 컴퓨터(PC)에서 재생 가능한 포맷들이다.
이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인 셋탑박스는 디지털 사이니지 전용으로 제작된 것들도 있고, PC를 기반으로 제작된 것들도 있다. 요즘은 PC 기반에서 전용 셋탑박스(임베디드 시스템)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SD(Secure Digital) 카드, CF(Compact Flash) 카드 등의 이동식 스토리지에 콘텐츠를 저장한 후 셋탑박스에서 재생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한편 콘텐츠의 편집이 필요한 경우, 콘텐츠 편집기에서 해당 콘텐츠를 편집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거나 편집된 콘텐츠를 이동식 스토리지에 저장한 후 셋탑박스에서 재생하게 된다. 이때 콘텐츠 제작 및 편집 기능이 구비된 PC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텐츠 편집기(editor) 또는 콘텐츠 서버라 하기로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콘텐츠 편집 방법은 콘텐츠 편집기의 이동이 어려워 콘텐츠 편집 장소에 대한 제약이 있기 때문에 콘텐츠 편집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즉, 콘텐츠 편집기의 콘텐츠 편집 화면과 콘텐츠가 재생되어 대중에게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크기, 비율 등이 다르기 때문에, 편집 화면에서 보여지는 느낌과 실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보여지는 느낌은 차이가 있게 된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레이아웃(layout) 등이 맘에 들지않아 편집하고자 할 때 만족도는 더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기기를 콘텐츠 편집 및 전송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콘텐츠 편집의 만족도를 높이도록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기기의 위치 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개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편집을 수행하며, 편집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콘텐츠의 제작 및 편집이 가능한 콘텐츠 편집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편집기에서 제작 또는 편집된 콘텐츠는 네트워크나 스토리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편집 모드를 요청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편집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며, 편집 가능으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편집할 장면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라인 정보와 편집할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아 편집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편집할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편집을 수행하면서 편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편집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편집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 내용을 상기 편집 장면에 반영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획득한 장치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콘텐츠 편집 방법에서 사용자의 편집 요청이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입력되면,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의 편집을 수행하면서 편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에서 제공되는 편집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편집 모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편집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며, 편집 가능으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편집할 장면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라인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타임 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할 장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장면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선택된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콘텐츠 제작자인 사용자는 PC 기반의 콘텐츠 편집기가 아닌 이동 통신 기기에서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면서 콘텐츠를 편집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편집을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집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전송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콘텐츠의 편집 장면을 공유하면서 해당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편집 화면의 예들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면서 편집할 장면(scene)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에서 콘텐츠 편집을 수행할 때, 이동 통신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편집 화면을 공유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네트워크 맵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 또는 콘텐츠 편집기에서 네트워크 맵을 참조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특정 콘텐츠를 전송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성이 떨어지는 PC 기반의 콘텐츠 편집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하기 쉽고 사용자 입력이 편리한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인 콘텐츠의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면서 이동 통신 기기에서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동 통신 기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하면서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공간에 설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전송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특히 이것은 콘텐츠 편집기 또는 이동 통신 기기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콘텐츠를 구분하여 전송하고자 할 때 더욱 유용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콘텐츠는 콘텐트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콘텐츠는 이미지와 같은 정지 영상, 텍스트, 동영상 등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로서, 크게 디스플레이 장치(100), 콘텐츠 편집기(200), 및 이동 통신 기기(300)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에 해당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각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각 공간은 실내가 될 수도 있고, 실외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셋톱박스가 있는 TV이거나 또는 셋탑박스가 없는 TV인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다.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는 콘텐츠 서버라고도 하며, 콘텐츠의 제작, 편집, 관리 등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 콘텐츠 편집기(200), 및 이동 통신 기기(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콘텐츠 편집기(200) 또는 이동 통신 기기(300)와 콘텐츠 편집기(200) 간의 요청/응답, 데이터의 전송은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네트워크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에서 제작된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어 재생될 수도 있고, 또는 USB 메모리와 같은 이동 스토리지에 저장한 후 셋탑박스에서 재생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클라우드, NAS(Network-attached storage)와 같은 네트워크 스토리지에 업로드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업로드된 콘텐츠를 읽어 와 재생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처리부(110),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 통신부(130), 및 TV 기능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처리부(110)는 키 버튼, 터치 등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콘텐츠 제작자 또는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용자를 의미한다.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는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는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 또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서는 콘텐츠 편집기(200)나 이동 통신 기기(300)의 요청을 관리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콘텐츠 편집기(200)의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현재 콘텐츠 편집기(200)의 요청을 처리하고 있음을 이동 통신 기기(300)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상기 통신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 이동 통신 기기(300)와 통신한다. 상기 TV 기능 처리부(140)는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포맷에 맞게 처리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TV 기능 처리부(14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특정 채널의 모바일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만일 방송 시청과 광고 콘텐츠 재생이 동시에 수행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의 일부는 특정 채널의 방송이 디스플레이되고, 화면의 다른 일부는 광고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다른 예로, 광고 콘텐츠 재생만 수행된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전체에 광고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는 하나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콘텐츠 관리, 콘텐츠 재생 제어, 스케쥴링 등을 위해 각 기능별로 나누어 물리적으로 여러 대의 서버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콘텐츠 제작자(또는 콘텐츠 관리자)가 아닌 다수의 콘텐츠 제작자를 허용하고자 할 경우에 콘텐츠 제작자와 해당 콘텐츠 제작자에게 등록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서버를 구축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저장부를 구비한다. 또한 콘텐츠는 클라우드, NAS와 같은 네트워크 스토리지나 USB와 같은 이동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랩톱(laptop) 컴퓨터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 장치(또는 핸드헬드)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때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일반 사용자 또는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가 콘텐츠 편집기(200)에 접속할 경우에 일반 사용자와 콘텐츠 제작자를 구별하기 위한 인증 절차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인증의 상세한 방법에는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기기(300)를 통해 콘텐츠 편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하면서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하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편집 화면을 공유하고 편집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상기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즉, 상기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의 입력 수단(예를 들어, 키 버튼, 터치)을 이용하여 콘텐츠 편집을 수행하면 편집 화면은 이동 통신 기기(3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를 이용하여 콘텐츠 편집시, 특정 편집 기능(예, 텍스트의 폰트 변환 등)이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지원 가능한 경우에는 이동 통신 기기(300)의 리소스(resource)를 이용하여 편집한 후, 편집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하지만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지원 불가한 기능인 경우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콘텐츠 편집기(200)에 해당 기능의 처리를 요청하고, 콘텐츠 편집기(200)는 요청된 처리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이동 통신 기기(300)를 거치거나 또는 거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 편집기(200)는 이동 통신 기기(300)로부터 요청이 수신되었을 때 해당 기능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보내는 데몬(demon)이 실행 중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데몬이 실행 중인 콘텐츠 편집기(200)의 위치 정보나 폰트 정보 또는 처리 정보를 콘텐츠가 가지고 있어야 한다.
도 2의 (a) 내지 (d)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시키고 콘텐츠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2의 (a)와 같이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는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편집 모드를 요청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편집 모드 요청이 수신되면, 도 2의 (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콘텐츠 편집기(200)나 다른 이동 통신 기기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콘텐츠 편집기(200)나 다른 이동 통신 기기가 연결되어 있다고 확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알리고,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사용자가 편집을 할 수 없음을 인식할 수 있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c)와 같이 "현재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어 편집이 불가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콘텐츠 편집기(200)나 다른 이동 통신 기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 알린다. 그러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콘텐츠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고 타임 라인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한다. 상기 타임 라인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장면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타임 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할 콘텐츠가 복수개의 장면으로 구성된다면 그 중 한 장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타임 라인에 따른 각각의 장면에 대한 네비게이션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도 2의 (d)와 같이 표시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이동 통신 기기(300)에 표시된 네비게이션 UI를 통해 장면 네비게이션을 수행하여 편집할 장면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 또는 우 화살표를 화면 상에서 터치하거나 선택하여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장면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다. 그리고 편집을 원하는 장면에서 확인을 선택하면 편집할 화면이 선택된다. 여기서 확인은 이동 통신 기기(300)의 특정 버튼이 될 수도 있고, 메뉴 상의 특정 아이콘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편집할 장면이 선택되면 장면 번호를 포함하는 장면 선택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은 선택된 장면으로 변경된다. 만일 콘텐츠가 하나의 장면으로만 구성된다면 타임 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장면 네비게이션하는 과정은 생략된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통신을 통해 편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특정 장면을 공유하면서 해당 장면을 편집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편집 화면의 예들을 보이고 있다.
도 3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편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특정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이때 화면의 일부는 실제 TV 방송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즉, 도 2의 (c)에서와 같이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네비게이션 UI를 통해 편집할 장면이 선택되면, 이동 통신 기기(300)는 선택된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요청한다. 이때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선택된 장면의 장면 번호도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장면 번호는 그 장면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identifier)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장면 번호에 해당하는 화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전송된 레이아웃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3의 (b)와 같이 장면을 구성하는 화면의 레이아웃 정보만 전송할 수도 있고, 도 3의 (c)와 같이 화면의 레이아웃 정보와 콘텐츠 리소스 정보(예, 이미지 정보, 텍스트 정보, 특정 URL 정보 등)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전송 속도 등의 전송 환경에 따라 도 3의 (b)와 같이 화면의 레이아웃 정보만 전송하거나 도 3의 (c)와 같이 화면의 레이아웃과 콘텐츠 리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는 도 3의 (b) 또는 도 3의 (c)와 같이 레이아웃 정보가 표시되는데, 이때 편집 가능한 영역이 함께 표시된다. 편집 가능한 영역은 굵은 볼드체 박스로 표시할 수도 있고 하이라이트나 명암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편집 가능한 영역에 커서가 위치하면 편집 가능한 상태임을 알릴 수 있는 아이콘(예, 도 3의 (c)의 손가락 모양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편집 가능한 영역의 표시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에서 편집할 장면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 통신 기기(300)는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편집 모드를 요청한다(S401).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 편집기(200)나 다른 이동 통신 기기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편집 가능/불가능 상태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한다(S402).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편집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타임 라인 정보를 요청한다(S403).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타임 라인 정보가 요청되면,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고(S404), 상기 콘텐츠의 타임 라인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한다(S405).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타임 라인 정보가 수신되면 타임 라인에 따른 각각의 장면에 대한 네비게이션 UI를 도 3의 (c)와 같이 표시한다(S406).
이어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UI를 통해 편집하고자 하는 장면을 선택하면(S407), 선택된 장면의 장면 번호를 포함하는 장면 선택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면서 동시에 선택된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요청한다(S408).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한다(S409). 이때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선택된 장면의 화면 레이아웃과 콘텐츠 리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도 3의 (b) 또는 도 3의 (c)와 같은 편집 화면을 그래픽적(graphical)으로 표시한다(S410).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에서 콘텐츠 편집을 수행할 때, 이동 통신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편집 화면을 공유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즉, 도 5의 (a)와 같은 이동 통신 기기(300)의 편집 화면에서 사용자는 편집하고자 하는 영역을 터치, 커서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편집 화면에서 편집은 장면 내 특정 영역의 크기 변경, 리소스의 소스 위치 변경, 특정 영역의 이미지 변경, 텍스트의 폰트체 변경, 텍스트의 폰트 크기 변경, 텍스트 내용 변경 등이 해당된다. 이를 위해 각 영역마다 그 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Identifier, ID)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장면이 복수개의 음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A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항목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A 메뉴의 이미지를 B 메뉴의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A 메뉴를 설명하는 텍스트의 크기, 글자체 등을 변경할 수도 있고, A 메뉴의 설명을 바꿀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A 메뉴가 B 메뉴로 변경되었을 때 A 메뉴를 설명하는 텍스트를 B 메뉴를 설명하는 텍스트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5의 (b)는 사용자가 터치, 커서 등을 이용하여 특정 항목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이나 펜 등의 기구로 화면 내 특정 영역을 터치하여 해당 영역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도 5의 (b)는 특정 영역의 크기를 늘리는 예이다. 도 5의 (b)와 같이 특정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게 되면, 변경된 특정 영역의 크기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중인 장면의 해당 영역의 크기를 도 5의 (c)와 같이 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특히 도 6은 특정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하는 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즉,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사용자에 의해 편집하고자 하는 장면 및 장면 내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S601),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선택된 영역의 ID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602).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되는 영역 ID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당 영역에 그 영역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한다(S603).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의 화면 내 선택된 영역을 터치하여 그 영역의 크기를 조정한다(S604). 크기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그 영역의 조정된 크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605). 여기서 변경 완료 시점은 특정 메뉴나 키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화면에서 손가락이나 펜이 떨어지는 시점을 변경 완료 시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정하고자 하는 영역이 이미지인 경우, 이미지에 대한 화면비(aspect ratio)에 맞춰 조정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이 크기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크기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당 영역의 크기를 조정한다(S606). 이때 사용자가 상기 영역의 크기를 다시 조정하고 싶다면 단계 S604로 되돌아가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되고, 다른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고 싶다면 단계 S601로 되돌아가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만일 사용자가 단계 S601에서 선택된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다면 다시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의 화면 내 선택된 영역을 터치하여 그 영역의 위치를 조정한다(S607). 위치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그 영역의 조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608). 여기서 위치 조정은 단순히 현재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의 변경이 될 수도 있고, 두 영역 간의 교환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당 영역의 위치를 조정한다(S609). 이때에도 사용자가 상기 영역의 위치를 다시 조정하고 싶다면 단계 S607로 되돌아가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되고, 다른 영역의 위치를 조정하고 싶다면 단계 S601로 되돌아가 편집할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 ID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 후 단계 S607부터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장면에서 폰트 변경이나 텍스트 변경, 이미지 변경 등을 더 수행하고 싶다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그리고 편집할 장면을 변경하고 싶다면 네비게이션 UI를 통해 새로운 장면을 선택한 후 상기된 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특히 도 7은 특정 영역의 속성 또는 내용을 변경하거나 사용자가 요청한 편집 기능이 이동 통신 기기에서 지원되지 않을 때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즉,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사용자에 의해 편집하고자 하는 장면 및 장면 내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S701),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선택된 영역의 ID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702).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되는 영역의 ID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당 영역에 그 영역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한다(S703).
또한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는 속성 UI(Property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한다(S704). 그러면 사용자는 속성 UI를 통해 선택된 영역의 내용물을 바꾸거나 속성을 조정한다(S705). 예를 들어, 속성 UI는 크기 조절, 이미지나 텍스트의 내용 바꾸기, 텍스트의 폰트체 변경, 텍스트의 폰트 크기 변경, 리소스의 소스 위치 바꾸기 등이 선택된 영역에 대해 가능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이 해당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지원 가능한 기능인가를 확인한다(S706). 만일 지원 가능하다면,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을 처리한 후(S707), 조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708).
만일 지원 가능하지 않다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을 콘텐츠 편집기(200)에 요청한다(S709).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요청한 변경 기능을 처리한 후(S710), 조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71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처리 결과에 포함된 조정 정보를 해당 영역에 적용한다(S712). 예를 들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 또는 콘텐츠 편집기(200)에서 특정 영역의 텍스트의 폰트체를 A 폰트체에서 B 폰트체로 변경하였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당 영역의 텍스트의 폰트체도 A 폰트체에서 B 폰트체로 변경된다.
이때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을 처리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는 이를 처리해주기 위한 데몬을 갖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 데몬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도 가지고 있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레이아웃 정보를 전송할 때, 콘텐츠의 정보도 같이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의 데몬에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의 처리를 요청한다. 이후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데몬에서 처리된 결과를 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데몬이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데몬에 요청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 또는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의 데몬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에 포함되는 조정 정보는 콘텐츠 변경 정보와 변경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달받은 조정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변경 정보와 변경 데이터를 현재 장면에 적용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를 통해 편집한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기에 있는 GPS 기능을 사용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서점에서 5대의 디스플레이 장치(TV1~TV5)를 물리적으로 구분된 공간에 각각 설치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이동 통신 기기는 GPS 기능을 이용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거나 이동할 때 획득할 수도 있고, 설치된 후에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기기를 들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 가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 정보(예, 시리얼 번호, 디스플레이 장치 이름, 제조사 이름 등)를 획득하고, GPS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획득된 이동 통신 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맵을 구성한다. 이때 네트워크 맵은 획득된 정보로부터 바로 구성될 수도 있고,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테이블을 구성한 후, 테이블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네트워크 맵의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네트워크 맵은 이동 통신 기기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맵은 콘텐츠 편집기(200)로 전송하여 콘텐츠 편집기(200)에 추가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 또는 콘텐츠 편집기에서는 네트워크 맵을 기반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별적으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즉, GPS 모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즉, 이동 통신 기기(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리얼 번호, 이름 등을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요청한다(S901). 즉, 상기 장치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의 요청에 따라 시리얼 번호, 이름 등을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한다(S902). 또한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내부의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정보로 설정한다(S903). 이러한 과정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수행한다.
그리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획득한 장치 정보와 위치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S904). 이때 첫번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장치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테이블을 구성하고, 이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장치 정보와 위치 정보가 획득될 때마다 상기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장치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테이블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구현 상의 문제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다루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테이블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여 그래픽적(graphical)으로 디스플레이한다(S905).
한편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만들어진 테이블은 콘텐츠 편집기(200)로 전송되어 콘텐츠 편집기(200)에도 저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테이블의 전송은 콘텐츠 편집기(200)에서 요청하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로 전송해줄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테이블이 만들어지거나 업데이트될 때마다 자동으로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에서도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테이블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여 그래픽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에서 네트워크 맵을 참조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특정 콘텐츠를 전송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의 전송 과정은 콘텐츠 편집기(2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0의 이동 통신 기기의 화면에서 왼쪽은 5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맵의 예를 보이고 있고, 오른쪽은 콘텐츠 리스트의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0에서 TV1~TV5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사용자에 의해 특정 이름이 부여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또한 콘텐츠 리스트는 콘텐츠 편집기, NAS와 같은 네트워크 스토리지, USB와 같은 이동 저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콘텐츠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콘텐츠 편집기에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받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베스트셀러"라고 명명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콘텐츠 리스트에 있는 콘텐츠 중 베스트셀러에 관련된 콘텐츠를 전송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사용자는 오른쪽 네트워크 맵에서 "베스트셀러"라 명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왼쪽 콘텐츠 리스트에서 베스트셀러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선택한 후 전송을 요청하면, 선택된 콘텐츠는 "베스트셀러"로 명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로만 전송되어 재생된다. 반대로 콘텐츠 리스트에서 콘텐츠를 먼저 선택한 후 네트워크 맵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콘텐츠는 중복으로 선택이 가능한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선택된 콘텐츠는 콘텐츠 편집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전송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를 위해 이동 통신 기기에서는 네트워크 맵을 통해 선택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와 콘텐츠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의 정보를 콘텐츠 편집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이동 통신 기기에서는 네트워크 맵과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만 제공하고, 실제 전송은 이동 통신 기기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콘텐츠 편집기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콘텐츠 제작자인 사용자는 이동 통신 기기에서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면서 콘텐츠를 편집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편집을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집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전송 및 관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사용자 입력 처리부
120: 콘텐츠 재생 처리부 130: 통신부
140: TV 기능 처리부 200: 콘텐츠 편집기
300: 이동 통신 기기

Claims (12)

  1.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개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편집을 수행하며, 편집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콘텐츠의 제작 및 편집이 가능한 콘텐츠 편집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편집기에서 제작 또는 편집된 콘텐츠는 네트워크나 스토리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편집 모드를 요청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편집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며, 편집 가능으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편집할 장면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라인 정보와 편집할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아 편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편집할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편집을 수행하면서 편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편집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편집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 내용을 상기 편집 장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획득한 장치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8. 이동 통신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콘텐츠 편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집 요청이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의 편집을 수행하면서 편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에서 제공되는 편집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편집 모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편집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며, 편집 가능으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편집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편집할 장면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라인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타임 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할 장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장면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선택된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개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장치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KR1020120050107A 2012-05-11 2012-05-11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 KR101938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107A KR101938244B1 (ko) 2012-05-11 2012-05-11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107A KR101938244B1 (ko) 2012-05-11 2012-05-11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207A true KR20130126207A (ko) 2013-11-20
KR101938244B1 KR101938244B1 (ko) 2019-04-11

Family

ID=4985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107A KR101938244B1 (ko) 2012-05-11 2012-05-11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24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20B1 (ko) * 2014-01-02 2015-04-17 주식회사 엠티씨엔씨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통합 콘텐츠 생성 장치, DID 통합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78132B1 (ko) * 2015-03-05 2015-12-16 주식회사 디지쿼터스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tv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WO2018074787A1 (ko) * 2016-10-20 2018-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88790B1 (ko) * 2018-02-08 2019-06-12 김민성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콘텐츠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9598A (ko) * 2018-07-19 2020-01-30 정재곤 기록매체에 기록된 에이전트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템플레이트 기반 전광판 시스템 및 이의 셋탑박스 구동방법
KR102523043B1 (ko) * 2022-05-18 2023-04-18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클라우드 기반 영상 출력 장치의 콘텐츠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33929B1 (ko) * 2022-05-17 2023-05-18 (주) 알트소프트 그룹 전용 사이니지를 이용한 그룹 구성원 간 유대감 강화 서비스 시스템
WO2023224265A1 (ko) * 2022-05-17 2023-11-23 (주) 알트소프트 기준영역을 갖는 사이니지를 이용한 사진 공유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58A (ko) * 2000-10-18 2001-01-05 이응혁 인터넷 주문형 광고 시스템
KR20110083174A (ko) * 2010-01-13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10083393A (ko) * 2010-01-14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58A (ko) * 2000-10-18 2001-01-05 이응혁 인터넷 주문형 광고 시스템
KR20110083174A (ko) * 2010-01-13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10083393A (ko) * 2010-01-14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20B1 (ko) * 2014-01-02 2015-04-17 주식회사 엠티씨엔씨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통합 콘텐츠 생성 장치, DID 통합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78132B1 (ko) * 2015-03-05 2015-12-16 주식회사 디지쿼터스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tv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WO2018074787A1 (ko) * 2016-10-20 2018-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43605A (ko) * 2016-10-20 2018-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698590B2 (en) 2016-10-20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1988790B1 (ko) * 2018-02-08 2019-06-12 김민성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콘텐츠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9598A (ko) * 2018-07-19 2020-01-30 정재곤 기록매체에 기록된 에이전트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템플레이트 기반 전광판 시스템 및 이의 셋탑박스 구동방법
KR102533929B1 (ko) * 2022-05-17 2023-05-18 (주) 알트소프트 그룹 전용 사이니지를 이용한 그룹 구성원 간 유대감 강화 서비스 시스템
WO2023224264A1 (ko) * 2022-05-17 2023-11-23 (주) 알트소프트 그룹 전용 사이니지를 이용한 그룹 구성원 간 유대감 강화 서비스 시스템
WO2023224265A1 (ko) * 2022-05-17 2023-11-23 (주) 알트소프트 기준영역을 갖는 사이니지를 이용한 사진 공유 시스템
KR102523043B1 (ko) * 2022-05-18 2023-04-18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클라우드 기반 영상 출력 장치의 콘텐츠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3224167A1 (ko) * 2022-05-18 2023-11-23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클라우드 기반 영상 출력 장치의 콘텐츠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244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24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
EP28439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screen mirroring
KR101971624B1 (ko)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CN102073674B (zh) 信息处理装置及书签设置方法
CN103348693B (zh) 在交互式媒体指南应用中在内容中导航的系统和方法
TWI436225B (zh) 註解發配伺服器、終端裝置、註解發配方法、註解輸出方法及儲存有註解發配程式之記錄媒體
EP278466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pages for executing applications
JP4687691B2 (ja) 機器間操作インターフェース、機器制御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107015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CN105191327A (zh) 用于显示多面体图形用户界面的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20210056762A1 (en) Design and generation of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for structured distribution of content based on location-based triggers
TW200950406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rolling and/or rendering media in a network
KR101943988B1 (ko) 컨텐트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기기와 그 기록 매체
CN103024602A (zh) 一种针对视频添加批注的方法及装置
KR20170040148A (ko)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컨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8142915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
KR20130089893A (ko) 컨텐츠 관리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110107254A (ko)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 관리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 서버 및 저장 매체
JP2020088582A (ja) 提供装置、提供方法、提供プログラム、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101607084B1 (ko)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스마트 tv 용 동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7146700A1 (en) Video viewing system with video fragment location
KR20130123306A (ko)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및 이의 편집 방법
JP201800708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894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JP2013025499A (ja) コンテンツ制御装置、コンテンツ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