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085A -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085A
KR20130119085A KR1020120041969A KR20120041969A KR20130119085A KR 20130119085 A KR20130119085 A KR 20130119085A KR 1020120041969 A KR1020120041969 A KR 1020120041969A KR 20120041969 A KR20120041969 A KR 20120041969A KR 20130119085 A KR20130119085 A KR 20130119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entral portion
vessel
centrifugal
p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건호
한희
서문영
강명기
김종탁
정광회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버드 filed Critical (주)바이오버드
Priority to KR1020120041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085A/ko
Publication of KR2013011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상부용기(2), 하부용기(3) 및 상기 상부용기(2) 및 하부용기(3)를 연결하는 중앙부(4)를 포함하는 본체부(1); 및 (b) 상기 상부용기(2)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부캡(6)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중앙부(4)는 상기 상부용기(2)의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4)에 위치하는 분획물을 흡입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침투 가능한 연질 부(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기는 중앙부에 위치한 연질부에 의해 적혈구와 혈장의 경계부분이나 또는 서로 다른 성분들의 경계부분이 매우 분명하게 보여지고, 시린지 등의 분리수단이 용이하게 침투 가능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성분들을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Separating Vials and Their Uses}
본 발명은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혈액은 혈관 속을 흐르고 있는 액상의 조직을 말하며, 혈장, 혈소판, 혈구로 분리된다. 이와 같은 혈액은 인체에서 각종 물질의 운반, 즉 폐에서 섭취한 산소나 소화관에서 흡수한 영양소 등을 전신으로 보내고 세포에서 만들어진 탄산가스나 노폐물을 운반해서 폐, 신장, 피부 등을 통해 몸 밖으로 배설하는 등의 기능과, 그 밖에 림프와 함께 체내의 면역 체계 등 다양한 기능을 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혈액은 인체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점검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한 혈액의 혈장, 혈소판, 혈구를 분리한 후 혈구를 제외한 혈소판과 혈장을 이용하되 혈소판에 혈장으로 희석하는 혈병 제재, 일명 PRP(Platelet Rich Plasma)를 광범위한 치료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예들 들면, 주름, 색소질환, 흉터 그 밖에 다크서클, 튼살, 피부 처짐과 같은 피부질환이나 성형, 족부궤양, 통증치료 등 광범위한 치료 분야에 이용되고 있고, 또한 이용분야의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PRP (Platelet rich Plasma)는 자신의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적혈구(Red Blood Cell)를 없애고 혈소판(Platelet)과 성장인자(Growth factor)가 풍부한 버피코트(Buffy coat)층을 분리한 혈액으로 혈소판과 성장인자가 고농축 되어 있으며, 따라서 일반 혈액보다 2-7배 많은 혈소판이 존재하고,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PDGF)와 형질전환 성장인자(TGF), 상피 성장인자(EGF) 등을 포함한다. PRP는 원래 혈관 안의 손상된 부분을 재건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장인자를 고농축하여 피부재생을 촉진 시키거나 증식치료(Prolotherapy)와 같이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촉진제(simulants)로 사용하여 피부나 조직(인대,건)을 재건 재생하므로 관절염, 만성허리통증, 골반통, 어깨나 무릎인대 손상 등에 효과가 있다. 이럴 경우 기존의 프롤로테라피보다 조직 재생능력이 탁월하여 빠른 치유력을 보이며 자가 혈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이나 감염(infection)이 적다. PRP를 이용한 시술은 환자 자신의 혈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위험성이 적고, 과민 반응을 야기하지 않는다. 임상적으로 유용한 혈소판 개수는 1x106/㎕ 정도 이며 성장인자를 분비하는 혈소판의 수가 농축과정을 통하면 더 많이 있기 때문에 환자의 혈액에서 PRP를 분리하여 주사 시 활발한 성장인자 분비를 통해 상처회복에 도움을 주게 된다.
종래에는 혈액에서 혈장, 혈소판, 혈구의 분리 작업은 먼저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의 혈액을 체혈한 후, 상기 혈액을 원심분리 키트를 적어도 1차, 2차에 옮겨 담아 원심분리기에 의해 원심 분리 과정을 거쳐 분리하여 얻었다. 상기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체로부터 채취된 혈액을 튜브형 시험관에 주입하고 혈액이 주입된 시험관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원심분리의 수행이 완료되면 적혈구는 시험관의 아래 부분으로 내려가고, 혈장이 적혈구의 위쪽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시험관의 내부로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적혈구의 위쪽에 위치한 혈장을 흡입하여 추출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혈장을 다시 한 번 원심분리하면 시험관의 가장 아래쪽에 PRP가 모이게 되고 PRP의 위쪽으로 PPP (Platelet poor plasma)를 포함한 열장의 나머지 부분이 모인다. 이후 주사기를 사용하여 시험관의 위쪽에 위치한 PPP를 포함한 혈장의 나머지 부분이 모인다. 이후 주사기를 사용하여 시험관의 위쪽에 위치한 PPP를 포함한 혈장의 나머지 부분을 흡입하여 시험관에서 배출한 후 시험관에 남은 PRP를 새로운 주사기로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튜브형 시험관을 사용하는 PRP 분리키트와 기존의 개량형 PRP 분리 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a) 튜브형 시험관을 사용 할 경우 혈장을 원심분리하여 PRP를 추출할 때에 PPP를 먼저 흡입하여 배출시켜야 하는데, PRP와 PPP의 사이의 경계층의 부분에서 PPP와 PRP를 정확하게 분리하기가 어렵다;
(c) 튜브형 시험관을 사용 할 경우 짧은 병목에 버피코트(buffy coat)가 위치하도록 하단의 스크류(screw)를 돌려주어야 한다; 및
(d) 상단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버피코트를 수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술한 PRP 분리 키트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 최대한 높은 수율의 PRP를 분리하기 위해서 버피코트가 병목상의 정확한 위치에 존재하여야 하고,
(b) 분리키트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편차가 없도록 해야 하므로, 분리키트의 병목상에서 버피코트가 어느 곳에 존재하든 쉽고 편리하게 상기 용기에서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PRP 분리 방법이 분리 키트의 짧은 병목에 버피코트(buffy coat)가 위치하도록 하단의 스크류(screw)를 돌려주어야 한다는 점 및 키트 용기의 상단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PRP를 수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간단하게 PRP를 분리할 수 있고, PRP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PRP 분리 키트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분리키트의 병목 부분에 연질의 주사바늘 통로를 형성할 경우 버피코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긴 병목 중 어느 부분에서든 연질 부분을 통해 PRP를 수집할 수 있고, 또한 상단에 주사기를 삽입하여 PRP를 수집할 때와 달리 연질 통로의 옆 부분에 주사기를 삽입하여 삽입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컨트롤의 정밀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분리 키트가 매우 편리하게 PRP를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분리과정에서 PRP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한다:
(a) 상부용기(2), 하부용기(3) 및 상기 상부용기(2) 및 하부용기(3)를 연결하는 중앙부(4)를 포함하는 본체부(1); 및
(b) 상기 상부용기(2)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부캡(6);
상기 중앙부(4)는 상기 상부용기(2)의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4)에 위치하는 분획물을 흡입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침투 가능한 연질 부(5)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PRP 분리 방법이 분리 키트의 짧은 병목에 버피코트(buffy coat)가 위치하도록 하단의 스크류(screw)를 돌려주어야 한다는 점 및 키트 용기의 상단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버피코트를 수집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간단하게 PRP를 분리할 수 있고, PRP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PRP 분리 키트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분리키트의 병목 부분에 연질의 주사바늘 통로를 결합할 경우 버피코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긴 병목 중 어느 부분에서든 연질 부분을 통해 버피코트를 수집할 수 있고, 또한 상단에 주사기를 삽입하여 PRP를 수집할 때와 달리 연질 통로의 옆 부분에 주사기를 삽입하여 삽입거리를 최소화하고, 이로써 컨트롤의 정밀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분리 키트가 매우 편리하게 PRP를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분리과정에서 PRP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원심 분리 용기는 밀도구배 원심분리방법에 의해 분리 또는 농축될 수 있는 모든 시료에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생물학적 시료인 혈액, 혈장, 세포배양액 등에 적용가능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원심 분리 용기에 의해 분리 또는 농축할 수 있는 시료는 혈액이며, 상기 분획물은 PRP (platelet rich plasma)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PRP(Platelet rich Plasma)”는 채혈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적혈구(Red Blood Cell)를 없애고 혈소판(Platelet)과 성장인자(Growth factor)가 풍부한 버피코트(Buffy coat)층을 분리한 혈액으로 혈소판과 성장인자가 고농축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심 분리 용기는 상부용기(2)와 하부용기(3)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용기(2)와 하부용기(3)는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연결하는 중앙부(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상부용기(2)에는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혈액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또는 노출공)(8)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캡(6)이 있다. 상기 중앙부(4)는 상기 상부용기의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 위치하는 분획물을 흡입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침투 가능한 연질부(5)를 포함한다. 상기 연질부(5)로 분리수단인 시린지 등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상부용기의 상단에 시린지를 투입하여 분획물을 추출해야만 하는 단점이 개선되었다. 상기 하부용기(3)는 성별 또는 연령의 차이에 따른 혈액 시료의 물성에 상관없이 버피 코트 층이 중앙부(4)에 생길 수 있도록 고려된 적절한 부피의 하부공간을 갖는다. 상기 분리수단은 시린지, 파이펫 또는 스포이드 등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 부위에 침투하여 분획물을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은 무엇이든 가능하나, 경제성 및 효율성을 고려할 경우 시린지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시린지를 이용할 경우 매우 편리하고, 정교하게 상기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분획물을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오염(contamination)을 방지하기 위해 멸균 처리된 시린지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수단은 시린지(syringe)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부(4)는 중앙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연질부(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가 모래시계 형상인 경우, 병목부(7)의 전체 또는 일부가 만이 연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심 분리 용기에서 상기 상부용기(2)의 하단부분은 하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고, 상기 하부용기(3)의 상단부분은 상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며, 상기 상부용기(2)의 하단 말단부와 상기 하부용기(3) 상단 말단부는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연결하는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4)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는 상기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를 통해 적혈구와 혈장의 경계부분이나 또는 서로 다른 성분들의 경계부분이 매우 분명하게 보이고, 서로 다른 성분들을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의 매우 작은 부피이지만 상하방향 길이는 길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성분들의 경계부분이 병목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하방향으로 긴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 구간에서 경계부분들이 위치하는 것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4)에 위치하는 병목부(7)의 연질부를 내부 물질이 확인가능하도록 얇은 두께로 만들거나, 투명한 재질로 구성한 경우 병목부(7)에 위치하는 분획물의 경계를 더욱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캡(6)은 상기 상부용기에 임의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캡(6)은 상기 상부용기에 결착되어 있거나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캡이 본체부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경우 상부캡의 1회전시 상부캡이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길이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상부캡(6)은 마개로 개폐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최소 1개 이상의 노출공, 보다 바람직하게는 2-5개의 노출공, 가장 바람직하게는 2개의 노출공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2개의 노출공(8)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이유는 하나의 노출공(8)을 통해서 분획하고자 하는 혈액을 본 발명의 용기에 주입할 수 있고, 상기 주입과정에서 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를 나머지 하나의 노출공(8)을 통해 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캡(6)은 상기 상부용기(2)와 나사 결합하여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심 분리 용기에서, 상기 상부용기(2) 및 하부용기(3)를 연결하는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4)는 상기 상부용기(2)에서 하(下)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고, 상기 하부용기(3)에서 상(上)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역원추형의 중공 형상이며, 상기 상부용기(2) 하단 및 상기 하부용기(3) 상단에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의 양 말단을 형성하여 연결하는 구조이다. 상기 구조적 특징에 기인해 본 발명의 원심 분리 용기는 매우 정교하게 혈액 분획물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원심 분리 용기는 상기 하부용기의 저면에서 상기 하부용기에 진퇴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용기를 밀폐하며 상기 하부용기에 밀착하는 패킹부가 형성된 하부캡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캡은 상기 하부용기(3)에 진퇴하여 상기 하부용기에 충진된 분획물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성분들의 경계부분이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4)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 하부캡을 돌려 하부용기(3)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경계부분을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4)에 쉽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서로 다른 성분들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하부캡은 상기 하부용기(3)와 나사 결합하여 진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ⅰ) 상부용기(2), 하부용기(3) 및 상기 상부용기(2) 및 하부용기(3)를 연결하는 중앙부(4)를 포함하는 본체부(1); 및 (ⅱ) 상기 상부용기(2)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부캡(6)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용기에서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는 중앙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중앙부의 연질부(5)를 통해 적혈구와 혈장의 경계부분이나 또는 서로 다른 성분들의 경계부분이 매우 분명하게 보여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성분들을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 본 발명의 구성 중앙부(4)는 상기 상부용기(2)의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4)에 위치하는 분획물을 흡입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침투 가능한 연질부(5)를 포함한다. 연질부는 시린지가 통과할 수 있어 중앙부에 위치하는 분획물을 분리해 낼 수 있으며, 분리과정에서 PRP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노출공을 통해 시린지를 삽입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오염(contamination)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 본 발명은 상술한 상부용기, 하부용기, 중앙부, 중앙부의 연질부, 상부캡이라는 독특한 기술적 특징에 의해 매우 편리하게 혈액으로부터 PRP를 분리할 수 있고, 독특한 핵심 기술적 특징의 결합은 한 가지 분리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시험자의 경험에 의해 창의적인 분리 방법을 계속해서 창조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획된 혈액의 분리 방법에 대해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별도의 삽입공에 시린지가 인입하지 않고, 중앙부에 위치하는 연질부(5)로 시린지가 침투하여 분획물을 분리한다. (ⅰ) 좌측 도면은 원심분리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혈구와 혈장의 분획물 경계가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에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ⅱ) 우측 도면은 이후 상부 용기의 삽입공에 시린지가 인입하지 않고, 중앙부에 위치하는 연질부로 시린지가 침투하여 분획물을 분리함을 보여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원심 분리 용기의 제조
본체부(1)는 대략 원통형의 상부용기(2)와 하부용기(3)를 가지며, 상부용기(2)와 하부용기(3)는 폭이 좁은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4)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용기(2)는 하단에 인접한 부분이 아랫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하부용기(3)는 상단에 인접한 부분이 위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하부용기(3)의 상단에서부터 상부용기(2)의 하단 사이의 상하구간의 부피가 다른 부분보다 작아서 적혈구와 혈장의 경계부분을 이루는 층의 상하두께가 더 커지므로 경계부분이 더 명확하게 잘 보인다.
상부캡(6)은 본체부(1)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본체부(1)의 상부를 덮는 마개이다. 상부캡(6)의 저면은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4)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4)의 병목부(7)는 일부가 연질부(5)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중앙부(4)에 위치하는 분획물을 흡입 분리할 수 있는 시린지가 연질부(5)를 통해 쉽게 침투하여 중앙부에 충진된 혈장 등의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병목부(7) 중 일부만이 연질부(5)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4) 전체가 연질부로 이루어지거나, 병목부(7)만이 연질부로 이루어지거나, 병목부(7) 중 일부만이 연질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연질부(5)에 인입하는 시린지는 오염(contamination)을 방지하기 위해 멸균 처리된 시린지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캡에는 1개 이상의 노출공(8)이 형성되고, 각각의 노출공(8)은 노출공 마개를 구비한다.
실시예 2 : 원심 분리 용기를 이용한 PRP 의 분리
주사기로 혈액을 체취하기 전에 주사기로 항응고제를 흡입한다. 항응고제의 분량은 채취할 혈액의 양의 약 10% 정도가 적당하다. 항응고제가 흡입된 주사기로 사람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다. 혈액을 상부캡(6)의 하나의 노출공(8)을 열고서 그 노출공(8)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본체부(1)의 내부로 혈액을 주입한다. 다음으로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혈액이 주입된 본 발명의 용기를 2000rpm의 속도로 약 2분 30초간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이 때 적혈구는 본체부(1)의 하부용기(3)로 내려가고, 혈장은 적혈구보다 위쪽인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4)에서부터 위쪽으로 위치한다. 원심분리를 한 상태에서 적혈구를 제외한 혈장이 본체부(1)의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4)에 모여 있게 된 이유는 나이, 성별 등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어떤 경우에도 중앙부에 버피코트(buffy coat)층이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부용기(3)의 부피를 설정하고 중앙부(4)의 길이를 길게 설계했기 때문이다. 버피코트층이란 혈액을 원심분리하였을 때에 적혈구층 위에 생기는 담황색의 얇은 백혈구층을 의미한다. 혈액을 원심분리하였을 때에 가장 아래에 적혈구층이 위치하고, 그 위로 버피코트층이 위치하며, 그 위로 혈소판 풍부 혈장층(PRP, platelet rich plasma)이 위치하고, 그 위로 혈소판 결핍 혈장층(PPP, platelet poor plasma)이 위치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체부 : (1)
상부용기 : (2)
하부용기: (3)
중앙부 : (4)
연질부 : (5)
상부캡 : (6)
병목부 : (7)
노출공 또는 삽입공 : (8)

Claims (9)

  1. 다음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 용기:
    (a) 상부용기(2), 하부용기(3) 및 상기 상부용기(2) 및 하부용기(3)를 연결하는 중앙부(4)를 포함하는 본체부(1); 및
    (b) 상기 상부용기(2)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부캡(6);
    상기 중앙부(4)는 상기 상부용기(2)의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4)에 위치하는 분획물을 흡입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침투 가능한 연질 부(5)를 포함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4)는 중앙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연질부(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4)는 모래시계 형상으로서 중앙부(4)의 병목부(7) 전체 또는 일부가 연질부(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6)은 시료가 삽입될 수 있으며 마개로 개폐 가능한 1개 이상의 노출공(8)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2)의 하단부분은 하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3)의 상단부분은 상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용기.
  7.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6)은 상기 상부용기(2)와 나사 결합하여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용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4)는 상기 상부용기(2)에서 하(下)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고, 상기 하부용기(3)에서 상(上)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역원추형의 중공 형상이며, 상기 상부용기(2) 하단 및 상기 하부용기(3) 상단에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부의 양 말단을 형성하여 연결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용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혈액이며, 상기 분획물은 PRP (platelet rich plas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용기.
KR1020120041969A 2012-04-23 2012-04-23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20130119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969A KR20130119085A (ko) 2012-04-23 2012-04-23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969A KR20130119085A (ko) 2012-04-23 2012-04-23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085A true KR20130119085A (ko) 2013-10-31

Family

ID=4963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969A KR20130119085A (ko) 2012-04-23 2012-04-23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0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29135A1 (en) * 2019-11-01 2021-05-06 Nicholas Crabtree Hourglass shaped blood fractionation tube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29135A1 (en) * 2019-11-01 2021-05-06 Nicholas Crabtree Hourglass shaped blood fractionation tube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576B1 (ko)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EP2495302B1 (en) Bio-device for extracting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mesenchymal stem cells in peripheral blood
US8241592B2 (en) Cell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10009651A (ko)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1170146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장치
ES2780057T3 (es) Método para la preparación de al menos un compuesto a partir de sangre, y dispositivos de muestreo para ser utilizado en la ejecución de dicho método
CN103842001A (zh) 用于血液分离及prp浓缩的一体型试剂盒及提取方法
KR20100116106A (ko) 혈소판 농축 혈장 조성용 조립체, 키트, 및 그 방법
CN106139290B (zh) 一体化自体富血小板血浆制备用套装
US20070131612A1 (en) Cell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775942B2 (en) Buffy coat extraction kit
WO2012121452A1 (ko) 혈액 분리 및 농축 용기
KR101406574B1 (ko) 혈액의 혈소판 농축 혈장 분리용 수집용구
KR101333789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101284876B1 (ko) 순수지방 및 자가 농축혈소판 추출장치
KR20130119085A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CN206315325U (zh) 一体化自体富血小板血浆制备用套装
US1190414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rapeutic fluids
KR20140058032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KR101145173B1 (ko)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US202102901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nd administering treatment agents using products derived from whole blood
KR200471024Y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기
CN205287726U (zh) 一体化自体富血小板凝胶制备用套装
TWM466716U (zh) 分離自體血液濃縮器
RU280466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богащенной тромбоцитами фракции аутоплазмы кров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