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798A -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798A
KR20130124798A KR1020120048208A KR20120048208A KR20130124798A KR 20130124798 A KR20130124798 A KR 20130124798A KR 1020120048208 A KR1020120048208 A KR 1020120048208A KR 20120048208 A KR20120048208 A KR 20120048208A KR 20130124798 A KR20130124798 A KR 20130124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ogel
scaffold
cells
weight
alg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3527B1 (ko
Inventor
한성수
딥티싱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52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알지네이트 및 젤라틴의 고분자를 혼합하여 크라이오젤법을 통해 얻어진 크라이오젤로서, 기계적 강도, 강성 및 탄성 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세포 부착 및 증식과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여 조직 공학용 스캐폴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를 폐세포를 이식한 폐 패치로서 이용하여 폐기종을 치료할 수 있고, 심근경색이나 퇴행성 디스크 질환의 경우에도 심장세포를 이식한 심장 패치 또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한 재생 패치로서 본 발명의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Cryogel scaffold comprising synthetic polymer, polysaccharide and protein, and tissue re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캐폴드(Scaffold)는 조직 세포의 체외 배양과 체내 이식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물리적 지지체 및 점착 기질을 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캐폴드는 인체조직 재생을 위한 세포 이식에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세포의 대량배양 및 증식에 있어서 그 중요성은 매우 높다. 왜냐하면 세포와 기질 간의 접촉부분에서 세포의 점착 및 이에 수반되는 상피세포의 이동과 증식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즉,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지니고 있는 대부분의 세포는 체내 또는 체외의 물질과 접촉 시 생존하기 위하여 반드시 거쳐야 되는 기본 단계가 있으며, 그 첫 단계는 세포의 점착이다. 특히, 섬유아세포 및 조직세포의 생존단계를 살펴보면, 세포는 우선적으로 기질에 점착을 하며 점착 후 세포질에서의 세포기관(organelle)의 대사가 활발해지고, 증식 및 양분의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새로운 부위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세포의 증착을 활성화시키는 표면은 세포의 증식을 배가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수단이다. 이러한 세포의 기질에 대한 점착 능은 기질의 성분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스캐폴드는 세포의 재생과 이들이 성장할 때 지지체가 되어주는 담체, 즉 인공기질의 근간이 되는 물질로서, 최근 세포의 대량배양 및 증식용기 또는 플라스크에 코팅되어 사용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16984호에는 세포 및 조직 배양용 담체 및 배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섬유아세포의 과잉증식을 억제하면서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나 장기를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세포 및 조직배양용 담체, 및 세포 및 조직배양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공지된 스캐폴드는 세포의 대량배양에 적합할 만큼 기질에 대한 점착 능과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제조공정 또한 간단하지 않고 바람직하지 않은 점이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고분자 혼합물을 이용하여 크라이오젤법을 통해 얻어진 크라이오젤을 기계적 강도, 강성 및 탄성 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세포 부착 및 증식과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여 조직 공학용 스캐폴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조직 공학용 스캐폴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고분자 혼합물 크라이오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로 이루어진 고분자 혼합물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를 제공한다.
상기 합성 고분자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는 알지네이트, 키토산 및 아가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백질은 젤라틴, 콜라겐, 엘라스틴, 라미닌 및 케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알지네이트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혼합물(HAG)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를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혼합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5 내지 7 중량부, 알지네이트 1 내지 5 중량부 및 젤라틴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알지네이트 및 젤라틴을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용해된 고분자 용액에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를 첨가하고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고분자 혼합물을 액체 크라이오스탯 내에서 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합된 젤을 세정하여 미중합 단량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물 100 중량%에 알지네이트 및 젤라틴을 각각 1 내지 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알지네이트 및 제라틴을 포함한 고분자 용액 100 중량%에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를 5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크라이오젤 스캐폴드에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포는 폐세포, 심장세포, 신경세포, 줄기세포, 뼈세포 및 연골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알지네이트 및 젤라틴의 고분자를 혼합하여 크라이오젤법을 통해 얻어진 크라이오젤로서, 기계적 강도, 강성 및 탄성 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세포 부착 및 증식과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여 조직 공학용 스캐폴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폐세포를 이식한 폐 패치로서 이용하여 폐기종을 치료할 수 있고, 심근경색이나 퇴행성 디스크 질환의 경우에도 심장세포를 이식한 심장 패치 또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한 재생 패치로서 본 발명의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HAG 스캐폴드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마이크로 CT 이미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폐세포를 HAG 스캐폴드에 분주하여 배양한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HAG 스캐폴드 내로 세포 투과를 확인한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HAG 스캐폴드의 생체적합성을 확인한 면역-조직학적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상기 합성 고분자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를,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로 알지네이트를, 그리고 상기 단백질로 젤라틴을 사용한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고분자 혼합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5 내지 7 중량부, 알지네이트 1 내지 5 중량부 및 젤라틴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는 스캐폴더의 생체적합성 성질을 띄게 하고,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가교가 일어나지 않아 스캐폴더의 물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알지네이트는 음이온 고분자로서 스캐폴더를 견고하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가교가 일어나지 않아 스캐폴더의 물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젤라틴은 스캐폴더에 세포가 쉽게 부착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가교가 일어나지 않아 스캐폴더의 물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알지네이트 및 젤라틴을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용해된 고분자 용액에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를 첨가하고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고분자 혼합물을 액체 크라이오 상태 내에서 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합된 젤을 세정하여 미중합 단량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물 100 중량%에 알지네이트 및 젤라틴을 각각 1 내지 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알지네이트 및 제라틴을 포함한 고분자 용액 100 중량%에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를 5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크라이오젤 스캐폴드에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포는 폐세포, 심장세포, 신경세포, 줄기세포, 뼈세포 및 연골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이상적인 고분자 스캐폴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조직 손실이 높은 치사율을 야기하는 폐기종 환자의 경우 폐세포를 이식한 본 발명의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를 폐 패치로서 사용하여 폐기종을 치료할 수 있고, 심근경색이나 퇴행성 디스크 질환의 경우에도 심장세포를 이식한 심장 패치 또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한 재생 패치로서 본 발명의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는 조직공학, 의학, 약학 및 재료과학 분야에서 약물, 세포, 단백질 및 성장인자 전달용 재료 또는 인공피부 등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헤마-알지네이트-젤라틴(HAG) 크라이오젤 스캐폴드의 제조
젤라틴과 알지네이트의 최종 농도가 각각 3 중량%가 되도록 물에 젤라틴과 알지네이트를 용해시켜 준비하였다. 상기 고분자 용액에 0.7 ml의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최종농도: 7 중량%)를 첨가하였으며, 단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상기 고분자의 중합반응을 위한 개시제로서 암모늄 퍼설페이트(APS)(10 중량%) 및 TEMED(N,N,N′,N′-Tetramethylethylenediamine)(0.01 ml)를, 가교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1:2의 비율) 및 글루타르알데히드(25 부피%)(1:20의 비율)를 각각 사용하였다. 이러한 중합반응은 액체 크라이오스탯 내에서 -12℃에서 밤새도록 수행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중합된 HAG 젤을 실온에서 탈이온수로 세정하여 미중합 단량체를 제거하였으며, 완전한 해동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진공 건조하였다. 이렇게 진공건조된 크라이오젤은 사용 전까지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HAG 크라이오젤 스캐폴드의 특성 분석
1. SEM을 이용한 미세구조 분석
SEM(FET Quanta 200)을 사용하여 HAG 크라이오젤의 형상을 분석하였다. 스캐폴드를 밤새 건조시켜 습기를 제거한 후 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SEM은 4.5 mm의 시료 크기를 이용하여 15 kV에서 높은 진공 하에서 조작하여 시료를 촬영하였다. 기공 범위, 분포, 기공 직경 및 크라이오젤의 상호연결관계를 SEM 관련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HAG 크라이오젤의 평균 기공 크기는 약 66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마이크로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평가
앞서 제조된 HAG 크라이오젤을 절단하여 약 2 mm 크기의 단편을 얻고, X-선관 전류 173 mA로 30kV 상 8.27 mm 복셀 해상도(50배)에서 X-선 CT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단편을 분석하였다. 스캐폴드를 시료 홀더 상에 놓고, 스캐닝 이미지는 시료 회전 매 0.3도마다 기록하였다. 내부기공 형상의 3차 구조 재현은 축 이미지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제조자에 의해 제공된 CT Vol 및 CTan 소프트웨어에 의해 분석하였다.
도 2(A)는 스캔 후 MIP(maximum intensity projection)를, 도 2(B)는 스캐폴드의 기공과 비기공 영역을 나타낸 바이너라이즈된 이미지이고, 도 2(C)는 스캐폴드의 3-D 재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3. 유동학에 따른 스캐폴드의 점탄성 거동 평가
유동학은 특정 조건 하에서 고분자의 변형 및 흐름에 대한 연구를 위한 이상적인 툴이다. HAG 크라이오젤의 9 mm 두께 단편을 자르고 150㎛ 갭 너비 및 4도의 각도에서 40 mm의 콘 직경을 갖는 점도측정기(cone and plate geometry)로 고정된 시료 홀더에 위치시키고, 15분 동안 초당 1N의 힘을 적용하였다. 스캐폴드의 저장 탄성율(G')과 손실 탄성율(G'')은 1Hz의 주파수에서 진동 대수 스윕(oscillatory logarithmic sweep)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기질 측정 포인트는 1000으로, 데이터 포인트는 60으로 고정하였고 모든 조건은 분석을 위해 항상성을 유지하였다. 스캐폴드의 점탄성 특성은 골격 및 폐 조직 공학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HAG 크라이오젤을 25℃ 및 37℃와 같이 2회 다른 온도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4. HAG 크라이오젤의 흐름 및 물 투과 특성
흐름 측정은 스캐폴드의 상호결합력을 분석하는 데에 중요하다. HAG 크라이오젤에서의 유속을 종래 알려진 방법(Adrados et al.)에 따라 페리스탈릭 펌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펌프의 컨프롤 유속을 0.625psi로 고정하고, HAG 크라이오젤(50 mm 높이, 10 mm 직경)을 플라스틱 시린지 몰드의 동일 크기 내에 위치시켰다. 시린지의 입구 및 출구를 고정 전 펌르에 연결시키고 크라이오젤 시료의 최대 물 흐름 한계(ml/min)를 기록하였다. 다공성 고분자 모노리스의 물 투과는 Darcy 법칙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HAG 크라이오젤 시료(13 직경, 5 mm 두께)를 준비한 후, 종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투과성 측정 세팅기에 위치시켰다. 물을 모으기 위하여 1분 동안 실험 세팅기에 상수 물 압력 헤드(constant water pressure head)를 유지하였으며, 대조군 또는 테스트 세팅기로부터 온 출구에서 물을 모았다. 흘러나온 물을 칭량하고 얻어진 값을 다음 식을 이용하여 투과도를 산출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이때, k는 상기 다공성 재료의 물 투과도를, ΔX는 스캐폴드의 두께를, A는 크라이오젤의 flushing 영역을, MB1은 세팅기의 출구로부터 온 물의 질량 유속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5. 팽창 속도론 및 팽창비
크라이오젤의 팽창 속도를 종래 알려진 중량분석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다공성 크라이오젤 재료의 물 업데이크 능력 및 평형상태를 ~25℃에서 시간에 따라 결정하였다. HAG 크라이오젤 단편(13 mm 직경, 5 mm 높이)을 준비하고 최초 건조 질량을 측정하였다. 그후, 시료를 정해진 시간동안 탈이온수에 두었다. 이러한 크라이오젤 시료를 물로부터 제거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칭량하였다. 이때, 동일 높이와 직경의 4개 시료를 이용하였다. 얻어진 값을 이용하여 다음 식에 의해 % 물 업데이크 능력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이때, Mu는 물 질량의 업데이크 능력, MRT는 정해진 시간 간격에서의 질량, MD는 건조 크라이오젤의 질량, MSE는 ~25℃에서의 팽창 평형에서 팽창된 겔의 물 질량을 의미한다.
그러나, 크라이오젤의 용매 흡수 능력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 팽창비로서 정의하였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이때, S.R은 팽창비, Ms는 팽창된 겔의 질량, Md는 건조 겔의 질량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6. 폐세포-세포 기질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3-DHAG 크라이오젤 매트릭스
합성된 HAG 크라이오젤이 조직 재생을 위한 패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상기 HAG 크라이오젤에 인간 폐 상피세포(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구매)를 분주하였다. 즉, HAG 크라이오젤을 1ml DMEM 배지를 함유한 24웰 플레이트 상에 첨가하고 1X104 세포/웰의 세포 분주 밀도로 폐세포를 분주하였다. 정해진 시간 간격에서 MTT 분석을 통해 대사활성을 측정하였다. 크라이오젤로부터 배지를 제거하고 PBS(0.1M)로 세정한 후 티아졸릴 블루를 함유한 MTT 용액(0.5%)을 첨가하여 37℃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각 웰로부터 MTT 용액을 제거한 후 침전에 DMSO를 가하고, DMSO로 용해된 포마잔 결정 용액을 490 nm에서 분광분석기를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SEM 분석을 위해 3시간 동안 글루타르알데히드로 고정하고 건조시켰다. 또한, MTT 분석과 동시에 세포핵 염색 즉 DAPI 염색을 수행하고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스캐폴드 내로 세포의 투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MTT 분석을 통해 폐세포가 HAG 크라이오젤 상에서 70% 향상된 대사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과 같이 HAG 크라이오젤에 분주된 폐세포는 24 시간 이내에 균일하게 크라이오젤에 부착되었으며, 실험 5일, 10일 및 15일째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포는 계속적으로 증식하여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을 증착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은 공초점 이미지로부터 세포의 표면 부착과 함께 HAG 크라이오젤이 세포 내로 관통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7. 크라이오젤의 in vivo 생체적합성 평가
ISO 10993 규칙에 따라 in vivo 평가는 8마리 마우스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마우스는 각각 4군(n=4)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모든 마우스는 사료 및 물에 접근이 자유롭고 비슷한 생장 조건에서 모두 유지되었다. 이하 실험은 영남대학 인권위원회로부터 승인받아 수행하였다. HAG 크라이오젤을 멸균 환경 하에서 이식하였다. HAG 스캐폴드를 농도별 에탄올(20, 40, 60, 80, 100 %)에서 멸균시켜 이식 시 완전히 멸균되도록 하였다. 마우스를 퍼퓨란과 공기 50:50% 혼합물로 마취시켰다. 이식 부위는 털을 깎고 수술 전에 70% 알코올로 세정하였다. 스캐폴드는 횡절개를 통해 마우스의 등 부분에 경피적으로 이식하였다. 절개 길이는 대략 5-10 mm이었다. HAG 스캐폴드 이식 후, 절개를 재흡수성 봉합선을 이용하여 봉합하였다. 이식 후, 봉합선을 제거하지 않고 이식 몇주 후에 용해된 것을 관찰하였다. 이식 부위에서 어떠한 염증도 관찰되지 않았다.
크라이오젤 이식 마우스를 1주, 2주 및 5주 후 각각 희생시켜 이식 부위 또는 그 주위의 피부 조직을 모았다. 절개된 조직을 포름알데히드 용액에 고정시켜 보관하였다. 조직을 에탄올 용액의 농도별 구배를 이용하여 탈수한 후 파라핀에 놓아두었다. 마이크로톰(HM 360)을 이용하여 조직에서 5개의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단편을 잘랐다.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 사프라닌(safranin) O 및 마손 트리크롬(Masson trichrome) 염색을 수행하여 전 조직 형상 및 이식 재료에 대한 반응성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사프라닌 O 염색은 이식 부위에서 비만세포의 침윤을 확인하기 위하여 절개된 조직 단편에서 수행되었다. 사프라닌 O 염색을 위해 단편을 먼저 100% 알콜에서 탈수시킨 후 95% 알콜에서 3분 동안 탈수시켰다. 탈수 공정 후, 단편을 Mayer HTX 용액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흐르는 수돗물 하에서 15분 동안 단편을 세정하였다. 세정 후, 단편을 5분 동안 0.1% fast green 용액에서 염색하였다. pH를 낮추기 위하여, 단편을 1% 빙초산에 담군 후 0.1% 사프라닌으로 반응시켰다. 마지막으로, 단편을 95% 알콜 및 100% 알콜로 2분 동안 건조시키고 Masson trichrome으로 각각 염색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이식된 스캐폴드 주위에 초기 혈관신생이 관찰되었으며, 이식물은 잘 수용되었으며 별다른 문제는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이식 후 5주 후에도 졸음이나 식이 습성에서 어떠한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헤마톡신 및 에오신 염색을 통해 이식 부위에서 세포 침윤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많은 세포들이 이식 3주 및 5주째에 이식 부위에서 발견되어 이식물 주위로 세포를 유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프라닌 염색을 통해 비만세포의 존재를 확인한 결과, 5주째에서도 이식 부위에서 비만 세포가 관찰되지 않아 상기 재료가 숙주 및 이식 거부를 야기하는 어떠한 면역반응을 유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식된 크라이오젤 스캐폴드는 이식 부위에서 완화된 염증을 보이며 대식세포, 수지세포의 침윤과 많은 상피세포의 증식을 특징으로 하였다. HAG 크라이오젤에서 조직 반응은 3주 및 5주 이식보다 1주 이식에서 보다 의미있게 증가되었으나, 어떠한 비만 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HAG 크라이오젤에서 결합 조직은 1주 후 이식물 근처에서 관찰되었다. 이식물은 이식 3주 후 숙주조직에 완전히 편입되었으며, 그후 분해되었다.
8. 수지상 세포에 대한 면역조직적 분석
절개된 조직을 포름알데히드 용액에 고정시켜 준비하였다. 조직을 파라핀에 담지하기 전에 농도별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탈수하였다. 마이크로톰(HM 360)을 이용하여 조직으로부터 5개의 마이크로미터 두께 단편을 잘랐다. 제1염색 TAU를 PBS(0.1% PBS)로 1:100 희석하여 단편에 넣었고, 밤새도록 반응시켰다. 이러한 단편을 철저히 세정한 후, 제2 항체를 1:200 희석하여 넣었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단편을 세정하고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Figure pat0000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1)

  1.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로 이루어진 고분자 혼합물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분자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는 알지네이트, 키토산 및 아가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젤라틴, 콜라겐, 엘라스틴, 라미닌 및 케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알지네이트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혼합물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혼합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5 내지 7 중량부, 알지네이트 1 내지 5 중량부 및 젤라틴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7. 물에 알지네이트 및 젤라틴을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용해된 고분자 용액에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를 첨가하고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고분자 혼합물을 액체 크라이오스탯 내에서 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합된 젤을 세정하여 미중합 단량체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물 100 중량%에 알지네이트 및 젤라틴을 각각 1 내지 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에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를 5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크라이오젤 스캐폴드에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폐세포, 심장세포, 신경세포, 줄기세포, 뼈세포 및 연골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방법.
KR1020120048208A 2012-05-07 2012-05-07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KR101383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208A KR101383527B1 (ko) 2012-05-07 2012-05-07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208A KR101383527B1 (ko) 2012-05-07 2012-05-07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98A true KR20130124798A (ko) 2013-11-15
KR101383527B1 KR101383527B1 (ko) 2014-04-08

Family

ID=4985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208A KR101383527B1 (ko) 2012-05-07 2012-05-07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5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86A3 (ko) * 2017-12-18 2019-08-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분해도 제어가 가능한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에 고형암 미세환경에서 면역억제작용을 제어하는 약물을 로딩한 연성 생체삽입소자
KR20190127383A (ko) * 2018-05-04 2019-11-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지네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16989A1 (ko) * 2018-12-07 2020-06-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체내 세포 투입칩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CN111388765A (zh) * 2020-04-03 2020-07-10 北京臻溪谷医学研究中心(有限合伙) 一种治疗动脉瘤和血管畸形的高分子材料与干细胞复合支架及其制法
US11590076B2 (en) 2017-12-18 2023-02-28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Cryogel scaffold capable of controlling degree of degradation and soft bio-integrated device in which drug modulating immunosuppressive action in solid microenvironment is loaded in same scaffol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200800196A1 (ru) * 2005-07-01 2008-06-30 Синвеншен Аг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рист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01820929B (zh) * 2007-10-11 2015-11-25 国家健康与医学研究院 制备用于组织工程的多孔支架的方法
KR101195867B1 (ko) * 2010-09-09 2012-10-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캐폴드 박막에서 방출물질의 방출거동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86A3 (ko) * 2017-12-18 2019-08-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분해도 제어가 가능한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에 고형암 미세환경에서 면역억제작용을 제어하는 약물을 로딩한 연성 생체삽입소자
US11590076B2 (en) 2017-12-18 2023-02-28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Cryogel scaffold capable of controlling degree of degradation and soft bio-integrated device in which drug modulating immunosuppressive action in solid microenvironment is loaded in same scaffold
KR20190127383A (ko) * 2018-05-04 2019-11-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지네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16989A1 (ko) * 2018-12-07 2020-06-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체내 세포 투입칩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CN111388765A (zh) * 2020-04-03 2020-07-10 北京臻溪谷医学研究中心(有限合伙) 一种治疗动脉瘤和血管畸形的高分子材料与干细胞复合支架及其制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527B1 (ko)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zavi et al. Three‐dimensional cry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Wei et al. A self-healing hydrogel as an injectable instructive carrier for cellular morphogenesis
Ooi et al. Thiol–ene alginate hydrogels as versatile bioinks for bioprinting
US10513587B2 (en) Self-integrating hydroge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Wang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a biodegradable, covalently crosslinked shape-memory alginate scaffold for cell and growth factor delivery
Bhat et al. Supermacroprous chitosan–agarose–gelatin cryogels: in vitro characterization and in vivo assessment for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CN106795225B (zh) 用于抗纤维化材料的修饰的藻酸盐以及应用
Shi et al. Dynamic hyaluronic acid hydrogel with covalent linked gelatin as an anti-oxidative bioink for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Kundu et al. Silk sericin/polyacrylamide in situ forming hydrogels for dermal reconstruction
Jeon et al. Biodegradable, photocrosslinked alginate hydrogels with independently tailorable physical properties and cell adhesivity
JP4971981B2 (ja) 組織等価物の細胞非依存的製造
JP2020075150A (ja) 生物医学的応用のための制御可能な自己アニーリング型ミクロゲル粒子
CN112321778B (zh) 一种双蛋白水凝胶的制备方法
KR101383527B1 (ko) 합성 고분자,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크라이오젤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US20110293722A1 (en) Hydrogel sponges, methods of producing them and uses thereof
Chen et al. Gelatin/sodium alginate composite hydrogel with dynamic matrix stiffening ability for bone regeneration
Bhunia et al. Exploring gelation and physicochemical behavior of in situ bioresponsive silk hydrogels for disc degeneration therapy
Ferroni et al. Exosomes of mesenchymal stem cells delivered from methacrylated hyaluronic acid patch improve the regenerative properties of endothelial and dermal cells
Ghandforoushan et al. Novel nanocomposite scaffold based on gelatin/PLGA-PEG-PLGA hydrogels embedded with TGF-β1 for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in vitro
Xu et al. In vitro cytocompatibility evaluation of alginate dialdehyde for biological tissue fixation
KR20200115342A (ko) 마이크로채널 네트워크가 형성된 하이드로젤 구조체
Huang et al. Biomimetic hydrogels loaded with nanofibers mediate sustained release of pDNA and promote in situ bone regeneration
Mao et al. Charge and receptor functional injectable hydrogels as cytokine-releasing reservoirs for wound healing
Kurian et al. Multifunctional dendrimer@ nanoceria engineered GelMA hydrogel accelerates bone regeneration through orchestrated cellular responses
Pandey et al. Silk-mesoporous silica-based hybrid macroporous scaffolds using ice-templating method: mechanical, release, and biological stu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