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176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176A
KR20130125176A KR1020120048719A KR20120048719A KR20130125176A KR 20130125176 A KR20130125176 A KR 20130125176A KR 1020120048719 A KR1020120048719 A KR 1020120048719A KR 20120048719 A KR20120048719 A KR 20120048719A KR 20130125176 A KR20130125176 A KR 20130125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s
polarizing plate
retardation plate
plate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107B1 (ko
Inventor
김성철
유재명
김웅식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8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107B1/ko
Priority to US13/659,081 priority patent/US9368759B2/en
Priority to CN201310009153.8A priority patent/CN103390633B/zh
Priority to TW102101065A priority patent/TWI570455B/zh
Publication of KR20130125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제1 위상차판, 상기 제1 위상차판 상에 위치하는 제1 편광판, 상기 제1 편광판 상에 위치하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 상에 위치하는 제2 위상차판, 및 상기 제2 위상차판 상에 위치하는 제2 편광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최근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가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인 표시부를 포함하는데, 표시부에 포함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등의 금속 배선들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밝은 곳에서 사용될 때 외광 반사로 인해 검은색의 표현 및 콘트라스트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표시부 상에 정전용량식 터치부를 형성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이용되는데, 터치부가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금속 배선들을 포함함으로써, 이 금속 배선들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밝은 곳에서 사용할 때 외광 반사로 인해 검은색의 표현 및 콘트라스트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시부 및 터치부를 포함하더라도 외광 반사가 억제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제1 위상차판, 상기 제1 위상차판 상에 위치하는 제1 편광판, 상기 제1 편광판 상에 위치하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 상에 위치하는 제2 위상차판, 상기 제2 위상차판 상에 위치하는 제2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는 순서대로 적층된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상차판은 1/4 파장판이며, 상기 제2 위상차판은 1/2 파장판일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판의 편광축과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90도이며, 상기 제2 위상차판의 광축과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 간의 교각은 90도이며,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과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판의 편광축은 설정된 θ도이며, 상기 제2 위상차판의 광축은 (θ+45)도이며,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은 (θ+90)도이며,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은 (θ+90)+45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판의 편광축과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90도이며, 상기 제2 위상차판의 광축과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 간의 교각은 0도이며,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과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판의 편광축은 설정된 θ도이며, 상기 제2 위상차판의 광축은 (θ+45)도이며,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은 (θ+90)도이며,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은 (θ+90)-45도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편광판과 상기 터치부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굴절률은 상기 제1 편광판의 굴절률과 상기 터치부의 굴절률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편광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표시부 및 터치부를 포함하더라도 외광 반사가 억제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회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외광 반사 억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외광 반사 억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두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를 구비하는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에 셋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부(100), 제1 위상차판(200), 제1 편광판(300), 터치부(400), 제2 위상차판(500), 제2 편광판(600), 및 윈도우(700)를 포함한다.
표시부(100)는 이미지를 표시하며, 기판(SUB), 구동 회로부(DC) 및 유기 발광 소자(L1)를 포함한다.
기판(SUB)은 글라스(glass) 등의 무기 재료, 금속 재료, 수지 등의 유기 재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SUB)은 투광성 또는 차광성일 수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기판(SUB)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스캔 라인(SL1), 데이터 라인(DL1), 구동 전원 라인(VDD), 공통 전원 라인(VSS) 등이 형성되며, 상술한 라인들은 구동 회로부(DC)와 연결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부(100)의 구동 회로부(DC)에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만을 표시하였으며, 도 2를 참조하여 표시부(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회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회로부(DC)는 2개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와 하나 이상의 저장 캐패시터(C1)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는 스캔 라인(SL1)과 데이터 라인(DL1)에 연결되고, 스캔 라인(SL1)에 입력되는 스위칭 전압에 따라 데이터 라인(DL1)에서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로 전송한다. 저장 캐패시터(C1)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와 구동 전원 라인(VDD)에 연결되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전송받은 전압과 구동 전원 라인(VDD)에 공급되는 전압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저장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는 구동 전원 라인(VDD)과 저장 캐패시터(C1)에 연결되어 저장 캐패시터(C1)에 저장된 전압과 문턱 전압의 차이의 제곱에 비례하는 출력 전류(IOLED)를 유기 발광 소자(L1)로 공급하고, 유기 발광 소자(L1)는 출력 전류(IOLED)에 의해 발광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는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 게이트 전극(GE) 및 액티브층(AL)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L1)는 제1 전극(E1), 제1 전극(E1)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EL), 및 유기 발광층(EL) 상에 형성된 제2 전극(E2)을 포함하며, 제1 전극(E1), 유기 발광층(EL) 및 제2 전극(E2)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전극(E1)은 애노드 전극이 되고, 제2 전극(E2)은 캐소드 전극이 되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구동 방법에 따라 제1 전극(E1)이 캐소드 전극이 되고, 제2 전극(E2)이 애노드 전극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유기 발광 소자(L1)의 제1 전극(E1)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되고, 제2 전극(E2)이 공통 전원 라인(VSS)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중 하나 이상의 전극은 반투과 또는 반사형으로 형성되어 빛을 반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유기 발광 소자(L1)가 유기 발광층(EL)에서 제2 전극(E2)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여 이미지를 표시한다. 즉, 표시 장치(1000)는 전면 발광형으로 형성된다.
구동 회로부(DC) 및 유기 발광 소자(L1)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기술 분야의 기술자가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의 표시부(100)는 실질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는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패널 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등의 평판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부(100) 상에는 제1 위상차판(200)이 위치하고 있다.
제1 위상차판(200)은 1/4 파장판이다. 제1 위상차판(200)의 광축은 (θ+90)+45도를 가진다. 여기서, θ도는 설정된 각도를 의미하며, 0도 내지 360도 사이의 각도 중 어떠한 각도로도 설정될 수 있다. 제1 위상차판(200)은 선편광된 광을 원편광시키거나, 원편광된 광을 선편광시킨다. 제1 위상차판(200)의 광축과 제1 편광판(300)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이고, 제1 위상차판(200)의 광축과 제2 위상차판(500)의 광축 간의 교각은 90도이다.
제1 위상차판(200) 상에는 제1 편광판(300)이 위치하고 있다.
제1 편광판(300)은 θ+90도의 편광축을 가지며, 편광축 방향으로 광을 선편광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편광판(300)은 편광축과 일치하는 광은 통과시키고,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광은 흡수한다. 이로 인해 제1 편광판(300)을 통과하는 광은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제1 편광판(300) 상에는 터치부(400)가 위치하고 있으며, 제1 편광판(300)과 터치부(400) 사이에는 설정된 공간이 위치하고 있다. 상술한 공간은 제1 위상차판(200) 및 제1 편광판(300)을 표시부(100)에 부착하고, 제1 편광판(300) 상에 표시부(100)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터치부(400)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일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터치에 의해 절연층의 정전 용량이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배선들이 형성되어 있다. 터치부(400)를 구성하는 다양한 배선들 및 절연층의 형태는 해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터치부(400) 상에는 제2 위상차판(500)이 위치하고 있다.
제2 위상차판(500)은 1/2 파장판이며, 제2 위상차판(500)의 광축은 (θ+45)도를 가진다. 제2 위상차판(500)은 선편광된 광의 광축을 90도만큼 변형시킨다. 제2 위상차판(500)의 광축과 제1 위상차판(200)의 광축 간의 교각은 90도이다.
제2 위상차판(500) 상에는 제2 편광판(600)이 위치하고 있다.
제2 편광판(600)은 θ도의 편광축을 가지며, 편광축 방향으로 광을 선편광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편광판(600)은 편광축과 일치하는 광은 통과시키고,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광은 흡수한다. 이로 인해 제2 편광판(600)을 통과하는 광은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제2 편광판(600)의 편광축과 제1 편광판(300)의 편광축은 간의 교각은 90도이다.
제2 편광판(600) 상에는 윈도우(700)가 위치하고 있으며, 제2 위상차판(500) 및 제2 편광판(600)은 터치부(400) 또는 윈도우(700)에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7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윈도우(700)는 글라스(glass) 또는 수지(resin) 등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시부(100) 및 터치부(4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깨지지 않도록 표시부(100) 및 터치부(4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700)는 표시부(100) 및 터치부(400) 상에 터치부(400)와 대향하고 있으며, 터치부(400) 및 표시부(100)를 커버하고 있다. 윈도우(700)는 터치부(400) 및 표시부(100)보다 그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부(400) 및 표시부(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표시 장치(1000)는 효과적으로 터치부(400) 및 표시부(100)에 의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 표시부(10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0)의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가 효과적으로 외광 반사를 억제하면서 표시부(10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손실은 최소화하는 원리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외광 반사 억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설정된 각도인 θ도는 편의상 0도로 도시하였으나, θ도가 0도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요구에 따라 0도 내지 360도 각도 사이의 다양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광은 제2 편광판(600)을 통과하면서 제2 편광판(600)의 편광축 방향인 θ도로 선편광된다. 선편광된 광은 다시 1/2 파장판인 제2 위상차판(50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상태를 유지하면서 90도 회전하여 θ+90도의 광축을 가진다. 이때, 제2 위상차판(500)의 광축은 제2 편광판(600)의 편광축보다 45도만큼 틀어져 있다. 즉, 제2 위상차판(500)의 광축과 제2 편광판(600)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이다.
다음, θ+90도의 광축을 가지는 선편광된 광은 터치부(400)에서 반사되거나, 터치부(400)를 통과한다. 여기서, 터치부(400)에 의해 반사된 광은 터치부(400)에 의해 반사되면서 그 광축이 변형되고 다시 제2 위상차판(500)을 통과하면서 90도 회전한 후, 제2 편광판(600)에 흡수된다. 이와 같이, 터치부(400)에 의해 반사된 광이 제2 편광판(600)에 흡수됨으로써 터치부(400)에 의한 외광 반사가 억제된다. 또한, 터치부(400)를 통과한 선편광된 광은 제1 편광판(300)의 편광축 방향인 θ+90도의 광축을 가짐으로써, 제1 편광판(300)을 통과한다.
다음, 제1 편광판(300)을 통과한 θ+90도의 광축을 가지는 선편광된 광은 1/4 파장판인 제1 위상차판(200)을 통과하면서 우원편광된다. 이때, 제1 위상차판(200)의 광축은 제1 편광판(300)의 편광축보다 45도만큼 틀어져 있다. 즉, 제1 위상차판(200)의 광축과 제1 편광판(300)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이다.
다음, 우원편광된 광은 표시부(100)에 의해 반사되면서 좌원편광으로 변형되고 다시 제1 위상차판(20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된 후, 제1 편광판(300)에 흡수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100)에 의해 반사된 광이 제1 편광판(300)에 흡수됨으로써 표시부(100)에 의한 외광 반사가 억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외부에서 표시 장치(1000)로 조사되는 외광은 제1 편광판(300) 및 제2 편광판(600)에서 대부분 흡수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1000)는 효과적으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에서 광은 제1 위상차판(200)을 통과한다. 이때의 광은 다양한 위상이 혼재된 상태이다.
다음, 제1 위상차판(200)을 통과한 광은 제1 편광판(300)을 통과하면서 제1 편광판(300)의 편광축 방향인 θ+90도로 선편광된다. 선편광된 광은 다시 터치부(400) 및 1/2 파장판인 제2 위상차판(50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상태를 유지하면서 90도 회전하여 θ+180도의 광축을 가진다.
다음, θ+180도의 광축을 가지는 광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광축인 θ도의 편광축을 가지는 제2 편광판(600)을 통과하여 외부에 시인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표시부(100)에서 발생된 광은 제2 편광판(60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즉, 표시 장치(1000)는 효율적으로 표시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효과적으로 터치부(400) 및 표시부(100)에 의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 표시부(10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터치부(400) 및 표시부(100)를 포함하더라도, 외광 반사가 억제된 표시 장치(1000)가 제공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제1 실시예에 따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2)는 표시부(100), 제1 위상차판(202), 제1 편광판(300), 터치부(400), 제2 위상차판(500), 제2 편광판(600), 및 윈도우(700)를 포함한다.
제1 위상차판(202)은 1/4 파장판이다. 제1 위상차판(202)의 광축은 (θ+90)-45도를 가진다. 제1 위상차판(202)은 선편광된 광을 원편광시키거나, 원편광된 광을 선편광시킨다. 제1 위상차판(202)의 광축과 제1 편광판(300)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이고, 제1 위상차판(202)의 광축과 제2 위상차판(500)의 광축 간의 교각은 0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표시 장치(1002)는 효과적으로 터치부(400) 및 표시부(100)에 의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 표시부(10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2)의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2)가 효과적으로 외광 반사를 억제하면서 표시부(10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손실은 최소화하는 원리에 대해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외광 반사 억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광은 제2 편광판(600)을 통과하면서 제2 편광판(600)의 편광축 방향인 θ도로 선편광된다. 선편광된 광은 다시 1/2 파장판인 제2 위상차판(50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상태를 유지하면서 90도 회전하여 θ+90도의 광축을 가진다. 이때, 제2 위상차판(500)의 광축은 제2 편광판(600)의 편광축보다 45도만큼 틀어져 있다. 즉, 제2 위상차판(500)의 광축과 제2 편광판(600)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이다.
다음, θ+90도의 광축을 가지는 선편광된 광은 터치부(400)에서 반사되거나, 터치부(400)를 통과한다. 여기서, 터치부(400)에 의해 반사된 광은 터치부(400)에 의해 반사되면서 그 광축이 변형되고 다시 제2 위상차판(500)을 통과하면서 90도 회전한 후, 제2 편광판(600)에 흡수된다. 이와 같이, 터치부(400)에 의해 반사된 광이 제2 편광판(600)에 흡수됨으로써 터치부(400)에 의한 외광 반사가 억제된다. 또한, 터치부(400)를 통과한 선편광된 광은 제1 편광판(300)의 편광축 방향인 θ+90도의 광축을 가짐으로써, 제1 편광판(300)을 통과한다.
다음, 제1 편광판(300)을 통과한 θ+90도의 광축을 가지는 선편광된 광은 1/4 파장판인 제1 위상차판(202)을 통과하면서 좌원편광된다. 이때, 제1 위상차판(202)의 광축은 제1 편광판(300)의 편광축보다 -45도만큼 틀어져 있다. 즉, 제1 위상차판(202)의 광축과 제1 편광판(300)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이다.
다음, 좌원편광된 광은 표시부(100)에 의해 반사되면서 우원편광으로 변형되고 다시 제1 위상차판(202)을 통과하면서 선편광된 후, 제1 편광판(300)에 흡수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100)에 의해 반사된 광이 제1 편광판(300)에 흡수됨으로써 표시부(100)에 의한 외광 반사가 억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외부에서 표시 장치(1002)로 조사되는 외광은 제1 편광판(300) 및 제2 편광판(600)에서 대부분 흡수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1002)는 효과적으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에서 광은 제1 위상차판(202)을 통과한다. 이때의 광은 다양한 위상이 혼재된 상태이다.
다음, 제1 위상차판(202)을 통과한 광은 제1 편광판(300)을 통과하면서 제1 편광판(300)의 편광축 방향인 θ+90도로 선편광된다. 선편광된 광은 다시 터치부(400) 및 1/2 파장판인 제2 위상차판(50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상태를 유지하면서 90도 회전하여 θ+180도의 광축을 가진다.
다음, θ+180도의 광축을 가지는 광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광축인 θ도의 편광축을 가지는 제2 편광판(600)을 통과하여 외부에 시인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표시부(100)에서 발생된 광은 제2 편광판(60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즉, 표시 장치(1002)는 효율적으로 표시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2)는 효과적으로 터치부(400) 및 표시부(100)에 의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 표시부(10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터치부(400) 및 표시부(100)를 포함하더라도, 외광 반사가 억제된 표시 장치(1002)가 제공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제1 실시예에 따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3)는 표시부(100), 제1 위상차판(200), 제1 편광판(300), 터치부(400), 제2 위상차판(500), 제2 편광판(600), 윈도우(700), 및 접착층(800)을 포함한다.
접착층(800)은 제1 편광판(300)과 터치부(400) 사이에 위치한다. 접착층(800)에 의해 제1 편광판(300)과 터치부(4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접착층(800)의 굴절률은 제1 편광판(300)의 굴절률과 터치부(400)의 굴절률 사이의 값을 가진다.
이로 인해, 제1 편광판(300)과 접착층(800) 간의 계면 및 접착층(800)과 터치부(400) 간의 계면 각각에서 굴절률 차이에 의한 반사가 최소화됨으로써, 표시 장치(1003)의 표시 특성을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3)는 효과적으로 터치부(400) 및 표시부(100)에 의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 표시부(10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손실은 최소화하는 동시에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2) 각각대비 제1 편광판(300)과 터치부(4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반사를 최소화한다.
즉, 터치부(400) 및 표시부(100)를 포함하더라도, 외광 반사가 억제되는 동시에 이미지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1003)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표시부(100), 제1 위상차판(200), 제1 편광판(300), 터치부(400), 제2 위상차판(500), 제2 편광판(600)

Claims (10)

  1.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제1 위상차판;
    상기 제1 위상차판 상에 위치하는 제1 편광판;
    상기 제1 편광판 상에 위치하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 상에 위치하는 제2 위상차판; 및
    상기 제2 위상차판 상에 위치하는 제2 편광판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순서대로 적층된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위상차판은 1/4 파장판이며,
    상기 제2 위상차판은 1/2 파장판인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2 편광판의 편광축과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90도이며,
    상기 제2 위상차판의 광축과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 간의 교각은 90도이며,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과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인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편광판의 편광축은 설정된 θ도이며,
    상기 제2 위상차판의 광축은 (θ+45)도이며,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은 (θ+90)도이며,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은 (θ+90)+45도인 표시 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제2 편광판의 편광축과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90도이며,
    상기 제2 위상차판의 광축과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 간의 교각은 0도이며,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과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인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2 편광판의 편광축은 설정된 θ도이며,
    상기 제2 위상차판의 광축은 (θ+45)도이며,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은 (θ+90)도이며,
    상기 제1 위상차판의 광축은 (θ+90)-45도인 표시 장치.
  8. 제3항에서,
    상기 제1 편광판과 상기 터치부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접착층의 굴절률은 상기 제1 편광판의 굴절률과 상기 터치부의 굴절률 사이의 값을 가지는 표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2 편광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20048719A 2012-05-08 2012-05-08 표시 장치 KR10191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719A KR101919107B1 (ko) 2012-05-08 2012-05-08 표시 장치
US13/659,081 US9368759B2 (en) 2012-05-08 2012-10-24 Display device
CN201310009153.8A CN103390633B (zh) 2012-05-08 2013-01-10 显示装置
TW102101065A TWI570455B (zh) 2012-05-08 2013-01-11 顯示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719A KR101919107B1 (ko) 2012-05-08 2012-05-0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176A true KR20130125176A (ko) 2013-11-18
KR101919107B1 KR101919107B1 (ko) 2018-11-16

Family

ID=4953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719A KR101919107B1 (ko) 2012-05-08 2012-05-0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68759B2 (ko)
KR (1) KR101919107B1 (ko)
CN (1) CN103390633B (ko)
TW (1) TWI57045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713A (ko) * 2014-01-22 2015-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79644A (ko) * 2015-12-30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689B1 (ko) * 2013-08-23 2014-09-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KR101444132B1 (ko) * 2013-11-20 2014-11-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430817B1 (ko) * 2015-11-05 2022-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77848A (ko) * 2019-12-17 2021-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21142638A1 (zh) * 2020-01-15 2021-07-22 杭州芯格微电子有限公司 显示器下部的传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6046A (ja) * 1996-11-11 2005-12-15 Dowa Mining Co Ltd 光学的フィルター
JP2008249943A (ja) * 2007-03-30 2008-10-16 Nec Lcd Technologies Ltd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KR20100025227A (ko) * 2008-08-27 2010-03-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32826T2 (de) * 1998-06-18 2006-12-14 Kaneka Corp. Transparentes touch panel und flüssigkristalldisplay mit einem transparenten touch panel
ATE312371T1 (de) * 1998-08-04 2005-12-15 Kaneka Corp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mit berührungsschirm
JP2011138144A (ja) 2000-09-05 2011-07-14 Nitto Denko Corp タッチパネル付el表示装置
US7106307B2 (en) 2001-05-24 2006-09-12 Eastman Kodak Company Touch screen for use with an OLED display
US7936338B2 (en) 2002-10-01 2011-05-03 Sony Corporation Display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485184B2 (ja) * 2003-12-15 2010-06-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DE102006023993A1 (de) * 2005-05-23 2007-03-08 Wang, Ran-Hong, Tustin Polarisationssteuerung für Flüssigkristallanzeigen
US8373928B2 (en) * 2007-04-19 2013-02-12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polarizer
TWI369534B (en) 2008-02-26 2012-08-01 Wintek Corp Touch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built-in touch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100024710A (ko) 2008-08-26 2010-03-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027086B2 (ja) 2008-09-25 2012-09-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入力装置および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US20110012839A1 (en) 2009-07-16 2011-01-20 Teh-Zheng Lin Stacking assembly of a touch panel
US8305353B2 (en) 2009-09-23 2012-11-06 Mildex Optical Inc. Glare-resistant touch panel
KR101094290B1 (ko) 2010-01-18 2011-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4691205B1 (ja) *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20044041A (ko) * 2010-10-27 2012-05-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US8585221B2 (en) * 2010-11-03 2013-11-19 Dann M Allen Bi-directional blind sight illumination and deflector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6046A (ja) * 1996-11-11 2005-12-15 Dowa Mining Co Ltd 光学的フィルター
JP2008249943A (ja) * 2007-03-30 2008-10-16 Nec Lcd Technologies Ltd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KR20100025227A (ko) * 2008-08-27 2010-03-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46046호(2005.12.15.)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713A (ko) * 2014-01-22 2015-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79644A (ko) * 2015-12-30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107B1 (ko) 2018-11-16
US9368759B2 (en) 2016-06-14
CN103390633B (zh) 2018-03-27
TW201346351A (zh) 2013-11-16
US20130300680A1 (en) 2013-11-14
TWI570455B (zh) 2017-02-11
CN103390633A (zh)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6520B (zh) 透明顯示裝置
US983146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1919107B1 (ko) 표시 장치
KR2010008255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548906B (zh) 顯示裝置
EP2302682B1 (en) High contras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32497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9652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091814B2 (en) Optical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214838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30141187A (ko) 표시 장치
US11730046B2 (en) Display device having repair structure
US2011010880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9823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71146B1 (ko) 발광효율의 감소 없이 야외 시인성을 향상시킨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42367A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1150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20033616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학 검사 방법
KR102485632B1 (ko) 표시장치
US20230217702A1 (en) Display apparatus
KR102289700B1 (ko) 표시장치
KR101596585B1 (ko) 액정 표시장치
KR2020007973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07199697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