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836A -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 - Google Patents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836A
KR20130124836A KR1020120048281A KR20120048281A KR20130124836A KR 20130124836 A KR20130124836 A KR 20130124836A KR 1020120048281 A KR1020120048281 A KR 1020120048281A KR 20120048281 A KR20120048281 A KR 20120048281A KR 20130124836 A KR20130124836 A KR 2013012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gateway
portable terminal
wrist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비트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비트,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비트
Priority to KR1020120048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4836A/ko
Publication of KR2013012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 A63B2071/0663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worn on the wrist, e.g. wrist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목과 눈에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이용하여 손목과 머리의 움직임에 대한 기울기와 가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손목과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골프채를 스윙하면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판단하고, 타격신호를 송신하는 스윙플레이트,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스윙시 손목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눈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3D영상을 제공하고, 스윙시 머리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 상기 스윙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에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동작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동작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GOLF SWING POSTURE CORRECTION SYSTEM BY ANALYZING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GOLF SWING POSTURE CORR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목과 머리에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이용하여 손목과 머리의 움직임에 대한 기울기와 가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가 일반인도 자연스럽게 즐기는 대중 스포츠로 저변이 확대되어 골프인구가 수백만에 다다르고, 골프장 및 골프 연습장이 고속성장을 하고 있다. 또한, 골프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골프관련 사업이 활성화되어, 골프장과 골프연습장의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골프는 다른 스포츠보다 입문이 까다로우며, 대부분의 경우 골프 자세 및 동작 습득과정은 독학, 입문선배의 도움, 레슨프로에 의하여 진행되나 직감적인 자세교정으로 인한 체계적인 교습과정의 부재, 교습자 의존적인 교정 판단의 다양성, 과학적인 분석의 어려움 등으로 체계적으로 개인 교습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내지 방법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7704호에는 골퍼의 스윙 동작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실시간 센싱 데이터에 대한 제1정보를 분석하는 장치와 가상골프시뮬레이션의 환경정보에 대한 제2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정보구축 장치와 제1,2정보를 분석하여 설명하는 설명 모듈을 포함하는 골퍼자세교정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골프 자세 및 동작 교정을 위한 골프교습 시스템은 CCD카메라로 골퍼의 스윙 폼을 촬영하고 반도체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프로 골퍼의 스윙 폼이나 표준 폼의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 자신의 스윙 폼과 서로 비교해 볼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표준 자세와 정밀하게 비교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카메라에 의한 스윙자세의 촬영을 하지 않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와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에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장착하여 손목과 머리의 움직임에 대한 기울기와 가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손목과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은 사용자가 골프채를 스윙하면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판단하고, 타격신호를 송신하는 스윙플레이트,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스윙시 손목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스윙시 손목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스윙시 머리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 상기 스윙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에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동작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동작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윙플레이트는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스윙판과, 상기 스윙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타격 감지 센서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타격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격신호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 동작을 감지하도록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의 손목의 동작 데이터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장갑, 손목밴드 및 시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손목에 착용되는 것이다.
상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허리 동작을 감지하도록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의 허리의 동작 데이터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는 벨트 또는 밴드의 형태로 허리에 착용되거나, 상기 벨트, 밴드 또는 바지에 착용되는 것이다.
상기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셔터방식으로 3D영상을 제공하는 3D안경, 머리띠, 안경 및 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머리에 착용되는 것이다.
상기 3D안경은 셔터방식으로 3D영상을 제공하는 플렉시블한 LCD 렌즈와, 사용자의 머리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타격상황을 수신하면, 사용자의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의 머리의 동작 데이터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게이트웨이 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이중통신(Duplex communication) 방식으로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제어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지그비 통신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USN통신(Ubiquitous Sensor Network) 방식으로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제어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자세 교정방법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표준 모델 및 골프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정보를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에 입력하는 제1단계; 사용자가 스윙플레이트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면 타격신호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에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한 각 신체의 동작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제4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수신된 각 신체의 동작 데이터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5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된 각 신체의 동작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동작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하는 제6단계;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목과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은 여러 카메라에 의한 스윙자세의 촬영을 하지 않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와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에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장착하여 손목과 머리의 움직임에 대한 기울기와 가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윙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윙플레이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3D안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3D안경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골프 자세 교정방법의 신호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골프 자세 교정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손목, 허리 및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골프 자세 교정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손목, 허리 및 머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손목, 허리 및 머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골프채 스윙이 이루어지고 타격신호를 송신하는 스윙플레이트(100)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200)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700)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3D영상을 제공하는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예를 들어, 3D안경)(300)와, 상기 스윙플레이트(100),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200),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700) 및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3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주고받는 게이트웨이(400)와, 상기 게이트웨이(400)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제어부(500)와, 스크린(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200)와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700)와,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300)를 모두 착용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200)와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700)와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300) 중에서 적어도 1종 또는 2종이 선택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손목, 허리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은 사용자가 골프채를 스윙하면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판단하고, 타격신호를 송신하는 스윙플레이트(100)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스윙시 손목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200)와, 허리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700)와,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3D영상을 제공하고, 스윙시 머리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300)와, 상기 스윙플레이트(100)로부터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200),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700) 및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300)에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송신하는 게이트웨이(400)와, 상기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동작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동작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제어부(500)와,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60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가 시계 형태로 손목에 착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장갑, 손목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손, 손목, 팔 등에 착용될 수 있고, 상기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셔터방식으로 3D영상을 제공하는 3D안경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머리띠, 안경 및 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머리에 착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윙플레이트(100)는 사용자가 골프채를 스윙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도록 3D 스크린 골프장 등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윙플레이트(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스윙판(110)과, 상기 스윙판(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타격 감지 센서(120)와, 상기 게이트웨이(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30)와, 상기 타격 감지 센서(120)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격신호를 상기 통신부(130)에서 상기 게이트웨이(400)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몸체(210)를 갖는다. 이러한 몸체(210)는 손목의 크기에 무관하게 일정한 착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0)에는 디스플레이부(220)와, 조작부(230)와, 센서부(270)와, 통신부(240)와, 제어부(250) 및 전원부(260)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의 다수의 모드에 대한 메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표준 모델과 골프채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30)는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되는 각종 메뉴를 조작할 수 있는 제1,2조작버튼(231, 233)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270)는 사용자의 손목 동작을 감지하도록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초소형 전자기기(Micro Electronics Mechanical System; MEMS)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는 1/1,000초 간격으로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하므로 매우 정밀한 스윙의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으며, 지자기센서, 가속센서 등 각종 센서와 고도계, 자이로 등의 기능이 하나의 칩에 들어가 있는 복합센서의 일종이다.
상기 통신부(240)는 게이트웨이(400)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으로서, 송신부(241)와 수신부(243)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신부(243)는 상기 게이트웨이(400)로부터 동작 데이터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송신부(241)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손목 동작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400)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와, 조작부(230)와, 센서부(270)와, 통신부(240) 및 전원부(260)를 포함하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20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센서부(270)에서 감지한 손목의 동작 데이터 중에서 타격신호 전후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편집하여 게이트웨이(400)로 송신하도록 명령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260)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종의 배터리(Battery)를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700)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몸체(710)를 갖는다. 이러한 몸체(710)는 손목의 크기에 무관하게 일정한 착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몸체(710)에는 디스플레이부(720)와, 조작부(730)와, 센서부(770)와, 통신부(740)와, 제어부(750) 및 전원부(760)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20)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의 다수의 모드에 대한 메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표준 모델과 골프채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30)는 디스플레이부(720)에 표시되는 각종 메뉴를 조작할 수 있는 제1,2조작버튼(731, 733)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770)는 사용자의 허리 동작을 감지하도록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초소형 전자기기(Micro Electronics Mechanical System; MEMS)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는 1/1,000초 간격으로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하므로 매우 정밀한 스윙의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으며, 지자기센서, 가속센서 등 각종 센서와 고도계, 자이로 등의 기능이 하나의 칩에 들어가 있는 복합센서의 일종이다.
상기 통신부(740)는 게이트웨이(700)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으로서, 송신부(741)와 수신부(743)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신부(743)는 상기 게이트웨이(400)로부터 동작 데이터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송신부(741)는 제어부(7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 동작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400)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7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20)와, 조작부(730)와, 센서부(770)와, 통신부(740) 및 전원부(760)를 포함하는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70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750)는 센서부(770)에서 감지한 허리의 동작 데이터 중에서 타격신호 전후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편집하여 게이트웨이(400)로 송신하도록 명령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760)는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종의 배터리(Battery)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 구체적으로 3D안경(300)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3D영상을 제공하고, 스윙시 머리의 움직임에 대한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3D안경(300)은 3D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스윙시 머리의 동작을 감지하여 얻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인체공학적인 형상을 가진 몸체(310)를 가진다.
상기 몸체(310)에는 플렉시블한 좌우 LCD렌즈(371,372:370)와, 전원 버튼 및 메인 PCB와, 전원부(배터리)(350)와, 센서부(330)와, 통신부(36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PCB에는 3D영상을 제공하도록 좌우 LCD렌즈와 연동되는 LCD렌즈 구동부(320)와, 상기 구동부(320)를 제어하고, 센서부(33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머리의 동작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 및 명령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3D영상을 제공하는 좌우 LCD렌즈, LCD렌즈 구동부 및 제어부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3D안경(300)에는 사용자의 머리 동작을 감지하도록 센서부(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센서부(330)는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와 마찬가지로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초소형 전자기기(Micro Electronics Mechanical System; MEMS)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부(360)는 게이트웨이(400)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으로서, 송신부(361)와 수신부(362)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신부(362)는 상기 게이트웨이(400)로부터 동작 데이터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송신부(361)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 동작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400)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LCD렌즈 구동부(320)와, 센서부(330)와, 통신부(360) 및 전원부(350)를 포함하는 3D안경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센서부(330)에서 감지한 머리의 동작 데이터 중에서 타격신호 전후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편집하여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350)는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300)에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종의 배터리(Battery)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400)는 실내 골프 연습장과 같은 일정 영역 내에서 복수의 통신노드(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윙플레이트,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3D안경)와 통신을 주고받는 장치이다.
이러한 게이트웨이(400)는 몸체(410)와, 이 몸체(410)에 설치되는 1개 또는 2개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게이트웨이(400)의 몸체(410)에 2개의 안테나(411, 413)가 설치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Duplex 안테나 1개만으로도 게이트웨이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지그비 통신 이외에 블루투스를 이용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통신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의 몸체(410)의 내부에는 통신부(420)와 제어부(440) 및 전원부(430)가 설치된다. 그리고 2개의 안테나는 송신전용 안테나(411)와 송수신겸용 안테나(41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421)와 수신부(423)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421)는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송신전용 안테나(411) 및/또는 송수신겸용 안테나(413)를 통해 송신하려는 신호를 처리한다. 여기서 송신전용 안테나(411) 및 송수신겸용 안테나(413)를 통해 송신하려는 신호는 스윙플레이트에서 수신한 타격신호에 따라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3D안경에 타격 전후 일정 시간의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신호와,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3D안경에서 수신하여 제어부에 송신하는 동작 데이터이다.
상기 수신부(423)는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겸용 안테나(413)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여기서 송수신겸용 안테나(413)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스윙플레이트로부터 전달받는 타격신호와,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3D안경으로부터 각각 전달받는 동작 데이터이다.
상기 전원부(4300)는 게이트웨이(400)에 전원을 제공한다.
제어부(440)는 상기의 통신부(420) 및 전원부(430)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40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40)는 송신전용 안테나(411)가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송수신겸용 안테나(413)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제어부에서 송신전용과 송수신겸용 통신을 모두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 개시하였으나, 송신전용 제어부와 송수신겸용 제어부를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2개의 안테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전용 안테나(411)와 송수신겸용 안테나(4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전용 안테나(411)와 송수신겸용 안테나(413)는 서로 다른 2개의 채널(Ch A, Ch B)을 통해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며, 송신전용 안테나(411)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송수신전용 안테나(413)는 이중통신(Duplex communication)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즉, 송신전용 안테나(411)를 통해 서비스 영역(신호범위구역) 내에 공통된 푸시(Push) 정보를 송신하고, 송수신겸용 안테나(413)를 통해 서비스 영역 내의 특정 무선통신장치의 신호(예를 들어, 다수의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가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각각 송신하는 고유신호 등)를 수신받아 제어부로 송신하거나, 타격신호 또는 동작 데이터를 수신받아 제어부 등에 송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400)는 송신전용 안테나(411)와 송수신겸용 안테나(413)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부하(Load)를 분산시킴으로써,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신호를 동시에 처리할 때 발생하는 딜레이, 신호 간섭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500)는 상기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동작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동작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저장부(510)와, 통신부(520)와, 제어부(530) 및 전원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510)는 표준 모델의 동작 데이터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손목, 허리 및 머리의 동작 데이터는 물론,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스윙플레이트,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3D안경에 대한 식별정보 내지 위치정보 등을 저장한다.
통신부(520)는 게이트웨이(200)와 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는 것으로서,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523)는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손목, 허리 및 머리의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부(521)는 제어부에서 비교하여 분석한 데이터를 스크린 또는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데이터 및 명령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530)는 제어부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530)는 수신부(523)를 통해 수신된 동작 데이터와 저장부에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동작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상기 표준 모델의 동작 데이터는 프로골퍼 등과 같은 전문가로 구성된 표준 모델의 스윙시 손목, 허리 및 머리의 동작 데이터이다. 상기 제어부에서 비교 분석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골프공 타격 전후로 손목이 움직이는 각도와 가속도를 표준 모델의 손목이 움직이는 각도와 가속도를 서로 비교·분석하여 이를 수치, 문자 또는 표 등의 데이터로 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이 이루어지는 시간에 따라 어느 시점에 어떤 동작을 교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교한 데이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원부(540)는 제어부에 전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손목, 허리 또는 머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자세 교정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는 표준 모델 및 골프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또는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에 입력하게 된다.(S1)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스윙플레이트(100)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면 타격 감지 센서에서 골프공이 타격된 것에 대한 타격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하게 된다.(S2)
이어서 상기 게이트웨이(400)에서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200),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700) 및 3D안경(300)에 각각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손목, 허리 및 머리에 대한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게 된다.(S3)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웨이에서는 타격이 이루어지는 동안의 손목, 허리 및 머리의 기울기와 가속도에 대한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200),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700) 및 3D안경(300)에서 각각 수신한 손목, 허리 및 머리의 동작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400)로 송신한다.(S4) 여기서, 상기 게이트웨이(400)로 송신되는 손목, 허리 및 머리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타격신호 전후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감지된 것이고,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3D안경에 각각 구비된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통해 감지된 손목, 허리 및 머리의 움직임에 따른 기울기 변화와 가속도를 측정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게이트웨이(400)에서 수신된 손목, 허리 및 머리의 동작 데이터를 제어부(500)로 송신하게 된다.(S5)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에서 상기 수신된 손목, 허리 및 머리의 동작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손목, 허리 및 머리의 동작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한다.(S6) 예를 들어, 골프공 타격 전의 사용자의 손목, 허리 및 머리의 움직임은 표준 모델에 대한 동작 데이터와 비교할 때 일치하는 반면, 타격 후 손목이 움직이는 기울기가 표준 모델에 비하여 크게 나타나는 경우에, 사용자는 손목이 과도하게 꺾이지 않도록 교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스크린(600)과 같은 표시장치에서 비교·분석된 데이터는 시간에 흐름에 따른 기울기 변화 등을 그래프 또는 표 등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요청(명령)하기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잘못된 자세를 쉽게 인식하고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동작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타격 횟수 내지 연습량의 증가에 따른 골프 스윙자세의 교정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에서 분석된 결과를 스크린(600)에서 디스플레이한다.(S7) 또한, 스크린에서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동시에, 그 내용을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손목, 허리 및 머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1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400)의 제어부(440a)는 타격신호를 수신하고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과 함께, 도 1의 제어부(500)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된다.
즉, 게이트웨이(400)의 제어부(440a)는 수신한 동작 데이터와 미리 입력·저장된 표준 모델의 동작과 비교하여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를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스크린(600)으로 데이터 및 명령신호를 송신하는 역할까지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40a)는 상기 게이트웨이(400) 내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어, 시스템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손목, 허리 및 머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은, 휴대 내지 착용하기 쉬운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3D안경 등을 이용하여 타격 전후에 손목, 허리 및 머리 등 신체의 정밀한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측정하여 얻어진 동작 데이터를 표준 모델의 데이터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골프 스윙 자세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를 기초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스윙이 이루어지는 시간 중에서 표준 모델의 동작 데이터와 차이가 큰 구간의 움직임을 집중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손목, 허리 및 머리에 대하여 별개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른 부위(예를 들어, 팔, 발목 등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의 교정을 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스윙플레이트 110 : 스윙판
120 : 타격 감지 센서 130 : 통신부
140 : 제어부
200 :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210 : 몸체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조작부
240 : 통신부 250 : 제어부
260 : 전원부 270 : 센서부
300 :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
310 : 몸체
320 : 구동부 330 : 센서부
340 : 제어부 350 : 전원부
360 : 통신부 370 : LCD 렌즈
400 : 게이트웨이 410 : 몸체
420 : 통신부 430 : 전원부
440 : 제어부
500 : 제어부 510 : 저장부
520 : 통신부 530 : 제어부
540 : 전원부
700 :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710 : 몸체
720 : 디스플레이부 730 : 조작부
740 : 통신부 750 : 제어부
760 : 전원부 770 : 센서부

Claims (32)

  1. 사용자가 골프채를 스윙하면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판단하고, 타격신호를 송신하는 스윙플레이트;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스윙시 손목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상기 스윙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에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동작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동작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플레이트는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스윙판과,
    상기 스윙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타격 감지 센서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타격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격신호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 동작을 감지하도록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의 손목의 동작 데이터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게이트웨이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이중통신(Duplex communication) 방식으로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제어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장갑, 손목밴드 및 시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손목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8. 사용자가 골프채를 스윙하면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판단하고, 타격신호를 송신하는 스윙플레이트;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스윙시 머리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
    상기 스윙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에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동작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동작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플레이트는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스윙판과,
    상기 스윙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타격 감지 센서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타격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격신호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셔터방식으로 3D영상을 제공하는 3D안경, 머리띠, 안경 및 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머리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D안경은 셔터방식으로 3D영상을 제공하는 플렉시블한 LCD 렌즈와,
    사용자의 머리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타격상황을 수신하면, 사용자의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의 머리의 동작 데이터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게이트웨이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이중통신(Duplex communication) 방식으로 상기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제어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15. 사용자가 골프채를 스윙하면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판단하고, 타격신호를 송신하는 스윙플레이트;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스윙시 허리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상기 스윙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에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동작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동작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플레이트는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스윙판과,
    상기 스윙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타격 감지 센서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타격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격신호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허리 동작을 감지하도록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의 허리의 동작 데이터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게이트웨이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이중통신(Duplex communication) 방식으로 상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제어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는 벨트 또는 밴드의 형태로 허리에 착용되거나, 상기 벨트, 밴드 또는 바지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22. 사용자가 골프채를 스윙하면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판단하고, 타격신호를 송신하는 스윙플레이트;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적어도 두 군데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스윙시 상기 신체의 동작 데이터를 감지하여 송신하는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
    상기 스윙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에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동작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동작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손목 및 머리에 각각 착용되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손목 및 허리에 각각 착용되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는 머리 및 허리에 각각 착용되는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손목, 머리 및 허리에 각각 착용되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플레이트는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스윙판과,
    상기 스윙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공의 타격 여부를 감지하는 타격 감지 센서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타격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격신호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신체 동작을 감지하도록 기울기와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의 신체의 동작 데이터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29.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표준 모델 및 골프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정보를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에 입력하는 제1단계;
    사용자가 스윙플레이트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면 타격신호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타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에 골프공 타격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한 각 신체의 동작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제4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수신된 각 신체의 동작 데이터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5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된 각 신체의 동작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표준 모델의 동작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하는 제6단계;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교정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지그비 통신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USN통신(Ubiquitous Sensor Network) 방식으로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제어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교정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되는 각 신체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타격신호 전후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감지된 것이고,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에 각각 구비된 초소형 전자기기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기울기 변화와 가속도를 측정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교정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착용형 휴대단말기는 손목, 머리 및 허리에 각각 착용되는 손목착용형 휴대단말기, 머리착용형 휴대단말기 및 허리착용형 휴대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동작 데이터는 손목, 머리 및 허리의 동작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교정방법.
KR1020120048281A 2012-05-07 2012-05-07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 KR20130124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281A KR20130124836A (ko) 2012-05-07 2012-05-07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281A KR20130124836A (ko) 2012-05-07 2012-05-07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836A true KR20130124836A (ko) 2013-11-15

Family

ID=4985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281A KR20130124836A (ko) 2012-05-07 2012-05-07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48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794A1 (ko) * 2015-06-26 2016-12-29 박원일 의복용 벨트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18043975A1 (ko) * 2016-09-03 2018-03-08 정차균 방향 정렬 보조용 골프안경 및 그 동작방법
KR20180056094A (ko) * 2016-11-18 2018-05-28 (주)유엔디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JP2020089745A (ja) * 2020-01-28 2020-06-11 株式会社ユピテル スウェイ検知装置、及びスウェイ検知プログラム
WO2022048573A1 (zh) * 2020-09-02 2022-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挥杆动作检测方法及可穿戴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794A1 (ko) * 2015-06-26 2016-12-29 박원일 의복용 벨트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1206A (ko) * 2015-06-26 2017-01-04 박원일 의복용 벨트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18043975A1 (ko) * 2016-09-03 2018-03-08 정차균 방향 정렬 보조용 골프안경 및 그 동작방법
KR20180056094A (ko) * 2016-11-18 2018-05-28 (주)유엔디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JP2020089745A (ja) * 2020-01-28 2020-06-11 株式会社ユピテル スウェイ検知装置、及びスウェイ検知プログラム
WO2022048573A1 (zh) * 2020-09-02 2022-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挥杆动作检测方法及可穿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4553B2 (en) Motion capture and analysis system
US9595181B2 (en) Wearable device assisting smart media application and vice versa
US20050059489A1 (en) Motion sensing applications
US20120052972A1 (en) Wireless golf club motion capture apparatus
US20110305369A1 (en) Portable wireless mobile device motion capture and analysis system and method
KR101770040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피트니스 트레이닝 방법, 피트니스 트레이닝 시스템 및 피트니스 트레이닝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KR20130124836A (ko) 손목, 머리 및 허리 등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방법
JP7317399B2 (ja) ボールの落下地点を案内する電子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WO2017119403A1 (ja) 情報処理装置
JP6796410B2 (ja) 測位システム
KR20190094954A (ko) 전자장치의 움직임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210157396A1 (en) System and method related to data fusing
JP2021508033A (ja) 距離測定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TWI530821B (zh) 頭戴式顯示系統及其操作方法
KR101707319B1 (ko) 의복용 벨트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11285368B2 (en) Address direction gui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72481B1 (ko) 스윙 자세 분석 시스템
KR102417063B1 (ko) 거리측정기와 퍼팅측정기가 융합된 골프 보조장치
SE1950724A1 (en) System for analyzing movement in sport
JP7257691B2 (ja) リモートレッスンシステム
TWI725289B (zh) 可調整信號發射功率之生理量測裝置
JP7300731B2 (ja) 多点測定装置
EP4016253A1 (en) System and method related to data fusing
EP4016252A1 (en) System and method related to motion tracking
EP3832435A1 (en) Mo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