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997A -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 Google Patents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997A
KR20090020997A KR1020070085691A KR20070085691A KR20090020997A KR 20090020997 A KR20090020997 A KR 20090020997A KR 1020070085691 A KR1020070085691 A KR 1020070085691A KR 20070085691 A KR20070085691 A KR 20070085691A KR 20090020997 A KR20090020997 A KR 2009002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s
oil
various colors
functionality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4815B1 (ko
Inventor
황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맨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맨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맨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008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8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6Humidity control, or oiling,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6Dy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04H1/4258Regenerated 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entanglement by fluid jet in combination with another consolidation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8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의 칩(chip)과 칼라 마스터 배치(color master batch)를 상호 믹싱하는 단계; 상기 믹싱된 물질에 녹차, 황토, 유채꽃, 석류, 숯, 게르마늄 분말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생산된 다양한 색상의 섬유사를 천연오일 속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천연오일을 섬유사의 표면에 분사시켜 침투시키는 단계; 상기 침투단계 이후 섬유사를 비스코스레이온 섬유(Viscose Rayon fiber)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Polyester Fiber)와 혼합한 후 스펀레이스(Spunlaced) 또는 열융착(Thermal Bonded)공법에 의해 다양한 색상 및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생산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생산하여 제품에 맞는 색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상기 컬러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품 특성에 맞는 마스크팩, 물티슈, 행주, 기저귀, 생리대, 마스크 등을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칼라 마스터 배치, 스펀레이스공법, 열융착공법, 컬러 부직포, 기능성 제품.

Description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functional product 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various color non-woven fabrics}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생산하여 제품에 맞는 색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상기 컬러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품 특성에 맞는 마스크팩, 물티슈, 행주, 기저귀, 생리대, 마스크 등을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부직포[不織布, non-woven fabric]는 베틀에 짜지 아니하고 섬유를 적당히 배열하여 접착제나 섬유 자체의 융착력이나 섬유들의 엉킴을 이용하여 서로 접합한 시트 모양의 천을 말하는 것이다.
현재 상기 부직포를 2차 가공한 후 기능성 성분을 투여하여 다양한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그 중에서 마스크팩, 물티슈, 행주, 기저귀, 생리대, 마스크 등이 생산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부직포를 이용한 제품은 그 제품의 특성에 맞는 색상을 표현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녹차 성분이 포함된 마스크팩이나 물티슈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녹차 성분이 함유되기는 하나 최종 제품의 마스크팩이나 물티슈는 녹색이 아닌 하얀색으로 밖에 표현이 안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 이유는 부직포의 생산과정에서 칼라 색상을 표현하지 못해 제조과정에서 녹차 성분을 투입한다고 하더라도 녹차 색깔에 맞는 녹색 마스크팩이나 물티슈를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소비자가 시각적으로 제품의 품질을 믿지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그 외에도 황토성분을 나타내는 황토색, 유채꽃 성분을 나타내는 노랑색, 석류 성분을 나타내는 붉은색, 숯의 성분을 나타내는 흑색 등 그 제품의 성분에 맞는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은 제품에 어떠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나, 그 제품의 특성을 나타내는 냄새 즉, 녹차향기, 흙 냄새, 유채꽃 향기, 석류 향기 등이 발산되지 않기 때문에 이 역시 소비자의 소비 의욕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믹싱과 혼합 그리고 침투과정에 의해 다양한 색상을 갖는 부직포를 제공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생산하여 제품에 맞는 색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특히 상기 컬러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품 특성에 맞는 마스크팩, 물티슈, 행주, 기저귀, 생리대, 마스크 등을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제품의 특성에 맞는 향이 발산되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향료 및 색소가 포함되어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의 칩(chip)과 칼라 마스터 배치(color master batch)를 상호 믹싱하는 단계; 상기 믹싱된 물질에 녹차, 황토, 유채꽃, 석류, 숯, 게르마늄 분말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생산된 다양한 색상의 섬유사를 천연오일 속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천연오일을 섬유사의 표면에 분사시켜 침투시키는 단계; 상기 침투단계 이후 섬유사를 비스코스레이온 섬유(Viscose Rayon fiber)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Polyester Fiber)와 혼합한 후 스펀레이스(Spunlaced) 또는 열융착(Thermal Bonded)공법에 의해 다양한 색상 및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생산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제조방법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연신, 열처리, 권축, 연사 과정을 거친 후 이를 이용하여 마스크팩, 물티슈, 행주, 기저귀, 생리대, 마스크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믹싱과 혼합 그리고 침투과정에 의해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을 갖는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생산하여 제품에 맞는 색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컬러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품 특성에 맞는 마스크팩, 물티슈, 행주, 기저귀, 생리대, 마스크 등을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품의 특성에 맞는 향이 발산되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향료 및 색소가 포함되어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먼저,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의 칩(chip)과 칼라 마스터 배치(color master batch)를 약 1∼2시간 상호 믹싱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칼라 마스터 배치는 폴리프로필렌과 함께 고농도로 농축 혼합되어 기본적으로 색상을 부여함은 물론 강도와 유연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믹싱된 물질에 녹차, 황토, 유채꽃, 석류, 숯, 게르마늄 분말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약 3∼4시간 혼합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녹차, 황토, 유채꽃, 석류, 숯, 게르마늄의 색상은 각각의 칼라 마스터 배치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 녹차는 녹색, 황토는 황토색, 유채꽃은 노랑색, 석류는 붉은색, 숯은 흑색 그리고 게르마늄은 돌색깔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혼합단계에서 생산된 다양한 색상의 섬유사를 천연오일 속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천연오일을 섬유사의 표면에 분사시켜 침투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천연오일은 올리브오일, 포도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캐놀라 오일, 에센셜 오일, 콩기름, 콜라겐 중에서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으로, 섬유사의 정전기방지는 물론 표면에 코팅을 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좋은 향기까지 발산시키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침투단계 이후 섬유사를 비스코스레이온 섬유(Viscose Rayon fiber)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Polyester Fiber)와 혼합한 후 스펀레이스(Spunlaced) 또는 열융착(Thermal Bonded)공법에 의해 다양한 색상 및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생산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생산하여 제품에 맞는 색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한편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에 포함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의 칩(chip)은 85∼90중량%가 포함되고, 칼라 마스터 배치(color master batch)는 5∼8중량%가 포함되며, 녹차, 황토, 유채꽃, 석류, 숯, 게르마늄 분말중 어느 하나의 분말은 5∼7중량%가 혼합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량이 85중량% 이하가 되면 강도 및 경도가 저하되고, 90중량% 이상이 되면 발포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85∼90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라 마스터 배치의 혼합량이 5중량% 이하가 되면 색상 표현이 선명하지 못하게 되고, 8중량% 이상이 되면 폴리프로필렌과의 결합력이 약해져 상기 칼라 마스터 배치는 5∼8중량%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녹차, 황토, 유채꽃, 석류, 숯, 게르마늄의 혼합량이 5중량% 이하가 되면 각 성분의 특성이 발산되지 않게 되고, 7중량% 이상이 되면 발포력이 떨어져 녹차, 황토, 유채꽃, 석류, 숯, 게르마늄은 5∼7중량%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혼합단계에는 천연 동식물 색소가 10∼20 중량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천연색소는 화합물로서 특정 종류의 것은 아니고 카로티노이드류 ·플라본류 ·퀴논류 ·질소함유화합물 등 많은 것을 함유한다. 동물색소로서는 혈색소 ·쓸개즙색소 ·프테린 ·카로티노이드 ·퀴논(벤조퀴논 ·나프토퀴논) 등이 있고, 식물색소로서는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안토시안 ·플라본 ·퀴논(벤조퀴논 ·나프토퀴논 ·안트라퀴논) ·쿠마린 유도체 등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향료 및 색소가 포함되어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4>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혼합단계에 천연향료가 10∼20 중량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천연향료는 동물성 향료와 식물성 향료가 있는데, 동물성 향료는 사향(麝香)·시벳(civet)·앰버그리스(ambergris:용연향)·카스토르(castor)가 사용되고, 식물성 향료는 방향성 식물의 꽃·꽃망울·과실·잎·가지·줄기·뿌리 및 천연수지 등에서 얻어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제품의 특성에 맞는 향이 발산되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을 제공하게 된다.
<실시예 5>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연신, 열처리, 권축, 연사 과정을 거친 후 이를 이용하여 마스크팩, 물티슈, 행주, 기저귀, 생리대, 마스크를 생산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컬러 부직포는 상기한 종류 이외에도 더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컬러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품 특성에 맞는 마스크팩, 물티슈, 행주, 기저귀, 생리대, 마스크 등을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Claims (7)

  1.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의 칩(chip)과 칼라 마스터 배치(color master batch)를 상호 믹싱하는 단계;
    상기 믹싱된 물질에 녹차, 황토, 유채꽃, 석류, 숯, 게르마늄 분말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생산된 다양한 색상의 섬유사를 천연오일 속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천연오일을 섬유사의 표면에 분사시켜 침투시키는 단계;
    상기 침투단계 이후 섬유사를 비스코스레이온 섬유(Viscose Rayon fiber)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Polyester Fiber)와 혼합한 후 스펀레이스(Spunlaced) 또는 열융착(Thermal Bonded)공법에 의해 다양한 색상 및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생산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제조방법,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에 포함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의 칩(chip)은 85∼90중량%가 포함되고, 칼라 마스터 배치(color master batch)는 5∼8중량%가 포함되며, 녹차, 황토, 유채꽃, 석류, 숯, 게르마늄 분말중 어느 하나의 분말은 5∼7중량%가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 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제조방법.
  3.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는 천연 동식물 색소가 10∼20 중량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제조방법.
  4.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는 천연향료가 10∼20 중량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제조방법.
  5.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오일은 올리브오일, 포도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캐놀라 오일, 에센셜 오일, 콩기름, 콜라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제조방법.
  6. 상기 제 1 또는 제 5 청구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 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7. 상기 제 6 청구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연신, 열처리, 권축, 연사 과정을 거친 후 이를 이용하여 마스크팩, 물티슈, 행주, 기저귀, 생리대, 마스크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KR1020070085691A 2007-08-24 2007-08-24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924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691A KR100924815B1 (ko) 2007-08-24 2007-08-24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691A KR100924815B1 (ko) 2007-08-24 2007-08-24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997A true KR20090020997A (ko) 2009-02-27
KR100924815B1 KR100924815B1 (ko) 2009-11-03

Family

ID=4068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691A KR100924815B1 (ko) 2007-08-24 2007-08-24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8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4262A1 (en) * 2009-10-13 2011-04-27 Johnson & Johnson Industria e Comercio Ltda. Articles including functional benefit and a plurality of visually distinct fibers indicative of the functional benefit
US10245537B2 (en) 2012-05-07 2019-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lded respirator having outer cover web joined to mesh
CN111472095A (zh) * 2020-05-07 2020-07-31 常熟市恒运无纺制品有限公司 一种高透面膜无纺布及其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105B1 (ko) 2012-05-18 2012-10-29 주식회사 제닉 경편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505Y1 (ko) * 1993-02-05 1996-01-12 주식회사 바른손팬시 포장지
KR100297473B1 (ko) * 1998-11-05 2001-10-26 박주민 원적외선을방사하는부직포및그제조방법
US6764762B2 (en) * 2002-09-10 2004-07-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ubricated fluoropolymer yarn
KR20070038939A (ko) * 2006-11-20 2007-04-11 이민화 항균·항진균사, 항균향기·항진균향기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4262A1 (en) * 2009-10-13 2011-04-27 Johnson & Johnson Industria e Comercio Ltda. Articles including functional benefit and a plurality of visually distinct fibers indicative of the functional benefit
US10245537B2 (en) 2012-05-07 2019-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lded respirator having outer cover web joined to mesh
CN111472095A (zh) * 2020-05-07 2020-07-31 常熟市恒运无纺制品有限公司 一种高透面膜无纺布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4815B1 (ko)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661B1 (ko)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6400308B (zh) 一种自芳香天然抗菌除臭非织造布及其应用
CN106283406B (zh) 设有透气孔隙的一次性卫生用品用自芳香非织造布
KR102039638B1 (ko)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활화학제품용 조성물
KR101128361B1 (ko) 차유를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480743A (zh) 一种非织造布、整理方法及其应用
KR101715571B1 (ko)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KR101017868B1 (ko) 착색 및 착향이 우수한 천연 염색방법
KR100924815B1 (ko) 다양한 색상과 기능성이 부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10200854A (zh) 婴幼儿用天然植物精油竹纤维抗菌干/湿巾及其制备方法
KR101366599B1 (ko)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
CN105887229A (zh) 一种天然抗菌除臭聚丙烯纤维及其制备方法
KR101763912B1 (ko) pH 변화에 따른 색 변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하이드로겔 팩
KR101950790B1 (ko) 기능성 대나무 섬유의 제조방법
KR102227916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227915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
KR101385257B1 (ko) 탈취용 조성물
CN109124879A (zh) 母乳吸收垫
KR101420225B1 (ko) 세탁 또는 세정 보조용 발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ham et al. A study on the coloration effectiveness of Chromolaena odorata on the worsted wool fabric
KR20160086579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US20180023247A1 (en) Dyed Textile Products
KR101739196B1 (ko) 아로마 컬러 테라피를 위한 천일염 입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7806A (ko) 천연 섬유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33935B1 (ko)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색 다기능 티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