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236A - Tendem inunda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lattice block - Google Patents

Tendem inunda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lattice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236A
KR20130120236A KR1020120043340A KR20120043340A KR20130120236A KR 20130120236 A KR20130120236 A KR 20130120236A KR 1020120043340 A KR1020120043340 A KR 1020120043340A KR 20120043340 A KR20120043340 A KR 20120043340A KR 20130120236 A KR20130120236 A KR 20130120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dock
prefabricated lattice
tandem
lat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수
김대순
김대영
장원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236A/en
Publication of KR2013012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A disclosed technology relates to a tandem launching technology. A tandem launch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constructs multiple ships by sequentially processing assembly and floating steps in one dock. The tandem launching method comprises steps of: installing first prefabricated lattice blocks for constructing a completed hull and second prefabricated lattice blocks for constructing at least a part of a hull on the bottom of the dock; constructing the first hull by positioning, welding, and connecting multiple ship blocks using the first prefabricated lattice blocks in the dock; constructing the first hull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hull using the second prefabricated lattice blocks in the dock; and docking out the first hull by supplying and discharging water into/from the dock when the first hull is completely constructed, and moving the second hull to the first prefabricated lattice blocks.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the prefabricated lattice blocks increase area in contact with the hull so that it can stably support the portions of the hull not to be intersected with the blocks, and reduces construction period since a number of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water is reduced by omitting a process for rearranging the blocks.

Description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한 텐덤 진수 방법 {TENDEM INUNDA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LATTICE BLOCK}Tandem hex method using prefabricated lattice halves {TENDEM INUNDA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LATTICE BLOCK}

개시된 기술은 텐덤 진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로운 배를 건조할 때 격자 반목의 재배치가 필요없는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한 텐덤 진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relates to tandem launching techniques, and more particularly to tandem launching methods using prefabricated lattice banks which do not require relocation of lattice banks when building new ships.

종래의 텐덤 선박 건조 방법의 경우, 콘크리트 블록 위에 나무 반목을 배치하고 그 위에 선체 블록을 얹고, 선체 블록과 블록을 용접하여 전체 선체를 제작하였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andem shipbuilding method, a wood block is placed on a concrete block, a hull block is placed on the concrete block, and the hull block and the block are welded to produce a whole hull.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콘크리트 블록의 배치는 선체 블록의 자중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콘크리트 블록 상면의 나무 반목과 접촉하게 되는 선체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항상 선체 프레임의 교차부에 배치하고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 차이에 의한 추가 손상 방지를 위하여 나무 반목의 레벨링(leveling)을 맞추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였다. In the prior art, the placement of concrete block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weight of the hull block. Therefore, the concrete blocks should always be plac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hull fram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hull surface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ood lu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In order to prevent further damage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concrete blocks, the leveling of the wood lumber should be performed.

따라서, 서로 상이한 선체를 가지는 선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선형 및 선종에 따라 프레임 교차부에 반목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매번 반목 재배치 및 레벨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manufacture a ship having a different hull from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nban rearrangement and leveling is required every time in order to place the banban at the frame intersection according to the linear and ship type.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텐덤 진수 공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도크에 2번의 주수 및 배수가 요구되어, 주수 및 배수에 의한 공수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wo times of water and drainage are required in the dock in order to apply the tandem hexadecimal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airborne delay due to water and drainage occurs.

본 출원은 선체 접촉면이 증가하여 선체의 교차부가 아닌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조립식 격자 반목을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that can increase the hull contact surface to support portions that are not at the intersection of the hull.

또한, 본 출원은 이러한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하여 텐덤 진수 방법을 사용시, 선형 또는 선종에 따라 반목의 재배치가 요구되지 않는 텐덤 진수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tandem launch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relocation of banjo according to linear or line type when using the tandem launch method using such a prefabricated lattice banjo.

또한, 본 출원은 이러한 반목의 재배치가 생략되므로 주수 및 배수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 격자 반목 및 그를 이용한 텐덤 진수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lattice banjo and tandem launch method using the same can be reduced the number of weeks and drainage because the rearrangement of the banjang is omitted.

실시예들 중에서, 텐덤 진수 공법은 복수의 선박을 하나의 도크 내에서 순차적으로 조립 및 부양단계를 거쳐 건조한다. 상기 텐덤 진수 공법은 상기 도크의 바닥에, 완성된 선체의 건조를 위한 제1 조립식 격자 반목 및 선체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하기 위한 제2 조립식 격자 반목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크 내에서 상기 제1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하여 복수의 선박 블록을 위치하고 용접 연결하여 제1 선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도크 내에서 상기 제2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선체와 제2 선체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선체가 완료되면, 상기 도크에 주수 및 배수를 수행하여 상기 제1 선체를 도크 아웃 시키고 상기 제2 선체를 상기 제1 조립식 격자 반목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tandem launching method builds a plurality of vessels sequentially through assembly and flotation steps in one dock. The tandem launching method includes installing a first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for drying the finished hull and a second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for dr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ull at the bottom of the dock, the first prefabricated in the dock. Positioning and welding a plurality of ship blocks using lattice lumber to dry the first hull, and dr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ull and the second hull using the second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in the dock. And when the first hull is completed, watering and draining the dock to dock out the first hull and to move the second hull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식 격자 반목은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 양 단이 서로 상이한 콘트리트 블록들과 결속되는 복수의 금속 프레임 및 상기 금속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어 선체를 직접 지지하는 반목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금속 프레임은 격자 무늬를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fabricated lattice wood is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metal frames at both ends coupled with different concrete block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frame is directly supported the hull And a plurality of metal frames may be installed to form a lattice patter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식 격자 반목은 선체의 선수 또는 선미를 지지하는 부분의 격자 크기는 선체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부분의 격자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fabricated lattice half may have a lattice size of the portion supporting the bow or stern of the hull smaller than the lattice size of the portion support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hul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식 격자 반목은 상기 도크에서 건조된 선박들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격자의 크기, 위치, 격자 간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여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fabricated grid bancture can be installed by calculating the size of the grid, the loc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grids based on the data on the size of the ships built in the dock.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식 격자 반목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금속 프레임 사이에 소정 개수의 와셔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금속 프레임들 간의 높이를 조정하여 결속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fabricated lattice half may be bound by adjusting the height between the plurality of metal frames further comprises a predetermined number of washers between the concrete block and the metal frame.

실시예들 중에서, 조립식 격자 반목은 텐덤 진수 방법을 위하여 도크에 설치된다. 상기 조립식 격자 반목은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 양 단이 서로 상이한 콘트리트 블록들과 결속되는 복수의 금속 프레임 및 상기 금속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어 선체를 직접 지지하는 반목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금속 프레임은 격자 무늬를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mong the embodiments, the prefabricated lattice cross is installed in the dock for the tandem launching method. The prefabricated lattice 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metal frames at both ends coupled with different concrete blocks, and a board for directly supporting the hu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frame. The plurality of metal frames may be installed to form a lattice pattern.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조립식 격자 반목은 선체 접촉면이 증가하여 선체의 교차부가 아닌 부분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has an effect that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for the portion that is not the intersection of the hull by increasing the hull contact surface.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하여 텐덤 진수 방법을 사용시, 선형 또는 선종에 따라 반목의 재배치가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using the tandem launch method using such a prefabricated lattice antagonism,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positioning of the antagonist is not required according to the linear or line type.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반목의 재배치가 생략되므로 주수 및 배수의 횟수를 줄여 공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since the rearrangement of the banyan is omitted, the number of the main water and the drainage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air.

도 1은 종래의 격자 반목 및 그에 대한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개시된 기술에 따른 격자 반목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일 예에 따른 격자 반목의 배치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텐덤 진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에 따른 텐덤 진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진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lattice object and the arrangement state thereof.
2 to 4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lattice object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layout of a lattice ban in accordance with an exampl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tandem launching process.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tandem launch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andem launc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ique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 or"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may be presented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the items that can b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Generally,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are to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종래의 격자 반목 및 그에 대한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lattice object and the arrangement state thereof.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격자 반목은 콘크리트 블록 위에 나무 반목을 배치하고 그 위에 플라스틱 반목을 위치시켜 사용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기본적으로 중량이 무거움으로 인하여 선수, 선미에 반목이 집중 배치되며, 중량이 가벼운 선체 중앙부는 덜 배치되고 있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lattice lumber was used by placing wood lumber on a concrete block and placing plastic lumber on it. In addition, conventionally, due to the heavier weight, antagonism is concentrated on the bow and stern, and the light weight center of the hull is less disposed.

이러한 종래의 격자 반목은 콘크리트 블록 위에 위치한 반목으로 선체를 지지하므로 점 형태로서 선체를 받치게 되고, 따라서 선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체 프레임의 교차부에 격자 반목이 배치되어야 했다.Since the conventional lattice bancture supports the hull with banjo placed on the concrete block, it supports the hull in the form of a dot, and thus lattice banjo should be dispos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hull frame to prevent damage to the hull.

따라서, 선형 또는 선종에 변화가 이루어지면, 해당 도크에 배치된 반목들을 다시 재배치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반목의 재배치를 위하여 도크에 배수 및 주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한계가 존재한다.
Therefore, if a change is made in the linear or adenoma, it is necessary to relocate the antagonists placed in the dock. There is also a limit to the need for drainage and drainage in the dock for the relocation of antagonism.

도 2 내지 도 4는 개시된 기술에 따른 격자 반목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2 to 4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lattice object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격자 반목은 4개의 콘크리트 블록(110)위에 금속 프레임(120)을 얻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금속 프레임(120)은 선체에 의한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철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예와 같은 H 빔, 또는 I형, 빌트 업(Built-u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2 to 4, the grating banjo may be configured by obtaining a metal frame 120 on four concrete blocks 110. Here, the metal frame 120 may be configured as iron having a strength that can sufficiently withstand the load by the hull, and in order to support the load stably H-beam, or the I-type, built-up (such as the example shown) Built-up) may be formed.

금속 프레임 위에는 복수의 플라스틱 반목 판(130)이 위치하여 배 선체와 직접 맞닿을 수 있다. 여기에서, 플라스틱 반목 판(130)은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와 소정의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반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금속 프레임 위에 복수의 플라스틱 반목 판(130)을 구비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나무 반목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명확하다.A plurality of plastic semi-wooden board 130 is located on the metal frame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wiring body. Here, the plastic half board 130 may be formed of a plastic half board having a strength and a predetermined elasticity to withstand a sufficient load. 2 to 4, bu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lastic boards 130 on a metal frame, it is clear that can be replaced with wood boards, et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에 도시된 예는 선체 중앙부를 지지할수 있는 격자 반목을 도시하고 있고, 도 4에 도시된 예는 선수 또는 선미를 지지할 수 있는 격자 반목을 도시하고 있다. The example shown in FIG. 2 shows a lattice antagonist that can support the hull center portion, while the example shown in FIG. 4 shows a lattice antler that can support the bow or stern.

즉, 도 2에 도시된 선수 및 선미를 지지하는 격자 블록의 경우, 지지해야 하는 중량이 높으므로 도시된 예와 같이 격자의 간격을 좁게 하여 조립될 수 있다. 반면, 선체 중앙부를 지지하는 격자 블록은 지지할 중량이 비교적 낮으므로 격자의 간격을 넓게 하여 조립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lattice block supporting the bow and stern shown in Figure 2, the weight to be supported is high, it can be assembled by narrowing the interval of the grid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On the other hand, the grating block support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hull is relatively low weight to support it can be assembled by widening the interval of the grating.

이와 같이 격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금속 프레임 격자의 수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금속 프레임에 작용하는 응력을 낮출 수 있다.
Since the size of the lattice can be adjusted in this way, the amount of metal frame lattice can be minimized and the stress applied to the metal frame can be reduced.

도 3은 콘크리트 블록(110) 금속 프레임(120)의 결합의 일 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3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upling the concrete block 110 to the metal frame 12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과 블록 간에 금속 프레임(120)이 연결되고 있으며, 따라서 종래와 달리 격자 형태로서 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조립이 가능하므로, 도 2 또는 도 4와 같이 격자의 크기가 서로 다른 블록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이 비교적 간단하여 격자 반목의 설치가 매우 용이해지고, 간단한 조립에도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metal frame 120 is connected between the concrete block and the block, and thus, unlike the conventional art, the hull may be supported in the form of a lattice. Since this simple assembly is possible, as shown in FIG. 2 or 4,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blocks having different sizes of grid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ssembly is relatively simple,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lattice lumber is very easy, and the structure is able to withstand a sufficient load even for simple assembly.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110) 위에 금속 프레임(120)을 결합할 때 적어도 하나의 와셔를 사이에 함께 두어 결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셔는 완충역할 외에도 높이 조절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도크 바닥은 배수를 위하여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사에 따라 격자 반목도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콘크리트 블록(110)의 위치에 따라 금속 프레임(120)들 간에 길이 및 폭 방향의 경사가 발생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이러한 경사를 보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110)과 금속 프레임(120) 사이에 와셔의 수를 조정하여 금속 프레임(120)들 간의 높이를 맞추거나(레벨링) 적재할 선체 블록이 가지는 각도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when coupling the metal frame 120 on the concrete block 110 may be coupled by placing at least one washer therebetween. Here, the washer can be used for height adjustment in addition to the buffer role. In more detail, the dock bottom generally has a predetermined slope for drainage, and the grid can also have a slope in accordance with this slope. That is, inclinations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between the metal frames 120 may occu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crete block 110. The disclosed technique adjusts the number of washers between the concrete block 110 and the metal frame 120 to correct this inclination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hull blocks to be leveled (loaded) or loaded between the metal frames 120 is adjusted. It can be adjusted to suit.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일 예에 따른 격자 반목의 배치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기술에 따른 격자 반목은 금속 프레임(120)을 통하여 격자 형태로서 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즉, 개시된 기술에 따른 격자 반목은 점 형태가 아닌 격자 형태로서 선체를 지지하므로 선체 프레임의 교차부가 아닌 부분을 지지하여도 선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layout of a lattice ban in accordance with an exampl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As shown in FIG. 5, the grating lumber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ique may support the hull in the form of a grating through the metal frame 120. In other words, the grid grate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supports the hull in the form of a grid, not in the form of points, so that damage to the hull does not occur even when the portion of the hull frame is not supported.

도 5를 참조하면, 격자 반목은 복수의 결합된 격자 반목들로 구성되고, 블록 간 용접 및 도장 작업 공간을 고려하여 결합된 블록들 간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둘 수 있다. 여기에서, 블록 간 작업 공간 배치는 실제 도크에서 제작된 선체 블록들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통계값을 기초로 위치 및 간격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발명에서는 이러한 블록간의 위치 또는 거리를 특정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5, the grating antagonis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bined grating antagonists,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combined blocks in consideration of the welding and painting work space between blocks. Here, the inter-block workspace arrangement can determine the position and spacing based on statistical values of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hull blocks fabricated in the actual dock, so the disclosed invention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position or distance between such blocks. .

개시된 기술은 격자 정반의 위치 이동 및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한 금속 프레임 해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블록 작업 공간과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금속 프레임 플랜지 상면의 나무 반목 또는 플라스틱 반목을 제거한 후 금속 프레임 분리, 제거를 함으로써 블록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작업을 위한 신속한 작업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또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disclosed technique can minimize the dismantling of the metal fram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grid plate and to secure the working space.In case of interference with the block working space, the metal frame is removed after removing the wood or plastic woo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frame flange, By removing it, a block work space can be secured, and a quick work environment for work can be constructed, and work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도 6은 종래의 텐덤 진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tandem launching process.

종래의 텐덤 진수 공정은 선체 블록을 제작할 배에 맞추어 위치시키고 선체 블록 들을 용접 결합하여 전체 선체를 제작한다. 선체가 완성되면(단계 S110), 도크에 물을 주입(주수)하고(단계 S120), 완성된 선체를 도크 아웃(단계 S130)시킬 수 있다. 완성된 선체가 도크 아웃되면, 제작 중인 선체를 완성하기 위하여 배수 단계(단계 S140)를 거치고 반복을 재배치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단계 S150). 반복이 재 배치되면 재 배치된 반복에 제작 중인 선체를 이동하기 위하여 주수(단계 S160), 텐덤 이동(단계 S170), 배수(단계 S180) 절차가 이루어진다. Conventional tandem launching process is to place the hull block in accordance with the ship to be manufactured and welded together the hull blocks to produce the entire hull. When the hull is completed (step S110), water is injected (pouring) into the dock (step S120), and the completed hull can be docked out (step S130). When the completed hull is docked out, a process of repositioning the repeti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drainage step (step S140) is essentially required to complete the hull being manufactured (step S150). When the repetition is rearranged, a pour (step S160), a tandem movement (step S170), and a drainage (step S180) procedure are performed to move the hull under construction to the repositioned repetition.

이러한 종래의 텐덤 진수 공정은 반목 재배치를 위한 공정이 필수적인 점 외에도 이러한 반목 재배치를 위한 배수 및 주수가 요구되어 전체 공기가 길어지고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tandem launching process has a problem in that the drainage and drainage water for the banjo rearrangement ar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essential process for the banjo rearrangement, so that the total air is long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또한, 종래의 기술은 콘크리트 블록의 배치는 선체 블록의 자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블록 상면의 나무 반목과 접촉하게 되는 선체 표면의 손상을 발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항상 선체 프레임의 교차부에 배치하고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 차이에 의한 추가 손상 방지를 위하여 나무 반목의 레벨링(leveling)을 맞추는 작업을 매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선박의 제작을 위하여 선형 및 선종에 따라 프레임 교차부에 반목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매번 반목 재배치 및 레벨링을 필수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텐덤 진수 공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도크에 2번의 주수 및 배수가 이루어져야만, 완성된 선박을 진수하고 텐덤 블록을 진수 선박의 위치로 이동 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that the concrete block is always plac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hull frame in order to detect the damage of the hull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ood lu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by the weight of the hull block. In order to prevent further damage due to height differences, the leveling of wood veneer is required every time. Therefore, the relocation and leveling of the antagonists must be carried out every time in order to make the antagonists be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linear and ship type for the manufacture of the ship. Also, in order to apply the tandem launch method, only two watering and draining operations have to be made in the dock, so that the completed ship can be launched and the tandem block can be moved to the launch ship's position.

도 7은 개시된 기술에 따른 텐덤 진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tandem launch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개시된 텐덤 진수 방법에 선체가 완성되면(단계 S210), 도크에 물을 주입(주수)하고(단계 S220), 완성된 선체를 도크 아웃(단계 S230)시킬 수 있다. 완성된 선체가 도크 아웃되면, 제작 중인 선체를 텐덤 이동하고(단계 S240) 배수(단계 S250) 절차가 이루어진다. When the hull is completed in the tandem launching method disclosed (step S210), water can be injected (during water) into the dock (step S220), and the completed hull can be docked out (step S230). When the completed hull is docked out, the hull under construction is moved tandem (step S240) and drained (step S250).

도 7에 개시된 텐덤 진수 공정은 격자 반목을 이용하므로, 텐덤 블록을 전선 블록 위치로 이동함에 따른 반복 재배치 및 레벨링 작업이 필요 없으며, 따라서 종래의 텐덤 진수 공법에 비하여 주수 및 배수 횟수가 줄어들어 진수 공기를 단축 할 수 있다.
Since the tandem launching process disclosed in FIG. 7 uses lattice cross-cutting, there is no need for repeated repositioning and leveling operations by moving the tandem block to the wire block position, thus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of drainage and drainag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andem launching method, thereby generating the released air. Can be shortened.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진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andem launc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도 8을 참조하면,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한 텐덤 진수 방법은 도크의 바닥에, 완성된 선체의 건조를 위한 제1 조립식 격자 반목 및 선체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하기 위한 제2 조립식 격자 반목을 설치하는 단계(단계 S310), 도크 내에서 제1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하여 복수의 선박 블록을 위치하고 용접 연결하여 제1 선체를 건조하는 단계(단계 S320), 도크 내에서 제2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하여 제2 선체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하는 단계(단계 S330) 및 제1 선체가 완료되면, 도크에 주수 및 배수를 수행하여 제1 선체를 도크 아웃 시키고 제2 선체를 제1 조립식 격자 반목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단계 S3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tandem launching method using the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includes installing a first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for drying the completed hull and a second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for dr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ull at the bottom of the dock. (Step S310), positioning the plurality of ship blocks using the first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in the dock and welding-connecting to dry the first hull (step S320), the second using the second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in the dock Drying at least part of the hull (step S330) and when the first hull is completed, watering and draining the dock to dock out the first hull and to move the second hull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prefabricated lattice antagonist; (Step S340).

여기에서, 제1 선체를 건조하는 단계(단계 S320)와 제2 선체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하는 단계(단계 S330)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Here, the step of drying the first hull (step S320) and the step of dr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ull (step S330)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여기에서, 조립식 격자 반목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Here, the prefabricated lattice object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5,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 양 단이 서로 상이한 콘트리트 블록들과 결속되는 복수의 금속 프레임 및 금속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어 선체를 직접 지지하는 반목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금속 프레임은 격자 무늬를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metal frames are coupled to the concrete blocks of both ends, and the banjo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frame to directly support the hull. Here, the plurality of metal frames may be installed to form a lattice pattern.

일 실시예에서, 조립식 격자 반목은 선체의 선수 또는 선미를 지지하는 부분의 격자 크기는 선체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부분의 격자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fabricated lattice antagonist may have a grid size of the portion supporting the bow or stern of the hull smaller than the grid size of the portion support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hull.

일 실시예에서, 조립식 격자 반목은 도크에서 건조된 선박들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격자의 크기, 위치, 격자 간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여 설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may be installed by calculating the size, position, and distance between the grids based on data on the size of the vessels built in the dock.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10 : 콘크리트 블록
120 : 금속 프레임
130 : 플라스틱 반목
110: concrete block
120: metal frame
130: plastic wood

Claims (6)

복수의 선박을 하나의 도크 내에서 순차적으로 조립 및 부양단계를 거쳐 건조하는 텐덤 진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도크의 바닥에, 완성된 선체의 건조를 위한 제1 조립식 격자 반목 및 선체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하기 위한 제2 조립식 격자 반목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크 내에서 상기 제1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하여 복수의 선박 블록을 위치하고 용접 연결하여 제1 선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도크 내에서 상기 제2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하여 제2 선체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선체가 완료되면, 상기 도크에 주수 및 배수를 수행하여 상기 제1 선체를 도크 아웃 시키고 상기 제2 선체를 상기 제1 조립식 격자 반목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한 텐덤 진수 방법
In the tandem launching method of constructing a plurality of vessels sequentially assembled and floated in one dock,
Installing at the bottom of the dock a first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for drying the finished hull and a second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for dr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ull;
Drying a first hull by positioning and welding a plurality of ship blocks using the first prefabricated lattice block in the dock;
Drying at least a portion of a second hull using the second prefabricated lattice half within the dock; And
When the first hull is completed, watering and draining the dock to dock the first hull and to move the second hull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prefabricated lattice banjo using Tandem Hex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격자 반목은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
양 단이 서로 상이한 콘트리트 블록들과 결속되는 복수의 금속 프레임; 및
상기 금속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어 선체를 직접 지지하는 반목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금속 프레임은 격자 무늬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한 텐덤 진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fabricated lattice object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metal frames whose ends are bound to different concrete blocks; And
A tandem launch method using a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frame and includes a banjo directly supporting the hull, wherein the plurality of metal frames are installed to form a lattice patter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격자 반목은
선체의 선수 또는 선미를 지지하는 부분의 격자 크기는 선체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부분의 격자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한 텐덤 진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fabricated lattice half
Grid size of the part supporting the bow or stern of the hull is smaller than the grid size of the part supporting the central part of the hu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격자 반목은
상기 도크에서 건조된 선박들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격자의 크기, 위치, 격자 간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한 텐덤 진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fabricated lattice half
Tandem launch method using a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by calculating the grid size,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grids based on the data on the size of the ships built in the d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격자 반목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금속 프레임 사이에 소정 개수의 와셔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금속 프레임들 간의 높이를 조정하여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격자 반목을 이용한 텐덤 진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fabricated lattice half
Tandem launch method using a prefabricated lattice lu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between the concrete block and the metal frame further comprises a predetermined number of washers by adjusting the height between the plurality of metal frames.
텐덤 진수 방법을 위하여 도크에 설치되는 격자 반목에 있어서,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
양 단이 서로 상이한 콘트리트 블록들과 결속되는 복수의 금속 프레임; 및
상기 금속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어 선체를 직접 지지하는 반목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금속 프레임은 격자 무늬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격자 반목.
For grid veneers installed in docks for tandem launching methods,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metal frames whose ends are bound to different concrete blocks; And
And a banjo positioned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frame to directly support the hull, wherein the plurality of metal frames are installed to form a lattice pattern.
KR1020120043340A 2012-04-25 2012-04-25 Tendem inunda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lattice block KR201301202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40A KR20130120236A (en) 2012-04-25 2012-04-25 Tendem inunda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lattice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40A KR20130120236A (en) 2012-04-25 2012-04-25 Tendem inunda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lattice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36A true KR20130120236A (en) 2013-11-04

Family

ID=4985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340A KR20130120236A (en) 2012-04-25 2012-04-25 Tendem inunda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lattice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023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3197A (en) * 2021-09-26 2021-12-0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Method for placing in dock during heavy ship building and high-bearing anti-settling docking blo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3197A (en) * 2021-09-26 2021-12-0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Method for placing in dock during heavy ship building and high-bearing anti-settling docking block
CN113753197B (en) * 2021-09-26 2023-10-20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Method for placing in dock during construction of high-weight ship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940B1 (en) Ship for installing a wind power generator
RU2013148771A (en) MODULAR SEMI-SUBMERSIBLE DESIGN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KR101335261B1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top side module and building method having the same
CN103722297B (en) Steel box-girder open web type transverse wall group is welded standby and manufacture craft
CN105882890A (en) Mounting method of guide rail frame for container ship and special jig frame for guide rail frame
KR20120008623A (en) Method of inclining test for semi-submergible RIG
CN105523155A (en) Docking block for bow and stern regions and docking block arranging method
KR20180072673A (en) Offshore structure
KR20130120236A (en) Tendem inunda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lattice block
KR101019737B1 (en) a method of block erection in dock
KR20160035717A (en) Method for the cargo tank strength testing of ship
KR20100082979A (en) The method of building two ships on a floating dock
WO2007082150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 elevated deck
KR20150021611A (en) Vertical pontoon type semi-rig
KR101327750B1 (en) Deck assembly method for floating structure
KR10207101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emi-submissible type platform
RU169052U1 (en) BON
KR20160007947A (en) Semi-submersible marine structure
CN205131583U (en) Above -water platform
KR101716328B1 (en) Container guide installing method, and structure thereof
CN104554627A (en) Wide-body double hull board side double bottom ship based on large openings of inner rib plates in ballast tank
KR20160000614U (en) The reduction apparatus of rolling for offshore floating structure
KR20120064230A (en) Multi position loading construction method of stern
KR100736135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ship
Yoon et al. Topside Float over Installation on Floating Substructure at Near Sh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