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724A -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spinning cone column) - Google Patents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spinning cone colum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724A
KR20130117724A KR1020130042919A KR20130042919A KR20130117724A KR 20130117724 A KR20130117724 A KR 20130117724A KR 1020130042919 A KR1020130042919 A KR 1020130042919A KR 20130042919 A KR20130042919 A KR 20130042919A KR 20130117724 A KR20130117724 A KR 20130117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c
housing
spinning disk
spinning
re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권
주은정
신대영
김한홍
허창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3011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rotary dis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CC 내에서 생성되는 폼을 제거하기 위해 소포제를 공급하는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축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형성된 적어도 1종의 반응물 공급부; 상기 회전축에 상단에서 하단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2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반응물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반응물을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피닝 디스크;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 상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단의 스피닝 디스크 상에서 하단의 스피닝 디스크 상으로 반응물을 순차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각 스피닝 디스크 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스피닝 디스크 및 가이드 부재를 통해 이동한 반응물을 수집하기 위한 생성물 수집부; 및 상기 스피닝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일측에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SCC는, 반응물에서 제거 대상물의 분리 시에 폼(form)이 생성되어 제거 수율이 감소되고, 생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생성되는 폼을 제거하기 위해 소포제를 투입할 수 있는 소포제 투입장치가 설치되어 제거 대상물의 제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spinning cone column) {Spinning cone column having deformer inse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spinning cone colum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SCC 내에서 생성되는 폼을 제거하기 위해 소포제를 공급하는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반응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반응장치로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반응기에 원료생성물을 첨가한 후 교반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회분식 반응기가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상기 방법의 경우 빠른 물질전달속도를 요구하는 반응에 대해서는 충분한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아 다량의 미원료 생성물이 생길 수 있으며,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촉매의 분리공정이 필수적이어서 대용량이 될수록 비용을 상승시키는 비효과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61,765호에서 스피닝 디스크 반응장치(Spinning disc reactor)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스피닝 디스크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어 원료생성물의 디스크 체류시간이 짧다는 문제가 있어, 디스크의 기울기로 인해 원료생성물의 디스크 체류시간을 향상시킨 콘 형태의 SCC(spinning cone column)가 선호되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SCC는 PVC 라텍스 등의 반응 시 VCM(vinyl chloride monomer) 등의 잔류 모노머 제거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SCC에서 PVC 라텍스 등의 반응 시 잔류 모노머 제거를 위해 스팀을 유입시켜 잔류 모노머의 제거가 가능하나, 이 경우 폼이 발생하여 라텍스의 안정성 저하 및 접촉에 의한 제거 대상물의 제거 과정에서 그 수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폼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61,765호
본 발명은 소포제를 투입할 수 있는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되어, 제거 대상물의 제거 수율이 향상된 SC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축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형성된 적어도 1종의 반응물 공급부; 상기 회전축에 상단에서 하단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2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반응물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반응물을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피닝 디스크;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 상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단의 스피닝 디스크 상에서 하단의 스피닝 디스크 상으로 반응물을 순차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각 스피닝 디스크 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스피닝 디스크 및 가이드 부재를 통해 이동한 반응물을 수집하기 위한 생성물 수집부; 및 상기 스피닝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일측에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스피닝 디스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2 내지 20개가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CC는 중합반응 및 에테르화 반응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합반응은 액상중합반응, 기상중합반응, 및 자유라디칼 중합반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닝 디스크는 표면에 촉매층, 개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닝 디스크는 하기 계산식 1에 따른 G가 1 내지 100배가 되는 회전 속도로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계산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G는 중력가속도의 배수이고, r은 디스크의 반지름(m)이고, rpm은 회전속도(회/분)이다.
또한, 상기 스피닝 디스크는 내부에 가열수단 및 온도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CC는 하우징 외벽 또는 내벽에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한 가열수단 및 온도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SCC는 기체 공급부 및 잔여기체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소포제를 투입하여 상기 SCC 내에서 생성되는 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는 컨트롤 밸브를 가지는 투입관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는 반응물 대비 50 내지 1000ppm의 소포제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CC는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와 연결된 폼 디텍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는 상기 폼 디텍터에서 상기 SCC 내부에 SCC 높이의 75% 이상까지 폼이 발생하였음을 감지 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소포제를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물은 PVC 라텍스, SBR 라텍스, 및 AB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CC는, 반응물에서 제거 대상물의 분리 시에 폼(form)이 생성되어 제거 수율이 감소되고, 생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생성되는 폼을 제거하기 위해 소포제를 투입할 수 있는 소포제 투입장치가 설치되어 제거 대상물의 제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회전축(11)을 가지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형성된 적어도 1종의 반응물 공급부(20); 상기 회전축(11)에 상단에서 하단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2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반응물 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된 반응물을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피닝 디스크(3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 상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단의 스피닝 디스크(30) 상에서 하단의 스피닝 디스크(30) 상으로 반응물을 순차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각 스피닝 디스크(30) 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 부재(40); 상기 스피닝 디스크(30) 및 가이드 부재(40)를 통해 이동한 반응물을 수집하기 위한 생성물 수집부(50); 및 상기 스피닝 디스크(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60);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 일측에 소포제 투입장치(70)가 구비된 SCC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SCC는, 반응 시 생성되는 폼을 제거하기 위해 소포제를 투입할 수 있는 소포제 투입장치(70)가 설치되어 제거 대상물의 제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스피닝 디스크(30)는 동일한 회전축(11)을 따라 상단에서 하단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11)이 회전할 때 스피닝 디스크(3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면서 공급된 반응물이 스피닝 디스크(30) 상에서 퍼지게 되며 이로써 표면적이 넓어져 기체 등과의 접촉에 의해 제거 대상물의 제거가 원활해 질 수 있다. 상기에서, 스피닝 디스크(30)는 상기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개가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스피닝 디스크(30) 하단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40)는 상단의 스피닝 디스크(30) 상에서 하단의 다른 스피닝 디스크(30) 상으로 반응물을 순차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40)는 하우징(10)의 내부면 상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11)의 회전 시에 회전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반응물은 하우징(10) 내부로 형성된 반응물 공급부(20)로 공급되고, 회전축(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피닝 디스크(30)와 가이드 부재(40)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 중에 제거 대상물이 제거되고, 제거 대상물이 제거된 반응물은 생성물 수집부(50)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SCC는 중합반응 및 에테르화 반응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SCC를 이용한 반응은 기-액 반응, 액-액 반응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중합반응 및 에테르화 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반응은 액상중합반응, 기상중합반응 또는 자유라디칼 중합반응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반응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에테르화 반응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과 알코올을 반응물질로 하여 상기 반응물 공급부(20)를 통해 첫 번째 단의 스피닝 디스크(30) 장치로 투입하고, 모터를 이용하여 동일 회전축(11)을 중심으로 각 스피닝 디스크(30)를 회전시켜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에테르 또는 에테르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닝 디스크(30) 표면은 제올라이트 촉매가 코팅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레핀은 탄소수 2 내지 4의 알켄 또는 알킨일 수 있고,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8의 저급알코올일 수 있다. 또한, 자유라디칼 중합반응을 진행하는 경우, UV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램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닝 디스크(30)는 표면에 촉매층, 개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중합반응의 경우 통상의 금속촉매 또는 금속담지 촉매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개시제일 경우, 중합반응에 사용되는 통상의 중합반응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코팅두께는 반응을 진행할 수 있는 정도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스피닝 디스크(30)는 하기 계산식 1에 따른 G가 1 내지 100배가 되는 회전 속도로 동일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계산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G는 중력가속도의 배수이고, r은 디스크의 반지름(m)이고, rpm은 회전속도(회/분)이다.
또한, 상기 스피닝 디스크(30)는 내부에 가열수단 및 온도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SCC는 하우징(10) 외벽 또는 내벽에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한 가열수단 및 온도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60)는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CC는 기-액 반응을 진행하는 경우 기체 공급부 및 잔여기체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선택적으로 하우징(10) 외벽에 하우징(10) 내부로 기체를 공급할 수 있는 기체투입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체는 하우징(10) 내벽의 턱 바로 아래에 투입구를 설치하여 투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후 생성된 잔여 기체는 하우징(10) 상단에 별도로 설치된 잔여기체 배출부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SCC에서 반응물이 반응 시 생성되는 폼은 기체 유로를 막게 되어 기-액 간의 물질 전달 효율을 떨어뜨리고, 운전 안정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폼을 제거하기 위해 소포제 투입장치(70)가 구비된다. 즉, 반응 시 폼이 생성되어 제거 수율이 감소되고 생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성되는 폼을 제거할 수 있는 소포제를 투입 가능한 소포제 투입장치(7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7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소포제를 투입하여 SCC 내에서 생성되는 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70)는 컨트롤 밸브(71)를 가지는 투입관(72)으로 상기 하우징(10) 내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투입관(72)을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소포제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투입관(72)은 하우징(10)의 상부, 중간부,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관(72)의 컨트롤 밸브(71)의 개폐에 의해 소포제의 투입 및 투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밸브(71)는 소포제 투입장치(70)와 연결된 폼 디텍터(73)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7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투입되는 반응물 대비 50 내지 1000ppm의 소포제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CC는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70)와 연결된 폼 디텍터(7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폼 디텍터(73)는 SCC 내부에서 생성되는 폼의 양을 측정하여 SCC 높이의 75% 이상까지 폼이 발생하였음을 감지 시 소포제 투입장치(70)로 신호를 보내어, 소포제 투입장치(70)의 투입관(72)의 컨트롤 밸브(71)가 열려 투입관(72)을 통해 소포제가 하우징(10) 내부로 투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응물은 PVC 라텍스, SBR 라텍스, 및 AB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CC의 반응물 공급부(20)를 통해 상기 라텍스 폴리머가 공급되면, 중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피닝 디스크(30) 및 가이드 부재(40)를 거치면서 PVC라텍스에서는 VCM(vinyl chloride monomer), SBR라텍스에서는 SM(styrene monomer)가, 잔류 모노머 즉 제거 대상물로써, 유입된 스팀에 의해 배출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PVC 라텍스 또는 SBR 라텍스가 반응 시 생성되는 폼은, 소포제 투입장치(70)로부터 투입되는 소포제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SCC는, 생성되는 폼을 제거할 수 있는 소포제를 투입하는 소포제 투입장치(70)가 설치되어 제거 대상물의 제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도 1과 같은 구조의 SCC 내부(진공도 -0.45kg, 내온 50℃)로 100~500kg/hr로 PVC를 투입하면서, 폼 디텍터에서 SCC 높이의 75% 이상까지 폼이 발생하였음을 감지 시 SCC 내부로 소포제를 투입 후 10 분 뒤 PVC 내 잔류 모노머인 VCM의 양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SCC 내부의 내온을 4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운전 후, PVC 내 잔류 모노머인 VCM의 양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SCC 내부의 진공도를 -0.40kg, 내온을 5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운전 후, PVC 내 잔류 모노머인 VCM의 양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되지 아니한 일반 SCC를 사용하여 소포제 투입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운전 후, PVC 내 잔류 모노머인 VCM의 양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되지 아니한 일반 SCC를 사용하여 소포제 투입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운전 후, PVC 내 잔류 모노머인 VCM의 양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되지 아니한 일반 SCC를 사용하여 소포제 투입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운전 후, PVC 내 잔류 모노머인 VCM의 양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 50 ~ 100 ppm 200 ~ 300 ppm
2 150 ~ 200 ppm 400 ~ 500 ppm
3 100 ~ 150 ppm 300 ~ 400 ppm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를 사용한 실시예들의 경우, 비교예들에 비해 잔류 모노머의 양이 적기 때문에 실시예들의 경우 비교예들 보다 제거 대상물의 제거 수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하우징
11:회전축
20:반응물 공급부
30:스피닝 디스크
40:가이드 부재
50:생성물 수집부
60:구동부
70:소포제 투입장치
71: 컨트롤 밸브
72:투입관
73:폼 디텍터

Claims (17)

  1. 회전축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형성된 적어도 1종의 반응물 공급부;
    상기 회전축에 상단에서 하단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2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반응물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반응물을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피닝 디스크;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 상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단의 스피닝 디스크 상에서 하단의 스피닝 디스크 상으로 반응물을 순차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각 스피닝 디스크 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스피닝 디스크 및 가이드 부재를 통해 이동한 반응물을 수집하기 위한 생성물 수집부; 및
    상기 스피닝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일측에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닝 디스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2 내지 20개가 배열된 SCC.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CC는 중합반응 및 에테르화 반응에 사용하는 것인 SCC.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반응은 액상중합반응, 기상중합반응, 및 자유라디칼 중합반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SCC.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닝 디스크는 표면에 촉매층, 개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코팅된 SCC.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닝 디스크는 하기 계산식 1에 따른 G가 1 내지 100배가 되는 회전 속도로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SCC.
    [계산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G는 중력가속도의 배수이고, r은 디스크의 반지름(m)이고, rpm은 회전속도(회/분)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닝 디스크는 내부에 가열수단 및 온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SCC.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CC는 하우징 외벽 또는 내벽에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한 가열수단 및 온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SCC.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인 SCC.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CC는 기체 공급부 및 잔여기체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SCC.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소포제를 투입하여 상기 SCC 내에서 생성되는 폼을 제거하는 것인 SCC.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는 컨트롤 밸브를 가지는 투입관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와 연결되어 있는 SCC.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는 반응물 대비 50 내지 1000ppm의 소포제를 투입하는 것인 SCC.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CC는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와 연결된 폼 디텍터를 더 구비하는 SCC.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 투입장치는 상기 폼 디텍터에서 상기 SCC 내부에 SCC 높이의 75% 이상까지 폼이 발생하였음을 감지 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소포제를 투입하는 SCC.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은 PVC 라텍스, SBR 라텍스, 및 AB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SCC.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SCC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스팀에 의해 라텍스 폴리머 내 잔류하는 미반응 모노머를 제거하는 방법.
KR1020130042919A 2012-04-18 2013-04-18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spinning cone column) KR20130117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448 2012-04-18
KR20120040448 2012-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724A true KR20130117724A (ko) 2013-10-28

Family

ID=4963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919A KR20130117724A (ko) 2012-04-18 2013-04-18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spinning cone colum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77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288A (ko) 2021-06-22 2022-12-29 (주)에코비즈넷 자동 소포제 투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288A (ko) 2021-06-22 2022-12-29 (주)에코비즈넷 자동 소포제 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765B1 (ko) 스피닝 디스크 반응장치
KR101474411B1 (ko) 폼 제거기가 구비된 scc
KR101491780B1 (ko) Scc를 이용한 폴리머 중 미반응 모노머를 제거하는 방법
KR101494831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scc
KR101474476B1 (ko) 제거 대상물의 이동성이 향상된 scc
Luo et al. Characteristics of a two-stage counter-current rotating packed bed for continuous distillation
Trent Chemical processing in high-gravity fields
KR101620177B1 (ko) 기액 분리 장치
KR20130117724A (ko) 소포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SCC(spinning cone column)
KR101593092B1 (ko) 폼 브레이커가 구비된 SCC(spinning cone column)
JP4197954B2 (ja) イソブテンの重合する際の未反応のイソブテンの分離
EP4282504A1 (en) Distillation apparatus
JP3959908B2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スラリー中の単量体回収装置
JP2002114816A (ja) 未反応塩化ビニル系モノマーを除去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8047441A (zh) 废液脱气装置、废液脱固脱气系统和方法
KR20100026134A (ko) 연속 반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