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531A - 젤리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젤리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531A
KR20130118531A KR20120041473A KR20120041473A KR20130118531A KR 20130118531 A KR20130118531 A KR 20130118531A KR 20120041473 A KR20120041473 A KR 20120041473A KR 20120041473 A KR20120041473 A KR 20120041473A KR 20130118531 A KR20130118531 A KR 20130118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
line
cleaning liquid
cleaning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4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972B1 (ko
Inventor
박죽랑
Original Assignee
현수환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수환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수환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4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97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01B15/006Making a longitudinal c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heating 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8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ru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리선의 가공 방법 및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젤리를 포함하는 폐전선(이하 '젤리선'이라 한다.)으로부터 구리 등의 자원을 친환경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재생할 수 있는 폐전선 가공 방법 및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젤리선 가공 방법은 젤리선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단면이 원형인 젤리선을 압착롤러로 압착하여 평판형태로 압착하는 압롤분리공정;, 상기 압롤분리공정을 통해 압착된 젤리선을 에멀전 세정액에 투입하여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젤리를 분해 세척하는 에멀전 세정공정;, 상기 에멀전 세정공정을 거친 젤리선을 2차 세정액에 투입하여 젤리선에 잔존하는 젤리를 세적하는 2차 세정공정;, 상기 2차 세정공정을 거친 젤리선에 열풍을 가하여 젤리선을 가열 건조시키고, 표면이 말랑해지도록 하는 건조공정; 및 상기 건조공정을 거친 젤리선을 차핑기를 통해 구리와 피복재로 분리하는 차핑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젤리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jelly filled cables for comunication}
본 발명은 젤리선의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젤리를 포함하는 폐전선(이하 '젤리선'이라 한다.)으로부터 구리 등의 자원을 친환경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재생하고, 합성수지 피복재를 이용하여 인조목을 생산할 수 있는 폐전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화 등의 통신을 위한 전선은 금속선과, 절연 및 전선 보호 등을 위한 피복재로 구성된다.
금속선으로는 주로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이 주로 사용되며 피복재로는 주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킬렌(P.P.), 폴리염화비닐(P.V.C.) 등이 사용된다.
전선은 사용목적에 따라 선의 굵기, 가닥수, 피복구조가 다양하게 결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케이블 특히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선으로서의 통신선의 경우에는 피복재 내부에 젤리를 충전시킨 젤리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피복재 내부에 충전되는 젤리는 주로 폴리부텐, 왁스 등의 고분자 화합물로서 점성 높은 물질을 사용되는데, 상기와 같이 젤리를 충전함으로써 젤리가 금속 세선 주위에 분포하여서 금속 세선을 보호하고, 방수성을 갖게 함은 물론 쥐, 개미 등에 의한 세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폐전선은 고가의 금속자원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피복재와 금속선을 분리하여 금속을 재활용하고 있다.
폐전선을 재생함에 있어서 탈피기계를 사용하여 피복재를 탈피하여 구리를 회수하거나, 피복재의 소각을 통해 구리를 회수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탈피기계의 사용이 불가능한 통신선 등의 세선은 차핑기를 통해 구리를 분리 회수한다.
소각을 통해 구리를 회수하는 방법은 동선의 산화로 인해 품질이 저하되고, 피복재 등의 수지가 소각되면서 인체에 치명적인 유해가스의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통신성의 세선은 차핑이 선호되고 있다.
차핑공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31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70408호 및 일본공개특허 JP2001-283661호를 통해 차핑공정과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차핑에 의한 방법으로는 젤리를 포함하는 폐전선을 재생처리하기가 불가능하다. 젤리를 포함하는 폐전선의 경우, 절개를 통해 피복제는 제거될 수 있으나, 차핑과정에서 점성이 높은 젤리의 부착력으로 인해 분쇄가 어렵다. 따라서 젤리선의 경우 차핑에 의해 동선을 분리, 회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젤리선은 피복재 내부에서 띠 형태의 P.E.필름이 케이블을 권취하고 있는데 상기 P.E.필름을 제거하기가 힘들어 젤리선으로부터 동선을 분리, 회수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젤리를 포함하는 폐전선을 차핑기를 이용하여 동선을 분리할 수 있도록 젤리선의 젤리를 제거하고, 젤리가 제거된 통신선을 차핑기를 통해 금속 세선을 추출하여 재생할 수 있는 폐전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젤리선 가공 방법은 젤리선을 링나이프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외피를 절개, 제거하고,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외피탈피 및 절단공정;, 젤리선을 권취하고 있는 P.E.필름을 제거하는 P.E.필름 제거공정;, 젤리선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단면이 원형인 젤리선을 압착롤러로 압착하여 평판형태로 압착하는 압롤분리공정;, 상기 압롤분리공정을 통해 압착된 젤리선을 에멀전 세정액에 투입하여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젤리를 분해 세척하는 에멀전 세정공정;, 상기 에멀전 세정공정을 거친 젤리선을 2차 세정액에 투입하여 젤리선에 잔존하는 젤리를 세적하는 2차 세정공정;, 상기 2차 세정공정을 거친 젤리선에 열풍을 가하여 젤리선을 가열 건조시키고, 표면이 말랑해지도록 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공정을 거친 젤리선을 차핑기를 통해 구리와 피복재로 분리하는 차핑공정; 및 상기 차핑공정을 통해 추출된 구리를 용융하여 괴로 만들고, 추출된 합성수지 피복재로 인조목을 생산하는 압출 용융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멀전 세정공정 및 2차 세정공정은 젤리선이 투입된 세정액에 에어 버블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멀전 세정공정은 전열선을 통해 젤리선이 투입된 에멀전 세정액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멀전 세정공정은 젤리선을 세정한 에멀전 세정액을 1차 여과하여 에멀전 세정액 탱크로 보낸 후 에멀전 세정액 탱크에서 2차 여과하여 에멀전 세정공정에서 다시 재활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2차 세정액은 물(H2O)과 규조토(SiO2)를 혼합한 규조토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세정공정은 젤리선을 2차로 세정한 2차 세정액을 2차 세정액 탱크로 보낸 후 NaCl 또는 Na+ 이온을 투입하여 2차 세정액 내부의 P.C.B.(Poly clrobenjen)을 중화처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공정에서 젤리선의 표면 용융온도 보다 낮은 200~300℃의 열풍을 가하여 젤리선의 표면이 말랑해지도록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출 용융공정에서 생산되는 인조목은 합성수지 피복재 50중량%, SiO2 10중량%, CaCO3 10중량% 및 목분가루 30중량%를 혼합하여 용융함으로써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젤리선 가공 시스템은 링나이프를 이용하여 젤리선의 외피를 탈피하는 외피탈피기;, 상기 외피탈피기에서 외피가 탈피된 젤리선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기를 통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젤리선을 용액에 침지시켜서 젤리선을 권취하고 있는 필름을 탈리,제거하는 필름탈리기;, 상기 필름 탈리기를 통해 필름이 탈리된 젤리선을 압착하여 산개시키고, 에멀전수용액이 충전된 몸체 내부에서 초음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젤리선의 젤리를 세척,제거하는 에멀전 세정장치; 상기 에멀전 세정장치를 통해 젤리가 세척된 젤리선을 2차 세정액이 충전된 몸체 내부에서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젤리선의 젤리를 2차 세정하는 2차 세정장치;, 상기 2차 세정장치에서 배출된 젤리선에 열풍을 가열하여 젤리선을 가열,건조하는 건조기;, 건조된 젤리선을 구리와 피복재로 분리하는 차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름탈리기는 몸체 내부에 원통형태로 안착되는 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는 회전가능하도록 몸체에 고정되며, 상부는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도록 망의 중심에 설치되는 축; 상기 축의 양측에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축과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봉; 상기 축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더와 로드로 연결되며, 방사상으로 나이프가 형성된 승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가이드봉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된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에어버블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멀전 세정장치 및 2차 세정장치는 세정액을 수납하고,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투입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초음파 진동시키는 진동자;,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젤리선을 몸체 단부를 이동시키는 이송로터;,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되어 젤리선을 압착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기어;, 상기 이송기어 하부에 형성되어 젤리선을 몸체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의 하부에 설치되어 젤리선과 세정액을 분리하는 거름망; 및 상기 몸체 내부의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큰 세정액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세정액에 에어 버블을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세정액을 가열하는 전열선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름망과 세정액 배출관 사이에는 세정액을 여과하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압착롤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에멀전을 통해 젤리선의 젤리를 세정함으로써 차핑기를 통해 구리 등의 금속 세선을 친환경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분리 추출하고 이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젤리선 가공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젤리선 가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필름탈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필름탈리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에멀전 세정기 및 2차 세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에멀전 세정기 및 2차 세정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에멀전 세정기 및 2차 세정기의 정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젤리선 가공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젤리선 가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필름탈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필름탈리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에멀전 세정기 및 2차 세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에멀전 세정기 및 2차 세정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에멀전 세정기 및 2차 세정기의 정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젤리선 가공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피탈피 및 절단공정, P.E.필름 제거공정, 압롤분리공정, 에멀전 세정공정, 2차 세정공정, 건조공정, 차핑공정 및 압출 용융공정으로 구성된다.
1) 외피탈피 및 절단공정
폐통신선 등의 젤리선을 입하하여 링나이프를 이용하여 젤리선의 외피를 절개, 분리하고, 가공의 용이성을 위해 젤리선을 50mm 이하의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이다.
2) P.E.필름 제거공정
젤리선의 외피 내부의 P.E.필름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젤리선의 외피 내부에는 띠 형태의 P.E.필름이 케이블을 권취하고 있는데, 상기 P.E.필름을 제거함으로써 젤리가 충전된 케이블이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외피가 제거된 젤리선을 물 등의 용액에 침전시켜 필름을 탈리시키고 탈리된 필름을 분리 수거하는 공정이다.
3) 압롤분리공정
단면이 원형인 절단된 젤리선을 압착롤러를 통해 압착하여 단면이 평판형태가 되도록 압착함으로써 원형으로 뭉친 세선을 넓게 산개시켜 이후의 공정에서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공정이다.
상기와 같이 압롤분리공정을 통해 세선이 넓게 산개됨으로써 젤리와 세정액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젤리가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4) 에멀전 세정공정
상기와 같이 압롤분리공정을 통해 산개된 젤리선을 에멀전 세정액에 담그어 젤리를 용해시키는 공정이다. 에멀전 세정액은 등유, 경유 등의 광물성유와, 식물성유 및 동물성유 등의 오일을 에멀전화 시킨 것으로서 젤리선을 에멀전 세정액에 투입하면 젤리가 용해된다.
이때, 에멀전 세정공정에서 세정액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고, 에어버블을 발생시키며, 에멀전 세정액을 가열함으로써 세선의 외피인 염화비닐에 묻어 있는 젤리가 세정액과 보다 빠르게 화학반응하여 용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세정액에 초음파 진동을 가함으로써 젤리가 빠르게 용해되고, 에멀전 세정액이 유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에멀전 세정공정에서 사용된 에멀전 세정액은 에멀전 세정액 탱크로 회수하여 프리필터(Free filter)에서 여과한 후 에멀전 세정액 탱크에서 고로로 연속 여과하여 에멀전 세정액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2차 세정공정
상기 에멀전 세정공정을 통해 젤리 및 유기 끈끈이 등을 세정한 후 2차 세정공정을 통해 나머지 젤리 및 유기 끈끈이를 완벽하게 세정하는 공정이다.
상기 2차 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2차 세정액은 물(H2O)과 규조토(SiO2)를 혼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2차 세정액이 젤리선의 잔존하는 젤리를 세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2차 세정공정에서 사용된 2차 세정액은 회수하여 2차 세정액 탱크로 회수하여 NaCl 또는 Na+ 이온을 투입함으로써 세정액에 나온 P.C.B.(Poly Clrobenjen)을 중화처리 한다.
6) 건조공정
상기 2차 세정공정을 거친 젤리선(이 상태에서는 젤리선의 젤리는 제거되고 금속 세선과 이를 피복하는 염화비닐 피복재만 남아있는 상태이다.)에 열풍을 가함으로써 젤리선을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열풍기를 통해 200~300℃ 온도의 열풍를 가함으로써 젤리선을 완전히 건조시킴과 동시에 금속선을 피복하는 피복재를 용융 직전 상태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표면을 말랑말랑하게 하여 이후의 공정인 차핑공정을 통해 많은 양의 세선을 탈피하도록 한다.
7) 차핑공정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완전히 건조되고, 금속선의 피복재가 용융직전의 상태로 말랑말랑한 상태가 된 젤리선을 차핑기를 통해 피복재와 금속선을 분리한다.
8) 압출 용융공정
상기 차핑공정을 통해 추출된 구리를 용융하여 괴로 만들고, 추출된 합성수지 피복재로 인조목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추출된 합성수지 피복재 50중량%, SiO2 10중량%, CaCO3 10중량% 및 목분가루 30중량%를 혼합하여 용융시켜 인조목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젤리선 가공 방법을 통해 친환경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젤리선을 재생처리할 수 있고, 추출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인조목을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젤리선 가공 공정은 외피탈피 및 절단공정, P.E.필름 제거공정, 압롤분리공정, 에멀전 세정공정, 2차 세정공정, 건조공정, 차핑공정 및 압출 용융공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외피탈피 및 절단공정은 도 2의 외피탈피기(100) 및 절단기(200)에서 이루어지고, P.E.필름 제거공정은 도 2의 필름탈리기(300)에서 이루어지며, 에멀전 세정공정은 도 2의 에멀전 세정장치(400A)에서 이루어지고, 2차 세정공정은 도 2의 2차 세정장치(400B)에서 이루어지며, 건조공정은 도 2의 건조기(500)에서 이루이지고, 차핑공정은 도 2의 차핑기(600)에서 이루어지며, 압출 용융공정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용융로와 용융압출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외피탈피기(100), 절단기(200), 건조기(500), 차핑기(600) 및 용용압출기(미도시)는 종래의 공지된 기기를 사용하여 젤리선 가공시스템이 구성되고, 필름탈리기(300), 에멀전 세정장치(400A) 및 2차 세정장치(400B)는 본 발명에서 안출된 장치를 사용하여 젤리선 가공 시스템이 구성된다.
필름탈리기(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301)의 내부에 원통 형태의 망(302)이 형성되고, 상기 망(302)의 중심에는 종 방향으로 축(303)이 형성된다.
상기 축(303)은 도 4와 같이 하단이 몸체(301)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고, 축(303)의 상단에는 구동장치(304)에 의해 축(303)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304)는 여러 형태가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베벨기어를 사용하여 구동장치(304)가 축(30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축(303)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축(303)에는 방사상으로 나이프(306)가 형성된 승강기(305)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축(303)의 양 측에는 축(303)과 평행한 가이드봉(309)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봉(309)에는 가이드봉(309)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더(308)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더(308)는 로드(307)를 통해 승강기(305)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름탈리기(300)의 몸체 내부에 물 등의 용액을 채우고 망(302)의 내부에 외피가 제거되고 소정길이로 절단된 젤리선을 투입하면 젤리선의 P.E.필름이 박리된다.
이상태에서 구동장치(304)를 통해 축(303)을 회전시키면 축(303)과 나사결합하고 가이더(308)와 로드(307)로 체결된 승강기(305)는 축(303)을 따라 승강운동을 하면서 승강기(305)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나이프(306)가 용액에 침지된 젤리선을 교반하면서 젤리선에 권취된 P.E.필름을 탈리시킨다.
물론 상기 승강기(305)를 반복적인 승강운동시키기 위해서 구동장치(304)는 정,역회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P.E.필름을 효율적으로 탈리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봉(309)에 소정 간격으로 노즐(310)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봉(309)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노즐(310)에서 에어버블을 분사함으로써 P.E.필름이 보다 효율적으로 탈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봉(309)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은 여러 가지 형태가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
용액 내부의 젤리선으로부터 P.E.필름이 박리가 이루어지면 승강기(305)가 승강 운동을 하면서 박리된 띠 형태의 P.E.필름이 승강기(305)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나이프(306)에 걸리게 되고 승강기(305)을 용액 밖으로 올려 나이프(306)에 걸린 P.E.필름을 제거함으로써 P.E.필름이 제거된다.
그리고 에멀전 세정공정은 도 2의 에멀전 세정장치(400A)에서 이루어지고, 2차 세정공정은 도 2의 2차 세정장치(400B)에서 이루어지는데, 에멀전 세정장치(400A)와 2차 세정장치(400B)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멀전 세정기(400A) 및 2차 세정장치(400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액이 내부에 충전도는 몸체(40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401)의 일측에는 내부에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투입관(403)이 형성되며, 몸체(401)의 타측에는 몸체(401) 내부의 사용된 세정액을 배출하기 위한 세정액 배출관(406)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401)의 상부에는 젤리선을 압착하여 몸체(401) 내부로 투입하는 압착롤러(402)가 형성되고, 몸체(401)의 일측 하부에는 몸체(401)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관(404)이 형성된다.
에멀전 세정기(400A) 및 2차 세정장치(400B)의 몸체(401)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401) 내부 상부에는 축(406)에 소정 개수의 이송로터(407)가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다단 형성된 이송로터(407)가 형성된다.
몸체(401) 하부에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세정액을 초음파 진동시키는 진동자(409)가 형성되고, 몸체(401)의 하부에는 상기 진동자(409)와 함께 압축공기 공급관(404)이 형성되어 압축공기 공급관(404)으로 공급된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공급관(405)의 노즐(405)을 통해 에어버블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몸체(401)의 내부에는 전열선(408)이 설치되어 몸체(401) 내부의 세정액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40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401)의 일측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몸체(401)가 하방으로 연장된 곳에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기어(41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기어(410)의 하부에는 젤리선을 몸체(401)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스크류(411)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411)의 하부에는 필터(415)가 구비된 세정액 배출관(40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멀전 세정기(400A) 및 2차 세정장치(400B)의 압착롤러(402)에 P.E.필름이 탈리된 젤리선을 투입하면 상기 압착롤러(402)가 회전하며 단면이 원형인 젤리선을 압착하여 원형으로 뭉친 세선을 넓게 산개시켜 이후의 공정에서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젤리와 세정액의 접촉 면적이 증가된다.
상기 압착롤러(402)에 의해 산개된 젤리선이 몸체(401) 내부로 투입되면 몸체(401) 내부에 충전된 세정액(에멀전 세정액 또는 2차 세정액)에 의해 젤리선의 젤리가 화학반응을 시작하여 제거된다.
이때, 몸체(401) 하부에 설치된 진동자(409)가 초음파 진동하며 세정액을 진동시킴으로써 세정액과 젤리선의 젤리가 화학반응이 촉진되며, 몸체(401) 하부의 압축공기 공급관(404)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버블에 의해 세정액과 젤리선의 젤리가 화학반응이 촉진된다.
또한, 몸체(401) 내부의 전열선(408)은 전원의인가에 의해 발열하면서 몸체(401) 내부에 충전된 세정액을 가열함으로써 세정액과 젤리의 화학반응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로터(407)에 의해 몸체(401) 내부의 젤리선이 몸체(401) 일측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401) 내부에서 세정액에 의해 젤리선의 젤리는 세척되어 금속선과 염화비닐 피복재만 남은 상태가 된다.
상기 이송로터(407)에 의해 젤리선은 몸체(401) 일측으로 이송되고, 몸체(401) 일측으로 이송된 젤리선은 이송기어(410)의 회전에 의해 몸체(401) 일측단부의 하부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이송기어(410)에 의해 젤리선은 압착되면서 잔존하는 젤리가 박리되고, 이송기어(410)에 의해 정량의 젤리선이 하부의 이송스크류(411)로 공급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411)의 하부에는 거름망(414)이 형성됨으로써, 이송스크류(411)로 공급된 젤리선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411)를 통해 몸체(401) 외부로 배출되고, 세정액은 상기 거름망(414)을 통해 이송스크류(411) 하부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411)는 도 4와 같이 경사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이송스크류(411)를 따라 젤리선이 이송될 때 젤리선에 묻은 세정액은 경사진 이송스크류(411) 하우징을 따라서 몸체(401) 내부로 다시 낙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송스크류(411) 하부로 낙하한 세정액은 필터(415)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지고 세정액 배출관(406)을 통해 도 2의 에멀전 세정액 탱크(700) 또는 2차 세정액 탱크(800)로 세정액이 회수되며, 상기 세정액 탱크(700)(800)에서 각종 필터(미도시) 등을 통해 재생되어 세정액 투입관(403)을 통해 몸체 내부로 재공급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젤리선 가공 방법 및 세정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외피탈피기
200 : 절단기
300 : 필름탈리기
301 : 몸체
302 : 망
303 : 축
304 : 구동장치
305 : 승강기
306 : 나이프
307 : 로드
308 : 가이더
309 : 가이드봉
310 : 노즐
400A : 에멀전 세정장치
400B : 2차 세정기
401 : 몸체
402 : 압착롤러
403 : 세정액 투입관
404 : 압축공기 공급관
405 : 노즐
406 : 세정액 배출관
407 : 이송로터
408 : 전열선
409 : 진동자
410 : 이송기어
411 : 이송스크류
412 : 모터
413 : 배출구
414 : 거름망
415 : 필터
416 : 축
500 : 건조기
600 : 차핑기
700 : 에멀전 세정액 탱크
800 : 2차 세정액 탱크

Claims (16)

  1. 젤리선을 링나이프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외피를 절개, 제거하고,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외피탈피 및 절단공정;,
    젤리선을 권취하고 있는 P.E.필름을 제거하는 P.E.필름 제거공정;,
    젤리선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단면이 원형인 젤리선을 압착롤러로 압착하여 평판형태로 압착하는 압롤분리공정;,
    상기 압롤분리공정을 통해 압착된 젤리선을 에멀전 세정액에 투입하여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젤리를 분해 세척하는 에멀전 세정공정;,
    상기 에멀전 세정공정을 거친 젤리선을 2차 세정액에 투입하여 젤리선에 잔존하는 젤리를 세적하는 2차 세정공정;,
    상기 2차 세정공정을 거친 젤리선에 열풍을 가하여 젤리선을 가열 건조시키고, 표면이 말랑해지도록 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공정을 거친 젤리선을 차핑기를 통해 구리와 피복재로 분리하는 차핑공정; 및
    상기 차핑공정을 통해 추출된 구리를 용융하여 괴로 만들고, 추출된 합성수지 피복재로 인조목을 생산하는 압출 용융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가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전 세정공정 및 2차 세정공정은,
    젤리선이 투입된 세정액에 에어 버블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가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전 세정공정은,
    전열선을 통해 젤리선이 투입된 에멀전 세정액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가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전 세정공정은,
    젤리선을 세정한 에멀전 세정액을 1차 여과하여 에멀전 세정액 탱크로 보낸 후 에멀전 세정액 탱크에서 2차 여과하여 에멀전 세정공정에서 다시 재활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가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2차 세정액은 물(H2O)과 규조토(SiO2)를 혼합한 규조토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가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세정공정은,
    젤리선을 2차로 세정한 2차 세정액을 2차 세정액 탱크로 보낸 후 NaCl 또는 Na+ 이온을 투입하여 2차 세정액 내부의 P.C.B.(Poly clrobenjen)을 중화처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가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에서, 젤리선의 표면 용융온도 보다 낮은 200~300℃의 열풍을 가하여 젤리선의 표면이 말랑해지도록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가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용융공정에서 생산되는 인조목은,
    합성수지 피복재 50중량%, SiO2 10중량%, CaCO3 10중량% 및 목분가루 30중량%를 혼합하여 용융함으로써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가공 방법.
  9. 링나이프를 이용하여 젤리선의 외피를 탈피하는 외피탈피기(100);,
    상기 외피탈피기(100)에서 외피가 탈피된 젤리선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200);,
    상기 절단기(200)를 통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젤리선을 용액에 침지시켜서 젤리선을 권취하고 있는 필름을 탈리,제거하는 필름탈리기(300);,
    상기 필름 탈리기(300)를 통해 필름이 탈리된 젤리선을 압착하여 산개시키고, 에멀전수용액이 충전된 몸체(401) 내부에서 초음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젤리선의 젤리를 세척,제거하는 에멀전 세정장치(400A);
    상기 에멀전 세정장치(400A)를 통해 젤리가 세척된 젤리선을 2차 세정액이 충전된 몸체(401) 내부에서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젤리선의 젤리를 2차 세정하는 2차 세정장치(400B);,
    상기 2차 세정장치(400B)에서 배출된 젤리선에 열풍을 가열하여 젤리선을 가열,건조하는 건조기(500);,
    건조된 젤리선을 구리와 피복재로 분리하는 차핑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가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탈리기(300)는,
    몸체(301) 내부에 원통형태로 안착되는 망(302);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는 회전가능하도록 몸체(301)에 고정되며, 상부는 구동장치(304)에 의해 회전되도록 망(302)의 중심에 설치되는 축(303);
    상기 축(303)의 양측에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축(303)과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봉(309);
    상기 축(303)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309)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더(308)와 로드(307)로 연결되며, 방사상으로 나이프(306)가 형성된 승강기(30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가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309)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가이드봉(309)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된 노즐(310)을 통해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에어버블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가공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전 세정장치(400A) 및 2차 세정장치(400B)는,
    세정액을 수납하고,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몸체(401);,
    상기 몸체(401)의 내부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투입관(403);,
    상기 몸체(401)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초음파 진동시키는 진동자(409);,
    상기 몸체(401)의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젤리선을 몸체(401) 단부를 이동시키는 이송로터(407);,
    상기 몸체(40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되어 젤리선을 압착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기어(410);,
    상기 이송기어(410) 하부에 형성되어 젤리선을 몸체(401)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411);,
    상기 이송스크류(4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젤리선과 세정액을 분리하는 거름망(414); 및
    상기 몸체(401) 내부의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큰 세정액 배출관(40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세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01)의 하부에는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세정액에 에어 버블을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관(40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세정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01)의 내부에는 세정액을 가열하는 전열선(40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세정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414)과 세정액 배출관(406) 사이에는 세정액을 여과하는 필터(41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세정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01)의 상부에는 압착롤러(40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선 세정 장치.
KR20120041473A 2012-04-20 2012-04-20 젤리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 KR101402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1473A KR101402972B1 (ko) 2012-04-20 2012-04-20 젤리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1473A KR101402972B1 (ko) 2012-04-20 2012-04-20 젤리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531A true KR20130118531A (ko) 2013-10-30
KR101402972B1 KR101402972B1 (ko) 2014-06-11

Family

ID=4963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41473A KR101402972B1 (ko) 2012-04-20 2012-04-20 젤리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9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272A (ko) * 2017-07-10 2019-01-18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변압기 권선 코팅제거방법
KR20190006271A (ko) * 2017-07-10 2019-01-18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변압기 권선 코팅제거장치
KR102376006B1 (ko) * 2021-06-22 2022-03-18 강진규 철도 폐기물 재활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898B1 (ko) * 1998-05-28 2000-11-15 한정남 절연젤리액이사용된폐절연케이블로부터의동선회수방법
KR20100011136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케이티 젤리 충전 통신 케이블에서 젤리를 제거하는 장치 및 그방법
KR101083396B1 (ko) * 2009-09-15 2011-11-14 (주)정우이앤알 폐전선의 재생방법 및 산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272A (ko) * 2017-07-10 2019-01-18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변압기 권선 코팅제거방법
KR20190006271A (ko) * 2017-07-10 2019-01-18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변압기 권선 코팅제거장치
KR102376006B1 (ko) * 2021-06-22 2022-03-18 강진규 철도 폐기물 재활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972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98201U (zh) 一种建筑垃圾处理设备
KR101402972B1 (ko) 젤리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
JP5481010B2 (ja) 容器からラベル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57026C (zh) 一次性使用尿布的再循环方法及设备
US20150306631A1 (en) Waste sorting device having a rotary screen
JP2006205138A (ja) 純水を用いた洗浄装置、洗浄方法、洗浄処理プラント、洗浄処理方法
CN203527697U (zh) 塑料瓶除标机
AU2009200812A1 (en) Battery recycling
KR101638182B1 (ko) 폐필름 재활용 시스템
KR102003284B1 (ko) 폐전선의 동 회수 처리 장치
JP2002273731A (ja) 使用済み紙おむつの再利用のための紙おむつ分断前処理方法
CN102755922B (zh) 铝塑复合包装材料的立式连续分离甩干装置
CN102794295B (zh) 铝塑复合包装材料的卧式连续分离甩干装置
JPS60205911A (ja) プラスチツク被覆ケ−ブル屑の分離方法及びその装置
JP4698782B2 (ja) プラスチック被覆電線廃材に含まれる塩化ビニル樹脂廃材の処理システム
JP4755564B2 (ja) 破砕された合わせガラスからガラス片と中間膜とを分離する装置
KR20130104081A (ko) 폐전선의 폴리염화비닐(pvc) 피복재 재활용 시스템
CN112931811B (zh) 一种干法魔芋精粉的制备方法
KR101499313B1 (ko) 폐전선의 구리 회수 장치
KR101925917B1 (ko)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8214991A (zh) 采用铝塑复合材料的站立式连续隔离甩干处理系统
US4176067A (en) Label accumulator and caustic separator
CN113492473A (zh) 一种环保用废弃塑料瓶回收再利用处理装置
US2239199A (en) Casing machine
KR20150002339A (ko) 고순도 구리 회수를 위한 폐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