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225A -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225A
KR20130122225A KR1020120045388A KR20120045388A KR20130122225A KR 20130122225 A KR20130122225 A KR 20130122225A KR 1020120045388 A KR1020120045388 A KR 1020120045388A KR 20120045388 A KR20120045388 A KR 20120045388A KR 20130122225 A KR20130122225 A KR 20130122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resin
shape
manufactur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1679B1 (ko
Inventor
김대원
박성원
김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Priority to KR1020120045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67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90Methods of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6Details of globes or cove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이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광소자와,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이격된 채, 상기 반도체 광소자의 광을 일측에서 받아 타측으로 내보내는 광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부재는 투광성 부재와 상기 투광성 부재의 적어도 일 표면에 형성된 요철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의 상기 요철패턴은 상기 투광성 부재에 도포된 임프린트 레진의 요철패턴을 따라 식각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광학부재의 제조방법{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OPTIC MEMBER USED FOR THE SAME APPARATUS}
본 발명은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내에서 반도체 광소자들의 보호 또는 반도체 광소자들로부터 나온 광의 확산 및/또는 전달에 이용되는 투광성의 광학부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요철패턴, 특히, 나노 크기의 오목부들 또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요철패턴을 광학부재 표면에 재현성 높게 형성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아직까지 조명용 광원으로 형광등과 백열등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백열등은, 소비전력이 높아 효율 및 경제성이 떨어지며, 이러한 이유로, 그 수요가 크게 감소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감소 추세는 미래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반면, 형광등은 소비전력이 백열등 소비전력의 대략 1/3 정도로 효율이 높고 경제적이다. 하지만, 형광등은 높은 인가 전압으로 인해 흑화 현상이 진행되어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형광등은, 아르곤 가스와 함께 유해 중금속 물질인 수은이 주입된 진공 유리관을 이용하므로, 환경 비친화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최근 들어서는 엘이디와 같은 반도체 광소자를 광원으로 포함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엘이디를 이용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는 수명이 길고 저 전력 구동의 장점을 갖는다. 또한,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는 수은과 같은 환경 유해물질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환경 친화적이다. 다양한 종류 그리고 다양한 구조를 갖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통상,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는 반도체 광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을 일 측면에서 받아 타 측면을 통해 방출하는 투광성의 광학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 광학부재는 반도체 광소자 등을 보호하면서 반도체 광소자의 광을 외부로 방출하는 광학 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 커버, 광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안내하는 광 안내 판(또는,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로서,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된 광학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광학부재에 광 확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화학적 방법 또는 기계적 방법을 이용하였었다. 화학적 방법은 작업 환경의 차이로 인해 광 확산 패턴을 광학부재에 일정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기계적 방법은 별도의 복잡한 공정이 더 추가되어야 하므로 공수 증가와 그에 따른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계적 방법은 공정 중 잘못된 기계 작동으로 인해 공정 불량을 유발할 가능성 높다. 또한, 종래의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는 광학부재에 수 내지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는, 점광원인 반도체 광소자를 이용하므로, 휘도가 높고 눈부심(glrare) 현상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눈부심을 현상을 줄이기 위한 여러 방안들 중 하나로 반도체 광소자의 광이 통과하는 광학 패널의 광 확산성을 높이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을 일측에서 받아 타측으로 내보내도록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에 이용되는 것으로 요철패턴이 재현성 높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형성된 광학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현성 높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요철 패턴을 형성한 광학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균일한 광 분포 및 균일한 성능을 가지며 눈부심 현상을 크게 억제할 수 있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광소자와,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이격된 광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부재는 투광성 부재와 상기 투광성 부재의 적어도 일 표면에 형성된 요철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의 상기 요철패턴은 상기 투광성 부재에 도포된 임프린트 레진의 요철패턴을 따라 식각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임프린트 레진의 요철패턴은 마스터 몰드의 요철패턴을 복제한 스탬프 몰드에 의해 스탬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학부재의 상기 요철패턴은 나노 크기를 갖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돔형, 콘형, 실린더형, 사다리꼴 단면 형상, 사각형 단면 형상, 직사각형 단면 형상, 삼각뿔형, 원뿔형, 다각뿔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에 적용되며 반도체 광소자의 광을 일측에서 받아 타측으로 내보내는 광학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광학부재 제조방법은, 투광성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투광성 부재의 적어도 일 표면에 임프린트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와; 스탬프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프린트 레진의 표면에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스탬핑 단계와; 상기 임프린트 레진의 요철패턴을 따라 상기 투광성 부재를 식각하여, 상기 투광성 부재의 일 표면에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식각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탬프 몰드는 미리 제작된 마스터 몰드로부터 요철패턴을 복제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프린트 레진은 폴리머 계열 레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식각 단계에 의해 상기 투광성 부재의 일 표면에는 나노 크기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요철패턴이 형성된다.
일 실시에에 따라, 상기 스탬프 몰드는 돔형, 콘형, 실린더형, 사다리꼴 단면 형상, 사각형 단면 형상, 직사각형 단면 형상, 삼각뿔형, 원뿔형, 다각뿔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요철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탬핑 단계는 상기 스탬프 몰드로 상기 임프린트 레진을 가압한 후 UV 경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탬핑 단계는 상기 스탬프 몰드로 상기 임프린트 레진을 가압한 상태에서 온도를 변화시켜 상기 임프린트 레진의 요철패턴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각 단계는 산소 플라즈마 반응성 이온 식각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학부재 제조방법은 상기 스탬핑 단계 후에 상기 스탬프 몰드가 상기 임프린트 레진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탬핑 단계 전에 상기 스탬프 몰드의 표면에 반 점착(anti-adhesion)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학부재 제조방법은 상기 스탬프 몰드를 준비하기 위해, 요철패턴이 형성된 상기 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몰드로 레진을 가압하여, 상기 마스터 몰드의 요철패턴이 역상으로 복제된 스탬프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지지기판 상에 Al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Al을 양극산화하여 상기 Al 표면에 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물을 제거하여 상기 Al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예에 따라, 상기 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GaN 템플릿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GaN 템플릿을 KOH 계열 수용액 내에 넣고 UV 광의 도움으로 광화학적 식각하여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수지 필름 또는 수지 판 상에 나노 크기를 갖는 다수의 수지 필라(pillar)들을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수지 필라들에 의해 요철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임프린트 레진은 PUA(Poly Urethane Acrylate)을 포함하고, 상기 스탬프 몰드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에 이용되는 광학부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그 광학부재의 요철패턴이 나노 크기로 미세하더라도, 그 요철패턴을 재현성 높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재현성 높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요철 패턴을 형성한 광학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를 균일한 광 분포를 갖도록 그리고 균일한 성능을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세 요철패턴을 포함하는 개선된 광확산 구조의 광학부재에 의해, 눈부심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요철패턴을 갖는 광학부재 제작을 위해 투광성 부재의 일면에 임프린트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4 및 도 5는 스탬프 몰드를 이용하여 임프린트 레진에 요철패턴을 형성하고 임프린트 레진을 UV 경화시키는 단계를 보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임프린트 레진의 요철패턴에 따라 투과성 부재의 표면을 식각하여 투광성 부재의 표면에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보인 단면도.
도 8a는 임프린트 레진에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스탬프 몰드 제작을 위해 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b은 스탬프 몰드 제작을 위한 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마스터 몰드를 이용하여 스탬프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1)는, 복수의 반도체 광소자(2)와, 상기 반도체 광소자(2)와 이격된 채 상기 반도체 광소자(2)의 상부를 덮고 있는 광학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반도체 광소자(2)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3) 상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3)은 히트싱크(5) 상에 부착된 채 상기 히트싱크(5)와 열전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히트싱크(5)는 다수의 방열핀(5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도체 기반 조명장치(1)는 전술한 반도체 광소자(2)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6)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1)는 상기 반도체 광소자(2)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광소자(2)는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광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광소자(2)는 광반도체를 봉지하는 봉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광반도체가 인쇄회로기판(3)에 직접 실장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리드단자들을 구비한 패키지에 내장된 채 인쇄회로기판(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부재(10)는 반도체 광소자(2)에서 발생된 광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투광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학부재(10)는 투명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학부재(10)가 유리가 아닌 다른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광학부재(10)는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에는 광 확산 기능을 갖는 요철패턴(12, 1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만 요철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패턴(12, 12)이 광 확산 기능을 갖지만, 다른 기능이나 용도를 갖는 요철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특정 기능 및 용도의 광학부재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을 유의한다.
상기 요철패턴(10)은 수 나노미터 내지 수백 나노미터 크기(직경 또는 폭)를 갖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는 돔형, 콘형, 실린더형, 사다리꼴 단면 형상, 사각형 단면 형상, 직사각형 단면 형상, 삼각뿔형, 원뿔형, 다각뿔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광학부재의 일 표면에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라, 광학부재의 일 표면에만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 설명되지만, 광학부재의 양 표면에 요철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양 표면의 요철패턴을 차례로 또는 동시에 형성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요철패턴이 형성된 광학부재와의 구분을 위해 요철패턴이 완전히 형성되기 전의 부재를 투광성 부재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부재번호 11이 투광성 부재를 지시하도록 부여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투광성 부재(11)가 준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광성 부재(11)로 평판 형상의 투명 유리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하 설명되는 방식에 의해 요철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투광성 재료가 투광성 부재(11)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투광성 부재(11)가 평판 형상을 갖지만 렌즈 형상, 벌브 형상, 튜브 형상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투광성 부재(11)의 상부 표면을 덮도록 나노 임프린트 레진(70)이 예컨대 스핀코팅 방식으로 도포된다. 이때 상기 레진(70)은 상기 투광성 부재(11)의 상면에 거의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도포되는 것이 좋다. 나노 임프린트 레진(70)으로는 UV 경화성의 PUA(Poly Urethane Acrylate)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미리 제작된 스탬프 몰드(80)를 이용하여 레진(70)의 상부 의 표면에 나노 크기의 오목부들 또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요철패턴(72)을 형성한다. 상기 오목부들 또는 상기 볼록부들 각각은 돔형, 콘형, 실린더형, 사다리꼴 단면 형상, 사각형 단면 형상, 직사각형 단면 형상, 삼각뿔형, 원뿔형, 다각뿔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탬프 몰드(80)는 상기 레진(70)에 요철패턴(72)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에 상응하는 패턴을 하부 표면에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탬프 몰드(80)는 UV 투과성을 갖는, 예를 들면,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노 임프린트 레진(70)에 대해 가압된 후 그 레진(7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탬프 몰드(80)는 적어도 하부 표면에 대하여 미리 반 점착(Anti-adhesion) 처리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스탬프 몰드(80)를 레진(70) 위에 놓고 대략 1bar의 압력을 가한다. 그 후, 280nm ~ 320nm 파장, 20w/cm2 세기의 UV 광을 이용해 약 20분간의 노광 공정을 통해 레진(70)을 경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스탬프 몰드(80)의 나노 요철패턴이 레진(70)에 전사되어, 상기 레진(70)의 표면에는 나노 크기의 오목부들 또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나노 요철패턴(72)이 형성된다. 전사 과정에서, 온도 조건을 다르게 함으로써, 패턴(72)들의 형태를 돔형, 콘형, 실린더형, 사다리꼴 단면 형상, 사각형 단면 형상, 직사각형 단면 형상, 삼각뿔형, 원뿔형, 다각뿔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탬프 몰드(80)는 요철패턴을 구비한 하부 표면이 투광성 부재(11)의 평판 형상에 맞추어 평평한 구조를 갖지만, 투광성 부재(11)가 곡면을 갖는 것이라면, 상기 투광성 부재(11)의 하부 표면도 그에 상응하는 곡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스탬프 몰드(80)를 임프린트 레진(70) 표면으로부터 분리하고, 나노 패턴들이 형성된 임프린트 레진(70) 위에서 식각 공정을 수행한다. 식각은 산소 플라즈마 반응성 이온 식각(RIE)가 이용될 수 있다. 레진(70) 표면의 패턴들에 대응되게 레진(70) 및 그 아래 투광성 부재(11)가 식각된다. 상기 식각에 의해, 상기 레진(70) 패턴의 오목부에 해당하는 영역이 먼저 식각된다. 따라서, 상기 투광성 부재(11)의 상부 표면은 레진(70)의 패턴을 따라 일정 패턴을 갖도록 식각된다. 상기 투광성 부재(11)에 형성된 요철패턴(12)은 돔형, 콘형, 실린더형, 사다리꼴 단면 형상, 사각형 단면 형상, 직사각형 단면 형상, 삼각뿔형, 원뿔형, 다각뿔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프린트 레진(70)이 제거되면, 투광성 부재(11)의 상부 표면에 나노 요철패턴(12)이 형성된 광학부재(10)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작된 광학부재(10)는 별도의 절단 작업 없이 바로 전술한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제작된 광학부재(10)가 복수개로 절단되어 전술한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절단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라인 형태로 구획하도록, 그 부분에는 요철패턴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제 전술한 스탬프 몰드를 제작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 표면에 나노 패턴을 갖는 마스터 몰드(또는, 마스터 템플릿)를 제작하고, 그 나노 패턴으로부터 복제된 패턴을 포함하는 스탬프 몰드 또는 복제 몰드를 제작한다.
마스터 몰드는 예를 들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방법들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도 8a는 AAO(Anodic Aluminium Oxide) 방법 또는 양극 알루미늄 산화 방법을 이용하여 마스터 몰드(M)를 제작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8a를 참조하면, 유리와 같은 지지 기판 상에 Al을 증착한 후, 양극 산화 공정에 의해 Al 표면에 Al 산화물을 형성하고, 다음, 산화물을 제거함으로써 Al 표면에는 나노 크기의 돔형 패턴들이 형성된다. 이 방법은 양극 산화시 인가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패턴들의 크기를 조절할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인가 전압이 커질수록 패턴들의 크기는 커진다.
도 8b는 GaN 템플릿 표면을 광화학적 식각하여 마스터 몰드(M)를 제작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미리 준비된 GaN 템플릿을 KOH 계열 수용액 내에 넣고 UV 광의 도움으로 식각한다. 도 8b에 나타낸 화학식에서와 같이 GaN 템플릿 표면의 Ga 원자로부터 N 원자가 떨어져나가, GaN 템플릿 표면에 나노 크기의 패턴들이 형성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방법들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마스터 몰드를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지 필름 또는 수지 판 상에 나노 크기를 갖는 다수의 수지 필라(pillar)들을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마스터 몰드를 만들 수 있다. 이때, 수지 필라들은 임프린트에 레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스터 몰드(M)가 제작되면, 그 마스터 몰드(M)를 이용하여 스탬프 몰드(80)를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작한다.
스탬프 몰드(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프린트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스탬프 기판(81)에 열경화성 레진(R)을 도포한 후. 마스터 몰드(M)로 레진(R)을 가압하면 마스터 몰드(M)의 패턴의 역상으로 스탬프 몰드(80)에 패턴(82)이 형성된다. 이때, 레진(R)은 열경화성의 PMMA 임프린트 레진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가압시 마스터 몰드(M)로 레진(R) 전 면적에 걸쳐 균일한 온도와 압력을 가한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광소자; 및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이격된 광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부재는 투광성 부재와 상기 투광성 부재의 적어도 일 표면에 형성된 요철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의 상기 요철패턴은 상기 투광성 부재에 도포된 임프린트 레진의 요철패턴을 따라 식각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프린트 레진의 요철패턴은 마스터 몰드의 요철패턴을 복제한 스탬프 몰드에 의해 스탬핑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의 상기 요철패턴은 나노 크기를 갖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돔형, 콘형, 실린더형, 사다리꼴 단면 형상, 사각형 단면 형상, 직사각형 단면 형상, 삼각뿔형, 원뿔형, 다각뿔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5.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광학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투광성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광성 부재의 적어도 일 표면에 임프린트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
    스탬프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프린트 레진의 표면에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스탬핑 단계; 및
    상기 임프린트 레진의 요철패턴을 따라 상기 투광성 부재를 식각하여, 상기 투광성 부재의 일 표면에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식각 단계를 포함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 몰드는 미리 제작된 마스터 몰드로부터 요철패턴을 복제한 것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임프린트 레진은 폴리머 계열 레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각 단계에 의해 상기 투광성 부재의 일 표면에는 나노 크기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요철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 몰드는 돔형, 콘형, 실린더형, 사다리꼴 단면 형상, 사각형 단면 형상, 직사각형 단면 형상, 삼각뿔형, 원뿔형, 다각뿔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요철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 단계는 상기 스탬프 몰드로 상기 임프린트 레진을 가압한 후 UV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 단계는 상기 스탬프 몰드로 상기 임프린트 레진을 가압한 상태에서 온도를 변화시켜 상기 임프린트 레진의 요철패턴 형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각 단계는 산소 플라즈마 반응성 이온 식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13.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 단계 후에 상기 스탬프 몰드가 상기 임프린트 레진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탬핑 단계 전에 상기 스탬프 몰드의 표면에 반 점착(anti-adhesion)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 몰드를 준비하기 위해,
    요철패턴이 형성된 상기 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몰드로 레진을 가압하여, 상기 마스터 몰드의 요철패턴이 역상으로 복제된 스탬프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지지기판 상에 Al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Al을 양극산화하여 상기 Al 표면에 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물을 제거하여 상기 Al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GaN 템플릿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GaN 템플릿을 KOH 계열 수용액 내에 넣고 UV 광의 도움으로 광화학적 식각하여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수지 필름 또는 수지 판 상에 나노 크기를 갖는 다수의 수지 필라(pillar)들을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수지 필라들에 의해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임프린트 레진은 PUA(Poly Urethane Acrylate)을 포함하고, 상기 스탬프 몰드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용 광학부재 제조방법.
KR1020120045388A 2012-04-30 2012-04-30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KR101501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388A KR101501679B1 (ko) 2012-04-30 2012-04-30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388A KR101501679B1 (ko) 2012-04-30 2012-04-30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225A true KR20130122225A (ko) 2013-11-07
KR101501679B1 KR101501679B1 (ko) 2015-03-11

Family

ID=4985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388A KR101501679B1 (ko) 2012-04-30 2012-04-30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9677A (ja) * 2020-04-23 2020-08-2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発光装置
JP2022028040A (ja) * 2013-11-14 2022-02-14 晶元光電股▲ふん▼有限公司 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177B1 (ko) * 2007-12-26 2009-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나노 임프린트용 스탬프 제조 방법
KR100972135B1 (ko) * 2009-11-13 2010-07-23 제이엠아이 주식회사 나노패턴이 형성된 led용 확산렌즈의 제조방법
KR101216664B1 (ko) * 2010-04-27 2012-12-28 (주)와이앤지 회절광학소자를 적용한 고광도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광도 발광다이오드
KR20110130907A (ko) * 2010-05-28 2011-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나노임프린팅용 마스터 스탬프 및 소프트 스탬프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28040A (ja) * 2013-11-14 2022-02-14 晶元光電股▲ふん▼有限公司 発光装置
JP2020129677A (ja) * 2020-04-23 2020-08-2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679B1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3797B2 (ja) 照明装置
US2007021280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JP2007194132A (ja) 照明装置
KR20120085816A (ko) 광학 요소, 이를 포함한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JP6164656B2 (ja) 光出力装置及び製造の方法
US20080179614A1 (en) Light-emitting diode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33768B1 (ko) 나노 임프린트 몰드 제조방법,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 임프린트 몰드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광다이오드
KR101215299B1 (ko) 나노 임프린트 몰드 제조방법,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 임프린트 몰드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광다이오드
KR20150063892A (ko) 조명장치의 제조방법
Khokhar et al. Nanofabrication of gallium nitride photonic crystal light-emitting diodes
KR101501679B1 (ko) 광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US8328390B2 (en) High irradiance through off-center optics
KR101853327B1 (ko) 발광소자 패키지의 제조방법
KR100972135B1 (ko) 나노패턴이 형성된 led용 확산렌즈의 제조방법
KR20160092635A (ko) 나노 임프린트 몰드 제조방법,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 임프린트 몰드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광다이오드
KR20160040384A (ko) 발광장치
US9798072B2 (en)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n optical element
KR101430112B1 (ko) 포토리소그래피 및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계층적 구조물 제조방법 및 계층적 구조물
KR100991760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
JP2007305621A (ja) 発光構造物
KR101364722B1 (ko) 나노 임프린트 몰드 제조 방법, 그것에 의해 제조된 나노 임프린트 몰드 및 그것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JP4939970B2 (ja) 面状発光構造物
KR101711212B1 (ko) 조명용 확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25641B1 (ko) 나노 임프린트 몰드 제조방법,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 임프린트 몰드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광다이오드
TWI826310B (zh) 複合面導光式車燈透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