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588A - 구강 위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 위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588A
KR20130116588A KR1020120039107A KR20120039107A KR20130116588A KR 20130116588 A KR20130116588 A KR 20130116588A KR 1020120039107 A KR1020120039107 A KR 1020120039107A KR 20120039107 A KR20120039107 A KR 20120039107A KR 20130116588 A KR20130116588 A KR 20130116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n seed
composition
extract
oral hygien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인
Original Assignee
정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인 filed Critical 정진인
Priority to KR1020120039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6588A/ko
Publication of KR2013011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5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참외씨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강염증의 치료와 예방은 물론 구취 제거, 구강 정화, 충치 예방 등에 아주 유용한 효능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참외씨를 비롯한 조성 원료의 유효한 활성성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구강 위생용 제품의 성능 및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구강 위생에 좋은 치약, 구강청정제, 구강염증 치료제, 츄잉껌, 잇몸마사지 크림, 마우스 스프레이 등의 구강 위생용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 위생용 조성물{COMPOSITION FOR ORAL HYGIENE}
본 발명은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참외씨에 함유된 팔미틴산과 스테아린산을 비롯한 여러 가지 산(acid)과 더불어 칼륨, 인, 칼슘, 비타민E(토코페롤)의 유효성분을 구강 위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강염증의 치료와 예방은 물론 구취 제거, 구강 정화, 충치 예방 등에 유용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위생용 제품은 치약, 구강청정제, 구강염증 치료제, 츄잉껌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들 구강 위생용 제품들은 조성원료들의 약리효과에 의한 성능 및 기능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거나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더불어, 종래 구강 위생용 제품들은 대부분이 약재를 포함하는 것들로서 사용원료의 공급량이 한정되거나 사용원료를 쉽게 구입하기 힘든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참외씨에 함유된 팔미틴산과 스테아린산을 비롯한 여러 가지 산(acid)과 더불어 칼륨, 인, 칼슘, 비타민E(토코페롤)의 성분을 구강 위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강염증의 치료와 예방 및 구취 제거, 구강 정화, 충치 예방 등에 유용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참외씨 또는 함께 사용되는 조성원료들의 유효한 활성성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성능과 기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구강 위생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참외씨 추출액이나 참외씨 오일 또는 참외씨 분말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참외씨 원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참외씨 추출액이나 참외씨 오일 또는 참외씨 분말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참외씨 원료와, 매화열매추출액이 포함된 복합구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참외씨 추출액이나 참외씨 오일 또는 참외씨 분말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참외씨 원료와, 매화열매 추출액, 카모마일오일, 몰약추출액이 포함된 복합구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참외씨 원료의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에 0.01중량%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합구성물은 그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에 0.01중량%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강 위생용 조성물의 제형은 치약, 구강청정제, 구강염증 치료제, 츄잉껌, 잇몸마사지 크림, 마우스 스프레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참외씨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강염증의 치료와 예방은 물론 구취 제거, 구강 정화, 충치 예방 등에 아주 유용한 효능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할 것이며, 참외씨를 비롯한 조성 원료의 유효한 활성성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구강 위생용 제품의 성능 및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강 위생에 좋은 치약, 구강청정제, 구강염증 치료제, 츄잉껌, 잇몸마사지 크림, 마우스 스프레이 등의 구강 위생용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원료를 쉽게 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참외씨가 구강 위생에도 유용하게 활용됨을 홍보할 수 있어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 및 궁극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는 데에도 일조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참외씨 추출액이나 참외씨 오일 또는 참외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참외씨 추출액이나 참외씨 오일 또는 참외씨 분말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인데, 이렇듯 액상 또는 분말상으로 사용되는 참외씨 원료는 그 함량이 구강 위생용 조성물 전체 중에 0.01중량%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참외씨 추출액은 증탕, 중탕, 증류, 오일추출장치, 유기용매 등 공지의 추출방식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참외씨 오일은 압축하여 짜낸 방식에 의해 얻어진 것이 사용된다 할 것이다.
상기 참외씨 분말은 분쇄 방식에 의해 분말화한 것이 사용된다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참외씨 추출액과 참외씨 오일에는 각각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을 인퓨즈드(infused)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인데, 이렇게 인퓨즈드 방식에 의해 얻어진 것들은 2가지 원료의 유효한 활성성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능 및 기능성을 강화하여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외씨 추출액에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을 인퓨즈드방식(infused type)에 의해 침투시켜 혼합되게 하거나, 참외씨 오일에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을 인퓨즈드방식(infused type)에 의해 침투시켜 혼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부연하여, 참외씨 추출액(또는 참외씨 오일)과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을 고속회전장치에 함께 넣고 적외선 열을 가하면서 고속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참외씨 추출액(또는 참외씨 오일)과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에 함유된 성분들의 분자를 미세하게 분리 유도하고 서로 혼합시킴으로써 유효 활성성분들이 상호 인퓨즈드(infused)되도록 얻어진 것이 사용된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참외씨 추출액(또는 참외씨 오일) : 카모마일오일(또는 몰약추출액) = 1~2 : 0.5~1의 중량 또는 부피 비율로 첨가 및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액상 또는 분말상으로 사용되는 참외씨 원료는 팔미틴산과 스테아린산을 비롯한 여러 가지 산(acid)들이 풍부하여 입 안의 염증을 가라앉히고 냄새를 없애며 입 안의 주위 조직을 깨끗이 하는 작용을 하며, 칼륨과 인 및 칼슘 등의 무기물과 비타민E(토코페롤)의 성분이 있어 구강 염증의 치료/예방에 유용함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모마일오일은 저만 카모마일과 로만 카모마일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강 내 항균이나 항염 및 정화 작용을 위한 것으로서, 아즐렌(azulene)이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염효능이 있고 정화작용을 하며, 알파-비사보롤(alpha-bisabolol)과 카마줄렌(chamazulene)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염증과 피부 조직을 보호 및 진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나아가, 상기 몰약추출액은 감람과에 속하는 몰약나무에서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소염 및 진통효과가 뛰어나고 구강원인균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으며 염증의 예방은 물론 항균 작용을 한다.
덧붙여, 몰약추출액은 향기성분을 갖는 것으로서, 진정효과와 더불어 입 냄새를 없애는데 매우 유용함을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참외씨 추출액이나 참외씨 오일 또는 참외씨 분말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상 또는 분말상의 참외씨 원료와, 매화열매 추출액이 포함된 복합구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합구성물은 그 함량이 구강 위생용 조성물 전체 중에 0.01중량%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구성물은, 중량 또는 부피 기준으로 액상 또는 분말상의 참외씨 원료 : 매화열매 추출액 = 1~3 : 0.5~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참외씨 추출액이나 참외씨 오일 또는 참외씨 분말의 참외씨 원료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을 통하여 상술하게 기재한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기능 및 약리효능을 준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매화열매 추출액은 증탕, 중탕, 증류, 오일추출장치, 유기용매 등 공지의 추출방식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매화열매 추출액에도 유효한 활성성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성능 및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을 인퓨즈드(infused)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부연하면, 매화열매 추출액에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을 침투시켜 혼합되게 하는 인퓨즈드방식(infused type)으로 얻어진 액상을 의미하는데, 매화열매를 증류시켜 추출액을 추출해내고 이렇게 추출된 매화열매 추출액과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을 고속회전장치에 함께 넣고 적외선 열을 가하면서 고속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매화열매 추출액과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에 함유된 성분들의 분자를 미세하게 분리 유도하고 서로 혼합시킴으로써 유효 활성성분들이 상호 인퓨즈드(infused)되도록 얻어진 것이 사용된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매화열매 추출액 : 카모마일오일(또는 몰약추출액) = 1~2 : 0.5~1의 중량 또는 부피 비율로 첨가 및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매화열매 추출액은 매화열매에 레몬산 및 사과산을 비롯한 향기를 가진 산(acid)들이 풍부히 있어 구강 내 나쁜 냄새를 없앨 뿐 아니라 염증에 대한 소독작용이 있어 입 안을 깨끗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의 효능은 상술한 실시예 1에 기재한 내용을 준용하기로 한다.
덧붙여, 상기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을 인퓨즈드(infused)시켜 사용하는 기술은 참외씨 추출액(또는 참외씨 오일)의 참외씨 원료 또는 매화열매 추출액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참외씨 추출액이나 참외씨 오일 또는 참외씨 분말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상 또는 분말상의 참외씨 원료와, 매화열매추출액, 카모마일오일, 몰약추출액이 포함된 복합구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합구성물은 그 함량이 구강 위생용 조성물 전체 중에 0.01중량%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구성물은, 중량 또는 부피 기준으로 참외씨 원료 : 매화열매 추출액 : 카모마일오일 : 몰약추출액 = 1~3 : 0.5~1 : 0.5~1 : 0.5~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구성물은 각 조성원료들의 유효성분의 조화를 통해 구강 위생에 좋은 시너지효과를 발휘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참외씨 원료와, 매화열매 추출액, 카모마일오일, 몰약추출액의 각 조성원료의 제상 및 효능은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기재한 내용을 준용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참외씨의 유효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제형 및 사용목적 등에 따라 연마제, 습윤제, 약효제, 결합제, 기포제, 방부제, 감미제, pH 조절제, 증백제 등이 물성 개선을 위하여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치약, 구강청정제, 구강염증 치료제, 츄잉껌, 잇몸마사지 크림, 마우스 스프레이로부터 선택된 어느 1종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 나열되지 않은 제형의 구강 위생용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9)

  1. 참외씨 추출액이나 참외씨 오일 또는 참외씨 분말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참외씨 원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2. 참외씨 추출액이나 참외씨 오일 또는 참외씨 분말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참외씨 원료와, 매화열매추출액이 포함된 복합구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3. 참외씨 추출액이나 참외씨 오일 또는 참외씨 분말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참외씨 원료와, 매화열매 추출액, 카모마일오일, 몰약추출액이 포함된 복합구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참외씨 원료의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에 0.01중량%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구성물은 그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에 0.01중량%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참외씨 추출액과 참외씨 오일에는 각각 카모마일오일 또는 몰약추출액 중의 어느 1종을 인퓨즈드(infused)시켜 2가지 원료의 유효한 활성성분을 활용 및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구성물은,
    중량 또는 부피 기준으로 참외씨 원료 : 매화열매 추출액 = 1~3 : 0.5~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구성물은,
    중량 또는 부피 기준으로 참외씨 원료 : 매화열매 추출액 : 카모마일오일 : 몰약추출액 = 1~3 : 0.5~1 : 0.5~1 : 0.5~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위생용 조성물의 제형이 치약, 구강청정제, 구강염증 치료제, 츄잉껌, 잇몸마사지 크림, 마우스 스프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KR1020120039107A 2012-04-16 2012-04-16 구강 위생용 조성물 KR20130116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107A KR20130116588A (ko) 2012-04-16 2012-04-16 구강 위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107A KR20130116588A (ko) 2012-04-16 2012-04-16 구강 위생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588A true KR20130116588A (ko) 2013-10-24

Family

ID=4963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107A KR20130116588A (ko) 2012-04-16 2012-04-16 구강 위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65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7405A (zh) * 2014-07-13 2014-11-19 王萍 一种植物口腔保洁液
KR101498390B1 (ko) * 2013-11-25 2015-03-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390B1 (ko) * 2013-11-25 2015-03-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147405A (zh) * 2014-07-13 2014-11-19 王萍 一种植物口腔保洁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7965B (zh) 一种漱口水及其制备方法
CN104887581B (zh) 一种口腔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48283B1 (ko) 거품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567045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чистки зубов
US20040037790A1 (en) Oral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the oral composition and oral hygiene method in japanese and chinese herbal remedy
TW201143844A (en)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s of Garcinia mangostana L. and related methods
CN105055230A (zh) 一种多功用的中药牙膏组合物及其牙膏和制备方法
CN103876972A (zh) 含中药成分的抗过敏牙膏
CN102512345B (zh) 一种天然抗菌漱口液及其制备方法
CN102548526A (zh) 洁齿剂组合物
Singh et al. Essential oils in treatment and management of dental diseases
TWI436783B (zh) 口腔保健組成物
KR20130059780A (ko) 천년초 분말과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04799A (ko) 천연 한방치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3544B1 (ko)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비누 조성물
KR20130116588A (ko) 구강 위생용 조성물
JP2009184936A (ja) 歯茎用組成物
EP3364937A1 (en) Composition for oral hygiene
KR101103529B1 (ko) 유아용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20110128516A (ko) 천연생약성분과 죽염, 자일리톨, 천연계면활성제(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를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 한방치약조성물
CN103990028A (zh) 中药痱子粉
KR20150108610A (ko) 한약 성분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또는 예방용 화장품
Abuladze et al. Development of Formulas and Technology of Dental Elixirs with the Use of Plant Resources and Thermal Mineral Waters of Georgia
KR20170090717A (ko) 구강청결제
KR101910716B1 (ko) 녹차 함유 구강세척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