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854A -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854A
KR20130121854A KR1020137013850A KR20137013850A KR20130121854A KR 20130121854 A KR20130121854 A KR 20130121854A KR 1020137013850 A KR1020137013850 A KR 1020137013850A KR 20137013850 A KR20137013850 A KR 20137013850A KR 20130121854 A KR20130121854 A KR 20130121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hemoglobin
heart rate
endotracheal intubation
oxygen sat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움베르또 시메오니
필립쁘 푸끄또
Original Assignee
아씨스땅스 ?블리끄 데 조삐또 드 마르세이유
위니베르시떼 덱스-마르세이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씨스땅스 ?블리끄 데 조삐또 드 마르세이유, 위니베르시떼 덱스-마르세이유 filed Critical 아씨스땅스 ?블리끄 데 조삐또 드 마르세이유
Publication of KR2013012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injections, endoscopy, bronchoscopy, sigmoidscopy, inser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or enem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혀(4), 후두개(7), 및 대응되는 설후두개곡(8)이 있는 하나의 구강(2)을 재현하는 해부학적 인체 모형(1)과,
-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기관내삽관술 대상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이 파라미터를 상기 해부학적 인체 모형에 대해서 기관내삽관술을 실시하는 시술자에게 변환장치(15)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15)을 포함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이다. 이 시뮬레이터는,
- 시술자가 조작하는 후두경(12)의 블레이드(11)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계측하기 위하여 인체 모형의 설후두개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힘 센서(13)와,
- 상기 힘 센서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을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입력으로 제공하는 전송 수단(14)을 포함한다.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힘 센서에 의해 계측된 상기 계측값을 참작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SIMULATOR FOR LEARNING TRACHEAL INTUBATION}
본 발명은 기관내삽관술의 학습(교육)을 위한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 적어도, 혀(tongue), 후두개(epiglottis), 및 이에 대응되는 설후두개곡(glossoepiglottic vallecula)이 있는 구강(buccal cavity)을 재현하는 해부학적 인체 모형과,
-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기관내삽관술 대상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값을 결정하고 이 값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기관내삽관술(tracheal intubation), 즉, 의학적 소생술의 목적으로 환자의 기관지에 튜브를 삽입하는 시술은, 성문(glottis)을 표시해서 보여주는 후두경(laryngoscope)에 의지하고 있다. 여기서, 성문은 기관 튜브가 삽입되어야 하는 후두(larynx)의 개구부이다. 이렇게 성문을 시야에 노출시키는 것은 어떠한 시각적 장애물 없이 시술자의 눈과 성문을 정렬함으로써, 후두경의 블레이드를 삽입하고 인두(pharynx) 내에서 이 블레이드를 적절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 목적을 위해, 후두경의 블레이드를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고 그 끝은 설후두개곡에 있는 혀 뿌리(기저부)에 댄다. 이 블레이드는 후두로의 접근을 방해하는 근육 조직(구체적으로는 환자의 혀)을 누르기 위해 사용한다
기관내삽관술은 공격적인 의료 행위로서, 환자가 견디기 어렵고 시술자는 신속하고 신중하게 실시해야 한다. 시술 중에는 기도가 부분적으로 막히게 되는데, 이에 환자는 일시적으로 호흡의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인두와 후두의 근육의 반사 운동에 의해서 통증을 느낄 수도 있고, 시술에 대한 반응으로서 구역질 반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특히, 후두경의 블레이드로 성문을 노출시키기 위한 행위가 제대로 된 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후두경의 블레이드의 설후두개곡에서의 압력이 커지게 되어서 환자의 심박을 둔화시키는 반사작용 및 전신성 산소결핍증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환자가 기관내 삽관을 견디기 힘들고, 환자의 몇가지 신체 기능과 상수(심박수와 혈액 산소화)가 연속해서 변동하게 되므로(한편 이들은 치료를 필요로 하게 만드는 병적 상태에 의해서 약화됨), 기관내삽관술을 시행해야 할 시술자가 사전에 반복해서 연습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교육을 환자에 대해서 수행하기는 어려울 수 있는바, 이를 해부학적 인체 모형에 대해서 시행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인체 모형에 있어서는 시술자의 시술의 질 및 생리적 내성을 시술자가 실시간으로 알 수는 없고, 교정 효과를 조금씩 확인해 가면서 교정을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자가 실시간으로 시술자의 시술의 질 및 생리적 내성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시뮬레이터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simulator)는
- 혀, 후두개, 및 대응되는 설후두개곡이 있는 하나의 구강을 재현하는 해부학적 인체 모형(anatomic dummy element)과,
-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기관내삽관술 대상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이 파라미터를 상기 해부학적 인체 모형에 대해서 기관내삽관술을 실시하는 시술자에게 변환장치(transducer)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simulation syste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는,
- 시술자가 조작하는 후두경의 블레이드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계측하기 위하여 인체 모형의 설후두개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힘 센서(force sensor)와,
- 상기 힘 센서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을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입력으로 제공하는 전송 수단(transmission means)을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힘 센서에 의해 계측된 상기 계측값을 참작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힘이 가해지는 동안의 시간을 참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치에 의해서, 기관내삽관술시의 의료적 소생술의 현실에서 부닥치는 어려움들 - 특히 상기 의학적 행위가 시술의 시간 및 질의 측면에서 최적으로 실시되지 않는 경우에, 환자가 이러한 의학적 행위를 견디기 힘들고 환자의 몇 가지 신체 기능과 상수(가령, 심박수와 혈액 산소화)가 연속해서 변동되는 것(한편 이들은 기관내삽관술을 요하는 병적 상태에 의해서 약화됨)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해부학적 인체 모형(1)은 어린이를, 바람직하게는 유아를 재현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가해지는 힘의 세기(intensity)를 참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시간의존적 변화의 표시는 상기 환자의 심전도 시뮬레이션을 구성한다.
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상기 심전도는 심박 기준값(예를 들어, 분당 135(±15)회)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 기준값을 매 30초마다 분당 5회씩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변환장치에는 상기 심전도를 표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가 포함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수단은 또한, 힘이 가해지는 시간에 따라 심박수가 감소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심박수 0은 시뮬레이션의 종료를 나타내는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수단은,
-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parameterizable threshold)보다 큰 값으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심박수가 30초 내에 분당 10회로 서서히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5% 내지 최소한 4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3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심박수가 10초 내에 분당 35회로 서서히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40% 내지 최소한 8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6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심박수가 20초 내에 분당 55회로 서서히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80% 내지 최소한 15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10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심박수가 20초보다 긴 시간 내에 분당 75회로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된다.
단, 이들 값 모두는 파라미터화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은 인체 모형의 설후두개곡에 설치된 힘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에 해당되며, 그 값이 10 N/cm²이상, 바람직하게는 20 N/cm²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N/cm²이상인 것이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시뮬레이션 수단은, 힘 센서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때부터, 바람직하게는 가해지는 힘이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작아지는 때부터 정상 심박수로 회복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상치로의 회복은, 가해지는 힘의 세기에 따라 그리고 그 힘의 증가에 따라 심박수가 감소하는 것에 대해서 위에서 정해놓은 규칙과 반대 규칙에 의거하여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는 상기 환자의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이다.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예를 들어, 상기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94(±4)%의 기준값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 기준값을 매 30초마다 3%씩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수단은 힘이 가해지는 동안의 시간에 따라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감소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수단은 특히, 가해지는 힘의 세기에 따라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감소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의 값이 0이 되는 것은 시뮬레이션의 종료를 나타내는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변환장치에는 또한,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 값을 음향 신호의 형태로 시술자에게 전달하되 상기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 값에 따라 음향 신호의 주파수를 다르게 하는 음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은
-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큰 값으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30초 내에 6%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5% 내지 최소한 4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3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10초 내에 20(±4)%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40% 내지 최소한 8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6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20초 내에 29(±4)%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80% 내지 최소한 15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10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20초가 넘는 시간 내에 38(±4)% 감소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된다.
시뮬레이션 수단은 또한, 힘 센서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때부터, 바람직하게는 가해지는 힘이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작아지는 때부터 정상적인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로 회복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상치로의 회복은, 가해지는 힘의 세기에 따라 그리고 그 힘의 증가에 따라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감소하는 것에 대해서 위에서 정해놓은 규칙과 반대 규칙에 의거하여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시뮬레이터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이 방법은,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 힘 센서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을 기록하는 단계,
- 힘 센서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에 따라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상기 기준값으로부터 실행 사이클마다 증분(increment)시키는 단계,
- 상기 증분된 파라미터를 상기 변환장치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시술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기관내삽관술의 시술 시간에 따라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실행 사이클마다 증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아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한정적이지 않은 예시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터에 사용되는 해부학적 인체 모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세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기본적으로 구개(3)와 혀(4)로써 경계지어지는 구강(2)이 형성되어 있는 상반신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해부학적 인체 모형(1)이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식도(5)와 기관(6), 그리고 혀(4) 뿌리에 형성되어 있는 후두개(7)도 볼 수 있다. 혀(4)와 후두개(7)는 함께, 설후두개곡(glossoepiglottic furrow or vallecula)(8)을 형성하고 있다. 기관은 성문을 이루고 있는 개구(9)를 통해서 구강 내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해부학적 인체 모형은 기관내삽관술의 교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기관내삽관술에는 환자의 성문(9)에 기관 튜브(10)를 삽입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성문이 시술자의 시야에 노출되어야 하는바, 시술자의 눈과 성문을 시각적으로 정렬시켜야 한다. 이는 후두경(12)의 블레이드(11)에 의해 수행된다.
시술자는 이를 위해 블레이드(11)의 끝을 설후두개곡(8)의 하부에 대고, 블레이드를 위쪽으로(환자가 서 있는 위치에서 볼 때, 구개 반대쪽으로 아래쪽 방향) 누른다. 이로써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생리적 반응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힘 센서(13)를 인체 모형(1)의 설후두개곡(8)의 혀 뿌리 아래의 설치함으로써 후두경(12)의 블레이드(11)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하에서, 가해지는 힘과 블레이드(11)가 가하는 압력은 동일한 것을 지칭하는 것이다)을 감지하도록 한다. 센서(13)의 계측 결과는 전기 도체(14)를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15)로 전송될 수 있는데, 이 마이크로컴퓨터(15)는 적어도, 데이터 처리수단과, 센서(13)의 계측값에 따라 심전도 시뮬레이션을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모니터와, 역시 센서(13)의 계측값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고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심장 박동(F)과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S)를 추출하기위한 알고리즘은 위에서 설명했다. 여기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그 다른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센서(13)가 수행한 계측값에 대해서, 제1 압력 임계값 P0로부터 압력 범위 [Pi, Pi+1]을 정의한다. 기준 심박수 F0와 기준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 S0를 설정하고, 심박수에 대한 시간별 증분 ΔF와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에 대한 시간별 증분 ΔS를 설정한다. 그리고 각각의 압력 범위 [Pi, Pi+1]에 대해서, 심박수에 대한 양의 증분 ΔFai와 음의 증분 ΔFbi 그리고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에 대한 양의 증분 ΔSai와 음의 증분 ΔSbi를 추가로 설정한다.
시뮬레이션이 시작되면(101), F값과 S값이 F0와 S0로 설정된다(102). 센서(13)가 수행한 p의 계측값 P가 취득된다(103).
루프 104에서는 P의 현재값이 압력 범위 [Pi, Pi+1] 내에 드는지 판정한다.
그 다음에 있는 판정 단계(105)에서는 후두경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했는지 감소했는지 판정한다. 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거나 증가하였으면, F와 S를 각각 ΔFbi와 ΔSbi 만큼 음으로 증분시킨다(106)(이에 심박수와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감소함). 반대로, 압력이 감소하였으면, F와 S를 각각 ΔFai와 ΔSai 만큼 양으로 증분시킨다(107)(이에 심박수와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증가함).
따라서 단계 105, 106 및 107을 통해 시술의 질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술의 질에 무관하게, 시술 시간의 효과를 참작하기 위해서 F 및 S를 각 실행 사이클마다 ΔF 및 ΔS 만큼 음으로 증분시킨다(108). 사이클 실행 시간의 항상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적절한 방안을 취한다.
또한, F와 S의 임의적 변화에 대한 대책을 만들 수도 있다.
갱신된 F와 S 값은 변환장치(모니터 및 스피커)로 전달된다(109).
마지막으로, 다음 실행 사이클에서 압력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P가 들어 있는 압력 범위 [Pi, Pi+1]를 메모리에 저장(110)하고, 새로운 사이클을 시작한다.
마이크로컴퓨터(15)의 소프트웨어는 모니터 상에서, 앞에서 정해진 심박수 F에서의 심전도를 시뮬레이션한다. 또한, 심장 박동의 리듬에 맞춰서 연속적인 비프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그리고 S에 따라 고음 톤과 저음 톤이 출력되도록 스피커를 제어한다.

Claims (10)

  1. - 혀(4), 후두개(7) 및 대응되는 설후두개곡(8)이 있는 하나의 구강(2)을 재현하는 해부학적 인체 모형(1)과,
    -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기관내삽관술 대상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이 파라미터를 상기 해부학적 인체 모형에 대해서 기관내삽관술을 실시하는 시술자에게 변환장치(15)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15)을 포함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 시술자가 조작하는 후두경(12)의 블레이드(11)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계측하기 위하여 인체 모형의 설후두개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힘 센서(13)와,
    - 상기 힘 센서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을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입력으로 제공하는 전송 수단(14)을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힘 센서에 의해 계측된 상기 계측값을 참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부학적 인체 모형(1)은 어린이를 재현하는, 바람직하게는 유아를 재현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힘이 가해지는 시간 또는 힘의 세기, 또는 힘이 가해지는 시간 및 힘의 세기를 참작하도록 구성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는 심박수에 해당되며,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은 힘이 가해지는 시간 또는 힘의 세기, 또는 힘이 가해지는 시간 및 힘의 세기에 따라 심박수가 감소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되 심박수가 0이 될 때 시뮬레이션의 종료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은,
    -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큰 값으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심박수가 30초 내에 분당 10회로 서서히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5% 내지 최소한 4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3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심박수가 10초 내에 분당 35회로 서서히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할 수 있는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40% 내지 최소한 8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6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심박수가 20초 내에 분당 55회로 서서히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할 수 있는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80% 내지 최소한 15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10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심박수가 20초보다 긴 시간 내에 분당 75회로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는 상기 환자의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에 해당되며,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은 힘이 가해지는 시간 또는 힘의 세기, 또는 힘이 가해지는 시간 및 힘의 세기에 따라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감소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되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0이 될 때 시뮬레이션의 종료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은,
    -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큰 값으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30초 내에 6%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5% 내지 최소한 4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3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10초 내에 20(±4)%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40% 내지 최소한 8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6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20초 내에 29(±4)% 감소하는 것;
    -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크며, 최소한 80% 내지 최소한 150% 증가한(바람직하게는 최소한 100% 증가한) 세기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반응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20초가 넘는 시간 내에 38(±4)% 감소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은 힘 센서(13)에 가해지는 압력에 해당되며, 10 N/cm²이상, 바람직하게는 20 N/cm²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 N/cm²이상인,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9.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은, 힘 센서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때부터, 바람직하게는 힘 센서에 가해지는 힘이 파라미터화 가능한 임계값보다 작아지는 때부터 정상 심박수 또는 정상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 또는 정상 심박수 및 정상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로 회복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뮬레이터를 적용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102),
    - 힘 센서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을 기록하는 단계(103),
    - 힘 센서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에 따라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상기 기준값으로부터 실행 사이클마다 증분시키는 단계(105~107),
    - 상기 증분된 파라미터를 상기 변환장치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시술자에게 전달하는 단계(1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적용 방법.
KR1020137013850A 2010-11-02 2011-11-02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KR201301218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04291 2010-11-02
FR1004291A FR2966967B1 (fr) 2010-11-02 2010-11-02 Simulateur destine a l'apprentissage de l'intubation tracheale
PCT/EP2011/005517 WO2012059218A1 (fr) 2010-11-02 2011-11-02 Simulateur destine a l'apprentissage de l'intubation trachea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854A true KR20130121854A (ko) 2013-11-06

Family

ID=4363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850A KR20130121854A (ko) 2010-11-02 2011-11-02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242596B2 (ko)
EP (1) EP2636033B1 (ko)
JP (1) JP6046629B2 (ko)
KR (1) KR20130121854A (ko)
CN (1) CN103229224B (ko)
CA (1) CA2816608C (ko)
ES (1) ES2546769T3 (ko)
FR (1) FR2966967B1 (ko)
PT (1) PT2636033E (ko)
WO (1) WO2012059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3711A1 (en) * 2014-09-16 2017-07-26 Truphatek International Ltd. Imaging device and data management system for medical device
US10264958B2 (en) * 2015-10-19 2019-04-23 University Of New Hampshire Sensor-equipped laryngoscope and system and method for quantifying intubation performance
WO2017123852A1 (en) * 2016-01-15 2017-07-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arametrically adjustable airway training mannequin with instrumented parameter assessment
US10037716B2 (en) * 2016-05-27 2018-07-31 Bt Inc. Endotracheal intubation training device for medical emergency training
KR101887228B1 (ko) * 2016-11-10 2018-08-14 서울대학교병원 갑상선 절제술 연습을 위한 인체모형
DE102016014637A1 (de) * 2016-12-09 2018-06-14 Dräger Safety AG & Co. KGaA Kunstkopf zum Testen von Atemschutzgeräten
CN108133652A (zh) * 2017-12-06 2018-06-08 扬州维森视觉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模拟支气管内镜辅助麻醉插管装置
CN109887366A (zh) * 2019-02-26 2019-06-14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人体咽、喉部动态诊疗模拟装置
CN110246390B (zh) * 2019-06-03 2024-04-12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可模拟人体咽部反射的诊疗装置
CN110349488B (zh) * 2019-07-26 2024-05-10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可模拟多种状态的人体喉咽疾病诊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47445C (da) * 1982-05-04 1985-02-18 Testa Lab A S Apparat til indoevelse af tracheal intubation
FR2588984B1 (fr) * 1985-10-17 1988-01-15 Raionnoe Energet Upravle Simulateur pour apprentissage de procedes de reanimation urgente
JP2541337Y2 (ja) * 1991-10-22 1997-07-16 株式会社高研 新生児挿管訓練人形
US7976312B2 (en) * 1996-05-08 2011-07-12 Gaumard Scientific Company, Inc.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US7811090B2 (en) * 1996-05-08 2010-10-12 Gaumard Scientific Company, Inc.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US5823787A (en) * 1997-09-17 1998-10-20 Medical Plastics Laboratory, Inc. Training mannequin for management of normal and abnormal airways
US7665995B2 (en) * 2000-10-23 2010-02-23 Toly Christopher C Medical training simulator including contact-less sensors
ITRM20010554A1 (it) * 2001-09-12 2003-03-12 Univ Roma Laringe artificiale.
US20050100873A1 (en) * 2003-05-02 2005-05-12 Meythaler Jay M. System for simulating cerebrospinal injury
CN2751387Y (zh) * 2004-11-25 2006-01-11 刘霄飞 新生儿气管插管训练模型
US8480404B2 (en) * 2004-11-30 2013-07-09 Eric A. Savitsky Multimodal ultrasound training system
US8393905B2 (en) * 2004-12-17 2013-03-12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Medical simulation computer system
JP4079380B2 (ja) * 2006-02-24 2008-04-23 エッチ・アール・エス コンサルタントサービス有限会社 経食道心エコー診断教育装置
US8764450B2 (en) * 2008-02-15 2014-07-01 Carla M. Pugh Clinical assessment and training system
JP4932768B2 (ja) * 2008-03-12 2012-05-16 学校法人早稲田大学 気管挿管訓練装置
WO2010108173A2 (en) * 2009-03-20 2010-09-23 Reset Medical, Inc. Endotracheal tube with sensors
CN201549119U (zh) * 2009-12-02 2010-08-11 天津市医学堂科技有限公司 小儿气管插管训练模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66967A1 (fr) 2012-05-04
JP6046629B2 (ja) 2016-12-21
US20130216992A1 (en) 2013-08-22
CN103229224A (zh) 2013-07-31
CA2816608C (fr) 2020-03-10
EP2636033A1 (fr) 2013-09-11
FR2966967B1 (fr) 2012-12-07
CN103229224B (zh) 2016-08-10
US10242596B2 (en) 2019-03-26
ES2546769T3 (es) 2015-09-28
WO2012059218A1 (fr) 2012-05-10
PT2636033E (pt) 2015-10-08
JP2014500976A (ja) 2014-01-16
CA2816608A1 (fr) 2012-05-10
EP2636033B1 (fr)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1854A (ko) 기관내삽관술 교육용 시뮬레이터
JP5398828B2 (ja) 歯科治療練習方法及び装置
JP3829197B2 (ja) 聴診教育用装置
Goldstei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ands-free electrolarynx device controlled by neck strap muscle electromyographic activity
US20150004584A1 (en) Modular patient simulating mannequin and method thereof
JP6647526B2 (ja) 聴診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模擬採音部
JP2013520688A (ja) 患者看護について教示するインタラクティブな教育システム
Kummer Speech and resonance disorders related to cleft palate and velopharyngeal dysfunction: a guide to evaluation and treatment
JP2009217082A (ja) 気管挿管訓練装置
McKenna et al. Magnitude of neck-surface vibration as an estimate of subglottal pressure during modulations of vocal effort and intensity in healthy speakers
KR101883321B1 (ko)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AU782195B2 (en) Method and system having simplified neuromuscular transmission scoring
JP5038276B2 (ja) 位置検出装置、そのプログラム、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気管挿管訓練装置
Melnyk et al. Clinical and phonetic features of dentognathic deformations, their orthodontic treatment
Holmes et al. Laryngeal airway resistance of older men and women as a function of vocal sound pressure level
KR20060087852A (ko) 수면 무호흡 진단 및 수면 무호흡 유형별 치료 방법 및 장치
KR20160055624A (ko)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Vaiman et al. Biofeedback training of nasal muscles using internal and external surface electromyography of the nose
JP5571605B2 (ja) 医療用実習装置および実習管理システム
KR20190139431A (ko) 초보자를 위한 심폐소생술 학습 교구
JPS6132669B2 (ko)
Noh et al. Development of patient scenario generation which can reproduc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for simulating real-world conditions of task for airway management training system WKA-3
Liu et al.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laryngectomees breathing quietly and speaking with the electrolarynx
Chapin et al. Comparison of labial and mechanical interruption for measurement of aerodynamic parameters
Machado et al. Immediate effects of cervical stimulation and diaphragmatic release on vocal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