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273A - 조류 퇴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류 퇴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273A
KR20130121273A KR1020120044312A KR20120044312A KR20130121273A KR 20130121273 A KR20130121273 A KR 20130121273A KR 1020120044312 A KR1020120044312 A KR 1020120044312A KR 20120044312 A KR20120044312 A KR 20120044312A KR 20130121273 A KR20130121273 A KR 20130121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unit
bird
spea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554B1 (ko
Inventor
이신렬
유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뮤솔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뮤솔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뮤솔버스
Priority to KR1020120044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55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2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with generation of periodically explosive repo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Abstract

복수의 방사음 패턴 및 적어도 하나의 퇴치음이 저장되는 메모리, 지정된 넓이의 단위 셀로 분할된 퇴치 예정 영역의 외곽선 및 단위 셀간 경계에 설치되며, 각각 식별자가 부여되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퇴치음 출력부,복수의 스피커를 관리하는 스피커 관리부, 조류가 출현함에 따라 퇴치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로 보고하는 퇴치 명령 처리부; 퇴치 명령이 생성됨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방사음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패턴 선택부 및 방사음 패턴이 선택됨에 따라, 스피커 관리부를 참조하여 선택된 방사 패턴에 따른 퇴치음을 출력할 스피커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류 퇴치 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조류 퇴치 시스템{System for Repelling Birds}
본 발명은 유해 생물 퇴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류 퇴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행장, 농가, 양식장 등에서는 조류와 같은 유해 생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청각적, 후각적, 시각적, 촉각적 퇴치 방법들이 연구되어 오고 있다.
천적 모형이나 반짝이는 시각 자극제를 이용하는 시각적 퇴치 방법이나, 조류 기피제를 이용하는 후각적 방법은 학습 효과가 현저한 단점이 있고, 방충망이나 그물 등을 이용하는 촉각적 방법은 시설물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높아 이용률이 낮다. 따라서, 학습 효과가 다소 느린 청각적 방법이 조류 퇴치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음향 조류 퇴치 장치란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조류를 원하는 공간에서 퇴치시키는 장치로 폭음, 총격음, 조류 기피/퇴치/통제음, 초음파를 이용한 장치로 분류된다. 시각적 퇴치 장치에 비하여 단위 면적당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하여 주로 채택되고 있으며, 다음의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분류 설명 음압 레벨
폭음 폭음기를 이용하여 조류 산란을 유발시킴 최소 130dB
총격음 공포탄, 엽총, 산탄총을 이용하여 조류 산란을 유발시킴 최소 125dB
조류기피음 합성음 음성 녹음, 라디오를 이용하여 조류 산란을 유발시킴 최소 110dB
천적음 해당 조류의 천적 음을 녹음하여 조류 산란을 유발시킴 최소 110dB
조류퇴치음 공진음 해당 조류의 청각기관을 자극시키는 음향을 이용하여 고통을 유발시킴 최소 130dB
전자음 해당 조류에게 위협을 유발시키는 음향을 이용하여 산란을 유발시킴 최소 130dB
조류통제음 언어 해당 조류의 언어를 이용하여 접근하지 말라는 새소리를 녹음하여 사용함 최소 110dB
고통음 해당 조류에 고통을 가한 소리를 녹음하여 동종 조류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함 최소 110dB
무리음 해당 조류 무리들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녹음하여 동종 조류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함 최소 110dB
초음파 해당 조류의 가청 주파수대역을 고려한 인간은 들을 수 없는 초음파 음을 이용하여 산란을 유발시킴 최소 120dB
폭음을 이용하는 음향 조류 퇴치 장치(폭음기)는 폭발음 간격 조절기를 사용하여 출력 간격(40초~30분)을 설정할 수 있고, 음량을 최대 130dB로 할 수 있으며, 볼륨 조절기를 통해 100dB까지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태양광 폭음기의 경우 폭발 위험이 없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하지만, 폭음기는 설치 초기에는 광범위하게 효과가 나타나지만 크고 반복적인 소리만으로는 일시적인 효과밖에 나타나지 않고, 수일 내로 학습이 이루어져 시간이 흐름에 따라 효과가 크게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총포를 이용한 음향 조류 퇴치 장치는 주로 공항 등에서 항공기와의 조류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125dB 이상의 총격음을 발생하는 공포탄을 사용하거나, 수십 미터를 날아가 새 무리 주위에 고무 파편을 퍼뜨리는 산탄총 등이 사용된다. 사용 초기에는 공포탄 총격음 만으로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새들이 직접적인 피해가 없다고 학습하게 되면 새들이 멀리 날아가지 않고 다시 모여드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학습 효과를 없애기 위해 공포탄, 산탄총 외에 엽총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새들을 직접 죽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음향 조류 퇴치 장치로 유해 조류가 기피하는 기피음(경고음, 스트레스성 음향, 천적 음향), 조류에게 고통을 유발시키는 퇴치음(공진음, 전자음), 조류 통제음(언어, 고통음, 무리음) 등을 메모리 칩에 내장시켜 스피커를 통해 방사함으로써 유해 조류가 해당 지역에서 이탈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음향을 선택하는 기능 외에도 음량 조절, 음향 방사 간격, 음향의 임의적 또는 지속적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새들이 특정 음향 패턴에 쉽게 익숙해지지 못하게 한다. 하지만, 현재 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제품들은 낮은 음향 출력으로 인해 적용 범위가 좁다. 또한, 조류 통제음을 사용하는 장치의 경우 외산 제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토종 조류와의 연관성이 적어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한편, 초음파 조류 퇴치 장치는 유해 조류의 가청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위협적인 특정 초음파 주파수 신호음을 방사함으로써 조류가 위협을 느껴 해당 지역을 이탈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유해 조류를 이탈시키기 때문에 인간에게 소음을 유발시키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하지만,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초음파에 대한 내성이 생겨 효과를 담보할 수 없다. 아울러, 초음파는 공기에 의한 감쇄가 심하기 때문에 근거리용 또는 실내용으로만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과수농가, 양식장과 같은 넓은 범위의 야외 공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대출력 초음파 장치가 요구된다.
또 다른 음향 조류 퇴치 장치로 장거리 음향 조류 퇴치 장치가 있다. 이 장치는 특정 지역으로 음향 신호를 집중시켜 150dB에 가까운 고출력 음향을 방사하는 지향성 음파 송신기를 이용한다. 조류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해 감시 카메라와 연동이 가능하며, 최근에는 무인 로봇 기술과 결합한 무인 조류 퇴치 로봇이 개발되었다. 지향성 음파 송신기는 대출력 음향을 특정 지역에 방사하는 장비이지만 음향이 넓은 영역에 걸쳐 방사되어 주변 소음 피해를 유발한다. 또한, 원거리에서 음향을 방사시킴에 따라 위협감이 감쇄되어 조류의 학습 효과가 빨라지게 된다. 아울러 고가로 제작되므로 대중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무인 조류 퇴치 로봇은 반자율 이동 로봇과 장거리 음향 조류 퇴치 장치를 결합시킨 장비로, 이동 로봇이 관제실의 통제에 따라 조류 부근까지 근접해서 레이저 빔 또는 퇴치 음을 방사시켜 조류를 퇴치시킨다. 이동 로봇이 조류에 근접한 상태에서 인식된 조류의 특성에 맞는 퇴치음을 방사하기 때문에 조류의 학습 효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일 뿐 아니라 운용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학습 효과를 늦출 수는 있지만 로봇에 대한 조류의 학습 효과를 막을 수는 없다. 아울러, 고출력 음향 재생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변 소음을 크게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류의 학습 효과를 억제시킬 수 있는 조류 퇴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변에 소음을 극소화시키고 유해 생물을 퇴치할 수 있는 조류 퇴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류 퇴치 시스템은 복수의 방사음 패턴 및 적어도 하나의 퇴치음이 저장되는 메모리; 지정된 넓이의 단위 셀로 분할된 퇴치 예정 영역의 외곽선 및 상기 단위 셀간 경계에 설치되며, 각각 식별자가 부여되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퇴치음 출력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관리하는 스피커 관리부; 조류가 출현함에 따라 퇴치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로 보고하는 퇴치 명령 처리부; 상기 퇴치 명령이 생성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방사음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패턴 선택부; 및 방사음 패턴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스피커 관리부를 참조하여 선택된 방사 패턴에 따른 퇴치음을 출력할 스피커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접해오는 물체에 대한 조류의 위협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조류에 근접해 가는 이동음을 방사하여 조류에 대한 위협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다양한 패턴으로 방사음을 출력함으로써 조류의 학습 효과를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퇴치 대상 조류를 향해 방사음을 출력하기 때문에 주변 소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류 퇴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 배치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류 퇴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류 퇴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사음 출력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류 퇴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류 퇴치 시스템(10)은 제어부(110), 메모리(120), 운용자 인터페이스(130), 스피커 관리부(140), 퇴치 명령 처리부(150), 패턴 선택부(160) 및 퇴치음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조류 퇴치 시스템(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메모리(120)에는 조류 퇴치 시스템(10)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제어 데이터 등이 저장되고, 나아가 다양한 방사음 패턴 및 다양한 퇴치음 등이 저장된다.
운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운용자가 조류 퇴치 시스템(1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조류 퇴치 시스템(10)의 동작 상황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피커 관리부(140)는 퇴치음 출력부(170)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피커(174)를 관리한다. 복수의 스피커(174)에는 각각 식별자가 부여될 수 있으며, 스피커 관리부(140)는 각 스피커의 동작 상태, 배열 위치 등을 식별자에 따라 관리한다.
퇴치 명령 처리부(150)는 퇴치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알린다. 퇴치 명령은 운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운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감시 카메라(180)의 인식 결과를 참조하여 퇴치 명령 처리부(150)에서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퇴치 명령 처리부(150)는 감시 카메라(180)와 연동하여 퇴치 성공 여부를 판단, 퇴치에 성공하지 않은 경우 퇴치 명령을 재생성할 수 있다.
패턴 선택부(160)는 퇴치 명령 처리부(150)에 의해 퇴치 명령이 생성됨에 따라,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20)에 저장된 다양한 방사음 패턴 중 어느 하나와 다양한 퇴치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퇴치음 출력부(170)는 패턴 선택부(160)에서 선택된 방사음 패턴에 따라 선택된 퇴치음을 출력한다. 퇴치음 출력부(170)는 앰프(172) 및 복수의 스피커(1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스피커(174)는 퇴치 예정 영역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설치되며, 각각 고유의 식별자가 부여된다. 스피커(174)가 유선으로 설치되는 경우 앰프(172)는 다채널 앰프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스피커(174)가 무선으로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스피커(174)는 앰프를 내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피커와 제어부(110)는 RFID 방식 또는 지그비 방식 등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명령어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본 발명에서 스피커(174)는 퇴치 예정 영역에 설치되며, 퇴치 예정 영역은 지정된 넓이의 단위 셀로 분할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 배치도이다.
먼저, 도 2는 퇴치 예정 영역(210)을 복수의 단위 셀(220)로 분할하고, 각 단위 셀(220)에 지정된 간격의 스피커(230-1~230-4)가 설치된 경우의 배치도(20)를 나타낸다.
각각의 스피커(230-1~230-4)는 출력 방향이 셀(220)의 중심점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위 셀(220)은 예를 들어 사각형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셀의 꼭지점마다 스피커(230-1~230-4)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스피커 배치도(30)는 퇴치 예정 영역(310)을 복수의 단위 셀(320)로 분할하고, 각 단위 셀(320)의 경계점에 스피커(330-1~330-9)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피커(330-1~330-9)는 무지향성 스피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퇴치 예정 영역(410)의 외곽선에 배치되는 스피커(330-1, 330-2, 330-3, 330-4, 330-6, 330-7, 330-8, 330-9)는 출력 방향이 퇴치 예정 영역의 중심부를 향하는 지향성 스피커일 수 있다.
도 4는 공중 방사형 스피커 배치도(40)이다. 도 2 및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퇴치 예정 영역(410)을 복수의 단위 셀(420)로 구분한다. 그리고, 각 단위 셀(420)의 경계점에 공중 방사형 스피커(430-1~430-9)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는 공중에 비행 중인 조류를 향해 퇴치음을 방사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퇴치 예정 영역(310, 310, 410)을 복수의 단위 셀(220, 320, 420)로 구분하고, 각 단위 셀의 경계 부근에 복수의 스피커를 설치한다. 그리고, 조류가 출현한 경우 퇴치 명령 처리부(150)에서 퇴치 명령을 발생, 이에 따라 패턴 선택부(160)가 방사 패턴 및 퇴치음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퇴치음은 선택된 방사 패턴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스피커를 통해 퇴치 예정 영역에 방사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류 퇴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퇴치 예정 영역에 조류가 출현함에 따라, 퇴치 명령 처리부(150)에서 퇴치 명령이 발생한다(S101).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패턴 선택부(160)를 동작시키고, 패턴 선택부(160)는 메모리(120)를 참조하여 방사 패턴을 선택한다(S103). 이 때, 패턴 선택부(160)는 방사 패턴에 더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퇴치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사 패턴이 선택됨에 따라, 제어부(110)는 스피커 관리부(140)를 참조하여 방사 패턴을 출력할 스피커(174)를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퇴치음을 방사한다(S105).
본 발명에서, 방사 패턴은 다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1. 퇴치 예정 영역의 적어도 한 측 외곽에 배치된 스피커로부터 목적 지역(중심부 또는 조류 밀집부)를 향하여 진행음을 출력하고, 상기 진행음이 목적 지역에 도달하면 목적 지역에서 타격음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
2. 퇴치 예정 영역의 적어도 한 측 외곽에 배치되는 출발 스피커로부터 목적 지역을 통과하여 출발 스피커의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스피커 방향으로 진행음을 출력
3. 퇴치 예정 영역의 일측 일단으로부터 목적 지역을 향하여 회오리 형태로 진행음을 출력하고, 진행음이 상기 목적 지역에 도달하면 목적 지역에서 타격음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
4. 퇴치 예정 지역의 각 단위 셀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무작위로 타격음을 출력하되, 목적 지역으로부터 먼곳으로부터 목적지역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
즉, 본 발명은 조류가 고정된 물체에 대한 학습 효과가 빠른 반면, 매 순간 이동하는 물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과, 조류가 원거리 물체에 반응하지 않으며 자신에 근접에 있는 물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 그리고 조류가 자신에게 근접해 오며 이동하는 음향에 대해 위협감을 크게 느끼는 특성을 이용하여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스피커를 배치하고, 목적 지역(중심부 또는 조류 밀집부)를 향해 퇴치음이 이동해 오거나 지나가는 형태의 서라운드 음향 패턴을 방사한다.
기존 음향 조류 퇴치 장치는 음원이 한 곳에 고정되어 있고, 원거리에서 음이 방사되어 조류가 느끼는 위협감이 적고, 방사 패턴이 단순하여 학습 효과가 빠른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조류 퇴치 시스템은 음원이 조류를 향해 근접하는 효과 또는 조류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효과를 유발하기 때문에 퇴치음을 위협적으로 방사할 수 있다. 따라서, 조류의 학습 효과를 억제시킬 수 있으며, 조류를 향해서만 퇴치음이 방사되므로 주변 소음 또한 감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류 퇴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감시 카메라에 의해 조류의 출현을 감지하는 경우의 퇴치 방법을 나타낸다.
감시 카메라(180)에 의해 조류의 출현이 감지됨에 따라(S201), 퇴치 명령 처리부(150)는 퇴치 명령을 생성한다(S203).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패턴 선택부(160)를 동작시켜, 패턴 선택부(160)에 의해 메모리(120)에 저장된 방사 패턴이 선택된다(S205). 이 때, 패턴 선택부(160)는 방사 패턴에 더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퇴치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사 패턴이 선택됨에 따라, 제어부(110)는 스피커 관리부(140)를 참조하여 방사 패턴을 출력할 스피커(174)를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퇴치음을 방사한다(S207). 방사 패턴은 상술한 네 가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퇴치음이 방사된 후에는 감시 카메라(180)에 조류가 포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퇴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209). 그리고, 조류 퇴치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퇴치 명령 처리부(150)는 제어부(110)로 임무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S211)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반면, 조류 퇴치에 실패한 경우에는 방사 패턴을 선택하는 단계(S205)로 진행, 이전 단계와 다른 패턴으로 방사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감시 카메라(180)를 통해 조류가 포착되는 경우, 해당 조류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조류 데이터베이스 및 조류 판별부를 더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조류의 종류가 판별되는 경우, 패턴 선택부(160)는 해당 조류의 특성에 맞는 방사 패턴 및 퇴치음을 선택한다.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운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한 조류 밀집부를 목적지역으로 설정하거나, 무작위 또는 기 설정된 목적지역으로 퇴치음을 방사한다. 하지만,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게 되면 조류 밀집부가 시스템적으로 확인 가능하므로, 감시 카메라에 의해 확인된 조류 밀집부를 목적 지역으로 하여 퇴치음이 서라운드 형태로 목적 지역을 향해, 또는 목적 지역을 통과하면서 방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사음 출력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서는 크게 네 가지 방사 패턴으로 퇴치음을 출력할 수 있다.
먼저, 도 7은 퇴치 예정 영역의 적어도 한 측 외곽의 단위 셀로부터 지정된 목적 지역 간의 경로 상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진행음을 방사음 패턴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의 (a)는 퇴치 예정 지역의 일측 외곽의 단위 셀(A)에 배치된 스피커로부터 그 다음 셀(B)을 통과하여 목적 지역(C)을 향하여 '슈-욱'하는 진행음을 출력한 후 목적 지역(C)에서 '탕'하는 타격음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진행음은 외곽의 단위 셀(A) 로부터 목적 지역(C)에 이르기까지 각 단위 셀(A, B)배치된 스피커를 순차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타격음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목적 지역(C)을 둘러싸고 배치된 모든 스피커를 동시 구동하거나(동시 타격음), 목적 지역(C)을 둘러싸고 배치된 스피커를 순차적으로 구동(순차 타격음)할 수 있다.
도 7의 (b)는 퇴치 예정 지역의 양측 외곽의 각 단위 셀(A1, A2)에 배치된 스피커로부터 그 다음 셀(B1, B2)을 통과하여 목적 지역(C)을 향해 진행음을 출력한 후 목적 지역(C)에서 타격음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 7의 (c)는 퇴치 예정 지역의 상하/양측 외곽의 단위 셀(A1, A2, A4, A4)로부터 인접하는 다음 셀(B1, B2)을 통과하여 목적 지역(C)을 향해 진행음을 출력한 후 목적 지역(C)에서 타격음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다음, 도 8은 퇴치 예정 영역의 적어도 한 측 외곽의 출발 단위 셀로부터 지정된 목적 지역 및 상기 출발 단위 셀과 대향하는 위치의 단위 셀 간의 경로 상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진행음을 방사음 패턴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퇴치 예정 영역의 제 1 외곽 셀(A1)로부터 셀 A2, 목적 지역인 셀 C, 셀 A3 및 A1과 대향하는 위치인 A4까지 진행음이 방사된다. 이와 함께, 셀 A4, 셀 A3, 셀 C, 셀 A2, 셀 A1을 향하여, 진행음이 방사된다.
나아가, 목적 지역 C를 통과하는 셀 A1-A4로의 진행음과 수직 교차하도록 셀 B1, 셀 C, 셀 B2를 향하는 진행음 및 셀 B2, 셀 C, 셀 B1을 향하는 진행음을 동시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상기 퇴치 예정 영역의 일측 일단으로부터 지정된 목적 지역을 향하여 회오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로 상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진행음을 방사음 패턴을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퇴치 예정 영역의 일측 일단의 출발 셀(A1)로부터 A2-A3-A4-A5-A6-A7-A8-A9-A10-A11… 순으로 퇴치음이 목적 지역(C)으로 좁혀 들어오는 듯한 음감으로 진행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회오리 형태의 진행음이 목적 지역(C)에 도달하면 목적 지역(C)에서 타격음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위협감을 더욱 배가시킨다.
회오리 형태의 진행음은 상술한 형태 및 도 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먼 곳으로부터 목적지역까지 회오리 형태로 좁혀 들어오며 진행하는 음감을 갖도록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은 퇴치 예정 지역의 각 단위 셀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무작위로 타격음을 출력하되, 타격음이 지정된 목적 지역으로부터 먼 곳으로부터 상기 목적지역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면서 출력되는 방사음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목적 지역(C)에서 먼 곳으로부터 타격음이 시작되어, 타격음 출력 위치가 점차 목적 지역(C)으로 근접하도록 제어함을 알 수 있다(①~⑨의 순서). 따라서, 퇴치 대상 조류들이 무작위적인 타격음에 위협감을 느낌과 동시에 타격음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효과 및 점차 자신에게 근접해 오는 효과까지 이루어낼 수 있어 조류 퇴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조류 퇴치 시스템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
130 : 운용자 인터페이스
140 : 스피커 관리부
150 : 퇴치 명령 처리부
160 : 패턴 선택부
170 : 퇴치음 출력부
180 : 감시 카메라

Claims (12)

  1. 복수의 방사음 패턴 및 적어도 하나의 퇴치음이 저장되는 메모리;
    지정된 넓이의 단위 셀로 분할된 퇴치 예정 영역의 외곽선 및 상기 단위 셀간 경계에 설치되며, 각각 식별자가 부여되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퇴치음 출력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관리하는 스피커 관리부;
    조류가 출현함에 따라 퇴치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로 보고하는 퇴치 명령 처리부;
    상기 퇴치 명령이 생성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방사음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패턴 선택부; 및
    방사음 패턴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스피커 관리부를 참조하여 선택된 방사 패턴에 따른 퇴치음을 출력할 스피커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상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조류 퇴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조류 출현 여부를 감지하는 감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 카메라를 참조하여 조류가 밀집된 단위 셀을 판단하며,
    상기 퇴치 명령 처리부는 상기 감시 카메라에 조류가 포착됨에 따라 퇴치 명령을 생성하고, 조류 퇴치 여부를 판단하여 퇴치 명령을 재생성하며,
    상기 패턴 선택부는 상기 재생성되는 퇴치 명령에 따라 방사음 패턴을 변경 선택하는 조류 퇴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음 패턴은, 상기 퇴치 예정 영역의 적어도 한 측 외곽의 단위 셀로부터 지정된 목적 지역간의 경로 상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진행음을 포함하는 조류 퇴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음 패턴은 상기 퇴치 예정 영역의 적어도 한 측 외곽의 출발 단위 셀로부터 지정된 목적 지역 및 상기 출발 단위 셀과 대향하는 위치의 단위 셀 간의 경로 상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진행음을 포함하는 조류 퇴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음 패턴은 상기 퇴치 예정 영역의 일측 일단으로부터 지정된 목적 지역을 향하여 회오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로 상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진행음을 포함하는 조류 퇴치 시스템.
  6.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음이 상기 목적 지역에서 출력됨에 따라, 상기 목적 지역에서 출력되는 동시 타격음 또는 순차 타격음을 더 포함하는 조류 퇴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음 패턴은 상기 퇴치 예정 지역의 각 단위 셀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무작위로 출력되는 타격음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음은 지정된 목적 지역으로부터 먼 곳으로부터 상기 목적지역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면서 출력되는 조류 퇴치 시스템.
  8. 제 3 항, 제 4항, 제 5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지역은 상기 퇴치 예정 영역의 중심 단위 셀 또는, 상기 제어부에서 조류 밀집부로 확인한 단위 셀인 조류 퇴치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되는 조류 퇴치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상기 단위 셀마다 지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며, 퇴치음 출력 방향이 상기 단위 셀의 중심점을 향하는 지향성 스피커인 조류 퇴치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상기 단위 셀의 경계점에 설치되며, 상기 퇴치 예정 영역의 외곽선에 설치되는 스피커는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 스피커이고, 상기 퇴치 예정 영역 내부의 상기 경계점에 설치되는 스피커는 무지향성 스피커인 조류 퇴치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상기 단위 셀의 경계점에 설치되는 공중 방사형 스피커인 조류 퇴치 시스템.
KR1020120044312A 2012-04-27 2012-04-27 조류 퇴치 시스템 KR101346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312A KR101346554B1 (ko) 2012-04-27 2012-04-27 조류 퇴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312A KR101346554B1 (ko) 2012-04-27 2012-04-27 조류 퇴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273A true KR20130121273A (ko) 2013-11-06
KR101346554B1 KR101346554B1 (ko) 2013-12-30

Family

ID=4985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312A KR101346554B1 (ko) 2012-04-27 2012-04-27 조류 퇴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5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4346A (zh) * 2016-08-25 2016-12-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鄄城县供电公司 一种多功能驱鸟器
KR101896037B1 (ko) * 2018-04-11 2018-09-07 (주)씨프로 거미퇴치 기능을 갖는 cctv 감시 카메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26Y1 (ko) 2013-03-20 2014-10-15 장금배 지능형 유해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761Y1 (ko) 2000-04-04 2001-01-15 윤경선 조류퇴치장치
KR100855506B1 (ko) * 2007-02-13 2008-09-01 윤재구 조류 전용 퇴치기
KR20110138511A (ko) * 2010-06-21 2011-12-28 제영호 유해생물 퇴치 시스템
KR200457003Y1 (ko) 2011-09-16 2011-11-30 박정희 울타리용 야생동물 퇴치경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4346A (zh) * 2016-08-25 2016-12-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鄄城县供电公司 一种多功能驱鸟器
CN106234346B (zh) * 2016-08-25 2019-01-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鄄城县供电公司 一种多功能驱鸟器
KR101896037B1 (ko) * 2018-04-11 2018-09-07 (주)씨프로 거미퇴치 기능을 갖는 cctv 감시 카메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554B1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525B2 (en) Active non-lethal avian denial infrasound systems and methods of avian denial
RU2615470C2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столкновения животных
JP6072149B2 (ja) 生物排除装置
KR101346554B1 (ko) 조류 퇴치 시스템
US109868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risks of bird strike
WO2015127292A1 (en) Ultrasonic intrusion deterrence apparatus and methods
US96935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rupting auditory communications among animals in a defined locale
AU4959900A (en) Deterrent system and acoustic apparatus
Feugère et al. Mosquito sound communication: are male swarms loud enough to attract females?
WO2015023005A1 (ko) 조류 퇴치 시스템
JP2002101806A (ja) レーザ式鳥獣威嚇装置
TW202209969A (zh) 智慧驅鳥系統及其方法
KR102092061B1 (ko) 유해동물 관리시스템
WO2021084681A1 (ja) 動物の移動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dams et al. Influence of signal direction on sonar interference
KR102176994B1 (ko) 초음파 조절 방식의 벌레 퇴치기
JP2018093850A (ja) ムクドリやスズメ等集団飛翔する害鳥の飛来防止方法及びその構造
JP3213836U (ja) 有害鳥獣追い払い装置
Mahmood et al. Uav based smart bird control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O2016108069A1 (en) Birds repelling device
JP6071946B2 (ja) 生物排除装置
KR20230115702A (ko) 조류퇴치장치 및 그 방법
JP2016123293A (ja) 生物排除装置
GB2531059A (en) Bird scaring apparatus
KR20230143255A (ko) 조류 퇴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