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927A -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927A
KR20130123927A KR1020120047454A KR20120047454A KR20130123927A KR 20130123927 A KR20130123927 A KR 20130123927A KR 1020120047454 A KR1020120047454 A KR 1020120047454A KR 20120047454 A KR20120047454 A KR 20120047454A KR 20130123927 A KR20130123927 A KR 2013012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infrared rays
far infrared
anions
a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754B1 (ko
Inventor
권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엑스
Priority to KR102012004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75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of alkylpolyalkylene glycol est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8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powder or granular for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글리콜이 혼합된 액체에 전기석(TiO2)을 나노입자의 광석분말로 혼합하여 음이온 칩을 생산하여 온열기에서 중합 방사에 의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되도록 제조된 원사를 적용하여 원단을 직조함으로써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함유함에 따라 영구적으로 사용하여도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감소 되지 않음은 물론, 원단에서 발생하는 악취 등을 제거하는 탈취작용은 물론 인체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전달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은 분쇄기를 통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전기석(TiO2)을 나노입자로 분쇄하는 공정; 혼합탱크에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 상기 혼합액상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나노입자의 상기 전기석 분말을 혼합한 후, 스팀보일러를 통해 가열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 및 상기 기능성 칩을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중합 방사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상기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를 적용하여 제직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Fuctional textile radiating distant-infraredrays and anion and fuctional clothes using there of}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영구적으로 보존되는 원사로 직조 된 기능성 원단과 이러한 원단을 이용한 의류를 통하여, 각종 오염물질의 침입을 차단하고,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인체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전달하여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켜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현대인은 과중한 업무, 과음, 과로, 불규칙한 식사, 운동부족, 스트레스 및 기타 외부 환경요인 등으로 인한 만성피로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현대인의 체력은 날로 저하되어 건강상의 많은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성피로 등으로 인한 체력의 저하로 발생되는 건강상의 문제점들로는 혈액순환 장애, 만성피로, 면역성의 저하, 신진대사 저하 등의 성인병 및 과로사 등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은 더 나아가 사회생활이나 가정생활에 있어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건강상의 문제점들이 크게 대두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건강에 대한 욕구들이 다양한 형태로 분출되고 있다. 건강에 대한 욕구의 한 형태로써 건강 음료, 건강보조식품,운동기구, 침구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발생·방사하는 제품 등의 다양한 건강제품들이 선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통상 섬유원단으로 사용되는 각종 직물 지는 제사, 방사, 연사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직물 가공한 것으로, 각종 의류의 제조에 이용되는 직물 지는 그 대부분 기계적 성능, 내구적 성능, 위생적 성능, 장식적 성능 및 감각적 성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섬유원단은 단순히 채색과 각종 디자인을 통해 미려함을 유지시키고 있을 뿐이므로, 정전기로 인한 알레르기 피부질환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없어 그로 인한 패해도 방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에 반하는 건강상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원단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며, 이러한 실정에 따라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원사,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의류 등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시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적외선은 마이크로파의 가시광선의 중간대역에 배열되고 대체로 파동이론이 적용되는 파장이 0.76-1000미크론인 전자파로서, 많은 관심과 논란 속에서도 그 적용분야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원적외선의 효과는 이론적이기보다는 경험적 실증에 의해서 그 놀라운 가치가 인정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원적외선의 적용분야를 보면 의료, 미용, 음식물, 조리, 건조, 식물보관 및 가공 등의 분야에서 실로 눈부신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분야에의 적용원리는 원적외선이 놀라운 침투력으로 피사체에 깊숙이 침투하여 이들을 물리적 화학적으로 활성화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원적외선의 가장 잘 알려진 효과 중 하나는 인체의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혈관을 팽창시키기 혈행을 촉진시켜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을 퇴치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광물로는 희토류 광물과, 희토류 광물로부터 정제된 희토류 원소 산화물, 인산염 광물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원단이나 원단으로 제조되는 의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지 않고 단순히 채색과 각종 디자인을 통해 미려함을 유지시키는데 편중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욕구를 충족에 대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업무시간이나 운동 등 평상시에도 건강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광물 등을 통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될 수 있는 기능성 원단 및 이를 통한 의류 등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글리콜이 혼합된 액체에 전기석(TiO2)을 나노입자의 광석분말로 혼합하여 음이온 칩을 생산하여 온열기에서 중합 방사에 의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되도록 제조된 원사를 적용하여 원단을 직조함으로써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함유함에 따라 영구적으로 사용하여도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감소 되지 않음은 물론, 원단에서 발생하는 악취 등을 제거하는 탈취작용은 물론 인체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전달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함유되도록 제조된 원사를 이용하여 직조된 원단으로 의류를 만듦으로써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어 인체에 유익한 셔츠, 속옷이나 양말 등과 같은 의류를 직조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기석(TiO2)을 나노입자로 분쇄한 광석분말을 적용함으로써 원단 및 의류에서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에 대한 방출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은 분쇄기를 통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전기석(TiO2)을 나노입자로 분쇄하는 공정; 혼합탱크에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 상기 혼합액상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나노입자의 상기 전기석 분말을 혼합한 후, 스팀보일러를 통해 가열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 및 상기 기능성 칩을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중합 방사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상기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를 사용하여 제직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은 혼합탱크에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글리콜을 혼합하되, 상기 폴리에틸렌 50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50중량부를 액상으로 혼합하여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은 상기 혼합액상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나노입자의 상기 전기석의 분말을 혼합한 후, 스팀보일러를 통해 가열하여 생성되되, 상기 혼합액상 90중량부 내지 97중량부에 나노입자의 상기 전기석(TiO2) 분말 10중량부 내지 2중량부를 혼합한 후, 스팀보일러를 통해 가열하여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스팀보일러를 통한 가열은 200℃∼250℃로 가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능성 칩을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중합 방사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은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상기 기능성 칩이 중합 방사될 때, 상기 기능성 칩과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생성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 칩과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생성되는 공정은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상기 기능성 칩이 중합 방사될 때, 추가적인 방사 노즐을 통하여 상기 기능성 칩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생성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칩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상기 기능성 원사가 생성되는 공정 후에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상기 기능성 원사에 대하여 연신, 가면, 컷팅, 방적하는 공정을 더 거쳐서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원사의 제조가 완료됨이 양호하다.
아울러, 상기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은 상기 혼합액상에 혼합되는 상기 전기석 분말과 함께, 티타늄 또는 맥반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노입자로 분쇄한 분말을 더 혼합하여 생성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은 상기 혼합액상에 혼합되는 상기 전기석 분말과 함께, 황토분말을 더 혼합하여 생성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원사로 제직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을 이용하여 의류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글리콜이 혼합된 액체에 전기석(TiO2)을 나노입자의 광석분말로 혼합하여 음이온 칩을 생산하여 온열기에서 중합 방사에 의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되도록 제조된 원사를 적용하여 원단을 직조함으로써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함유함에 따라 영구적으로 사용하여도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감소 되지 않음은 물론, 원단에서 발생하는 악취 등을 제거하는 탈취작용은 물론 인체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전달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함유되도록 제조된 원사를 이용하여 직조된 원단으로 의류를 만듦으로써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어 인체에 유익한 셔츠, 속옷이나 양말 등과 같은 의류를 직조할 수 있다.
셋째, 전기석(TiO2)을 나노입자로 분쇄한 광석분말을 적용함으로써 원단 및 의류에서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에 대한 방출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제조공정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제조공정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의 제조를 위한 원사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발생하는 전기석(tourmaline; TiO2)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기석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기석은 음이온을 가장 강력하게 방사하는 물질로, 이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전기석이 음이온을 방출하는 메커니즘은 전기석 주위 공기 중의 수분이 전기석에 흐르는 정전압에 의해 전기분해를 일으키며, 전자(H20)는 수소이온(H+)과 수산이온(OH-)으로 분리된다.
이때, 수소이온(H+)은 음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와 결합수소로 공기중에 방출되며, 수산이온(OH-)은 공기 중의 물 분자와 결합하여 우리가 흔히 부르는 음이온인 히드록실이온(H3O2-)으로 되는 것이다.
상기 전기석은 상술한 바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하여 음이온을 강력하게 방사함은 물론, 원적외선도 함께 방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석(TiO2)이 사용되는 원사로 제직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은 전기석을 나노입자로 분쇄하는 공정(S110),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S120),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S130),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S140) 및 기능성 원사를 사용하여 기능성 원단을 제직하는 공정(S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은 전기석을 나노입자로 분쇄하는 공정(S110),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S120),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S130),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S140)을 통하여 제조된 기능성 원사를 사용하여 제직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석을 나노입자로 분쇄하는 공정(S110)은 분쇄기를 통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상기 전기석을 나노입자로 분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S120)은 혼합탱크에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글리콜의 혼합은 폴리에틸렌 50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50중량부로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S130)은 상기 혼합액상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나노입자의 상기 전기석 분말을 혼합한 후, 스팀보일러를 통해 가열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S130)은 상기 혼합액상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나노입자의 상기 전기석의 분말을 혼합한 후, 스팀보일러를 통해 가열하여 생성되되, 상기 혼합액상 90중량부 내지 97중량부에 나노입자의 상기 전기석(TiO2) 분말 10중량부 내지 2중량부를 혼합한 후, 스팀보일러를 통해 가열하여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S140)은 상기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S130)을 통하여 생성된 상기 기능성 칩을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중합 방사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팀보일러를 통한 가열은 200℃∼250℃로 가열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S140) 이후에는 기능성 원사를 사용하여 기능성 원단을 제직하는 공정(S150)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석을 나노입자로 분쇄하는 공정(S110),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S120),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S130),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S140)을 통하여 제조된 기능성 원사를 사용하여 제직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직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에서 특히,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S140)은 상기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상기 기능성 칩이 중합 방사될 때, 상기 기능성 칩과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생성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기능성 칩과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생성되는 공정은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상기 기능성 칩이 중합 방사될 때, 추가적인 방사 노즐을 통하여 상기 기능성 칩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생성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기능성 칩과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원사의 외주 면으로 폴리에스테르가 부착이 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기능성 원사는 심으로 폴리에스테르는 상기 기능성 원사를 둘러싸고 있는 상태로 부착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 원사로부터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분말이 탈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기능성 원사에서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능성 칩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생성되는 공정 후에는 상기 기능성 원단으로 제직되기 전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상기 기능성 원사에 대하여 연신, 가면, 컷팅, 방적하는 공정을 더 거쳐서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의 제조가 완료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의 제조완료 후에 상기 기능성 원사를 사용하여 기능성 원단을 제직하는 공정(S150)을 통하여 기능성 원단을 제직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제직된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를 사용하여 제직된 기능성 원단은 각종 의류에 대한 제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속옷, 양말, 티셔츠, 스포츠웨어 등의 다양한 의류에 적용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의류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을 제직하기 위한 공정에서 상기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S130)은 상기 혼합액상에 혼합되는 상기 전기석 분말과 함께, 티타늄 또는 맥반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노입자로 분쇄한 분말을 더 혼합하여 생성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S130)은 상기 혼합액상에 혼합되는 상기 전기석 분말과 함께, 황토분말을 더 혼합하여 생성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은 상기 전기석 분말, 티타늄 분말, 맥반석 분말 및 황토 분말 외에도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다양한 재질을 적용하여 제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는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글리콜이 혼합된 액체에 전기석(TiO2)을 나노입자의 광석분말로 혼합하여 음이온 칩을 생산하여 온열기에서 중합 방사에 의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되도록 제조된 원사를 적용하여 원단을 직조함으로써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함유함에 따라 영구적으로 사용하여도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감소 되지 않게 된다.
동시에, 원단에서 발생하는 악취 등을 제거하는 탈취작용은 물론 인체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전달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함유되도록 제조된 원사를 이용하여 직조된 원단으로 의류를 만듦으로써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어 인체에 유익한 셔츠, 속옷이나 양말 등과 같은 의류를 직조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전기석(TiO2) 등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에 대한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광석을 나노입자로 분쇄한 광석분말을 적용함으로써 기능성 원단 및 의류에서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에 대한 방출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분쇄기를 통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전기석(TiO2)을 나노입자로 분쇄하는 공정; 혼합탱크에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 상기 혼합액상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나노입자의 상기 전기석 분말을 혼합한 후, 스팀보일러를 통해 가열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 및 상기 기능성 칩을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중합 방사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상기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를 사용하여 제직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은 혼합탱크에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글리콜을 혼합하되, 상기 폴리에틸렌 50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50중량부를 액상으로 혼합하여 혼합액상을 생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은 상기 혼합액상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나노입자의 상기 전기석의 분말을 혼합한 후, 스팀보일러를 통해 가열하여 생성되되, 상기 혼합액상 90중량부 내지 97중량부에 나노입자의 상기 전기석(TiO2) 분말 10중량부 내지 2중량부를 혼합한 후, 스팀보일러를 통해 가열하여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보일러를 통한 가열은 200℃∼250℃로 가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칩을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중합 방사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기능성 원사를 생성하는 공정은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상기 기능성 칩이 중합 방사될 때, 상기 기능성 칩과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생성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칩과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생성되는 공정은 온열기에서 원사 측으로 상기 기능성 칩이 중합 방사될 때, 추가적인 방사 노즐을 통하여 상기 기능성 칩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생성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칩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칩을 함께 심초 형으로 방사하여 상기 기능성 원사가 생성되는 공정 후에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상기 기능성 원사에 대하여 연신, 가면, 컷팅, 방적하는 공정을 더 거쳐서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원사의 제조가 완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은 상기 혼합액상에 혼합되는 상기 전기석 분말과 함께, 티타늄 또는 맥반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노입자로 분쇄한 분말을 더 혼합하여 생성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칩을 생성하는 공정은 상기 혼합액상에 혼합되는 상기 전기석 분말과 함께, 황토분말을 더 혼합하여 생성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함유된 원사로 제직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을 이용하여 의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을 이용한 의류.
KR1020120047454A 2012-05-04 2012-05-04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KR10138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54A KR101384754B1 (ko) 2012-05-04 2012-05-04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54A KR101384754B1 (ko) 2012-05-04 2012-05-04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27A true KR20130123927A (ko) 2013-11-13
KR101384754B1 KR101384754B1 (ko) 2014-05-15

Family

ID=4985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454A KR101384754B1 (ko) 2012-05-04 2012-05-04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7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023B1 (ko) 2017-06-23 2018-08-29 정상문 기능성 실리콘 실 제조 방법
KR102268298B1 (ko) 2019-12-12 2021-06-22 정상문 친환경 실리콘 실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800B1 (ko) 2018-02-27 2018-06-21 (주)다음앤큐큐 기능성 다운 의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다운 의류
KR102106530B1 (ko) 2018-12-31 2020-05-11 주식회사 쏠텍 인체의 혈액순환 개선 및 피부 쾌적성을 갖는 의류용 이중직 원단
KR102079360B1 (ko) 2019-07-03 2020-02-19 주식회사 아이앤씨프랜 여성 의류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505B1 (ko) * 2002-02-25 2005-04-28 윤장호 합성섬유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32872B1 (ko) * 2004-04-02 2005-12-01 주식회사 효성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749311B1 (ko) * 2005-11-11 2007-08-14 세다코오퍼레이숀 주식회사 원사의 제조방법
KR100822719B1 (ko) * 2007-05-09 2008-04-17 권태문 원적외선 방사 섬유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의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023B1 (ko) 2017-06-23 2018-08-29 정상문 기능성 실리콘 실 제조 방법
KR102268298B1 (ko) 2019-12-12 2021-06-22 정상문 친환경 실리콘 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754B1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754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KR101556411B1 (ko) 복합 기능성 원단
KR20130064946A (ko)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9297A (ko) 혈액순환 촉진 기능과 허리통증 완화 및 다이어트에 효능이 있는 레깅스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레깅스
KR20210022863A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CN102733042A (zh) 一种红外线负离子保健面料
Jamal et al. Cosmetotextiles: A wearable skin care
Samanta et al. Specialty chemical finishes for sustainable luxurious textiles
KR101966945B1 (ko) 냉감기능을 갖는 기능성 삼중직원단
CN210672105U (zh) 多功能保健袜
KR101893023B1 (ko) 기능성 실리콘 실 제조 방법
KR20180110545A (ko) 발열기능을 갖는 기능성 삼중직원단
KR100691171B1 (ko) 토르 말린이 함유된 수건
KR101835371B1 (ko) 천연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내구성 헬스케어 코스메틱 섬유
JP3035190U (ja) 繊維製品
KR101494743B1 (ko) 건강 팬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건강 팬티
TWM519149U (zh) 沉香遠紅外線纖維及紗線
KR101895556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발생 기능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KR20060089882A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제작방법
KR101549053B1 (ko) 기능성 이온 칩 제조방법
KR102469919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고효율의 건강증진용 복합기능 자석조립체 제조방법
KR200387786Y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KR20140114084A (ko)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의류용 심지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
KR20130115707A (ko) 광물질 또는 숯이 투입된 다리 밴드
CN202705633U (zh) 一种红外线负离子保健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