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665A -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 Google Patents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665A
KR20130119665A KR1020120042641A KR20120042641A KR20130119665A KR 20130119665 A KR20130119665 A KR 20130119665A KR 1020120042641 A KR1020120042641 A KR 1020120042641A KR 20120042641 A KR20120042641 A KR 20120042641A KR 20130119665 A KR20130119665 A KR 20130119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identification tag
electronic signal
signal identification
sh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기
Original Assignee
장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기 filed Critical 장종기
Priority to KR102012004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665A/ko
Publication of KR20130119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96Identification of the cart or merchandise, e.g. by barcodes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28Adaptations for calculators, memory aids or reading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는, 쇼핑하여 구매한 물품을 카트에 담을 시 자동으로 계산함으로써 기존 쇼핑을 계산대에서 구입 물품을 계산하기 위해 인력과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문제를 해결해 주는 쇼핑카트를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쇼핑한 물품을 담도록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카트몸체와; 상기 카트몸체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쇼핑한 물품에 형성된 전자신호식별태그에 일정 신호를 방사하고, 이의 방사에 대한 대응상태를 수신 인식하여 연산함으로써 상기 카트에 담긴 물품의 가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계산장치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입할 물품에 대한 가격을 구입하고자 카트에 담을시 자동적으로 계산하고 카트에 구입할 물품이 담겨져 있는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검수하는 것이 가능하는 등, 쇼핑 문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많은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Automatic calculation cart for the use of low price electronic signal identification tag}
본 발명은 카트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쇼핑하여 구매한 물품을 카트에 담을 시 자동으로 계산함으로써 기존 쇼핑을 계산대에서 구입 물품을 계산하기 위해 인력과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쇼핑에 대한 획기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를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미 관련된 기술로서, '제품인식 코드화패턴 포장지'라는 기술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25263호로 특허출원한 바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위의 특허출원 기술의 내용을 일부 연관시켜 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쇼핑몰이나 마트, 상점 등에는 수없이 많은 종류의 제품이나 식품들이 진열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제품들은 일부 채소나 어패류, 과일 등을 제외하고 포장지에 포장이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마트나 쇼핑몰에는 고객들의 쇼핑 편의를 위해 카트(CART)나 바구니, 특히 카트가 한쪽에 열을 지어 많이 준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보통 마트나 쇼핑몰을 찾은 고객들이 쇼핑하는 모습을 살펴보면, 어느 정도 양만큼 물품을 구입하는 고객들은 대부분 카트를 끌고 진열대 사이에서 제품도 살펴보면서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을 카트에 담게 된다.
구입할 물품을 카트 등에 담아 고객이 최종적으로 계산대로 오면, 계산대의 캐시어는 이러한 바코드나 QR코드를 리더장치에 인식시켜 물품의 계산을 수행하게 되고, 대금을 계산하므로써 쇼핑을 마치게 된다.
카트 등을 이용한 쇼핑과 관련된 종래 기술의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24274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이 있으며, 도 4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24274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종래 등록특허 제924274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은, 매장을 찾는 이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위시 리스트(wish list)에 포함되는 물품들을 모두 찾는 최단 경로를 제공하고, 위시 리스트에 포함되는 물품 및 구입한 물품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결제를 도와주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카트 및 대형 마트의 서버를 포함하는 쇼핑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 카트는, RFID 태그를 인식하여 RFID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RFID 리더, 상기 대형 마트의 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RFID 리더에 의해 인식된 정보,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형 마트의 서버는,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리스트인 위시 리스트에 포함되는 물품에 관한 정보및 상기 위시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최단 경로를 탐색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쇼핑용 카트(CART)는 구입한 물품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데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앞서 언급한 종래 기술 뿐만아니라, 현재의 기술에서 구입한 물품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카트에 대한 기술에서는 RFID를 이용하는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RFID시스템이나 RFID칩을 이용하는 기술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문제이다.
일반적으로 RFID칩을 이용한 RFID시스템이 카트에 도입되기 위해서는 물품 하나하나에 RFID칩이 부착되어야 한다. 하지만 RFID칩은 반도체칩이고 또한 외부와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안테나(ANT)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데, 이러한 RFID칩의 가격이 작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해서 비교적 제품 가격이 큰 대형제품들은 경우에는 RFID칩이 제품 자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부착에 어려움이 없으나, 문제는 생활제품이나 각종 먹거리를 구비하고 있는 대형쇼핑몰이나 마트 등에서 구입하는 (앞의 대형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물품이 작은) 일반적인 생활제품이나 물품에는 RFID칩을 붙일 수 없다.
예컨대 500원짜리 과자의 가격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해 500원짜리 과자 봉투에 RFID칩을 붙일 수 있겠는가?
결국 이렇게 작은 생활제품들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는 상황이 되지 않는한, 카트를 끌고 다니면서 담겨진 물품의 가격이 자동으로 계산되는 꿈의 쇼핑은 달성될 수 없게 된다.
쇼핑고객 스스로 바코드(Bar Code)나 QR코드 등을 일일이 인식시켜 주는 행동을 통해 계산을 하는 개념이나 기술도 있지만, 실제 그러한 것 자체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동계산 쇼핑은 아닌 것이다.
중요한 것은 제품(물품) 자체를 고유하게 인식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RFID라는 반도체칩의 가격이 궁극적으로 수백원하는 물품에 붙이는 경우에 비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황이 된다면 지금의 문제를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는 완벽하리만큼 해결할 수 있겠지만, 당장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 못되는 것이 큰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현재의 쇼핑시 사용하는 일반적인 카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인, 구입물품에 대한 가격을 구입하고자 카트에 담을시 자동적으로 해결함은 물론 자체적으로 검수도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카트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현재의 쇼핑 문제를 전반적으로 고쳐 소비자들이 구입한 물품을 계산하기 위해 계산대에 물품을 올려놓고 오랫동안 기다려야 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쇼핑 문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쇼핑물품 자동계산 카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쇼핑한 물품을 담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쇼핑한 물품을 담도록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카트몸체와; 상기 카트몸체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쇼핑한 물품에 형성된 전자신호식별태그(코드화패턴)에 일정 신호를 방사하고, 이의 방사에 대한 대응상태를 수신 인식하여 연산함으로써 상기 카트에 담긴 물품의 가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계산장치유니트를 포함하는,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계산장치유니트는, 상기 물품으로 신호를 방사하고 반응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물품의 상태를 식별하는 상기 계산장치유니트의 각 구성부들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조종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쇼핑하여 상기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의 물품투입구로 투입된 물품의 전자신호식별태그에 신호를 방사하는 신호방출부와; 상기 신호방출부로부터 방사된 신호가 상기 물품에 형성된 전자신호식별태그에 반응한 이후의 상태를 감지하는 수신감지부와; 상기 수신감지부의 감지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자신호식별태그을 분석하여 상기 투입된 물품을 인식하고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요구하는 연산을 실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방출부는 상기 물품의 전자신호식별태그을 용이하기 검출시키도록 상기 카트몸체의 위치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수신감지부는 상기 신호방출부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전자신호식별태그에 반응된 상태를 용이하게 검출하기 위해 상기 카트몸체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호방출부는 전파나 초음파, 적외선, 자외선, X-레이, 레이저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물품은, 포장된 물품에 대한 정보가 특정원리에 의해 구조화 및 분석해 낼수 있는 일정모양의 전자신호식별태그이 상기 물품의 포장지의 정해진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계산장치유니트는 쇼핑을 하는 고객의 고객카드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는 상기 쇼핑할 물품들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중앙의 관리시스템과 통신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의 구성 각각에 대한 상세한 기술내용을 제공하며, 이러한 구성 및 기술내용은 각각 개별적이거나 서로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는 구입할 물품에 대한 가격을 구입하고자 카트에 담을시 자동적으로 계산한다. 또한 카트에 구입할 물품이 담겨져 있는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검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종래 고비용에 따른 문제점인 쇼핑한 물품의 자동계산을 저렴한 비용으로 해결해 준다. 뿐만아니라 구입한 물품을 계산하기 위해 계산대에 물품을 올려놓고 오랫동안 기다려야 하는 문제도 없애 준다. 결과적으로 쇼핑 문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혁신적인 기술로 많은 효과를 제공하며, 고객과 관련 업계에서 각광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의 블록도.
도 3은 도 1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를 통해 자동계산하게 될 물품 포장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24274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를 통해 자동계산하게 될 물품 포장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은, 카트몸체(110)와, 계산장치유니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 있어 먼저, 카트몸체(110)는 쇼핑한 물품을 담도록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카트(CART)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 계산장치유니트(120)는, 카트몸체(110)에 거치된 상기 쇼핑한 물품에 형성된 전자신호식별태그에 일정 신호를 방사하고, 이의 방사에 대한 대응상태를 수신 인식하여 연산함으로써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 담긴 물품의 가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전체 과정을 수행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의 카트몸체(110)는 일반적인 카트와 같은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기본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산장치유니트(120)를 거치한 상태로 형성되되 구매물품이 자동으로 잘 계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는 것이 큰 차이점 중의 하나이다.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카트를 접할 수 있다. 쇼핑하기에 좋도록 카트의 각 면을 부드러운 유선형 형태로 디자한 한 것에서부터, 카트의 면을 전개도 형태로 분해했다가 다시 조립할수 있는 것, 도 1에서와 같이 가느다랗고 많은 살대가 접합되어 어느 정도 면을 형성하는 것과 다르게 아예 면이란 개념이 없이 쇼핑바구니를 올려놓을 수 있는 형태로 된 것, 유모차 같은 형태 등, 그 종류와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여기서의 카트(쇼핑카트)는 쇼핑하여 담은 물품들의 가격을 자동적으로 계산하는 것에 중심을 맞춘 것으로서, 그 모양이나 크기, 형태 등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개념에 따라 자동적으로 물품을 계산하는 카트는 모두 해당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물품의 자동계산이 수행되는 한 카트몸체(110)는 다양하게 변화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즉 카트(CART)의 형체로서의 변화에는 구애받지 않는다고 할 것이며, 그 모양과 형태에 대한 것은 많이 공지되어 있어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서 자동계산이 수행되는 물품의 포장지(15)는 도 3에 도시한 예와 같이, 포장지(15)의 일측에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특징이 있으며, 포장지(15)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25263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즉 포장지(15)는, 제품이나 식품에 대한 정보가 특정원리에 의해 구조화 및 분석해 낼수 있는 일정모양의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이 포장지(15)의 일정 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품이나 식품을 내삽한 상태에서 상기 제품이나 식품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포장지 자체 재질인 포장지체(151)에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여기서 포장지체(151)는 포장지(10)에서 제품이나 식품을 포장하는 순수한 포장지 자체를 가리킨다. 그리고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은 포장지(15)에 형성되는 코드화된 패턴을 가리킨다.
이러한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은 코드화된 패턴의 모양이 인쇄나 마킹 등의 형태로 형성된 부분이거나, 어떠한 하나의 형체(구성적 개체)로 1차 형성된 다음, 포장지(15)에 접착되거나 합체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포장지(15)가 자체 형성되어 제품(상품, 식품 등)을 포장하고 있고 여기에 줄이나 끈으로 매달리는 경우에는 제품의 태그(TAG)로 매달리는 형태가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이 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이러한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은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포장되는 제품(상품)이나 식품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먼저 전자신호식별태그(152)는 본 제품인식 코드화패턴 포장지(10)에 담긴 제품이나 상품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될 수 있다. 혹은 제품이나 상품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된 자료가 데이터베이스 되어 있는 자료로 연계시키기 위한 매개정보일 수도 있다. 직접적이거나 혹은 매개된 상태로 연계시켜 파악할 수 있게 되거나, 어쨌든 최종적으로는 제품이나 상품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정보가 되는 것이다.
이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FID칩의 가격 등으로 인해, 비교적 저렴한 제품이나 상품들을 인식시키기 위해 예컨대 스낵류나 과자류, 포장지식품 등과 같이 저렴한 가격의 제품들에 RFID칩을 도입하기 곤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기술을 달성하는 것과 궤를 같이 한다.
또한 굳이 RFID칩과 같은 기억소자 등을 이용하여 굳이 많은 양의 데이터를 넣을 필요가 없이, 중요하면서도 필요한 어느 정도의 정보만을 바로 인식하여 처리해야 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 적용할 수도 있는 기술의 근간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가 쇼핑고객이 구입한 물품을 자동적으로 계산 가능한 것은 본 계산장치유니트(120)가 그러한 구매물품의 자동계산을 위한 작동을 하고 관련된 반응을 처리 연산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계산장치유니트(120)는, 중앙제어부(121)와, 신호방출부(122)와, 수신감지부(123)와, 연산부(124)를 포함한 구성이 기본적이고 중심이 되며, 여기에 필요한 작동을 위한 추가 구성이 가능하다.
먼저 본 계산장치유니트(120)의 중앙제어부(121)는 구입하기 위해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로 투입한 물품으로 신호를 방사하고 반응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물품의 상태를 식별하는 본 계산장치유니트(120)의 각 구성부들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조종한다.
다음으로 신호방출부(122)는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의 물품투입구로 투입된 물품의 전자신호식별태그(152)에 신호를 방사한다. 이러한 신호방출부(122)로는 기본적으로 많이 쓰일 수 있는 전파나 초음파, 적외선, 자외선, X-레이, 레이저 등 뿐만아니라 기타 특수한 어떤 신호들을 방출(방사)시켜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을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파를 방출하여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을 인식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은 이러한 본 신호방출부(122)에 맞도록 기본적으로 많이 쓰일 수 있는 전파나 초음파, 기타 X-레이나 혹은 특수한 어떤 신호들에 반응하거나 반향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예컨대 금속분말 등과 같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신감지부(123)는 상기 신호방출부(122)로부터 방사된 신호가 상기 물품에 형성된 전자신호식별태그에 반응한 이후의 상태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연산부(124)는 수신감지부(123)의 감지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을 분석하여 상기 투입된 물품을 인식하고 상기 중앙제어부(121)에서 요구하는 연산을 실시하므로써, 구입한 물품들의 가격을 자동으로 계산하게 된다.
이하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서 구입물품(예정)에 대해 자동적인 계산이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고객이 마트에서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를 끌고 다니면서 쇼핑을 하는 과정에서,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 예컨대 스낵과자를 하나 집어 끌고 다니던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 집어 넣는다.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계산을 편리하게 하거나 혹은 계산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상부의 개방된 부위를 줄이거나 혹은 늘일 수 있겠으나, 일단 여기서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미 마트나 백화점 등 쇼핑장소에는, 최종적으로 쇼핑을 마치는 과정에서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서 계산된 후에 쇼핑물건이 담긴 쇼핑봉투만 가지고 나갈 고객을 생각하여 이미 쇼핑용봉투를 장착시킨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와, 쇼핑을 완료후 계산된 물품을 따로 새롭게 옮겨담은 후 가지고 가는 여러 취향의 고객들을 고려하여 빈 상태로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를 놓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를 준비해 두게 된다.
이렇게 고객이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을 집어 넣게 된다. 그러면,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 상부의 개방된 위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계산장치유니트(120)의 신호방출부(122)로부터의 신호가 물품의 포장지에 형성된 전자신호식별태그(152)에 쏘여지게 된다.
물품 봉투의 전자신호식별태그(152)에 쏘여진 신호는 전자신호식별태그(152)과 반응하게 되며, 예컨대 프린트된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이 금속성 입자들이 포함된 경우 패턴의 마킹셀에서는 통과하지 못하고 되고, 이 통과하지 못한 상태를 반대편에 위치된 수신감지부(123)의 감지단(123s)에서 센싱(sensing)하게 되고, 센싱된 상태는 해석되어, 즉 센싱된 상태는 온 On, 나머지 부분은 오프 Off되어(혹은 그 반대), 이렇게 인식된 신호를 신호스트림 형태로 연산부(124)로 전달된다.
연산부(124)에서는 이 반응결과 상태의 신호스트림으로부터 분석을 실시하여, 최초 고객이 구입하고자 하여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 집어 넣은 물품이 무엇인지를 인식함과 동시에 값을 파악하게 되고, 중앙제어부(121)의 전체제어에 따라 구입한 물품의 가격을 계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 이러한 신호방출부(122)는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 상부 물품투입구의 측면 둘레에 위치시키거나, 혹은 신호를 방사시키는 형태라면 하나 혹은 몇몇 다수의 지점(SPOT)에 설치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 상부 물품투입구의 측면 둘레 뿐만 아니라 물품저장대 하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으며, 이것은 하나의 지점에서 퍼저나가도록 신호를 방사시키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수신감지부(123)의 감지단(123s)은 이러한 신호방출부(122)의 설치위치와 신호의 방사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신호식별태그(152)에 금속성의 물질이 포함되어 형성됨에 따라, 이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을 통과하는 신호를 센싱 감지하고 신호처리함으로써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을 인식하는 형태로 작동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이 신호를 반사하는 형태로 작용하도록 형성시키게 되는 경우라면, 전자신호식별태그(152)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신호처리하여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을 인식하도록 계산장치유니트(12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수신감지부(123)의 감지단(123s)이 신호가 통과되는 반대편의 위치보다는 신호가 반사되어 도달하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결국은 전자신호식별태그(152)에서 반사되는 상태를 보다 잘 고려하여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을 인식하기에 좋은 위치에 신호방출부(122)와 수신감지부(123)의 감지단(123s)이 위치시키는 것이 좋게 된다. 아울러 이 경우에도 다수의 지점에 신호방출부(122)와 수신감지부(1230)의 감지단(123s)을 위치시키는 것이 보다 정확한 계산을 이루어낼 수 있다.
또한 신호방출부(122)와 수신감지부(123)의 감지단(123s)을 다수로 구성하는 것은, 최초 구입할 물품을 물품투입구로 통과시킬시 계산이 수행되는 것 뿐만 아니라, 차후(최초 계산이 이루어진 이후)에 계산이 정확한지를 검토하고 체크하는 과정을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즉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서는 최초 구입할 물품을 물품투입구로 통과시킬시의 계산은 기본이고, 이 후 필요한 때마다(반복적으로도 가능) 투입된 물품을 확인하고 이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한 데, 이 경우 투입된 물품이 쌓이거나 방향이 뒤틀리거나 하는 여러 가지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한 방향에서 뿐만 아니라 다수의 방향에서 방사된 신호에 따라 분석된 전자신호식별태그(152)을 인식하고 서로 대조 비교함으로써 구입된 물품에 대한 보다 정확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중앙제어부(1210)에서 제어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중앙제어부(121)는 본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의 계산장치유니트(12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 즉 신호방출부(122)와, 수신감지부(123)와, 연산부(124)와 상호 유기적으로 신호교환을 하면서 각 구성부들을 조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중앙제어부(121)는 각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의 외부 시스템이나 장치들과의 유무선 통신도 수행한다. 즉 각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가 마트의 중앙관리시스템(서버)과 통신을 수행하여 고객들이 제품이 구입하는 제품들 자체의 정보는 물론, 각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서 계산되는 계산 총액 등 다양한 정보를 통신을 통하여 주고 받는다. 물론 각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도 고객이 구입한 물품의 구입시각(구입후 투입시각), 물품종류, 물품가격 등 필요한 내용이 데이터베이스되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내용 역시 쇼핑장소의 중앙관리시스템(서버)에도 전달된다.
아울서 각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10)에는 계산장치유니트(120)에서 고객이 소지하는 고객카드를 인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조종 단말을 눌러 고객번호를 입력시키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물품의 전자신호식별태그을 용이하기 검출할 수 있도록 신호방출부(122)와 수신감지부(123)는 적어도 1 이상 다수로 필요한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입할 물품에 대한 가격을 구입하고자 카트에 담을시 자동적으로 계산함은 물론 자체적으로 검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종래 고비용에 따른 문제점인 쇼핑한 물품의 자동계산을 저렴한 비용으로 해결해 준다.
그리고 구입한 물품을 계산하기 위해 계산대에 물품을 올려놓고 오랫동안 기다려야 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쇼핑 문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혁신적인 기술이며, 그로인한 직간접인 효과는 이루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고 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110 : 카트몸체
120 : 계산장치유니트
121 : 중앙제어부 122 : 신호방출부
123 : 수신감지부 124 : 연산부
15 : 포장지
151 : 포장지체 152 :전자신호식별태그

Claims (7)

  1. 쇼핑한 물품을 담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쇼핑한 물품을 담도록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카트몸체와;
    상기 카트몸체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쇼핑한 물품에 형성된 코드화패턴 형태의 전자신호식별태그에 일정 신호를 방사하고, 이의 방사에 대한 대응상태를 수신 인식하여 연산함으로써 상기 카트에 담긴 물품의 가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계산장치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산장치유니트는
    상기 물품으로 신호를 방사하고 반응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물품의 상태를 식별하는 상기 계산장치유니트의 각 구성부들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조종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쇼핑하여 상기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의 물품투입구로 투입된 물품의 전자신호식별태그에 신호를 방사하는 신호방출부와;
    상기 신호방출부로부터 방사된 신호가 상기 물품에 형성된 전자신호식별태그에 반응한 이후의 상태를 감지하는 수신감지부와;
    상기 수신감지부의 감지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자신호식별태그을 분석하여 상기 투입된 물품을 인식하고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요구하는 연산을 실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방출부는 상기 물품의 전자신호식별태그을 용이하기 검출시키도록 상기 카트몸체의 위치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수신감지부는 상기 신호방출부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전자신호식별태그에 반응된 상태를 용이하게 검출하기 위해 상기 카트몸체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방출부는 전파나 초음파, 적외선, 자외선, X-레이, 레이저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포장된 물품에 대한 정보가 특정원리에 의해 구조화 및 분석해 낼수 있는 일정모양의 전자신호식별태그이 상기 물품의 포장지의 정해진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산장치유니트는
    쇼핑을 하는 고객의 고객카드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는
    상기 쇼핑할 물품들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중앙의 관리시스템과 통신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KR1020120042641A 2012-04-24 2012-04-24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KR20130119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41A KR20130119665A (ko) 2012-04-24 2012-04-24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41A KR20130119665A (ko) 2012-04-24 2012-04-24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665A true KR20130119665A (ko) 2013-11-01

Family

ID=4985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641A KR20130119665A (ko) 2012-04-24 2012-04-24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6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92B1 (ko) 2019-08-02 2020-06-09 주식회사 딥파인 인공 지능을 이용하는 쇼핑 카트 및 상품 인식 방법
KR20210015368A (ko) 2019-08-02 2021-02-10 김현배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92B1 (ko) 2019-08-02 2020-06-09 주식회사 딥파인 인공 지능을 이용하는 쇼핑 카트 및 상품 인식 방법
KR20210015368A (ko) 2019-08-02 2021-02-10 김현배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5166B2 (en) Wireless reading system, shopping assistance system with the same, wireless reading method and shopping assistance method
CN107358276B (zh) 无人售货柜的商品扫描方法及其系统
US8448857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for inventory handling, tracking, and checkout
CN108171876B (zh) 无人售货货柜、系统及其售货方法
JP2004500293A (ja) 貯蔵システム
US20230214812A1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and article management method
US11514766B1 (en) Detecting interactions with storage units based on RFID signals and auxiliary signals
CN111033551B (zh) 购物辅助系统、购物辅助方法以及程序
KR101742067B1 (ko) 물품의 자동인식이 가능한 카트 및 상기 카트를 활용한 결제시스템
CN209785129U (zh) 自动售货机
US98585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fficiencies in inventory management and control
JP2004519049A (ja) 電子タグに記憶されている情報を非接触に登録するシステム
JP2020057109A (ja) 読取方法、運搬具、買物支援方法、及び読取システム
RU2674881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рганизации продаж в магазинах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KR20130119665A (ko) 저가 전자신호식별태그 자동계산 카트
KR20050028472A (ko)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물품의 관리 및 판매 자동화시스템과 이에 의한 물품의 관리 및 판매방법
WO2019049953A1 (ja) 買物支援システム及び買物支援方法
WO2018139291A1 (ja) 袋詰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買物支援システム
JP6736114B1 (ja) 器搬送システム
KR101701111B1 (ko) 자동계산 기능을 가진 카트 장치
CN109360354B (zh) 一种购物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JP4210208B2 (ja) 動線検出装置と端末装置及び動線把握システム
JP4459580B2 (ja) 商品陳列棚及びその運用システム
US11893563B2 (en) Reading system, shopping assistance system, reading method, and program
CN211149590U (zh) 秤重输送带结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