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926A -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926A
KR20130123926A KR1020120047452A KR20120047452A KR20130123926A KR 20130123926 A KR20130123926 A KR 20130123926A KR 1020120047452 A KR1020120047452 A KR 1020120047452A KR 20120047452 A KR20120047452 A KR 20120047452A KR 20130123926 A KR20130123926 A KR 20130123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ryer
blocking
exhaust du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기계
Priority to KR102012004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926A/ko
Publication of KR20130123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용 건조기(1)와 배기덕트(2)에 장착되어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진압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건조기(1)와 배기덕트(2)의 내부에 장착되고, 발화에 의한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도록 감지기(11)를 구비하는 감지부(10); 상기 건조기(1)와 배기덕트(2)의 내부에 장착되고, 감지부(10)에 의한 신호를 전달받아 소화물질을 분사하도록 노즐(21)을 구비하는 소화부(20); 상기 배기덕트(2)의 내부에 화재에 의한 연쇄확산과 산소공급을 차단되도록 차단판(31)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31)과 연결되어 개/폐시키는 엑추에이터(35)를 구비하는 차단부(30); 및 상기 감지부(10), 소화부(20), 차단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소화부(20)와 차단부(30)를 제어하면서 건조기(1)의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감지부가 건조기내에 발생하는 화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주면서 불꽃이나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부가 소화물질을 신속하게 분사시킴과 함께 차단부가 산소의 공급을 즉시 봉쇄시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도록 해주고 특히, 차단부가 연쇄적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시켜 섬유는 물론이고 고가의 섬유기기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The fire prevention and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textile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섬유용 건조기와 배기덕트에 장착되어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지부가 건조기내에 발생하는 화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주면서 불꽃이나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부가 소화물질을 신속하게 분사시킴과 함께 차단부가 산소의 공급을 즉시 봉쇄시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도록 해주고 특히, 차단부가 연쇄적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시켜 섬유는 물론이고 고가의 섬유기기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억제할 수 있는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섬유의 생산시 수행되는 여러가지 공정에 있어 염색, 날염되어져 나오는 섬유는 염색액에 의해 젖어있기 때문에 열풍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섬유를 신속하게 건조시킨 후 다음 후공정으로 이송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가공 및 건조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건조기로는 텐터기, 코팅기, 슈링크 등이 대표적이나 주로 텐터기를 이용한다.
텐터기는 섬유원단을 염색처리하기 전의 전처리 공정인 히트셋팅(heat setting)공정이나. 염색처리 후의 후처리 공정인 건조(drying)공정을 수행하여 원단을 최상상태로 유지토록하며, 섬유원단을 가열 열고정하고 평활하게 하거나 건조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섬유가공기계 중에 하나이다. 즉, 텐터기는 섬유원단에 열풍을 가해 섬유원단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 제거하여 건조공정을 수행하며, 열풍건조에 의해 섬유원단을 평활하게하며 적정의 강연성(촉감, 만곡수정 등)을 부여하며, 섬유직물의 고른 밀도와 고른 직물폭으로 원단을 가공처리하며 특히, 열수축작용(열고정)으로 원단이 제품으로 가공된 후 변형을 방지토록 하는 매우 중요한 섬유가공 기계라 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텐터기는 크게 개개의 격실로 구획되는 다수개의 열풍건조실과 이러한 열풍건조실 속으로 섬유원단을 이송하는 이송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열풍건조실은 사각박스 형태의 단독된 격실로 구성되며, 이들을 다수개로 연설시켜 열풍건조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개개의 열풍건조실에는 연소기(버너)로 가스 등을 직접 연소시켜 열을 발생하는 직열타입의 가스히팅장치나, 외부에서 가열된 오일을 파이프라인으로 이송하여 방열판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간접열타입의 오일히팅장치를 가진다.
또, 이러한 히팅기구로부터 발생된 열을 이송하는 덕트와 함께 송풍하는 모터와 송풍팬 등으로 구성된 송풍기와 열풍을 원단의 상/하면으로 고르게 분사하는 열풍노즐로서 열풍건조실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장치로 구성된 열풍건조실을 일렬로 다수개 연이어 설치하고 원단을 각각의 열풍건조실을 통과시켜 가공함에 있어서 히팅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열풍의 온도는 섬유원단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150℃~200℃의 열풍을 노즐을 통해 원단의 양면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기계적 또는 구동부의 마찰에 의한 불씨, 가스직화식에 의한 가스버너,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불씨 등으로 인하여 챔버 또는 연통내에 유증기, 습증기로 인하여 섬유 원단의 보푸라기, 먼지 등이 부착되거나 쌓여있을 경우 미세한 화재 발화 조건만 되면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즉, 건조기내에 화재가 발생하면 섬유는 물론이고 고가의 섬유기기의 손상을 야기시켜 막대한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건조기 내ㆍ외로 섬유가 연속적으로 연설되면서 열풍을 위한 가스나 오일 등의 열매체가 내장 또는 연결된 상태이므로 연쇄반응을 일으켜 소 화재에서 대 화재로 확산될 가능성이 상당하다. 특히, 공장 내에는 섬유와 함께 건조기뿐만 아니라 후속공정을 위한 여타의 기기들을 동반하기 때문에 작은 불꽃에서 대형 참사를 일으키게 되는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건조기상에 화재로 인하여 재산과 인명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소화시스템의 구축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지부가 건조기내에 발생하는 화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주면서 불꽃이나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부가 소화물질을 신속하게 분사시킴과 함께 차단부가 산소의 공급을 즉시 봉쇄시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도록 해주고 특히, 차단부가 연쇄적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시켜 섬유는 물론이고 고가의 섬유기기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억제할 수 있는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섬유용 건조기와 배기덕트에 장착되어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와 배기덕트의 내부에 장착되고, 발화에 의한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도록 감지기를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건조기와 배기덕트의 내부에 장착되고, 감지부에 의한 신호를 전달받아 소화물질을 분사하도록 노즐을 구비하는 소화부;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에 화재에 의한 산소공급과 연쇄확산을 차단되도록 차단판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과 연결되어 개/폐시키는 엑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차단부; 및 상기 감지부, 소화부, 차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소화부와 차단부를 제어하면서 건조기의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감지부의 감지기는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산소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하나 이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차단부의 엑추에이터는 유ㆍ공압실린더 또는 모터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부는 건조기의 배기팬 모터와 챔버팬 모터의 전원을 차단함과 함께 비상벨과 램프의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는 감지부가 건조기내에 발생하는 화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주면서 불꽃이나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부가 소화물질을 신속하게 분사시킴과 함께 차단부가 산소의 공급을 즉시 봉쇄시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도록 해주고 특히, 차단부가 연쇄적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시켜 섬유는 물론이고 고가의 섬유기기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가 적용된 건조기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가 적용된 건조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가 적용된 배기덕트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 화재 발생시 소화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섬유용 건조기(1)와 배기덕트(2)에 장착되어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하는 장치와 관련되며, 감지부(10), 소화부(20), 차단부(30), 제어부(4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에 관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섬유용 건조기(1)는 도 1처럼 '텐터기(TENTER MACHINE)'로 한정해서 도면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외에도 섬유를 열풍으로 가공처리 하는 여타의 기기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 건조기(1)는 도 2처럼 열원에 따라 가스버너타입(도 2a)과 열매유타입(도 2b)으로 구분되지만, 단순 열원의 종류만이 구분될 뿐 열풍으로 섬유를 가공하는 용도가 동일하고 무엇보다 그 구조가 유사하므로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고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는 건조기(1)와 배기덕트(2)에 모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건조기(1) 또는 배기덕트(2) 중 어느 하나에만 장착할 수도 있다. 즉, 당업자는 섬유원단을 열풍으로 가열시켜 열고정 및 평활하도록 건조하는 용도의 기기에만 한정하지만,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변형이나 추가할 수도 있음을 자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10)는 상기 건조기(1)와 배기덕트(2)의 내부에 장착되고, 발화에 의한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도록 감지기(11)를 구비한다. 감지부(10)는 발화에 의한 화재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부(40)에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처럼 건조기(1)와 배기덕트(2)의 내부에 감지기(11)를 하나 이상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감지부(10)의 감지기(11)는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산소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하나 이상으로 조합한다. 감지기(11)는 화재를 감지하도록 형성된 센서로서, 불꽃(스파크)이나 연기 또는 산소의 농도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부(10)는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산소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건조기(1)의 화재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가 있다.
불꽃감지센서는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이용하는데 불꽃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이나 자외선의 변화가 일정량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것으로, 적외선이나 자외선에 의해 수광소자의 수광량 변화로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불꽃감지센서는 185nm(나노미터)~260nm의 감지파장과 5m(불꽃크기 2cm)에서 최대 74m(불꽃크기 1m)의 감지거리 및 수평과 수직의 감지각도를 지니므로 화재감지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무엇보다 직경 68mm, 높이 25mm, 무게 7g를 지닌 소형으로서 건조기(1)와 배기덕트(2)의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 연기감지센서는 발광원과 수광원을 이용한 것으로, LED의 발광원과 포토다이오드의 수광기를 조합시키고 그 사이로 유도된 연기를 검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연기를 검출하는 방법에 따라 감광식과 광산란식으로 나뉜다. 감광식은 연기의 입자에 의하여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이 도중에서 차단되는 것을 관측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하고, 광산란식은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이 도중에서 산란되기 때문에 광축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떨어진 방향에서도 빛을 관측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광전식과 광산란식은 적은 전력으로 작동하며, 소형이기 때문에 건조기(1)와 배기덕트(2)의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외에 별도의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지만, 공업 상에서 널리 이용되는 산소감지센서와 온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건조기(1)의 화재를 감지할 수가 있다. 즉, 는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산소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각각의 감지기(11)를 건조기(1)와 배기덕트(2)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별도의 위치에서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지기(11)는 후술하는 제어부(40)와 연결되어 관리자 및 작업자는 물론, 자체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건조기(1)의 화재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화부(20)는 상기 건조기(1)와 배기덕트(2)의 내부에 장착되고, 감지부(10)에 의한 신호를 전달받아 소화물질을 분사하도록 노즐(21)을 구비한다. 소화부(20)는 도 2 및 도 3처럼 발화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면 후술하는 제어부(40)로 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화재를 소화하도록 건조기(1)와 배기덕트(2)의 내부에 노즐(21)을 하나 이상 구비한다.
노즐(21)은 별도의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건조기(1)의 외부에 소화물질을 수용하는 저장통과 함께 소정의 압력으로 소화물질을 이송하는 펌프와 배관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노즐(21)의 일단에는 전기적인 신호로 개폐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한다. 즉, 이러한 노즐(21)은 도 4처럼 후술하는 제어부(40)와 연결되어 발화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면, 제어부(40)로 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소화물질을 분사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소화물질은 증발성 액체, 이산화가스, 건식분말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하나 이상으로 조합한다. 소화물질은 발화되는 물질에 따라 달리 적용되지만, 보편적으로 순수물이나 화학첨가물로 이루어진 증발성 액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섬유와 건조기(1) 및 배기덕트(2)를 구성하는 재질에 따라 이산화가스 및 건식분말을 이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이산화가스 및 건식분발의 소화물질을 이용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펌프는 생략한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발화에 의해 화재를 신속하게 소화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소화물질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거나 상호 조합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단부(30)는 상기 배기덕트(2)의 내부에 화재에 의한 산소공급과 연쇄확산을 차단되도록 차단판(31)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31)과 연결되어 개/폐시키는 엑추에이터(35)를 구비한다. 차단부(30)는 도 3처럼 화재가 발생되면 후술하는 제어부(40)로 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화재지점으로부터 산소공급과 연쇄확산됨을 차단하도록 배기덕트(2)상에 차단판(31)과 엑추에이터(35)를 하나 이상 구비한다.
차단판(31)은 배기덕트(2)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엑추에이터(35)에 의해 배기덕트(2)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준다. 즉, 차단판(31)은 배기덕트(2)의 내ㆍ외부로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에 내설되어 직선운동을 수행한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 배기덕트(2)의 내부에 스로틀 방식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기덕트(2)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단판(31)은 평상시에 도 3처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가 발생되면, 도 4처럼 엑추에이터(35)에 의해 즉각 배기덕트(2)의 내부를 폐쇄시켜 산소공급과 연쇄확산을 방지시켜 준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차단부(30)의 엑추에이터(35)는 유ㆍ공압실린더 또는 모터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한다. 엑추에이터(35)는 후술하는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단판(31)을 배기덕트(2)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운동력을 발생한다. 즉, 엑추에이터(35)는 유ㆍ공압실린더나 모터를 이용하여 차단판(31)을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한다. 유ㆍ공압실린더는 유압이나 공압을 이용해 그 자체가 직선운동을 수행하므로 차단판(31)과 연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별도의 유압 및 공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반면에 모터에 경우에는 회전운동을 수행하므로 이를 직선운동으로 변환해 줄 별도의 장치(링크와 로드)가 필요하므로 차단판(31)과 연결이 비교적 어려운 단점은 있지만 제어가 용이하여 전반적인 건조기(1)를 단순화 시킬 수가 있다. 물론, 차단판(31)이 직선운동이 아닌 회전운동으로 배기덕트(2)를 개/폐하도록 장착되면 오히려 유ㆍ공압실린더와 모터의 장단점은 상호 치환될 수가 있다.
이외에도 모터를 이용하면서도 실린더와 동일한 작동을 수행하는 전동실린더(파워실린더)를 이용하게 되면, 유ㆍ공압실린더와 모터의 장점만을 모아 꾀할 수는 있지만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차단판(31)은 화재가 발생되면 순간적으로 배기덕트(2)의 내부를 폐쇄시켜야 되므로 작동속도가 빠른 공압실린더가 가장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상기 감지부(10), 소화부(20), 차단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소화부(20)와 차단부(30)를 제어하면서 건조기(1)의 전원을 단속한다. 제어부(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마이컴으로서, 감지부(10)의 신호를 입력받아 건조기(1)의 화재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부(20)와 차단부(30) 및 건조기(1)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부(40)는 건조기(1)의 배기팬 모터(41)와 챔버팬 모터(42)의 전원을 차단함과 함께 비상벨과 램프의 전원을 인가한다. 제어부(40)는 평상시에 감지부(10)로부터 지속적인 신호를 입력받아 건조기(1)상에 화재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여기서 감지부(10)가 설정된 시퀀스에 도달된 신호가 발생되면, 도 4처럼 소화부(20)와 차단부(30)의 작동신호를 출력하면서 건조기(1)의 배기팬 모터(41)와 챔버팬 모터(42)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다. 그리고 별도의 비상벨과 램프의 전원을 출력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화재발생에 의한 비상상태를 알려준다.
한편, 제어부(40)는 별도의 인터넷망과 연결하여 무인작업이 가능하도록 할수도 있다. 즉, 제어부(40)를 인터넷망과 연결된 서버와 연결하여 화재유무를 웹이나 스마트폰으로 출력시켜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도 있다. 또, 화재가 발생되면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물론이고 가까운 소방서에 문자나 전화를 연결시켜 신속하게 화재를 소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제어부(40)를 통하여 화재를 소화하는 구성이라면, 별도의 부가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은 물론이고 온라인에서도 가능함을 자명한다.
작동에 있어서, 섬유원단을 건조하는 작업도중에 건조기(1) 또는 배기덕트(2)에 장착된 감지기(11)에 의해 제어부(40)가 설정된 시퀀스 이상으로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건조실(1)과 배기덕트(2)에 장착된 노즐(21)과 차단판(31)을 작동하도록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비상벨과 램프의 전원을 출력한다. 그리고 배기팬 모터(41)와 챔버팬 모터(42)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시켜 작업을 완전히 중지시켜준다.
즉, 감지기(11)에 의해 화재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비상벨과 램프를 작동시켜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화재를 알려줘 사전에 예고된 행동요령을 취하도록 해준다. 그리고 노즐(21)을 개방시켜 소화물질을 분사시킴과 함께 엑추에이터(35)에 의한 차단판(31)을 작동시켜 배기덕트(2)의 내부를 완전히 폐쇄시켜 즉시 화재를 소화시켜 준다. 그리고 건조기(1)의 배기팬 모터(41)와 챔버팬 모터(42)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시켜 건조기(1)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등의 2차적인 피해를 방지한다. 여기서 제어부(40)에 의한 작동은 설명을 위해 일련의 순서대로 기재하였지만, 순서와 관계없이 감지기(11)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면 노즐(21), 엑추에이터(35), 배기팬 모터(41), 챔버팬 모터(42), 비상벨과 램프를 동시에 작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감지부가 건조기내에 발생하는 화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주면서 불꽃이나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부가 소화물질을 신속하게 분사시킴과 함께 차단부가 산소의 공급을 즉시 봉쇄시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도록 해주고 특히, 차단부가 연쇄적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시켜 섬유는 물론이고 고가의 섬유기기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건조기 2: 배기덕트
10: 감지부 11: 감지기
20: 소화부 21: 노즐
30: 차단부 31: 차단판
35: 엑추에이터 40: 제어부
41: 배기팬 모터 42: 챔버팬 모터

Claims (4)

  1. 섬유용 건조기(1)와 배기덕트(2)에 장착되어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1)와 배기덕트(2)의 내부에 장착되고, 발화에 의한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도록 감지기(11)를 구비하는 감지부(10);
    상기 건조기(1)와 배기덕트(2)의 내부에 장착되고, 감지부(10)에 의한 신호를 전달받아 소화물질을 분사하도록 노즐(21)을 구비하는 소화부(20);
    상기 배기덕트(2)의 내부에 화재에 의한 산소공급과 연쇄확산을 차단되도록 차단판(31)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31)과 연결되어 개/폐시키는 엑추에이터(35)를 구비하는 차단부(30); 및
    상기 감지부(10), 소화부(20), 차단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소화부(20)와 차단부(30)를 제어하면서 건조기(1)의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의 감지기(11)는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산소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하나 이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30)의 엑추에이터(35)는 유ㆍ공압실린더 또는 모터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건조기(1)의 배기팬 모터(41)와 챔버팬 모터(42)의 전원을 차단함과 함께 비상벨과 램프의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
KR1020120047452A 2012-05-04 2012-05-04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 KR20130123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52A KR20130123926A (ko) 2012-05-04 2012-05-04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52A KR20130123926A (ko) 2012-05-04 2012-05-04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26A true KR20130123926A (ko) 2013-11-13

Family

ID=4985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452A KR20130123926A (ko) 2012-05-04 2012-05-04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9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322A (ko) * 2014-03-27 2015-10-08 (주)대호산업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
KR20160030668A (ko) * 2014-09-11 2016-03-21 주식회사 삼일기계 섬유용 건조기의 배기장치
KR101676668B1 (ko) * 2015-06-26 2016-11-16 (주)태산전자 덕트 전용 지능형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덕트 신호 처리 기기의 회로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322A (ko) * 2014-03-27 2015-10-08 (주)대호산업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
KR20160030668A (ko) * 2014-09-11 2016-03-21 주식회사 삼일기계 섬유용 건조기의 배기장치
KR101676668B1 (ko) * 2015-06-26 2016-11-16 (주)태산전자 덕트 전용 지능형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덕트 신호 처리 기기의 회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3926A (ko) 섬유용 건조기의 화재예방 및 소화장치
JPH0344791B2 (ko)
KR101274136B1 (ko) 컨베이어벨트의 열감지 장치
JP5192852B2 (ja) ロータリーキルン型汚泥乾燥装置とその安全停止方法
KR101627682B1 (ko) 섬유용 건조기의 배기장치
KR100716671B1 (ko) 덕트용 자동 소화시스템.
US956824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H05132888A (ja) 乾燥装置
WO2009008631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explosion of instrument using organic solvent
KR101346318B1 (ko) 머시닝 센터의 자동 소화 시스템
EP1959047B1 (en) Dry-cleaning washing machine with infrared gas detector
KR20170067015A (ko) 옥내 저탄장 발화방지 및 진화시스템
EP277258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90104150A (ko) 화재 감지 및 진압시스템
US20140352367A1 (en) Garment tunnel finisher with atomized spray and hot air mix
US956231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7956008A (zh) 一种输棉用火星防治系统
JP2017537297A (ja) 廃棄物処理装置
EP3359264A1 (en) Suppression unit, nozzle for suppression unit, and method
FI126366B (fi) Soodakattilalaitoksen lipeäruiskujen käsittelylaite, soodakattilalaitos sekä menetelmä soodakattilassa
JP6655565B2 (ja) 衣類乾燥装置
KR102628706B1 (ko) 통신구 관리시스템
CN202440658U (zh) 拉幅定形机排风装置
JP5767305B2 (ja) 衣類処理装置
US5923818A (en) Water fog spraying system for infrared radiant dr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