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946A -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946A
KR20130117946A KR1020120040703A KR20120040703A KR20130117946A KR 20130117946 A KR20130117946 A KR 20130117946A KR 1020120040703 A KR1020120040703 A KR 1020120040703A KR 20120040703 A KR20120040703 A KR 20120040703A KR 20130117946 A KR20130117946 A KR 20130117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ousing
sensor
opening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은
김종윤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946A/ko
Publication of KR2013011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한 수격 현상 등으로부터 센서류를 보호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고 센서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10)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탱크의 측벽부(12)에 고정되어 저장 공간(14)을 향해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센서(10)를 수용하는 하우징(16), 및 상기 하우징(16)을 관통하여 하우징(16)의 내부로 상기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유출/입을 자유롭게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빼기용 구멍(18)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Protection device for sensors within tank}
본 발명은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탑재되는 탱크의 내부에서 저장된 유체의 수위를 검출하거나 또는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센서류에 대한 보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있어, 해수나 청수 또는 오일 등의 각종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는 그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신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종류의 센서들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센서류에는 수위 검출센서와 온도 검출센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센서류의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유지 보수에 용이한 측벽 장착의 방식(Side mounting type)의 센서들로 채택되어 설치된다.
예컨대, 종래 수위 검출센서 또는 온도 검출센서 등의 센서류는 탱크의 측벽부에 대해 내부의 저장 공간을 향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결과, 종래 선박의 탱크 내부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류는 선체의 운동에 따른 탱크 내 유체의 수격 현상 등으로 인해 파손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잦은 센서류의 교체와 함께 추가의 비용 발생이 수반되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의 강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탱크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한 수격 현상 등으로부터 센서류를 보호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고 센서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탱크의 내부에서 유체의 유동에 의해 수반되는 여러 현상으로부터 센서류를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탱크의 측벽부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내부로 상기 탱크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유체의 유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빼기용 구멍,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내부 공간으로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벽부에 취부되는 개구면과, 상기 개구면과 마주보는 부위에 위치하는 폐쇄 대향면, 및 상기 개구면과 상기 폐쇄 대향면 사이를 마감하는 다각형 둘레면을 갖추고서,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상기 측벽부에 설치되는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의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탱크의 측벽부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내부로 상기 탱크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유체의 유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빼기용 구멍,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내부 공간으로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벽부에 취부되는 개구면과, 상기 개구면과 마주보는 부위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향해 개구된 개방 대향면, 및 상기 개구면과 상기 개방 대향면 사이를 마감하는 다각형 둘레면을 갖추고서,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상기 측벽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의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 대향면에는 내부로의 진입을 조절하기 위한 힌지식 개폐용 도어가 설치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개방 대향면에는 외부로 연장된 취부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취부 플랜지에 내부로의 진입을 조절하기 위한 착탈식 개폐용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탱크의 측벽부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내부로 상기 탱크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유체의 유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빼기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벽부에 취부되는 개구면과, 상기 개구면과 마주보는 부위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향해 개구된 개방 대향면, 및 상기 개구면과 상기 개방 대향면 사이를 마감하는 원통형 둘레면을 갖추고서,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상기 측벽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의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탱크의 측벽부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내부로 상기 탱크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유체의 유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빼기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벽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절곡된 탱크 플랜지에 대해 결합되는 취부 플랜지와, 상기 취부 플랜지와 마주보는 부위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향해 개구된 개방 대향면, 상기 취부 플랜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장 공간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둘레면, 및 상기 취부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를 마감하여 폐쇄시키는 블라인드 플랜지를 갖추고서, 상기 측벽부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외부 관통형 조립구조의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취부 플랜지는 상기 탱크 플랜지에 대해 나사 체결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의 측벽부에 대해 저장 공간을 향해 돌출되면서 그 내부에 센서류를 수납함으로써 탱크의 내부에서 수반되는 유체의 유동으로부터 기인하는 수격 현상 등으로부터 센서류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센서 보호장치는 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 변화시에도 유체의 유출/입을 허용하는 공기빼기용 구멍의 형성을 통해 보호장치의 내부로 유체의 원활한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센서류에 의해 검출되는 수위에 대한 정보 또는 온도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종류의 검출 정보에 대한 감지 오류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센서의 보호를 위한 하우징을 탱크의 내부에서 측벽부로 설치하거나, 또는 탱크의 측벽부를 관통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센서의 장착 환경에 맞춰 탱크에 대해 하우징을 적절하게 조립할 수 있고, 특히 하우징의 용적에 맞춰 내부로의 진입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하우징 자체에 형성된 개방부위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7은 센서 보호장치에 대한 설치상태와 함께 하우징의 사시도를 각각 함께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위에 대한 도시와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었으며,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유사한 참조부위에 대한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병기함을 고지한다.
선박에 탑재되고 내부에 해수나 청수 또는 오일 등의 각종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는 저장된 유체의 수위를 검출하거나 또는 유체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등 다양한 물리량의 측정을 위해 각종 센서(10)를 설치한다. 이러한 센서(10)는 수위 검출센서(10a)와 온도 검출센서(10b) 등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는 상기 탱크의 측벽부(12)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센서(1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격판부재에 해당하는 하우징(16)과, 상기 하우징(16)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상기 탱크의 저장 공간(14)에 저장된 유체의 자유로운 유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빼기용 구멍(18), 및 상기 하우징(16)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6)의 내부 공간으로 작업을 위한 내부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개구부(20)를 구비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도시된 상기 센서(10)는 수위 검출센서(10a)로서, 탱크의 측벽부(12)에 대해 내부에 위치한 저장 공간(14)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의 측벽 장착의 방식(Side mounting type)으로 설치된다.
상기 측벽부(12)는 상기 저장 공간(14)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센서(1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보호 격판에 해당하는 하우징(16)을 설치하는 바, 상기 하우징(16)은 상기 저장 공간(14) 내에서 상기 측벽부(1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로서, 취부측의 일단부가 개방되는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1)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16)은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1)의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로서, 상기 측벽부(12)에 직접 취부되어 결합되는 개구면(16-1a)과, 상기 개구면(16-1a)과 마주보는 부위에 위치하는 폐쇄 대향면(16-1b), 및 상기 개구면(16-1a)과 상기 폐쇄 대향면(16-1b) 사이를 마감하는 다각형 둘레면(16-1c)을 일체로 갖춘 중공의 다면체 형상의 입체 구조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상기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1)의 전 부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로 형성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16)의 다각형 둘레면(16-1c) 중에서 하측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20)는 상기 하우징(16)의 다각형 둘레면(16-1c) 중에서 하측부에 위치한 단차면(16-1d)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1)은 그 내부에 상기 수위 검출센서(10a)를 수용하여 상기 수위 검출센서(10a)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수위 검출센서(10a)는 상기 하우징(16)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유동에 의한 수격 현상 등으로부터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유입과 유출을 각각 자유롭게 허용함으로써 유체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상기 하우징(16) 내에 잔존하는 공기에 의한 유체의 유입을 방해함에 따라 수반되는 부정확한 수위의 검출을 배제하고 정확한 수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개구부(20)는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센서(10)의 설치를 위한 내부 접근용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로 하면, 도시된 상기 센서(10)는 수위 검출센서(10a)로서, 탱크의 측벽부(12)에 대해 내부에 위치한 저장 공간(14)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의 측벽 장착의 방식(Side mounting type)으로 설치된다.
상기 측벽부(12)는 상기 저장 공간(14)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센서(1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격판부재에 해당하는 하우징(16)을 설치하는 바, 상기 하우징(16)은 상기 저장 공간(14) 내에서 상기 측벽부(1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로서, 취부측의 일단부를 포함한 타단부가 함께 개방되는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16)은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2)의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로서, 상기 측벽부(12)에 직접 취부되어 결합되는 개구면(16-2a)과, 상기 개구면(16-2a)과 마주보는 부위에서 상기 저장 공간(14)을 향해 개구된 개방 대향면(16-2b), 및 상기 개구면(16-2a)과 상기 개방 대향면(16-2b) 사이를 마감하는 다각형 둘레면(16-2c)을 일체로 갖춘 중공의 다면체 형상의 입체 구조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6)의 개방 대향면(16-2b)에는 내부로의 진입을 조절하기 위한 힌지식 개폐용 도어(22)가 설치되어 나사체결로서 개폐가 조절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상기 하우징(16)의 개방 대향면(16-2b)에는외부로 연장된 형태의 취부 플랜지(16-2e)가 형성되고, 상기 취부 플랜지(16-2e)에 내부로의 진입을 조절하기 위한 착탈식 개폐용 커버(24)가 나사체결로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상기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2)의 전 부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로 형성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16)의 다각형 둘레면(16-2c) 중에서 하측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20)는 상기 하우징(16)의 다각형 둘레면(16-2c) 중에서 하측부에 위치한 단차면(16-2d)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2)은 그 내부에 상기 수위 검출센서(10a)를 수용하여 상기 수위 검출센서(10a)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수위 검출센서(10a)는 상기 하우징(16)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유동에 의한 수격 현상 등으로부터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가 상승할 때,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자유로운 출입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수위 검출센서(10a)로 하여금 정확한 수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개구부(20)는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센서(10)의 설치를 위한 내부 접근용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지만, 상기 하우징(16)의 내부 용적이 작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방 대향면(16-2b)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상기 힌지식 개폐용 도어(22) 또는 상기 착탈식 개폐용 커버(24)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접근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도시된 상기 센서(10)는 온도 검출센서(10b)로서, 탱크의 측벽부(12)에 대해 내부에 위치한 저장 공간(14)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의 측벽 장착의 방식(Side mounting type)으로 설치된다.
상기 측벽부(12)는 상기 저장 공간(14)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센서(1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격판부재에 해당하는 하우징(16)을 설치하는 바, 상기 하우징(16)은 상기 저장 공간(14) 내에서 상기 측벽부(1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로서, 취부측의 일단부를 포함한 타단부가 함께 개방되는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16)은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3)의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로서, 상기 측벽부(12)에 직접 취부되어 결합되는 개구면(16-3a)과, 상기 개구면(16-3a)과 마주보는 부위에서 상기 저장 공간(14)을 향해 개구된 개방 대향면(16-3b), 및 상기 개구면(16-3a)과 상기 개방 대향면(16-3b) 사이를 마감하는 원통형 둘레면(16-3c)을 일체로 갖춘 중공의 원통체 형상의 입체 구조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상기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3)의 전 부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로 형성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16)의 원통형 둘레면(16-3c) 중에서 하측부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6)의 개방 대향면(16-3b)은 탱크의 저장 공간(14)과 직접적으로 교통하는 공간이므로 별도로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3)은 그 내부에 상기 온도 검출센서(10b)를 수용하여 상기 온도 검출센서(10b)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온도 검출센서(10b)는 상기 하우징(16)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유동에 의한 수격 현상 등으로부터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가 상승할 때,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자유로운 출입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온도 검출센서(10b)로 하여금 정확한 온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개방 대향면(16-3b)은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센서(10)의 설치를 위한 내부 접근용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각각 참조로 하면, 도시된 상기 센서(10)는 수위 검출센서(10a)와 온도 검출센서(10b)로서, 외부에서 탱크의 측벽부(12)를 관통하여 내부에 위치한 저장 공간(14)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의 측벽 장착의 방식(Side mounting type)으로 설치된다.
상기 측벽부(12)는 상기 저장 공간(14)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센서(1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격판부재에 해당하는 하우징(16)을 설치하는 바, 상기 하우징(16)은 상기 측벽부(12)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 공간(14)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외부 관통형 조립구조로서, 취부측 일단부가 폐쇄되고 타단측 자유단부는 개방되는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16)은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4)의 외부 관통형 조립구조로서, 상기 측벽부(12)를 관통하여 외부로 절곡된 탱크 플랜지(12a)에 대해 직접 결합되는 취부 플랜지(16-4a)와, 상기 취부 플랜지(16-4a)와 마주보는 부위에서 상기 저장 공간(14)을 향해 개구된 개방 대향면(16-4b), 상기 취부 플랜지(16-4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장 공간(14)으로 삽입되어 상기 취부 플랜지(16-4a)와 상기 개방 대향면(16-4b) 사이를 마감하는 원통형 둘레면(16-4c), 및 상기 취부 플랜지(16-4a)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6)의 일단부를 마감하여 폐쇄시키는 블라인드 플랜지(16-4d)를 일체로 갖춘 중공의 원통체 형상의 입체 구조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취부 플랜지(16-4a)와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16-4d)는 상기 탱크 플랜지(12a)에 대해 나사 체결로서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취부 플랜지(16-4a)와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16-4d)는 상기 탱크 플랜지(12a)에 대해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상기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4)의 전 부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로 형성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16)의 원통형 둘레면(16-4c) 중에서 하측부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6)의 개방 대향면(16-4b)은 탱크의 저장 공간(14)과 직접적으로 교통하는 공간이므로 별도로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4)은 그 내부에 수위 검출센서(10a) 또는 온도 검출센서(10b)를 수용하여 이들을 각각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수위 검출센서(10a)와 온도 검출센서(10b)는 상기 하우징(16)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유동에 의한 수격 현상 등으로부터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가 상승할 때,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자유로운 출입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수위 검출센서(10a)로 하여금 정확한 수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상기 온도 검출센서(10b)로 하여금 정확한 온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개방 대향면(16-4b)은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센서(10)의 설치를 위한 내부 접근용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6)은 탱크의 저장 공간(14) 내에서 다양한 부위로 설치될 수 있는 데, 이는 각 센서(10)가 기능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탱크의 측벽부(12) 중에서 탱크 탑 부위나 또는 중간 부위 또는 아래 부위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하우징(16)은 각 센서(10)의 설치부위에 맞춰 설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6)의 형태로는 각 센서(10)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각형 입체 구조물(16-1)이나 원통형 구조물(16-2)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하우징(16)이 탱크 내의 저장 공간(14)에서 각 센서(10)의 설치부위 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면, 상기 각 센서(10)는 상기 하우징(16)의 내부 공간에서 보호받을 수 있게 되므로, 선박의 운항 중 탱크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따른 수격 현상 등에 의해 각 센서(10)가 손상될 수 있는 가능성을 거의 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6)에 형성된 공기빼기용 구멍(18)은 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 변화시 상기 하우징(16)의 내부공간으로 저장된 유체의 자유로운 유입과 유출을 허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 센서(10)에 의해 검출되는 다양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될 수 있게 해 주고, 상기 개구부(20)는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로 센서(10)의 설치를 위한 접근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해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센서 10a ; 수위 검출센서
10b ; 온도 검출센서 12 ; 측벽부
14 ; 저장 공간 16 ; 하우징
18 ; 구멍 20 ; 개구부
22 ; 도어 24 ; 커버

Claims (9)

  1.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10)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탱크의 측벽부(12)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센서(10)를 수용하는 하우징(16), 상기 하우징(16)을 관통하여 내부로 상기 탱크의 저장 공간(14)에 저장된 유체의 유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빼기용 구멍(18), 및 상기 하우징(16)을 관통하여 내부 공간으로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개구부(20)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6)은 상기 측벽부(12)에 취부되는 개구면(16-1a)과, 상기 개구면(16-1a)과 마주보는 부위에 위치하는 폐쇄 대향면(16-1b), 및 상기 개구면(16-1a)과 상기 폐쇄 대향면(16-1b) 사이를 마감하는 다각형 둘레면(16-1c)을 갖추고서, 상기 저장 공간(14) 내에서 상기 측벽부(12)에 설치되는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의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2.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10)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탱크의 측벽부(12)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센서(10)를 수용하는 하우징(16), 상기 하우징(16)을 관통하여 내부로 상기 탱크의 저장 공간(14)에 저장된 유체의 유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빼기용 구멍(18), 및 상기 하우징(16)을 관통하여 내부 공간으로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개구부(20)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6)은 상기 측벽부(12)에 취부되는 개구면(16-2a)과, 상기 개구면(16-2a)과 마주보는 부위에서 상기 저장 공간(14)을 향해 개구된 개방 대향면(16-2b), 및 상기 개구면(16-2a)과 상기 개방 대향면(16-2b) 사이를 마감하는 다각형 둘레면(16-2c)을 갖추고서, 상기 저장 공간(14) 내에서 상기 측벽부(1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의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6)의 개방 대향면(16-2b)에는 내부로의 진입을 조절하기 위한 힌지식 개폐용 도어(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6)의 개방 대향면(16-2b)에는 외부로 연장된 취부 플랜지(16-2e)가 형성되고, 상기 취부 플랜지(16-2e)에 내부로의 진입을 조절하기 위한 착탈식 개폐용 커버(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0)는 상기 하우징(16)의 전 부위 중에서 하측부에 위치한 단차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6.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10)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탱크의 측벽부(12)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센서(10)를 수용하는 하우징(16), 및 상기 하우징(16)을 관통하여 내부로 상기 탱크의 저장 공간(14)에 저장된 유체의 유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빼기용 구멍(18)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6)은 상기 측벽부(12)에 취부되는 개구면(16-3a)과, 상기 개구면(16-3a)과 마주보는 부위에서 상기 저장 공간(14)을 향해 개구된 개방 대향면(16-3b), 및 상기 개구면(16-3a)과 상기 개방 대향면(16-3b) 사이를 마감하는 원통형 둘레면(16-3c)을 갖추고서, 상기 저장 공간(14) 내에서 상기 측벽부(1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내부 고정형 조립구조의 양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7.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10)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탱크의 측벽부(12)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센서(10)를 수용하는 하우징(16), 및 상기 하우징(16)을 관통하여 내부로 상기 탱크의 저장 공간(14)에 저장된 유체의 유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빼기용 구멍(18)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6)은 상기 측벽부(12)를 관통하여 외부로 절곡된 탱크 플랜지(12a)에 대해 결합되는 취부 플랜지(16-4a)와, 상기 취부 플랜지(16-4a)와 마주보는 부위에서 상기 저장 공간(14)을 향해 개구된 개방 대향면(16-4b), 상기 취부 플랜지(16-4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장 공간(14)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둘레면(16-4c), 및 상기 취부 플랜지(16-4a)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6)의 일단부를 마감하여 폐쇄시키는 블라인드 플랜지(16-4d)를 갖추고서, 상기 측벽부(12)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 공간(14)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외부 관통형 조립구조의 일단부 개방형 중공 구조물(16-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취부 플랜지(16-4a)는 상기 탱크 플랜지(12a)에 대해 나사 체결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빼기용 구멍(18)은 상기 하우징(16)의 전 부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로 형성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16)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KR1020120040703A 2012-04-19 2012-04-19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KR20130117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703A KR20130117946A (ko) 2012-04-19 2012-04-19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703A KR20130117946A (ko) 2012-04-19 2012-04-19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946A true KR20130117946A (ko) 2013-10-29

Family

ID=4963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703A KR20130117946A (ko) 2012-04-19 2012-04-19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79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3813A (zh) * 2015-05-19 2015-09-16 深圳市康强建筑新技术工程有限公司 管网信息采集装置
WO2022094881A1 (zh) * 2020-11-05 2022-05-12 唐山圣因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海洋仪器的防生物附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3813A (zh) * 2015-05-19 2015-09-16 深圳市康强建筑新技术工程有限公司 管网信息采集装置
WO2022094881A1 (zh) * 2020-11-05 2022-05-12 唐山圣因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海洋仪器的防生物附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1883B1 (en) System for monitoring coastal underground water
KR20130117946A (ko) 탱크 내부의 센서 보호장치
US20160223374A1 (en) Flow meter
JP2023164462A (ja) フィルター装置
JP2007064425A (ja) ブリーザプラグ
KR101115575B1 (ko) 온도 및 압력 탐침장치
KR20170042244A (ko) 유동하는 유체 매체의 적어도 하나의 유동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장치
JP2005030885A (ja) 漏洩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漏洩検出システム
US10190920B1 (en) Environment sensor for acoustic instrument
KR101221880B1 (ko) 탁도 측정 용기가 구비된 수질 측정 센서용 보호캡 및 탁도 측정 용기가 구비된 수질 측정 장치
KR20060033009A (ko) 누설검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누설검출시스템
KR100790802B1 (ko) 논 담수위 계측장치
JP2002310823A (ja) 圧力計
KR20160069720A (ko) 차량의 냉각수 부족 감지장치
CA32248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n-invasively sensing internal temperature of a fluid contained in a housing
KR100956616B1 (ko) 다이아프램을 이용한 압력 측정 장치 및 압력 측정 방법
JP2010262329A (ja) 警報器
CN114270152A (zh) 用于测量填充水平的传感器系统、传感器系统的应用、装置和方法
CN219977454U (zh) 一种温湿度传感器
JP2002061766A (ja) ブリーザバルブ
KR20190139471A (ko) 공기질 측정 장치의 측정 구조 방식
ES2288094B1 (es) Equipo de regulacion del nivel de fluido en depositos.
CN220912333U (zh) 热工仪表
CN220794321U (zh) 燃气表
CN216283921U (zh) 一种防摔型噪音计校准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