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786Y1 -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 Google Patents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786Y1
KR200387786Y1 KR20-2005-0003322U KR20050003322U KR200387786Y1 KR 200387786 Y1 KR200387786 Y1 KR 200387786Y1 KR 20050003322 U KR20050003322 U KR 20050003322U KR 200387786 Y1 KR200387786 Y1 KR 200387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fabric
anion
fiber fabric
infrared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카소리모델링음이온숲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카소리모델링음이온숲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카소리모델링음이온숲
Priority to KR20-2005-0003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Abstract

본 고안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침구류 등의 내피용으로 사용되는 섬유원단에서 적절한 량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함과 함께 원단의 유연성이 확보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가공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A TEXTILE FOR NEGATIVE ION AND FAR INFRARED RAY}
본 고안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섬유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불이나 요, 베게, 매트, 커버 등의 제품에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부여하도록 내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섬유원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원단으로 사용되는 각종 직물지는 제사, 방사, 연사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직물 가공한 것으로, 각종 의류의 제조에 이용되는 직물지는 그 대부분 기계적 성능, 내구적 성능, 위생적 성능, 장식적 성능 및 감각적 성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섬유원단은 채색과 각종 디자인을 통해 미려함을 유지시키고 있을 뿐이므로, 정전기로 인한 알러지 피부질환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전자파 및 수맥을 차단할 수 없어 그로인한 패해도 방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원적외선은 마이크로파의 가시광선의 중간대역에 배열되고 대체로 파동이론이 적용되는 파장이 0.76-1000미크론인 전자파로서, 많은 관심과 논란속에서도 그 적용분야가 점증되어 가고 있다.
또한 원적외선의 효과는 이론적이기 보다는 경험적 실증에 의해서 그 놀라운 가치가 인정되어 가고 있다.
원적외선의 적용분야를 보면 의료, 미용, 음식물, 조리, 건조, 식물보관 및 가공, 낙동등의 분야에서 실로 눈부신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분야에의 적용원리는 원적외선이 놀라운 침투력으로 피사체에 깊숙히 침투하여 이들을 물리적 화학적으로 활성화 시키는데 있다.
가장 잘알려진 효과의 하나는 인체의 피부 깊숙히 침투하여 혈관을 팽창시키기 혈행을 촉진시켜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을 퇴치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광물로는 희토류 광물과, 희토류 광물로 부터 정제된 희토류 원소 산화물, 전기석(tourmaline)이 사용되며, 여기서 전기석은 음이온을 가장 강력하게 방사하는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다.
참고로, 전기석이 음이온을 방출하는 메커니즘은 전기석 주위 공기중의 수분이 전기석에 흐르는 정전압에 의해 전기분해를 일으키고, 전자(H20)는 수소이온(H+)과 수산이온(OH-)으로 분리된다. 이때, 수소이온(H+)은 음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와 결합수소로 공기중에 방출된다.
그리고, 수산이온(OH-)은 공기중의 물분자와 결합하여 우리가 흔히 부르는 음이온인 히드록실이온(H3O2-)으로 된다.
한편, 종래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코팅 방식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전기석, 맥반석, 황토, 옥 등을 분말형태로 바인더와 잘 교반하여 섬유원단면에 도포하였는데, 섬유원단의 전체면에 걸쳐 일정두께로 코팅시 원단표면이 경화되어 가죽처럼 뻣뻣해지게 되고, 이로인해 원단이 잘 접히지 않아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사물질의 도포면적 증가로 인하여 섬유원단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중량감으로 인해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능성 섬유원단의 기술적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섬유원단 표면에서 충분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연성(flexible)의 특성이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가공성 및 제품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능성 섬유원단은, 섬유원단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진 방사물질 도포부가 일정 간격을 이루는 격자형태로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형성되어진 방사물질 도포부는 양면에서 상호 대칭 형상을 이루도록 대응되는 동일위치에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섬유원단의 분리 상태도이고, 도 2는 섬유원단의 성형포 부착 상태도이며, 도 3은 성형포 부착 후 방사물질이 도포된 상태도이고, 도 4는 완성된 본 고안 섬유원단의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섬유원단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의 기능성 섬유원단 제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에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섬유원단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옥양목과 같은 종류의 직물원단을 섬유원단(10)으로 준비한 상태에서 그 상면과 하면에 성형포(20,30)를 부착시키게 된다. 이때, 성형포(20,30)에는 도시된 바와같이 동일한 크기의 사각형 형태로 절개가 이루어진 다수의 절개공(21,31)이 일정 간격으로 교번하는 격자형태로 각각 형성되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절개공(21,31)이 형성된 성형포(20,30)를 도 2에서와 같이 섬유원단(10)과 접착시킨 후에는 상기 절개공(21,31)에 해당되는 부위에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도포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방사물질 도포부(25,35)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때, 방사물질의 도포시 절개공(21,31)을 이루고 있는 성형포(20,30)의 두께가 일종의 댐역할을 하여 방사물질의 도포두께를 한층 증가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절개공(21,31)은 상부 성형포(20)과 하부 성형포(30)간에 상호 동일한 대응위치에 형성시킴으로서, 형성되는 방사물질 도포부(25,35)가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섬유원단(10)의 유연성이 확보되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포(20,30)상에 절개공(21,31)의 형성시 전체적으로 절개공(21,31)이 차지하는 면적과 절개공을 제외한 부위의 면적간의 비율이 6~4 : 4~6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절개공(21,31)이 차지하는 비율을 70% 이상으로 너무 크게 형성시키게 되면 도포되는 방사물질 도포부(25,35)의 점유면적이 너무 커져서 섬유원단의 유연성을 저해하게 되고, 비율을 30%이하로 너무 작게 형성시키게 되면 상대적으로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도포면적이 작아지게 됨으로 섬유원단의 방사 기능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물질은 전기석, 황토, 맥반석, 옥 등이 사용되어질 수 있는데, 이를 분말형태로 하여 액상의 아크릴계 바인더와 적절한 통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접착성을 갖도록 한 상태에서 절개공(21,31)에 해당하는 부위에 로울러 또는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도포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사물질중 전기석을 사용하였는데, 전기석은 통상 토르말린이라 불리우며 경도가 7.25이고 비중이 3.05인 육각정체로서 보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토루말린은 굴절율이 1.62~1.64이며, 복굴절율은 0.018, 색상은 녹색 및 청색을 포함하여 일곱가지 색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토루말린은 압전성이 있어 사람의 손이나 그밖의 도구로 수직압력이나 전단응력을 가하면 주위의 물분자를 수소이온과 수산이온으로 분리하며, 이때 토루말린의 음극전위에 수소이온이 끌려가서 수소분자 상태로 공기로 방출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방사물질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숯, 은, 금, 일라이트, 피톤치드, 광촉매, 허브추출물, 항균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정시간 건조과정을 통해 상기 도포된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건조되어지면 절개공(21,31)과 동일한 형태의 방사물질 도포부(25,35)가 형성되어지게 되고, 이후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성형포(20,30)를 섬유원단(10)으로 부터 분리시킴으로서 상면 및 하면에 바둑판 형태로 방사물질 도포부(25,35)가 형성된 기능성 섬유원단(10)이 완성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 완성된 본 고안 기능성 섬유원단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기능성 섬유원단은 방사물질 도포부(25,35)의 점유면적이 전체 섬유원단 표면적의 40~60% 범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전면 코팅방식의 섬유원단에 비해 뻣뻣하지 않고 유연성을 갖고 있어 다양한 형태로의 형상변경 및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섬유원단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격자형태를 이루어 일정면적 이상을 이루며 형성되어짐과 함께 방사물질의 도포두께가 한층 두껍게 형성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박막으로 전체면에 걸쳐 형성시켰을때와 유사한 다량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유연성이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능성 섬유원단을 이불이나 요, 배게, 쿠션, 매트, 매트리스, 의류, 모자, 방석, 의자커버, 신발, 자동차용 시트, 헤어밴드, 무릎보호대, 쇼파, 인형 등의 용품에 내피용으로 삽입하여 제작할 경우 해당 물품에서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누릴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섬유원단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섬유원단의 양면에 형성되는 방사물질 도포부의 형상이 사각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방사물질의 도포형태는 사각형 외에도 원형이나 기타 연속되는 다각형상으로 제작되어질 수도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이 섬유원단 표면상에 일정 간격을 이루는 격자형태로 교번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량 및 원단의 유연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에따른 제품의 가공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각종 침구류 및 생활용품의 내피용으로 활용성을 크게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제작과정에서 상하부 기능성 원단층에 절개공을 형성한 후 해당부위에 방사물질을 도포하게 됨으로 원단층의 두께로 인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도포두께가 한층 증가되어질 수 있게된다.
또한, 섬유원단의 외표면을 균형적인 비율로 배분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물질과 섬유원단면이 격자형태로 나타내어질 수 있게 됨으로 원단의 외관을 한층 미려하게 나타내는 부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기능성 섬유원단과 성형포의 부착전 분리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 기능성 섬유원단에 성형포 부착후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기능성 섬유원단의 성형포에 방사물질이 도포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기능성 섬유원단의 제작 후 성형포 분리 상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능성 섬유원단 제작과정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섬유원단 20 : 상부 성형포
21,31 : 절개공 25,35 : 방사물질 도포부
30 : 하부 성형포

Claims (1)

  1. 섬유원단(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진 방사물질 도포부(25,35)가 일정 간격을 이루는 격자형태로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형성되어진 방사물질 도포부(25,35)는 양면에서 상호 대칭 형상을 이루도록 대응되는 동일위치에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KR20-2005-0003322U 2005-02-03 2005-02-03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KR200387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322U KR200387786Y1 (ko) 2005-02-03 2005-02-03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322U KR200387786Y1 (ko) 2005-02-03 2005-02-03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963A Division KR100646043B1 (ko) 2005-02-03 2005-02-03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786Y1 true KR200387786Y1 (ko) 2005-06-27

Family

ID=4368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322U KR200387786Y1 (ko) 2005-02-03 2005-02-03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7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421B1 (ko) * 2008-07-18 2011-03-07 김연환 기능성 속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421B1 (ko) * 2008-07-18 2011-03-07 김연환 기능성 속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16909A (ja) 機能性材料
CN105177855A (zh) 一种铜氨纤维面膜专用非织造布
KR100646043B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제작방법
KR200387786Y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
KR100745685B1 (ko) 나노은 코팅층이 형성된 음이온 방사 침구
KR101393640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KR101966945B1 (ko) 냉감기능을 갖는 기능성 삼중직원단
CN208789186U (zh) 一种太极石凉席
KR101684764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KR100655906B1 (ko) 원적외선이 발생하고 온열을 투과하며 밀리지 않는 라텍스매트리스
CN204434856U (zh) 三明治结构布料、衣服、裤子以及床单
KR20070021647A (ko) 기능성 인체용 마개
KR200390381Y1 (ko) 음이온 방사층이 구비된 침구
KR200402425Y1 (ko) 기능성 가운
CN203290668U (zh) 一种复合功能地毯
KR20060131307A (ko) 기능성 가발
KR200401096Y1 (ko) 기능성 가발
KR200415752Y1 (ko) 원적외선 방사형 은 섬유 원단
KR20070021645A (ko) 기능성 안대
KR100691171B1 (ko) 토르 말린이 함유된 수건
CN106108530B (zh) 一种环保棉被
CN204211905U (zh) 一种抗菌除螨毛巾
CN200956805Y (zh) 磁珠活性因子乳霜按摩胸罩
KR100460715B1 (ko)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피혁 및 그 제조방법
CN210276700U (zh) 一种编织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