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091A -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091A
KR20130117091A KR1020120039818A KR20120039818A KR20130117091A KR 20130117091 A KR20130117091 A KR 20130117091A KR 1020120039818 A KR1020120039818 A KR 1020120039818A KR 20120039818 A KR20120039818 A KR 20120039818A KR 20130117091 A KR20130117091 A KR 20130117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tors
motor
spindle member
electronic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03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091A/ko
Priority to DE102013006896A priority patent/DE102013006896A1/de
Priority to US13/864,105 priority patent/US20130270047A1/en
Priority to CN2013101308284A priority patent/CN103373330A/zh
Publication of KR2013011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2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apart from the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3/00Multiple operation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48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stationary axes, e.g. spur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0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non-stationary axes, e.g. planetary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2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non-parallel stationary axes, e.g. worm or beve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etarder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가 마련된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캘리퍼 하우징의 후방벽을 관통하여 실린더부 내에서 회전되는 스핀들 부재, 상기 스핀들 부재와 나사결합되어 스핀들 부재의 회전에 따라 진퇴 이동하며 상기 피스톤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너트 부재를 구비하는 가압장치 및 상기 가압장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로서,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은, 상기 캘리퍼 하우징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핀들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증폭시켜 상기 스핀들 부재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lectronic parking brake}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모터의 동작에 의해 주차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을 주차시키는 경우 차량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로, 차량의 휠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주차 브레이크의 구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lectronic Parking Brake;EPB)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장착되어 주차 브레이크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는 케이블 풀러(Cable Puller)형, 모터 온 캘리퍼(Motor-On-Caliper)형, 수력주차 브레이크(Hydraulic Parking Brake)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모터 온 캘리퍼(Motor-On-Caliper)형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디스크 브레이크 타입으로서,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미도시)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마찰패드(미도시)가 진퇴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캐리어(1)와, 이 마찰패드들을 가압하기 위한 캘리퍼 하우징(2) 및 피스톤(미도시)을 구비하여 제동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캘리퍼 하우징(2)의 실린더 내에는 피스톤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장치(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 가압장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가압장치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와, 모터(3)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증폭시키는 감속기(8)와, 모터(3)의 구동력을 감속기(8)로 전달하는 기어조립체(7)를 포함한다.
기어조립체(7)는 모터(3)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4)와, 감속기(8)와 연결된 종동기어(6) 및 구동기어(4)와 종동기어(6)를 연결하는 연결기어(5)로 구성되며, 상기 감속기(8)는 유성기어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9'는 모터(3), 기어조립체(7), 감속기(8)를 수용하여 캘리퍼 하우징(2)에 설치되는 케이스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하나의 모터(3)를 이용함으로써 고전압이 요구되고, 구동력을 기어조립체(7)를 통해 감속기(8)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며 제동시 작동소음 측면에서 불리하게 작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터(3)가 캘리퍼하우징(2)의 측면에 배치되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제한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모터(3)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모터(3)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제동작용을 실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모터(3)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에 대한 설치공간의 활용성이나 작동소음의 저감 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저전압 모터를 사용하면서도 충분히 큰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가 단순화되어 설치공간의 활용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소형 모터를 구비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모터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제동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가 마련된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캘리퍼 하우징의 후방벽을 관통하여 실린더부 내에서 회전되는 스핀들 부재, 상기 스핀들 부재와 나사결합되어 스핀들 부재의 회전에 따라 진퇴 이동하며 상기 피스톤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너트 부재를 구비하는 가압장치 및 상기 가압장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로서,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은, 상기 캘리퍼 하우징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핀들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증폭시켜 상기 스핀들 부재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속기는, 상기 복수의 모터의 각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감속기어부; 상기 감속기어부의 중심부와 연결된 제1태양기어와, 상기 제1태양기어의 외측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1유성기어들을 수용하도록 내접기어로 이루어진 제1링기어, 및 상기 제1유성기어들의 각 중심축과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제1캐리어를 구비하는 제1유성기어유닛; 및 상기 제1캐리어의 중심축에 설치된 제2태양기어와, 상기 제2태양기어의 외측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들을 수용하도록 내접기어로 이루어진 제2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들의 각 중심축과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상기 스핀들 부재에 전달하도록 상기 스핀들 부재에 설치되는 제2캐리어를 구비하는 제2유성기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제1태양기어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어부는 평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상기 복수의 모터는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감속기어부와 동일선상에서 치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터는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감속기어부와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 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는 소정 각도를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속기어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기어는 베벨기어 조립구조로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터는 전자제어유닛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터는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한 소형 모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저전압 모터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큰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부의 모터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모터에 의하여 제동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소형 모터를 사용함에 따라 공간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터의 동력이 분산되어 제동작용시 작동소음 및 강도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 비해 동력전달 단계를 최소화하여 감속기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력 손실을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액츄에이터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액츄에이터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의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D)와, 디스크(D)의 양쪽 측면을 가압하여 제동을 수행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1,12)가 설치된 캐리어(10)와,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1,12)의 가압을 위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21)이 내장된 캘리퍼 하우징(20)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모터(40)와 상기 복수의 모터(40)와 연결된 감속기(50)로 구성된 액추에이터 유닛 및, 액추에이터 유닛의 회전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21)을 가압하는 가압장치(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1,12)는 피스톤(21)과 접하도록 배치된 인너 패드플레이트(11)와 후술할 핑거부(22)와 접하도록 배치된 아웃터 패드플레이트(12)로 구별된다. 이러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1,12)는 디스크(D)의 양쪽 측면을 향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차체에 고정된 캐리어(1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캘리퍼 하우징(20)도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1,12)의 가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캐리어(10)에 설치된다.
캘리퍼 하우징(20)은 그 후방부에 피스톤(21)이 내장되는 실린더(23)가 마련되고, 전방부에는 아웃터 패드플레이트(12)를 작동시키도록 하측방향으로 굽어지게 성형된 핑거부(22)가 실린더(23)와 일체로 형성된다.
피스톤(21)은 내부가 컵(cup) 형상으로 파인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실린더 (23)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이러한 피스톤(21)은 모터(4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가압장치(30)의 축력에 의해 인너 패드플레이트(11)를 디스크(D)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편, 캘리퍼 하우징(20)에는 실린더(23) 내부로 제동을 위한 유압이 가해질 수 있도록 브레이크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포트(미도시)가 형성되고, 피스톤(21) 외면과 실린더(23) 내면 사이에는 오일의 누설방지를 위한 실링부재(29)가 마련된다.
따라서, 실린더(23) 내부로 제동을 위한 유압이 가해질 때는 피스톤(21)이 인너 패드플레이트(11) 측으로 전진하여 인너 패드플레이트(11)를 가압하고, 캘리퍼 하우징(20)이 피스톤(21)과 반대방향으로 동작하여 핑거부(22)가 아웃터 패드플레이트(12)를 가압하므로 디스크(D)의 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주차를 목적으로 디스크(D)를 제동할 수 있는 주차기능을 구현한다.
가압장치(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21)을 인너 패드플레이트(11)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실린더(23) 내에 마련된다. 이러한 가압장치(30)는 내부에 암나사부(31a)가 형성된 너트 부재(31)와, 너트 부재(31)의 암나사부(31a)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35a)를 가지는 스핀들 부재(35)를 구비한다.
스핀들 부재(35)는 실린더(23)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너트 부재(31)가 진퇴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실린더(23)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스핀들 부재(35)의 지지를 위해 실린더(23) 내에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제1베어링(25)과 제2베어링(26)이 설치된다. 이때, 제2베어링(26)은 트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으로써, 제동동작시에 너트 부재(31)의 진퇴방향으로 발생되어 스핀들 부재(35)를 통해 전달되는 반력을 받아낸다. 너트 부재(31)는 피스톤(21)과 접촉된 상태로 마련된다.
액추에이터 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모터(40)와, 각 모터(40)와 연결된 감속기(50)로 구성된다.
복수의 모터(40)는 캘리퍼 하우징(20)의 후방쪽에 배치된다. 이때, 모터(40)는 복수개 이루어짐에 따라 저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소형 모터로 구성된다. 이에, 모터(40)의 부피가 감소함에 따라 캘리퍼 하우징(20)의 후방쪽 빈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장착성이 개선된다. 또 소형의 복수의 모터(40)를 이용함으로써 제동작용시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모터(40)의 동력이 분산되어 기어의 소음 및 강도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복수의 모터(40)는 두 개로 이루어져 후술할 감속기(50)의 감속기어부(54)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모터(4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면 3개 이상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모터(40)에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44)가 각 회전축(41)에 설치된다.
한편, 모터(40)는 모터(40)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CU: 미도시)과 연결되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예컨대, 전자제어유닛은 운전자 명령에 따라 송출되는 입력 신호를 통해 모터(40)의 운전 및 정지, 정회전, 역회전 등 모터(40)의 여러가지 동작을 제어한다. 운전자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 명령 또는 브레이크 해제 명령이 인가되면, 전자제어유닛은 모터(4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전자제어유닛은 모터(40)의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센서나 전류량을 감지하는 전류센서 등을 마련하여, 이 카운트센서나 전류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회전수 또는 전류량을 통해 모터(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모터는 전자제어유닛에 의하여 함께 작동되도록 구성되거나,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닛을 통해 모터(40)를 제어하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50)는 2단 유성기어 형태를 갖추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속기(50)는 모터(40)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감속기어부(54)와, 제1유성기어유닛(51), 및 제2유성기어유닛(52)을 포함한다.
감속기어부(54)는 모터(40)의 각 구동기어(44)와 원주상으로 치합된다. 이때, 감속기어부(54)는 단일의 기어로 이루어지며, 평기어 또는 헬리컬기어로 사용될 수 있다.
제1유성기어유닛(51)은 감속기어부(54)의 중심부와 연결된 제1태양기어(51a)와, 제1태양기어(51a)의 외측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51b)와, 제1유성기어들(51b)을 수용하도록 내접기어로 이루어진 제1링기어(51c), 및 제1유성기어들(51b)의 각 중심축(53a)과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제1캐리어(51d)를 구비한다. 이때, 감속기어부(54)는 그 중심축이 제1태양기어(51a)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감속기어부(54)는 제1태양기어(51a)와 일체로 이루어져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유성기어유닛(52)은 제1유성기어유닛(51)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2유성기어유닛(52)은 제1캐리어(51d)의 중심축에 설치된 제2태양기어(52a)와, 제2태양기어(52a)의 외측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52b)와, 제2유성기어들(52b)을 수용하도록 내접기어로 이루어진 제2링기어(52c), 및 제2유성기어들(52b)의 각 중심축(53b)과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제2캐리어(52d)를 구비한다. 이때, 제2캐리어(52d)의 중심축은 스핀들 부재(35)과 결합된다. 이에, 다단의 유성기어유닛(51,52)에 의해 증폭된 구동력을 스핀들 부재(35)에 전달하게 된다.
즉, 복수의 모터(40)의 동작으로 감속기어부(54)를 통해 회전력이 유성기어유닛(51,52)으로 전달되고, 이에 제1태양기어(51a)가 회전할 때 고정된 제1링기어(51c)와 치합된 복수의 제1유성기어(51b)들이 공전을 하고, 제1유성기어들(51b)의 공전에 따라 회전 동력이 제1캐리어(51d)를 통해 제2유성기어유닛(52)에 전달된다. 또한, 제2유성기어유닛(52)은 제1유성기어유닛(51)과 동일한 작용을 통하여 회전력을 스핀들 부재(35)에 전달함으로써 스핀들 부재(35)의 감속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스핀들 부재(35)가 회전하면 너트 부재(31)의 축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고, 너트 부재(31)가 피스톤(21)을 가압함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감속기(50)는 구동원인 모터(40)를 소형화하면서도 스핀들 부재(35)를 큰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주차를 위한 제동을 수행한 상태에서 모터(40)의 동작을 정지시킬 경우 감속기(50)의 큰 감속비에 의해 스핀들 부재(35)의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제동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속기(50)의 구조를 2단 유성기어 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력을 증폭하여 가압장치(30)에 전달할 수 있다면 공지된 감속기의 다양한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력을 감속기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편심 회전하는 이너기어와, 편심 회전하는 이너기어가 공전 및 자전하도록 이너기어의 외주면에 맞물리도록 배치된 아웃터기어, 및 이너기어와 연결되어 이너기어의 편심된 중심을 보상하며 상기 이너기어와 아웃터기어의 기어잇수 차이에 따른 감속비를 전달하는 스핀들을 구비하는 사이클로이드 감속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주차를 위한 제동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자가 주차를 위해 차량의 운전석 쪽에 마련된 조작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모터(4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복수의 모터(40)는 동일한 회전방향을 갖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모터(40)의 회전은 감속기(50)를 거치면서 감속되어 큰 힘으로 스핀들 부재(35)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스핀들 부재(35)가 회전하면 너트 부재(31)의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지고, 너트 부재(31)가 피스톤(21)을 가압함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진다.
제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모터(40)의 동작이 정지된다. 감속기(50)가 큰 감속비를 가지기 때문에 스핀들 부재(35)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모터(40)를 다시 구동하지 않는 한 제동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운전자가 제동을 해제할 때는 운전석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제동을 해제한다. 이때는 모터(40)가 제동시의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핀들 부재(35)가 제동시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너트 부재(31)가 피스톤(21)의 가압을 해제하여 제동이 해제된다.
한편, 복수의 모터(40) 중 일부가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모터(40)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동 및 제동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복수의 모터(40)는 구동기어(44)가 감속기어부(54)와 동일선상에서 치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동력전달 부재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액츄에이터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유닛은 복수의 모터(40)의 구동기어(44)가 감속기어부(54)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감속기어부(54)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감속기어부(54)에 모터(40)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감속기어부(54)와 구동기어(44)는 동력전달 부재인 예컨대, 벨트(45)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벨트(45)는 감속기어부(54)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구동기어(44)의 외측을 감싸도록하여 감속기어부(54)와 구동기어(44)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벨트(45)의 연결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및 작동원리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복수의 모터(40)와 감속기어부(54)를 연결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캘리퍼 하우징(20)의 후방쪽 빈공간으로 모터(40)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모터(40)를 소정 각도를 갖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액츄에이터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유닛은 복수의 모터(40)가 기울기를 갖도록하여 감속기(50)와 연결된다. 즉, 각 모터(40)의 회전축(41)에 설치된 구동기어(44')와 감속기(50)의 감속기어부(54')는 원추형태를 갖는 베벨기어 조립구조로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기어(44')와 감속기어부(54')의 형상 및 치합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및 작동원리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캐리어 20 : 캘리퍼 하우징
30 : 가압장치 31 : 너트 부재
35 : 스핀들 부재 40 : 모터
44, 44' : 구동기어 50 : 감속기
51 : 제1유성기어유닛 52 : 제2유성기어유닛
54, 54' : 감속기어부

Claims (8)

  1.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가 마련된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캘리퍼 하우징의 후방벽을 관통하여 실린더부 내에서 회전되는 스핀들 부재, 상기 스핀들 부재와 나사결합되어 스핀들 부재의 회전에 따라 진퇴 이동하며 상기 피스톤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너트 부재를 구비하는 가압장치 및 상기 가압장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은,
    상기 캘리퍼 하우징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핀들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증폭시켜 상기 스핀들 부재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상기 복수의 모터의 각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감속기어부;
    상기 감속기어부의 중심부와 연결된 제1태양기어와, 상기 제1태양기어의 외측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1유성기어들을 수용하도록 내접기어로 이루어진 제1링기어, 및 상기 제1유성기어들의 각 중심축과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제1캐리어를 구비하는 제1유성기어유닛; 및
    상기 제1캐리어의 중심축에 설치된 제2태양기어와, 상기 제2태양기어의 외측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들을 수용하도록 내접기어로 이루어진 제2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들의 각 중심축과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상기 스핀들 부재에 전달하도록 상기 스핀들 부재에 설치되는 제2캐리어를 구비하는 제2유성기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제1태양기어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부는 평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모터는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감속기어부와 동일선상에서 치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터는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감속기어부와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 받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소정 각도를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속기어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기어는 베벨기어 조립구조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터는 전자제어유닛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터는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한 소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20120039818A 2012-04-17 2012-04-17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20130117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818A KR20130117091A (ko) 2012-04-17 2012-04-17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DE102013006896A DE102013006896A1 (de) 2012-04-17 2013-04-09 Elektrische Parkbremse
US13/864,105 US20130270047A1 (en) 2012-04-17 2013-04-16 Electric parking brake
CN2013101308284A CN103373330A (zh) 2012-04-17 2013-04-16 电子驻车制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818A KR20130117091A (ko) 2012-04-17 2012-04-17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091A true KR20130117091A (ko) 2013-10-25

Family

ID=4923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818A KR20130117091A (ko) 2012-04-17 2012-04-17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70047A1 (ko)
KR (1) KR20130117091A (ko)
CN (1) CN103373330A (ko)
DE (1) DE1020130068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823B1 (ko) * 2016-01-26 2017-02-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회전나사드럼방식의 전기모터식 제동엑츄에이터
KR20180125240A (ko) * 2017-05-15 2018-11-23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CN110219910A (zh) * 2019-05-08 2019-09-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制动卡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5958B2 (en) * 2014-10-23 2020-01-07 Kelsey-Hayes Company Electric parking brake having twin independent actuators
KR102446044B1 (ko) * 2015-05-12 2022-09-23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035389A (ko) 2015-09-22 2017-03-31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035156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2481967B1 (ko) * 2015-09-22 2022-12-2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KR102582455B1 (ko) * 2015-09-22 2023-09-26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2502525B1 (ko) * 2016-02-03 2023-02-2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DE102017206798A1 (de) * 2017-04-24 2018-10-2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echanische Bremse für Kraftfahrzeuge
JP2019015337A (ja) * 2017-07-06 2019-01-31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CN107628013A (zh) * 2017-08-14 2018-01-26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电控制动系统及方法
KR102139586B1 (ko) * 2018-08-10 2020-07-30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와 이를 이용한 전자기계식 브레이크 및 그 제어방법
CN109695643B (zh) * 2019-02-19 2020-07-10 辽宁工业大学 一种电动汽车电子驻车结构及其控制方法
KR20200114711A (ko) *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액추에이터
DE102020118808A1 (de) * 2019-07-16 2021-01-21 Hyundai Mobis Co., Ltd. Feststellbrem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KR20210057352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장치용 액츄에이터
JP7238745B2 (ja) * 2019-12-02 2023-03-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動ブレーキ装置
DE102020204887A1 (de) * 2020-04-17 2021-10-2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remskrafterzeuger für eine Bremsanlage,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Bremsanlage
EP4253787A4 (en) * 2020-12-24 2024-05-29 Huawei Tech Co Ltd HYDRAULIC DEVICE, BRAKING DEVICE, BRAKING SYSTEM AND BRAKING CONTROL METHOD
JP2023120925A (ja) * 2022-02-18 2023-08-3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制動装置、予備ブレーキ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3447A (en) * 1986-12-23 1988-12-27 Allied-Signal Inc. Electrically operated disc brake
US5090518A (en) * 1990-05-31 1992-02-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Brake control system
DE19611911A1 (de) * 1996-03-26 1997-10-02 Bosch Gmbh Robert Bremsvorrichtung
DE19621533A1 (de) * 1996-05-29 1997-12-04 Bosch Gmbh Robert Elektromotorische Bremsvorrichtung
DE19631592A1 (de) * 1996-08-05 1998-02-12 Bosch Gmbh Robert Elektromechanisch betätigbare Bremse
US5729100A (en) * 1997-02-03 1998-03-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acklash in motor drive systems
DE19732168C2 (de) * 1997-07-25 2003-06-18 Lucas Ind Plc Hydraulische Fahrzeugbremse mit Feststell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JPH11148522A (ja) * 1997-11-14 1999-06-02 Toyota Motor Corp 電動式ブレーキおよび電動式ブレーキシステム
DE19752543A1 (de) * 1997-11-27 1999-06-02 Bosch Gmbh Robert Magnetbremse und elektromechanische Bremsvorrichtung mit einer Magnetbremse
NL1009197C2 (nl) * 1998-05-18 1999-11-19 Skf Eng & Res Centre Bv Schroefactuator, en remklauw met een dergelijke schroefactuator.
US6390247B1 (en) * 1999-11-24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 caliper with eccentric lever drive
US20030205437A1 (en) * 2002-05-02 2003-11-06 Drennen David B. Gear-driven electric mechanical brake assembly and motor subassembly therefor
JP3832424B2 (ja) * 2002-11-28 2006-10-11 日本精工株式会社 無段変速装置
DE102005021767B4 (de) * 2005-03-11 2008-10-16 Lucas Automotive Gmbh Elektromotorischer Aktuator für eine Feststell-Bremse
KR20070033627A (ko) * 2005-09-22 2007-03-27 주식회사 만도 주차기능을 갖춘 디스크브레이크
DE102006049229A1 (de) * 2006-10-18 2008-04-30 Lucas Automotive Gmbh Elektrischer Parkbrems-Aktuator mit Planetengetriebe
CN101722945B (zh) * 2009-12-12 2012-10-24 芜湖伯特利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电子驻车制动系统的制动钳总成
KR101252925B1 (ko) 2010-10-18 2013-04-09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단결정 성장장치의 배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단결정 성장장치
US8651993B1 (en) * 2012-09-10 2014-02-18 Shimano Inc. Bicycle drive uni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823B1 (ko) * 2016-01-26 2017-02-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회전나사드럼방식의 전기모터식 제동엑츄에이터
KR20180125240A (ko) * 2017-05-15 2018-11-23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CN110219910A (zh) * 2019-05-08 2019-09-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制动卡钳
CN110219910B (zh) * 2019-05-08 2021-04-1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制动卡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70047A1 (en) 2013-10-17
DE102013006896A1 (de) 2013-10-17
CN103373330A (zh)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7091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US9285001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KR101365022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20130038432A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US11136016B2 (en) Piston pump assembly
KR102502525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CN102269230B (zh) 电动盘式制动器
US9989113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KR20070033627A (ko) 주차기능을 갖춘 디스크브레이크
KR20130037875A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CN106838058B (zh) 电子盘式制动器
CN103122975A (zh) 减速器与具有该减速器的马达制动器
CN106949169B (zh) 电子盘式制动器
KR20100098846A (ko) 주차 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KR102582455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0819087B1 (ko) 주차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CN106884913A (zh) 一种电子控制式电动制动卡钳总成
CN115071657A (zh) 电动驻车制动器
KR101407469B1 (ko) 주차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KR20200094379A (ko) 전기기계식 브레이크용 엑츄에이터
KR2015007258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동력전달장치
KR20130112367A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US20230082813A1 (en) Electric parking brak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0110823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230133139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