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684A -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684A
KR20130117684A KR1020130041755A KR20130041755A KR20130117684A KR 20130117684 A KR20130117684 A KR 20130117684A KR 1020130041755 A KR1020130041755 A KR 1020130041755A KR 20130041755 A KR20130041755 A KR 20130041755A KR 20130117684 A KR20130117684 A KR 20130117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ard
card member
connecto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957B1 (ko
Inventor
기요시 마츠우라
다다시 이노우에
히로마사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7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노말 타입의 트레이의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을 금속제로 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카드부재(41)의 도체부를 아래쪽 방향으로 하여 재치되는 트레이(29)와, 트레이(29)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소켓(11)을 가지는 카드용 커넥터(10)로서, 소켓(11)은 컨택트가 배치된 하우징(13)과, 하우징(13)이 덮이는 커버체(21)로 구성되며, 커버체(21) 측에 배치되는 평면부와, 평면부의 트레이(29)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부로부터 굴곡된 한 쌍의 측면부(32, 33)와, 측면부의 평면부와는 반대 측의 각 단부로부터 평면부와 대향하며, 측면부를 따라서 마련되어 카드부재(41)가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35, 36)로 구성되고, 적어도 평면부 및 지지부(35, 36)가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3)에는 한 쌍의 지지부(35, 36)를 끼워넣을 수 있는 홈부(17)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 {CONNECTOR FOR CARD}
본 발명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나 SD(Secure Digital) 카드 등의 도체부가 아래쪽을 향해서 배치된 카드부재를 접속하는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카드부재가 재치(載置)되는 트레이의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을 금속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를 도모한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 등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SIM 카드나 SD카드 등이 접속되는 카드용 커넥터가 탑재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카드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각종 카드가 재치되는 트레이가 구비되며, 이 트레이와 함께 카드의 출입이 행해지는 이른바 트레이식의 카드용 커넥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트레이식의 카드용 커넥터는 카드용 커넥터에 구비된 소켓 본체에 별개 부품으로서 형성된 트레이가 추가된 구성으로 되어, 커넥터 자체의 제품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 때문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저배화를 목적으로 한 SIM 카드용 커넥터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SIM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SIM 카드에 전기 접속된 접속기판 및 접속기판의 양측에 형성된 안내홈 유니트에 의해 구성된 케이스와, SIM 카드를 재치할 때에, 슬라이딩함으로써 안내홈 유니트에 접속되는 트레이를 구비하고, 트레이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금속제이며, SIM 카드를 얹어 놓는 저면과, 슬라이딩으로 안내홈 유니트와 접속하기 위해서 저면의 가장자리를 굽혀 형성된 측벽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기 특허문헌 1의 SIM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SIM 카드가 재치되는 트레이의 저면은 종래의 부드러운 수지제의 트레이보다도 얇게 형성되면서, 외력에 대해서 보다 저항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표2011-519464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SIM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트레이가 금속제로 되어 있지만, 이 커넥터는 SIM 카드의 도체부가 위쪽을 향하여 재치되는 이른바 리버스 타입의 트레이를 가지는 커넥터이므로, 트레이가 금속제로 되어 있어도 SIM 카드의 도체부와 트레이가 단락을 일으키지 않는다.
한편, SIM 카드의 도체부가 아래쪽을 향해서 재치되는 이른바 노말 타입의 트레이를 가지는 커넥터의 경우, 트레이를 금속제로 하면, 금속제의 트레이의 일부에서 SIM 카드의 도체부를 지지하게 되어, 트레이의 지지하는 부분이 SIM 카드의 도체부와 접촉하여 단락을 일으켜 버릴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통상, 노말 타입의 트레이는 절연성의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트레이를 수지로 형성하면,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지를 어느 정도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있고, 트레이를 저배화하거나 소형화하거나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커넥터 자체의 저배화 및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노말 타입의 카드용 커넥터에서, 카드부재가 재치되는 트레이의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을 금속재료로 형성해도 단락을 일으키는 것이 억제되고, 또, 트레이의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이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트레이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저배화 및 소형화를 도모한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한쪽의 면에 도체부가 형성된 평판 모양의 카드부재가 상기 도체부를 아래쪽 방향으로 하여 재치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소켓을 가지는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소켓은 상기 도체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가 배치된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덮이는 커버체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소켓 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커버체 측에 배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부(兩端部)로부터 굴곡되어서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기 평면부와는 반대 측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평면부와 대향하고, 상기 측면부를 따라서 마련되어 상기 카드부재의 한쪽의 면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로 구성되며, 적어도 상기 평면부 및 상기 지지부가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한 쌍의 측면부는 상기 카드부재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었을 때, 상기 카드부재와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상기 카드부재가 상기 소켓에 재치되었을 때, 상기 카드부재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또, 제4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측면부의 안쪽의 외면에는 각각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 내에는 상기 트레이의 제1 걸림부가 걸리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소켓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트레이의 제1 걸림부와 상기 소켓의 제2 걸림부가 걸려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딩 거리가 규제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의 앞쪽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5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카드부재가 삽입되는 측과는 반대 측에는, 상기 카드부재의 삽입이 규제되는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6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주위는 수지재료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7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평면부의 앞쪽은 상기 트레이에 재치되는 상기 카드부재의 일부가 노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8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1 ~ 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카드부재가 삽입되는 측의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는 상기 트레이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 따르면, 하우징에 트레이에 형성된 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끼워넣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레이에 재치된 카드부재를 소켓에 삽입했을 때, 트레이의 지지부가 하우징의 홈부에 끼워 넣어지도록 된다. 이 때문에, 트레이의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인 평면부 및 지지부가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카드부재와 컨택트가 접촉했을 때, 트레이의 금속재료로 형성된 지지부가 카드부재의 도체부와 접촉하는 것이 억제되므로, 단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의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이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레이를 얇게 형성해도 고강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카드용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2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카드부재가 소켓에 재치되었을 때, 카드부재의 도체부와 하우징의 홈부에 끼워넣은 트레이의 지지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생기기 때문에, 보다 단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트레이의 지지부는 하우징의 홈부에 끼워넣어져 있으므로, 소켓의 상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져도, 카드부재의 도체부가 지지부에 접촉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단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3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카드부재가 소켓에 재치되었을 때, 컨택트에 의해 위쪽의 평면부 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카드부재의 도체부와 트레이의 지지부와의 사이의 틈새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어, 보다 단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4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트레이를 소켓으로부터 떼어낼 수 없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종래 예와 같이 카드부재를 안정적으로 배치시키는 벽 등을 트레이의 앞쪽에 형성하지 않아도, 트레이 자체가 안정됨으로써, 카드부재를 안정적으로 재치할 수 있게 된다. 또, 트레이에 이러한 벽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트레이를 소형으로 할 수 있고, 보다 카드용 커넥터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의 앞쪽을 개방하고 이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카드부재의 빼고 꽂기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카드부재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트레이를 소켓으로부터 떼어낼 수 없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트레이를 분실할 우려가 없어진다.
또, 제5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트레이에 삽입되는 카드부재가 벽부에 의해 삽입이 방지되기 때문에, 카드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카드부재를 가압함으로써, 트레이마다 소켓 내로 밀어넣을 수 있어, 카드부재 및 트레이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6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에 닿는 트레이의 주위가 수지재료로 덮여 있으므로, 사용자가 금속의 단부(端部)에 의해 부상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7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트레이의 평면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 부분으로부터 카드부재의 일부가 노출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이 노출한 부분의 카드부재를 파지할 수 있게 되므로, 카드부재를 취출하기 쉽게 된다.
또, 제8 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카드용 커넥터 및 카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소켓 및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하우징 및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5 중 도 5의 A는 트레이에 카드부재를 재치한 상태의 위쪽으로부터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아래쪽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6 중 도 6의 A ~ 도 6의 C는 커넥터에 카드부재를 장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중 도 7의 A는 도 6의 C의 VIIA부의 카드부재를 생략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의 B는 도 6의 C의 VIIB부의 카드부재를 생략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C의 VIII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카드용 커넥터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것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형태인 것에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1]
도 1 ~ 도 8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의 카드용 커넥터(이하, 간단히 「커넥터」라 한다.)(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넥터(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 모양의 카드부재(41)가 재치되는 트레이(29)와, 트레이(29)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켓(11)으로 구성되며, 미도시의 기판 등에 실장(實裝)되어 이용된다. 또한, 실시형태 1의 커넥터(10)에서는, 카드부재(41)는 한쪽의 면에 도체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도체부(42)가 아래쪽을 향해서 트레이(29)에 재치되는 이른바 노말 타입의 커넥터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커넥터에 카드부재가 삽입되는 측을 앞쪽으로 하고, 그 반대 측을 안쪽으로 한다.
우선, 도 1 ~ 3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의 소켓(11)에 대해서 설명한다. 소켓(11)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복수의 컨택트(18)와, 컨택트(18)가 장착된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13)과, 이 하우징(13)이 덮이는 커버체로 구성되며, 한쪽에 트레이(29)가 슬라이딩되어 출입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3)은, 도 3에 나타내는 대략 사각형 모양의 평판체에 구성된 절연성의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평판체의 트레이(29)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면에는 일부에 절개부(15a)가 마련된 입설부(立設部)(15)를 가지고 있고, 이 입설부(15)의 외측에는 복수의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15a) 및 돌기(16)는 후술하는 커버체(21)와의 장착에 이용된다.
또, 하우징(13)에는 후술하는 컨택트(18)가 배치되었을 때 컨택트(18)의 일부가 돌출되는 복수의 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3)의 양단변 측에는 다른 부분의 하우징(13)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된 홈부(1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17)는 후술하는 트레이(29)의 한 쌍의 지지부(35, 36)를 끼워넣을 수 있는 형상 및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18)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부재(41)에 마련된 복수로 구획된 도체부(42)와 접촉되는 접촉부(19)와, 커넥터(10)가 기판 등에 실장되었을 때 기판과 접속되는 접속부(20)를 가지며, 각 접지부(19) 및 접속부(20)와 미도시의 컨택트 본체로 일체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하우징(13)과 일체로 몰드 성형되어 있다. 하우징(13)의 개구(14)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컨택트(18)의 접촉부(19)는 각각이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11)에 장착된 카드부재(41)에 의해 변형되는데 저항하여, 카드부재(41)를 위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 접속부(20)는 하우징(13)의 한쪽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커버체(2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3)과 대향하도록 마련된 평판 모양의 상면(22)과, 이 상면(22)의 트레이(29)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변이 굴곡되어 형성된 측면(23, 24)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측면(23, 24)에는 상술한 하우징(13)의 입설부(15)에 형성된 절개부(15a) 및 돌기(16)와 대응하도록, 연설부(延設部)(26) 및 맞물림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체(21)의 트레이(29)가 출입하는 측과 반대 측에는 상면(22)의 일부가 연장하여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진 수하부(垂下部)(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하부(28)는 트레이(29)가 삽입되었을 때, 트레이(29)가 지나치지 않도록 규제하는 부분이 된다. 또한, 커버체(21)의 연설부(26) 및 수하부(28)의 저부(底部)는 커넥터(10)가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 기판과 납뗌 등으로 고정되는 부분도 되어, 커넥터의 실장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소켓(11)의 개구부(12)와 근접하는 커버체(21)의 양측면(23, 24)에는 돌기 모양의 제2 걸림부(2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트레이(29)에 대해서 설명한다. 트레이(29)는 카드부재(41)를 커넥터(10)에 장착시킬 때에 카드부재(41)를 재치시키고, 카드부재(41)를 소켓(11)으로부터 출입하기 위한 것이다.
트레이(29)는 소켓(11)에 재치되었을 때, 상측에 배치되는 평면부(30)와, 이 평면부(30)의 트레이(29)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부로부터 굴곡되어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32, 33)와, 이 측면부(32, 33)의 아래쪽으로부터 평면부(30)와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지지부(35, 36)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금속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부(32, 33)는 후술하는 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호부로 덮여 있다.
평면부(30)는 트레이(29)의 본체가 되는 부분이며, 면적이 큰 판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평면부(30)의 앞쪽, 즉 카드부재(41)가 삽입되는 측에는, 카드부재(41)를 빼내기 쉽도록 절개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트레이(29)가 소켓(11)에 장착되었을 때, 트레이(29)의 평면부(30)가 소켓(11)의 커버체(21)의 상면(22) 측에 배치된다.
측면부(32, 33)는 평면부(30)의 한 쌍의 단변으로부터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트레이(29)에 재치되는 카드부재(41)의 두께에 비해 조금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즉, 트레이(29)에 카드부재(41)가 재치되었을 때, 후술하는 지지부(35, 36)와 카드부재(41)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측면부(32, 33)가 형성된다. 또, 측면부(32, 33)의 안쪽, 즉 카드부재(41)가 삽입되는 측과 반대 측에는, 소켓(11)의 커버체(21)에 형성된 돌기 모양의 제2 걸림부(25)와 걸려지는 웅덩이 모양의 제1 걸림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5, 36)는 트레이(29)에 카드부재(41)가 재치되었을 때, 카드부재(41)의 도체부(42)를 지지하는 부분이 되고, 측면부(32, 33)의 하측으로부터 평면부(30)와 대향하여 굴곡하여 마련된 한 쌍의 세판체(細板體)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5, 36)는 측면부(32, 33)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3)의 컨택트(18)가 마련된 부분에 걸리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5, 36)의 형상은 카드부재(41)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이면, 도 5의 B에 나타낸 형상 이외라도, 하우징(13)에 형성된 홈부(17)에 끼워넣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9)의 안쪽에는 카드부재(41)가 삽입되었을 때에, 카드부재(41)의 삽입이 규제되는 벽부(37)가 측면부(32, 33) 및 평면부(30)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트레이(29)의 앞쪽에는 소켓(11)에 삽입된 트레이(29)를 뽑아내기 쉽게 하기 위한 손잡이부(38)가 측면부(32, 33)의 적어도 한쪽에 세워져 있다. 또한, 트레이(29)의 앞쪽은 카드부재(41)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4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의 트레이(29)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트레이(29)의 측면부(32, 33), 앞쪽 및 안쪽 등에 접촉하여 상처나는 것 등을 억제하기 위해서, 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호부(39)로 덮여 있다. 이 보호부(39)는 금속으로 작성된 트레이를 수지 등으로 몰드 성형하여 형성된다. 또, 이 보호부(39)는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목적은 사용자의 보호에 있기 때문에 극히 얇게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트레이의 저배화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음으로, 주로 도 6 ~ 도 8을 참조하여 커넥터(10)로의 카드부재(41)의 장착과 떼어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10)로의 카드부재(41)의 장착에 대해서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소켓(11)으로부터 트레이(29)를 인출한다. 이 때,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이른바 노말 타입의 트레이(29)가 이용된 커넥터(10)이므로, 카드부재(41)의 도체부(42)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부재(41)를 트레이(29)의 앞쪽이 개방된 개방부(40)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카드부재(41)는 트레이(29)의 지지부(35, 36)의 위에 재치된 상태이므로, 카드부재(41)의 도체부(42)와 트레이(29)의 지지부(35, 36)는 접촉한 상태이다(도 5의 B참조). 또한, 이 때는 커넥터(10)에는 통전(通電)되어 있지 않으므로, 카드부재(41)와 트레이(29)가 단락하지 않는다. 또, 트레이(29)의 안쪽에는 벽부(3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드부재(41)는 벽부(37)와 맞닿게 됨으로써 삽입이 규제되며, 정(定)위치에 배치되게 된다(도 5의 A, 도 5의 B참조).
그 후,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1) 내에 카드부재(41) 및 트레이(29)를 밀어넣어, 소켓(11)에 장착시킨다. 이 때, 소켓(11)의 커버체(21)의 안쪽에 형성된 수하부(28)에 의해 트레이(29)의 삽입이 규제되며, 정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29)에 형성된 지지부(35, 36)는 하우징(13)에 형성된 홈부(17)에 끼워넣고(도 7의 A, 도 7의 B참조), 또, 카드부재(41)는 하우징(13)에 마련된 컨택트(18)의 접촉부(19)와 도체부(42)가 접촉함으로써, 카드부재(41)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부재(41)와 트레이(29)의 지지부(35, 36)와의 사이에 틈새(43)가 마련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노말 타입의 트레이(29)를 금속재료로 형성해도 카드부재(41)와의 단락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레이(29)를 금속재료로 형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트레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는 적어도 카드부재의 평면부와 평행하게 되는 부분, 즉 실시형태 1에서는 평면부 및 지지부가 금속재료로 형성됨으로써 트레이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컨택트(18)의 접촉부(19)에 카드부재(41)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변형되어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해 둠으로써, 카드부재(41)와 트레이(29)의 지지부(35, 36)와의 틈새를 보다 확실히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커넥터(10)로부터 카드부재(41)의 떼어냄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드부재(41)를 커넥터(10)로부터 떼어내는 경우는, 우선,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에 삽입된 트레이(29)를 카드부재(41)가 재치된 상태인 채로 뽑아 낸다. 즉, 트레이(29)의 앞쪽의 측면부(32)에 마련된 손잡이부(38)를 손가락 등으로 걸어 뽑아내고, 도 6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 한다. 그 후, 카드부재(41)의 앞쪽을 손가락 등으로 잡고, 그대로 뽑아냄으로써 카드부재(41)의 떼어냄이 행해진다(도 6의 A참조). 이 때, 트레이(29)의 평면부(30)에는 앞쪽에 절삭부(3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카드부재(41)가 노출되어, 뽑아내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의 커넥터(10)에서는, 트레이(29)는 소켓(11)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소켓(11)으로부터 트레이(29)를 뽑아내려고 했을 때, 소켓(11)의 커버체(21)에 형성된 제2 걸림부(25)와 트레이(29)의 측면부(32, 33)에 형성된 제1 걸림부(34)가 걸림으로써, 트레이(29)는 소켓(11)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종래, 카드부재(41)를 안정적으로 배치시키는 벽 등을 트레이(29)의 앞쪽에 형성하지 않아도, 트레이 자체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카드부재(41)를 문제없이 재치시킬 수 있다. 또, 트레이(29)에 이러한 벽 등을 형성하지 않지도 되기 때문에, 트레이(29)를 소형으로 할 수 있어, 보다 커넥터(10)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9)의 앞쪽을 개방하고, 이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카드부재(41)의 빼고 꽂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트레이(29)의 분실을 억제할 수 있다.
10 : 커넥터 11 : 소켓
12 : 개구부 13 : 하우징
14 : 개구 15 : 입설부
15a : 절개부 16 : 돌기
17 : 홈부 18 : 컨택트
19 : 접촉부 20 : 접속부
21 : 커버체 22 : 상면
23, 24 : 측면 25 : 걸림부
26 : 연설부 27 : 맞물림 구멍
28 : 수하부 29 : 트레이
30 : 평면부 31 : 절개부
32, 33 : 측면부 34 : 걸림부
35,36 : 지지부 37 : 벽부
38 : 손잡이부 39 : 보호부
40 : 개방부 41 : 카드부재
42 : 도체부 43 : 틈새

Claims (8)

  1. 한쪽의 면에 도체부가 형성된 평판 모양의 카드부재가 상기 도체부를 아래쪽 방향으로 하여 재치(載置)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소켓을 가지는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소켓은 상기 도체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가 배치된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덮이는 커버체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소켓 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커버체 측에 배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양단부(兩端部)로부터 굴곡되어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기 평면부와는 반대 측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평면부와 대향하며, 상기 측면부를 따라서 마련되어 상기 카드부재의 한쪽의 면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로 구성되고, 적어도 상기 평면부 및 상기 지지부가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한 쌍의 측면부는 상기 카드부재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었을 때, 상기 카드부재와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상기 카드부재가 상기 소켓에 재치되었을 때, 상기 카드부재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측면부의 안쪽의 외면에는 각각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 내에는 상기 트레이의 제1 걸림부가 걸리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소켓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트레이의 제1 걸림부와 상기 소켓의 제2 걸림부가 걸려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딩 거리가 규제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의 앞쪽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카드부재가 삽입되는 측과는 반대 측에는, 상기 카드부재의 삽입이 규제되는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주위는 수지재료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평면부의 앞쪽은 상기 트레이에 재치되는 상기 카드부재의 일부가 노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8. 청구항 1 ~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카드부재가 삽입되는 측의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는 상기 트레이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KR1020130041755A 2012-04-17 2013-04-16 카드용 커넥터 KR102066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94245A JP2013222629A (ja) 2012-04-17 2012-04-17 カード用コネクタ
JPJP-P-2012-094245 2012-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684A true KR20130117684A (ko) 2013-10-28
KR102066957B1 KR102066957B1 (ko) 2020-01-16

Family

ID=4925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755A KR102066957B1 (ko) 2012-04-17 2013-04-16 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222629A (ko)
KR (1) KR102066957B1 (ko)
CN (1) CN203225368U (ko)
TW (1) TWM46246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316B1 (ko) 2015-02-03 2016-02-22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트레이 캐리어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418Y1 (ko) * 2005-11-04 2006-01-2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메모리카드 어댑터
JP2006127808A (ja) * 2004-10-26 2006-05-18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6127811A (ja) * 2004-10-26 2006-05-18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10170707A (ja) * 2009-01-20 2010-08-05 Kyocera Elco Corp トレイ式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1519464A (ja) 2008-03-26 2011-07-07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コリア リミテッド Simカード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7808A (ja) * 2004-10-26 2006-05-18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6127811A (ja) * 2004-10-26 2006-05-18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200406418Y1 (ko) * 2005-11-04 2006-01-2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메모리카드 어댑터
JP2011519464A (ja) 2008-03-26 2011-07-07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コリア リミテッド Sim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0170707A (ja) * 2009-01-20 2010-08-05 Kyocera Elco Corp トレイ式カード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62466U (zh) 2013-09-21
KR102066957B1 (ko) 2020-01-16
JP2013222629A (ja) 2013-10-28
CN203225368U (zh)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458B1 (ko) 심 카드의 커넥터
KR102131989B1 (ko) 카드용 커넥터
US7131871B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JP4720824B2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8979572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US9256810B2 (en) Card-load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KR20130056666A (ko) 휴대폰용 카드 장착 소켓
JP2007234472A (ja) カードコネクタ
US9979122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US6805570B1 (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connector with cover board grounding structure
US20140045364A1 (en) Connector
US7372136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JP5182888B2 (ja) 回路基板及び携帯端末装置
KR102066957B1 (ko) 카드용 커넥터
US7252529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JP2012146401A (ja) コネクタ装置
EP1788511B1 (en) Card-type device
JP6061084B2 (ja) カードコネクタ
EP2675240A1 (en) Portable terminal and wireless module
JP2011065949A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1142102A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4790867B2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1969381B1 (ko) 카드 커넥터
JP5218921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KR20170000241A (ko) 카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