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764B1 -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764B1
KR101684764B1 KR1020150004069A KR20150004069A KR101684764B1 KR 101684764 B1 KR101684764 B1 KR 101684764B1 KR 1020150004069 A KR1020150004069 A KR 1020150004069A KR 20150004069 A KR20150004069 A KR 20150004069A KR 101684764 B1 KR101684764 B1 KR 10168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fiber
natural
weight ratio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579A (ko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쳐패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쳐패브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쳐패브릭
Priority to KR102015000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7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5Paper
    • D03D15/0072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8Paper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한지 지료인 닥펄프로 부드러운 질감과 완충성, 보온성, 흡습성, 통기성, 항균성, 속건성, 소취성,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는 복합 기능 한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닥펄프에 칼슘, 철,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옥분과 항균, 방균, 항곰팡이 기능의 게르마늄이 함유된 흑운모분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 초지하여 닥펄프에 기능성 광물질이 혼합 초지된 기능성 시트를 형성하되,
여기에 더하여 인체에 무해한 천연 향료 물질로서 자연 그대로의 항, 살균, 방부효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을 맑게 해주어 아로마테라피의 치유(힐링, healing) 효과를 가지는 편백나무 추출물과 안전성이 입증되어 예로부터 약재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색이 영롱하고 아름다워서 무공해 천연염료와 약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천연 한방 생약제 겸 착색제로서 항암 활성과 항산화활성의 약성 및 황금색을 발현하는 착색성이 있으면서 피부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우리나라 고유의 수종인 황칠나무의 수액에서 추출한 황칠나무 추출물과 크로세틴을 가지는 황색 천연 염료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세균 등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을 수행하는 치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염색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코스메틱 섬유로서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Multiple function Korean-paper cosmetic textile}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한지 지료인 닥펄프로 부드러운 질감과 완충성, 보온성, 흡습성, 통기성, 항균성, 속건성, 소취성,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는 한지 섬유를 형성함에 있어서,
닥펄프에 칼슘, 철,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옥분과 항균, 방균, 항곰팡이 기능의 게르마늄이 함유된 흑운모분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 초지하여 닥펄프에 기능성 광물질이 혼합 초지된 기능성 시트를 형성하되,
여기에 더하여 인체에 무해한 천연 향료 물질로서 자연 그대로의 항, 살균, 방부효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을 맑게 해주는 편백나무 추출물과 안전성이 입증되어 예로부터 약재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색이 영롱하고 아름다워서 무공해 천연염료와 약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천연 한방 생약제 겸 착색제로서 항암 활성과 항산화활성의 약성 및 황금색을 발현하는 착색성이 있으면서 피부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우리나라 고유의 수종인 황칠나무의 수액에서 추출한 황칠나무 추출물과 크로세틴을 가지는 황색 천연 염료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항균 및 살균 작용을 수행하는 치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복합 기능의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를 형성함으로써,
닥펄프 지료로 통기성, 물기를 신속하게 말려 주는 흡한 속건(洽汗速乾) 및 자외선 차폐 기능의 친환경적인 한지 특유의 섬유 조직 구조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 광물질로서 옥분과 게르마늄의 흑운모분, 식물성 추출물로서 자연 그대로의 항균, 살균, 방부효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을 맑게 해주는 편백나무 추출물과 항암 활성과 항산화활성 등의 약성 및 황금색을 발현하는 천연 염료로서 황칠나무 추출물과 치자추출물이 각각의 물성 저하 없이 상호 보완적으로 상승 작용하는 구성으로 종래 제안된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에 비하여 뛰어난 황금 광택 및 색상 발현의 색상 차별화를 통한 희소성의 구현과 항 알러지 미백 및 자외선 차단의 미용 효과가 부가되어 착용시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듯이 피부에 좋은 성분들이 계속 피부와 맞닿게 하되 선명하고 아름다운 색상 발현으로 미적인 면에서나 기능적인 면에서 몸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코스메틱 섬유로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염색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코스메틱 섬유로서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와 문화 수준의 향상으로 환경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웰빙/로하스(Well-being, LOHAS)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생활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면서, 환경 친화적이고 위생적인 천연소재 또는 천연 추출물에 대한 다양한 욕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이러한 관심은 친환경 먹거리나 친환경 화장품뿐만 아니라 점점 친환경 의류로 확대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옷의 기능이 섬유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점점 확대됨으로서 단순히 입기 위한 것이 아니라 몸을 보호하고 가꾸는 미용의 기능으로까지 자리를 넓혀감에 따라 현대 섬유제품에는 환경문제 해결과 자연 회귀, 건강한 삶, 쾌적함의 추구 등의 경향이 반영되고 피부를 숨쉬게 한다는 기본 개념에 입각해 화장품의 주요 성분들이 직물에 도입되고 있는데,
입는 화장품으로 알려진 코스메틱 섬유는 섬유에 화장품 기능을 융·복합화한 섬유 소재로서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건강(혈행개선, 통증완화 등)과 뷰티(슬리밍, 보습/퍼밍 등)의 효과를 부여하는 섬유상의 소재를 말하며, 화장품(Cosmetic)과 섬유(Textile)를 결합한 '코스메토텍스타일(Cosmeto textile)로도 불리우며 유럽표준화위원회(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는 미용 기능 유효성분을 피부로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섬유 제품을 화장품 기능 섬유(Cosmetic Textile)로 정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항균, 방취, 치유(힐링, healing) 효과를 가지면서 기능성이 보강된 감성섬유로서 단순한 기능에서 화장품을 포함하는 코스메틱 섬유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종래의 코스메틱 섬유는 여러 기술적 한계로 다양한 기능을 내포하고 있지 못하고 여러가지의 기능을 포함하지 못하므로 단순 기능이 아닌 다기능을 포함한 효능효과를 추구하며 기능성 원단을 이용한 것 이상의 새로운 다기능성 섬유 제품을 요구하는 현대의 소비자에가 요구하는 코스메틱 섬유로서의 종합 용도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종래 한지 원료로서 닥 펼프의 소재 특성와 피톤치드르 함유하는 편백나무의 물성이 결합된 다기능성 한지 섬유로서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등록번호 10-1366599, 2014.2.14.등록)과 이를 개선한 코스 메틱 섬유로서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21758호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2014.9.15 출원)를 각각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들은 종래 전통적인 한지 사용범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항균 소취 물질을 방출하고 자연의 향을 공급하여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새로운 다기능성 섬유 제품을 요구하는 현대의 소비자에게 있어서 부족한 기능성 화장료로서의 기능성을 충분히 커버함으로써 섬유와 화장품이 융합되어 몸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코스메틱 섬유가 요구하는 종합 용도 요구 특성을 충족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남들과 다른 것, 보다 좋은 것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기대 심리에 부응하여 부와 화려함을 상징하여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소비자들을 자극할 수하는 황금 마케팅이 유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들은 여러가지 우수한 기술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투박한 색택과 질감 및 기능 효과 부족으로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기호를 사로잡게 하는 섬유 색택 발현과 기능 효과면에서 제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바, 염색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복합 기능 한지 섬유로서 고급화와 부가가치로 상품성을 높이게 하여야 하는 기술적 과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제안한 본 발명자들의 선행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한지지료와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되 고유한 색깔뿐만 아니라 고유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천연물질의 기능성 색소 성분 첨가로 색택과 기능성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대폭 보강된 코스메틱 섬유로서의 종합 용도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염색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코스메틱 섬유로서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코스메틱 섬유는 섬유 색택 발현과 건강 기능 효과면에서 제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바
한지지료와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되 고유한 색깔뿐만 아니라 고유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천연물질의 기능성 색소 성분 첨가로 색택과 기능성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대폭 보강된 코스메틱 섬유로서의 종합 용도 요구 특성을 만족시켜야 하는 기술적 과제를 본 발명에서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한지 지료인 닥펄프로 부드러운 질감과 완충성, 보온성, 흡습성, 통기성, 항균성, 속건성, 소취성,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는 한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닥펄프에 칼슘, 철,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옥분과 항균, 방균, 항곰팡이 기능의 게르마늄이 함유된 흑운모분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 초지하여 닥펄프에 기능성 광물질이 혼합 초지된 기능성 시트를 형성하되,
여기에 더하여 인체에 무해한 천연 향료 물질로서 자연 그대로의 항, 살균, 방부효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을 맑게 해주는 편백나무 추출물과 안전성이 입증되어 예로부터 약재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색이 영롱하고 아름다워서 무공해 천연염료와 약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천연 한방 생약제 겸 착색제로서 항암 활성과 항산화활성의 약성 및 황금색을 발현하는 착색성이 있으면서 피부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우리나라 고유의 수종인 황칠나무의 수액에서 추출한 황칠나무 추출물과 크로세틴을 가지는 황색 천연 염료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세균 등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을 수행하는 치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복합 기능의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를 형성함으로써,
닥펄프 지료로 통기성, 물기를 신속하게 말려 주는 흡한 속건(洽汗速乾) 및 자외선 차폐 기능의 친환경적인 한지 특유의 섬유 조직 구조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 광물질로서 옥분과 게르마늄의 흑운모분, 식물성 추출물로서 자연 그대로의 항, 살균, 방부효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을 맑게 해주는 편백나무 추출물과 항암 활성과 항산화활성 등의 약성 및 황금색을 발현하는 천연 염료로서 황칠나무 추출물과 치자추출물이 각각의 물성 저하 없이 상호 보완적으로 상승 작용하는 건강과 뷰티, 스킨 케어 기능으로 종래 제안된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에 비하여 뛰어난 황금 광택 및 색상 발현의 색상 차별화를 통한 희소성의 구현과 항 알러지 미백 및 자외선 차단의 미용 효과가 부가되어 염색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코스메틱 섬유로서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는 본인 기술의 계속 발명(개량발명)으로서,
한지가 원래 가지는 고유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옥분과 게르마늄이 함유된 흑운모분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물질이 가지는 기능적 특성이 보강되어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온열효과와 항균, 탈취기능 등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는 복합 상승효과를 구현하되,
염색성과 기능성 개선으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한꺼번에 충족시키게 되는 복합 기능 한지 섬유로 한 단계 성장시키게 하는 효과 구현으로,
황금 광택 및 색상에 의한 시각적인 장식 효과와 항 알러지 미백 및 자외선 차단의 미용 효과가 부가되어 염색성과 기능성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어 종래 제안된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에 비하여 뛰어난 황금 광택 및 색상 발현의 색상 차별화를 통한 희소성의 구현과 항 알러지 미백 및 자외선 차단의 미용 효과가 부가되어 착용시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듯이 피부에 좋은 성분들이 계속 피부와 맞닿게 하되 선명하고 아름다운 색상 발현으로 미적인 면에서나 기능적인 면에서 몸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복합 기능 성분 복합 기능 상승 효과를 구현하게 되는 코스메틱 섬유로서 천연색상이 갖는 미적인 시각효과와 함께 색소가 갖는 기능성과 약리작용으로 다양화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기능 한지 섬유를 가지고 제직한 의복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일상 생활 내내 의복의 고유 기능에 더하여 섬유 색상이 고 광택의 황금색으로 발현하여 외관 색상이 자연스런 황금색을 띄게 함과 동시에 원적외선 효과와 항균, 탈취기능, 살균성, 방향성에다 보습성과 영양성, 자외선 차단,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기능 등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쾌적한 착용감에다 피부에 접촉하는 섬유에 잔존하는 세균 등에 의한 오염이나 악취가 방지는 물론 치유(힐링, healing)기능으로 신체 피부의 부족한 기능을 보강할 수 있어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이므로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하여 코스메틱 섬유에서 요구되는 건강과 뷰티 등의 용도 요구 특성을 종합적으로 충족시키게 하는 복합 상승효과를 구현하게 되며 기능성 화장료 등 본 발명에 포함된 유용 성분의 흡수력이 증가되어 결국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복합 기능 한지 섬유는 피부에 민감하게 접촉되는 런닝셔츠 팬티 내의 란제리 등 속옷이나 침장류, 의류, 양말, 유아용품, 기저귀 등 섬유 관련 모든 복종은 물론 고급벽지, 자동차시트, 커튼, 침장류 등의 여러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성분이 생분해성 물질로서 분해가 잘되고 자연의 자정력(自淨力)이 있으며 용해성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므로 사용 후에 자연분해되고 흙으로 환원되어 2차 오염에 의한 환경 공해 없이 폐기 처분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황금 광택 및 색상에 의한 깨끗하고 화려한 미관으로 향기 발산의 방향 기능 이외에 항균, 제균 및 집먼지 진드기의 기피효과, 항 아토피, 미백, 자외선 차단 등 다양한 기능성을 보유하고 있는 친환경 천연 항균 섬유소재로 내의류, 외의류, 한복 등 신소재 고기능성 의류제품과 스포츠웨어, 수의, 노인용품, 환자복, 병실침구, 아토피 방지, 벽지, 커튼, 생활용품, 자동차 공조용 연료필터 및 에어필터 등 의류에서부터 인테리어 제품, 산업용까지 다양한 용도창출이 가능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닥펄프 지료에 기능성 광물질 및 복합 식물추출물이 혼합 조성되어 착용시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듯이 피부에 좋은 성분들이 계속 피부와 맞닿게 함으로써 몸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에 있어서,
중량비로 천연의 한지 지료인 고해한 섬유질의 닥 펄프 75%(중량비)에 신선도 유지 및 항균효과, 탈취효과, 습기제거효과가 탁월한 기능성 광물질 겸 밀도 증진제로서 320 메시 입도로 미분쇄한 옥분(玉粉) 3%(중량비)과 흑운모분(게르마늄) 2%(중량비)이 혼합된 기능성 닥 펄프 지료에,
자연 그대로의 항, 살균, 방부효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을 맑게 해주는 방향성 향균 물질로서 편백나무 추출물 5%(중량비), 또한 기능성의 식물성 천연 추출물로서 안전성이 입증되어 예로부터 약재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색이 영롱하고 아름다워서 무공해 천연염료와 약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천연 한방 생약제 겸 착색제로서 항암 활성과 항산화활성의 약성 및 황금색을 발현하는 착색성이 있으면서 피부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우리나라 고유의 수종인 황칠나무의 수액에서 추출한 황칠나무 추출물 5%(중량비)와 크로세틴을 가지는 황색 천연 염료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세균 등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을 수행하는 치자추출물 5%(중량비) 및 나노화된 닥나무 분체 3%(중량비)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과 지력증강제로서 송진 2%(중량비)를 첨가하여 한지의 섬유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인체에 부작용과 독성이 없게끔 견고하게 결합시켜 항균 및 살균효과의 저하 현상이 없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방출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닥 펄프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혼합된 혼합 지료를 형성한 다음,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닥 펄프와 기능성 광물질 및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혼합 조성된 혼합 지료를 5시간 숙성하고 초지하고 건조시켜 형태적 안정성과 내구성이 있으며 다공성의 숨쉬는 박막 시트 상의 닥 펄프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혼합된 일정 두께 평면상의 복합 기능 한지 시트를 초지 생산하고,
상기와 같이 초지 형성된 닥 펄프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혼합 기능성 한지 시트를 슬리팅기로 1.8~2㎜ 넓이로 분단하여 소정 폭의 테이프 상태 한지 가닥을 만든 다음 섬유 연사기로 꼬임을 가하고 연신하여 항균성, 소취성, 살균성, 방향성, 보습성과 영양성의 다기능을 부여한 복합 기능 한지사를 제조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한지사를 위사 또는 경사로 이용하여 제직하여 뛰어난 자연색의 황금 광택 및 색상 발현의 색상 차별화를 통한 희소성의 구현과 항 알러지 미백 및 자외선 차단의 미용 효과가 부가되어 착용시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듯이 피부에 좋은 성분들이 계속 피부와 맞닿게 하되 선명하고 아름다운 색상 발현으로 복합 기능을 수행하는 코스메틱 섬유로서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 염색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코스메틱 섬유로서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신체 착용시 인체에 무해하고 여성이나 유아, 민감한 피부 가진 사람도 피부 부작용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보습효과, 살균효과 및 항균효과와 방향효과를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착용하는 것 만으로도 높은 수준의 쾌적한 착용감 및 피부 보호성, 치유(힐링, healing)기능으로 신체 피부의 부족한 기능을 보강시켜 몸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코스메틱 섬유의 제반 용도 요구특성을 충족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성의 복합 기능 한지 섬유로서 종래 본 발명자가 제안한 코스메틱 섬유가 가지고 있는 섬유 색택과 건강 기능 효과 발현상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한지 지료와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되 무공해 천연 한방 생약제 겸 착색제로서 항암 활성과 항산화활성의 약성 및 황금색을 발현하는 착색성이 있으면서 피부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우리나라 고유의 수종인 황칠나무의 수액에서 추출한 황칠나무 추출물과 크로세틴을 가지는 황색 천연 염료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세균 등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을 수행하는 치자추출물및 나노화된 닥나무 분체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원료 조성으로 섬유의 색택과 기능성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대폭 보강된 코스메틱 섬유로서의 종합 용도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게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염색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코스메틱 섬유로서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는,
한지 지료로서 고해한 섬유질의 닥 펄프 75%(중량비)에 기능성 광물질 겸 밀도 증진제로서 320 메시 입도로 미분쇄한 옥분(玉粉) 3%(중량비)과 흑운모분(게르마늄) 2%(중량비)이 혼합된 기능성 닥 펄프 지료를 형성하고,
여기에 더하여 방향성 항균 물질로서 편백나무 추출물 5%(중량비), 또한 기능성의 식물성 천연 추출물로서 황칠나무 추출물 5%(중량비)와 치자추출물 5%(중량비) 및 나노화된 닥나무 분체 3%(중량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과 지력증강제로서 송진 2%(중량비)를 첨가하는 조성의 닥 펄프와 기능성 광물질 및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혼합 조성된 혼합 지료로 다공성의 숨쉬는 복합 기능 한지 시트를 초지 생산하고, 이렇게 형성된 형성된 닥 펄프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혼합 기능성 한지 시트를 슬리팅기로 1.8~2㎜ 넓이로 분단하여 소정 폭의 테이프 상태 한지 가닥을 만든 다음 섬유 연사기로 꼬임을 가하고 가늘게 연신하여 강인하고 매끈매끈하여 내 절도와 인장 강도가 좋으면서 항균성, 소취성, 살균성, 방향성, 보습성과 영양성의 다기능을 부여하여 피부 대사를 촉진시키는 복합 기능 한지사를 제조하고,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한지사를 위사 또는 경사로 이용하여 제직하여 건강과 뷰티, 스킨 케어 기능의 이상적인 궁합의 성분간 상호 보상작용이 구현되게 하는 섬유 구조 및 기능성 원료 조성의 건강 섬유를 형성하되 여기에 뛰어난 자연색의 황금 광택 및 색상 발현의 색상 차별화를 통한 희소성의 구현과 항 알러지 미백 및 자외선 차단의 미용 효과가 부가되어 염색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복합 기능 한지 섬유 원료 조성에서 한지 지료로서 닥 펄프에 기능성 광물질로 미분쇄한 옥분(玉粉)과 흑운모분(게르마늄)이 혼합된 기능성 닥 펄프 지료를 형성하는 기본 구성은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10-2014-0121758호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와 동일한 원료 구성인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닥펄프 지료와 기능성 광물질 원료 조성에 더하여 섬유의 색택을 개선하기 위하여 황색계열의 천연염료 겸 천연 생약제로서 황칠나무 추출물과 치자 추출물을 추가로 조성한 기능성 첨가제를 추가시켜 복합 기능 한지 섬유 색상을 고 광택의 황금색으로 발현하여 외관 색상이 자연스런 황금색을 띄게 함과 동시에 항 알러지 미백 및 자외선 차단의 미용 효과가 부가되어 염색성과 기능성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향상된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주지된 바와 같이 질기고 부드러우며 보존성이 뛰어난 장섬유 형태의 천연 닥펄프는 섬유가 서로 엉키는 3차원 망상 그물 구조와 기공을 형성하게 되므로서 인장강도와 유연성을 동시에 가지게 되며 인피섬유의 강인한 섬유질로서 물에 젖으면 유연성이 증가되며 점성이 높고 결속성이 강하여 섬유소 사이에 형성된 미세 기공으로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흑운모분이나 옥분을 잘 포섭하게 되어 섬유나 지류와의 결착력을 견고하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초지시에 인피섬유와 잘 어울리는 궁합의 송진을 접착제 등 물질의 혼합이 어려운 닥펄프에 첨가함으로써 닥과 펄프의 섬유질과 기능성 광물질 분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점착작용을 하여 건조후 표면 피막이 강하게 형성되어 수분에 강해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한지의 재료인 닥 섬유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아토피 예방 및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고도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자외선 차단(UV-CUT)의 뛰어난 효과가 있다.
면역 강화제로서 게르마늄 원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흑운모분은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출시키고 항균, 방균, 항곰팡이 및 유해가스 흡착작용을 하며 다량의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기능을 하고 각섬석의 일종으로 인체에 유익한 칼슘, 철,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옥분은 각 성분 물질 사이의 간격과 틈을 채워서 한지 시트의 밀도, 백색도 등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 시켜 형태를 유지시키게 하는 결합제 역할을 수행하여 시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 옥분과 게르마늄의 흑운모분은 320메쉬 입도의 고운 입자로 분쇄하므로서 초지시 다공성을 크게 유지할 수 있는데 특히 볼밀 등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진의 발생이 극소화되도록 평균입도 메시로 미분쇄하고 입자를 선별하여 지료와 결합이 용이하게 형성된 옥분(玉粉) 2%(중량비)과 흑운모분(게르마늄) 3%(중량비)가 혼합 지료에 포함됨으로써 옥과 게르마늄의 고유효능이 포함되어 닥펄프와 기능성 광물질의 효능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닥펄프와 기능성 물질 혼합 지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옥분과 게르마늄의 흑운모분은 장섬유 상태의 식물성 섬유질과 혼합됨에 있어서 공간부 연속 기공내에 섬유질 물질이 채워져서 기능성 분말 사이를 채워주므로 연속 기공이 독립 기공으로 형성되고 적정 비율로 혼합됨으로써 부분적으로 강함, 약함 등의 현상에 의한 시트의 수축이나 비틀림이 없게 되어 복합 기능 한지시트에 인장 강도를 부여하게 된다.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편백나무는 항균 및 방충으로 인해 알레르기와 아토피성 피부염을 완화하며, 감각계통을 안정시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을 맑게 해주게 되는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피톤치드는 식물이 다른 미생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출하는 살균 물질로 식물의 종류 또는 병원균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톤치드는 편백나무, 구상나무 또는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가 방출하는 테르펜류, 알칼로이드, 배당체,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물질과 같은 비-휘발성 물질을 포함하게 되며 특히 피톤치드는 특정 균만을 골라서 살균하는 선택적 살균 작용, 악취를 원천적으로 분해하여 유익한 물질로 변화시키는 소취 작용, 심리적 안정 및 말초혈관 단련, 심폐 기능 강화, 기관지 천식 및 폐결핵 치료 및 피부를 소독하는 약리 작용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피톤치드의 효능효과를 한지에 구현하기 위하여 편백나무 수피와 잎의 추출물을 사용한 것이며 상기 피톤치드 성분 중 테르펜류는 박테리아, 곰팡이, 기생충, 곤충 등을 죽이거나 발육,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으로 살균제, 방부제로 기능을 수행하며 휘발성이고 액화시킬 수 있으며 자체의 독성이 적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어 이용가치가 뛰어나다.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정유 성분들은 스트레스 완화와 심리적 안정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심폐기능을 강화시키며 기관지 천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강력한 살균작용으로아토피 등의 알레르기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유해물질 중화 작용 및 피부 진정작용 등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피톤치드(phytoncide)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혈중농도를 절반 이상 줄여주고 사람의 면역력을 높여 아토피 피부염을 낫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세한 기공조직의 다공성의 기능성 한지로서 숨 쉬는 한지 시트에 피톤치드를 함유하고 있는 편백 나무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담지되어 피톤치드에 본래 내재되어 있는 물성인 삼림욕 효과, 탈취작용, 방충효과, 살균 및 항균작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정한 농도의 자연 향 방출로 방출속도가 조절되어 장기간 균일한 발산특성을 나타내게 되어 섬유의 항균력이 향상되고 향에 대한 거부감 없이 강한 휘발성을 갖는 피톤치드 성분의 편백나무 방향성분 발산을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피톤치드(Phytoncide)를 방출하는 편백나무 추출물 조성비율은 5%(중량비)의 적절한 농도로 향이 발산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또한 상기와 같이 섬유에 적용하기 위해서 세척된 편백나무잎을 분쇄하는데 있어 분쇄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지름 1㎜ 미만으로 잘게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칠나무(黃漆木)(dendropanax morbiferus)는 두릅나무과 상록 활엽수림으로 전남 서남해안 및 도서지역에서 자생하는 수종으로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교목에 속하는 데 그 표피에 상처를 내면 노란 액체(진액)가 나오는데 이것을 모아 칠하는 것을 황칠이라고 하며 전 세계적으로 우리 나라에서 자생하는 황칠나무에서만 채취할 수 있는 수지액으로서 수지(樹脂)가 황금색이고 내열, 내구, 내수성이 강하며 부착성 및 광택이 좋아 이를 채취하여 천연의 황금색 도료로서 사용해 왔는데, 최근에는 다양한 건강증진 및 치료효과가 알려지면서 그 쓰임새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황칠나무는 항산화 작용과 노화 및 세포손상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으며 피부를 검게 하는 멜라닌을 형성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와 항균과 항염증 효능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황칠의 성분은 황금색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성분인 비휘발성분 66.7%, 방향성분 10.8%, 수분 8.1%, 고형분 14.4%로 구성되어 있다. 방향성분은 주로 세스퀴테르펜류의 β-쿠베벤(cubebene), γ-셀리넨(selinene), δ-카디넨(cadinen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성분이 신경계에 대한 진정작용과 강장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유한 색깔뿐만 아니라 고유한 효능과 일정 점도를 가지고 있는 상기 황칠 추출물은 천연 한방 생약제 겸 착색제로서 오래전부터 전래되어 온 우리나라 고유의 수종이며 세계적으로 희귀한 황금색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는바 황금색 색감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어온 황칠은 다른 천연도료에서는 물론이거니와 수많은 인공도료로는 발현하기 어려운 살아있는 색감을 지니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황칠나무의 수액에서 추출한 황칠나무 추출물로서 섬유의 색상을 황금색의 미려한 색상을 가지게 하는데 기여함과 동시에 부수적으로 항암 활성과 항산화활성의 생리활성 기능 등 건강 증진기능을 같이 구현하게 된다.
노란 황금색을 발현하는 주 색소 물질로 크로세틴을 가지는 황색계열의 천연염료이며 세균 등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을 수행하는 천연 한방 생약제 겸 착색제로서 상기 치자 추출물은 짙은 황갈색의 점성이 약간 있는 분말 상의 물질로, 치자의 크로신(crocin)이라는 색소 성분은 가수분해 되면 크로세틴(crocetin)이라는 색소 물질로 되는데 내광성, 내열성, 내약품성이라 식품의 색소로서 상당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염착성이 아주 좋아 일단 착색되면 씻겨지지 않는 장점이 있어 천연 염료중 가장 아름답고 널리 쓰이고 있다.
또한 치자의 열매 성분은 황색포도상균, 수막염균, 임균 등에 대하여 억제 작용과 렙토스피라와 혈충의 성충에 대해 살충 작용이 있어 변질을 예방하는 효과까지 가지고 있는데 천연 방부제 역할을 하기도 하며 페놀과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돼 항암 효과가 있고 장운동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식이섬유의 함량도 높아 나쁜 세균의 증식을 막아 변비를 해소시키게 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황칠 추출물과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란색 계열의 천연 색소는,
천연색상이 갖는 미적인 시각효과와 함께 암의 원인인 활성산소 발생 억제 기능 식이섬유의 장운동 활성화 기능 등의 색소가 갖는 기능성을 수행하게 되는데,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화학 색소에서 낼 수 없는 자연스럽고 고급스러우며 정감 있는 색을 얻을 수 있으며, 알레르기성 반응 등의 부작용이 없고, 항알레르기성, 항산화 항균 효과, 소취효과 등의 복합 기능 효과를 공통적으로 구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황금색의 노란 색상은 인체에 생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서 기호성을 중가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보다 개선된 황금 색택의 발현을 위하여 치자로부터 얻은 황색소를 황색계열의 천연염료인 황칠 추출물의 색소와 함께 혼합 조성함으로써 식물 추출물에 함유되어 합성색소에 비해 안전하고 자연스러운 색을 낼 수 있는 천연색소의 기능성 및 색상 부여로 더욱 아름답고 깨끗한 황금 색상의 한지 섬유 색택을 유지시키게 한 것으로 남들과 다른 것, 보다 좋은 것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기대 심리에 부응하여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소비자들을 자극할 수 있게 하는 황금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치자 추출물은 복합 기능 한지 시트틀 구성하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조성물 내에 전체 중량비로 각각 5 중량% 이내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한 한지 시트 원료 조성에서 황칠 추출물과 치자 추출을 조성물을 총 중량 기준으로 각각 5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첨가량이 미미하여 섬유가 노란색으로 착색되는 정도가 떨어져 제품의 색상 기호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며, 반면 5 중량%를 초과한 양으로 첨가하면 비경제적이고 특유의 강한 향으로 기호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한 편백나무 추출물, 황칠나무 추출물, 치자 추출물은 당 업계에 알려진 방법, 이의 변형된 방법 또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황칠 추출물과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식물성 추출물은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 등 다양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시판 추출물로서 미분쇄한 분말 상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추출물 제형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천연색소가 쉽게 탈향 탈색되지 않고 향기 성분이 서서히 방출되면서도 색가를 오래 유지하여 제품 안정성이 유지되게끔 미분쇄한 분말 상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나노(NANO) 크기로 초미립자화된 닥나무 분체는 닥나무 분체와 기능성 물질 상호 간 복합결합시에 미세 기공을 유지하면서도 조직이 치밀하게 되도록 나노 크기의 입자로 분쇄하게 되는데 분말상의 세라믹 입자로서 다공성을 가지게 되어 땀의 흡수와 발산 능력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결합이 어려운 흑운모분, 옥분 등의 분체를 한지 원료로서 닥의 강인한 섬유질로 보충 시트의 결속력을 향상시켜 건조 수축 균열을 방지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특히 20 ㎛ 이하의 나노 크기의 초미립자 상태로 미세분말화 시킨 나노 크기의 닥나무 분체의 나노 입자는 소량의 첨가만으로도 그 표면적이 극도로 커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에 분포되어 있는 닥나무 분체 주변에 나노 기공이 구성되어 미량의 공기가 유통되게 되며 또한 나노 기공을 통하는 공기는 이물질이 제거되고 항균 살균력을 갖게 되며 기능성 기공을 통해 숨을 쉬게 되고 세균에 감염됨을 막아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므로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세균 및 바이러스 균 노출에 안전하고 청정한 항상 멸균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나노 입자가 유해균에 직접 작용하고 유해균의 전달계를 방해함으로써 탁월한 항균력과 항균의 지속성을 가질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로진사이즈제(지력증강제)로서 상기 송진은 향을 발산하며 인피섬유와 잘 어울리는 궁합의 불연성의 천연 접착재 겸 표면제로서 종이를 강하게 하는 성질(인장력)이 있어 초지과정에서 소재인 닥펄프와 기능성 광물질 분체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사이징 효과를 발현하는 로진 사이즈제(rosin size)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초지시 과도한 흡습 작용을 억제하고 통기 작용을 촉진하게 되는데 전체 원료 중량의 2% 이내 첨가가 경제적이면서 접착성이 좋게 되며 동시에 송진은 피막 형성 사이징제(표면제) 기능 이외에 인체 체취에 대한 소취효과는 물론 피부를 재생시키며 통증을 완화하고 강력한 살균작용을 하며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염색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는 본인 기술의 계속 발명(개량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색채, 무늬 등 한지 고유의 아름다우며 부드럽고 포근한 질감 및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향에 대한 거부감 없이 지속적으로 자연향을 방출하는 편백 추출물에 의한 항균 소취 방향 항 알레르기 피부 진정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을 맑게 하는 기능 등의 특수 기능에 더하여 게르마늄 등의 기능성 물질 특수 기능을 추가로 부여함으로써 닥섬유(한지), 편백 나무 추출물, 기능성 광물질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복합 상승 효과를 구현하게 되며,
거기에 더하여 황칠 추출물과 치자 추출물의 천연 색소 및 향의 복합 기능 효과 동시 구현에 따른 황금 광택 및 색상에 의한 시각적인 장식 효과로 복합 기능 한지 섬유 색상을 종래 기술의 한지 섬유에 비하여 월등하게 유지하게 하여 색상 차별화를 통한 희소성을 구현함은 물론 항균과 항염증 효능, 항산화 기능, 미백 효과, 항아토피 기능, 신경계에 대한 진정작용과 강장작용 등의 복합 기능 효과를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한지섬유의 고급화와 부가가치로 상품성을 높이게 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한꺼번에 충족시키게 되는 코스 메틱 섬유인 염색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로 한 단계 성장시키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염색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는 형태적 안정성이 좋고 질기고 부드러운 촉감으로 피부와의 접촉성이 향상되고 위생적임과 동시에 황금 광택 및 색상에 의한 깨끗하고 화려한 미관으로,
단위 체적당 원적외선 및 유효 활성 성분 방출 면적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대폭 향상된 고 비표면적 기공구조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 섬유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유해균에 직접 작용하고 유해균의 전달계를 방해함으로써 탁월한 항균력과 항균의 지속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세균 및 바이러스 균 노출에 안전하고 청정한 항상 멸균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세균과 병원균등의 미생물의 생성과 번식이 쉬운 한지 섬유를 항상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는 자체 측정 결과 인장 강도와 인열 강도, 유연성을 측정하는 내절도 모두 대폭 향상되어 형태적으로 안정성이 있고 인체 피부에 자극이 없어 안전하고 박테리아를 걸러내거나 병원균의 확산을 저지하는 살균 항균성도 구현되어 항균, 항염증, 항산화 등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어 여러가지 복잡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고 악화되는 피부염 개선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 항균섬유로서 내구성, 내수성과 형태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자체 실시한 실험에서도 포도상 구균과 폐렴균에 대해 99.9%의 제균효과를 나타냈고 피부 자극 시험에서도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10회 세탁시 효능의 99.9%가 유지되고 30회 세탁 후에도 90% 이상의 효능이 유지됨으로써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한지 지료인 닥펄프와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광물질 및 기능성의 식물성 천연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에 있어서,
    중량비로 고해한 섬유질의 닥 펄프 75%(중량비)에 기능성 광물질 겸 밀도 증진제로서 320 메시 입도로 미분쇄한 옥분(玉粉) 3%(중량비)과 흑운모분(게르마늄) 2%(중량비)이 혼합된 기능성 닥 펄프 지료에,
    방향성 항균 물질로서 편백나무 추출물 5%(중량비), 기능성의 식물성 천연 추출물로서 천연 한방 생약제 겸 착색제로서 항암 활성과 항산화활성의 약성 및 황금색을 발현하는 착색성이 있으면서 피부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황칠나무 추출물 5%(중량비)와 크로세틴을 가지는 황색 천연 염료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항균 및 살균 작용을 수행하는 치자추출물 5%(중량비) 및 나노화된 닥나무 분체 3%(중량비)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과 지력증강제로서 송진 2%(중량비)를 첨가하여 닥 펄프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혼합된 혼합 지료를 형성한 다음,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닥 펄프와 기능성 광물질 및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혼합 조성된 혼합 지료를 5시간 숙성시켜 초지하고 건조시켜 닥 펄프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혼합된 복합 기능 한지 시트를 초지 생산하고,
    상기와 같이 초지 형성된 닥 펄프에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혼합 조성된 복합 기능 한지 시트를 슬리팅기로 1.8~2㎜ 넓이로 분단하여 소정 폭의 테이프 상태 한지 가닥을 만든 다음 섬유 연사기로 꼬임을 가하고 연신하여 복합 기능 한지사를 제조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복합 기능 한지사를 위사 또는 경사로 이용 제직하여 자연색의 황금 광택 색상 발현 및 미용 기능 효과를 구현하는 복합 기능 한지 섬유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KR1020150004069A 2015-01-12 2015-01-12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KR10168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69A KR101684764B1 (ko) 2015-01-12 2015-01-12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69A KR101684764B1 (ko) 2015-01-12 2015-01-12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579A KR20160086579A (ko) 2016-07-20
KR101684764B1 true KR101684764B1 (ko) 2016-12-08

Family

ID=5667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069A KR101684764B1 (ko) 2015-01-12 2015-01-12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860B1 (ko) * 2018-06-20 2019-08-30 (주)더블유케이위드코리아 황칠나무 성분이 포함된 속옷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336623B1 (ko) * 2021-08-26 2021-12-08 (주)나노스토리 인공피부막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127B1 (ko) 2011-05-03 2012-04-09 완주군 피브릴화한 측백나무과의 나뭇잎을 포함하여 심미성이 향상된 한지의 제조방법
KR101327352B1 (ko) 2012-05-04 2013-11-11 강현숙 안식향 발산 서책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99B1 (ko) * 2012-04-13 2014-02-25 김형진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
KR20130130887A (ko) * 2012-05-23 2013-12-03 주식회사 자연담은한지 편백나무 잎과 기능성 물질이 혼합 초지된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127B1 (ko) 2011-05-03 2012-04-09 완주군 피브릴화한 측백나무과의 나뭇잎을 포함하여 심미성이 향상된 한지의 제조방법
KR101327352B1 (ko) 2012-05-04 2013-11-11 강현숙 안식향 발산 서책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579A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hosseini Plant-based compounds for antimicrobial textiles
CN101346126B (zh) 皮肤美白化妆品组合物,含有其的包装及其制备方法
KR102159169B1 (ko)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을 통해 알러지, 염증, 아토피 또는 새집증후군에 따른 피부염의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 직물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직물
KR101366599B1 (ko)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
KR101128361B1 (ko) 차유를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937090A (zh) 一种抗菌护肤聚丙烯纤维母粒及面料
JP2002316909A (ja) 機能性材料
CN110200854A (zh) 婴幼儿用天然植物精油竹纤维抗菌干/湿巾及其制备方法
KR20130028192A (ko) 복합 기능 황토 한지 얼굴 미용 마스크 시트 팩
KR101684764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CN104060342A (zh) 驱蚊功能纤维织物及其制造方法
KR102477881B1 (ko) 뇌 혈류 개선이 되는 기능성 베개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9651B1 (ko) 편백 분말을 함유한 기능성 한지사의 제조방법
KR101597594B1 (ko)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JPH09202721A (ja) 消臭・防臭剤
KR101479414B1 (ko) 순비기나무, 도꼬마리, 소리쟁이, 민들레, 어성초, 호호바오일과 티트리오일, 아마씨오일, 박하유, 시금치, 무청, 양배추, 프로폴리스, 쌀뜨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의 홍조현상과 미백에 관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00308B1 (ko)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8329A (ko) 기능성 일회용신발깔창
KR102528374B1 (ko) 항균 기능성 원단을 이용한 임산복의 제조방법
KR101850352B1 (ko) 편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우더 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835743A (zh) 一种除蚊的服装面料
CN108477228A (zh) 一种寝具用抗菌防螨剂及其制备方法
KR20090020997A (ko)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CN106192070A (zh) 一种含有海泥的皮芯复合涤纶纤维及其制备方法
KR101347620B1 (ko) 섬유질의 닥 펄프 지료를 포함하는 복합 기능 장신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