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147A -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147A
KR20130116147A KR1020120077386A KR20120077386A KR20130116147A KR 20130116147 A KR20130116147 A KR 20130116147A KR 1020120077386 A KR1020120077386 A KR 1020120077386A KR 20120077386 A KR20120077386 A KR 20120077386A KR 20130116147 A KR20130116147 A KR 20130116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housing
outlet
washing wat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997B1 (ko
Inventor
이현강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304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54363A1/ko
Priority to CN201380016524.3A priority patent/CN104204370B/zh
Publication of KR2013011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4Operated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가압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에 결합되며 유체가 유출입되는 유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커버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유출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유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가압부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PRESSURIZING APPARATUS AND STRUCTURE FOR WASHING WATER DRAINAGE OF TOILET BOW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세척을 빠르고 원활하게 하는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변기는 용변을 마친 후, 변기 본체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물이 담수되는 수조가 변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를 변기로 배출시키는 일반적인 세척장치는 용변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절레버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 조절레버에 연결된 마개가 상부로 회전하여 수조의 배수관을 개방하게 되고, 이 배수관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로 용변을 세척함과 동시에 림이나 제트홀로 세척수가 배수되어 본체의 세척면 내부에 잔류해 있는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또한, 세척수가 배수된 후, 플러시 밸브가 닫혀, 수조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일정량 보유하여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양변기는, 양변기의 본체에 물탱크가 일체로 형성된 탱크타입과, 물탱크 없이 원수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직수를 공급받는 직수타입이 있다.
그런데, 종래 탱크타입 양변기 중 물탱크의 정상 수위가 림측 배수구멍보다 낮은 경우에는 세척수의 배출압력이 약해서 림 세척력이 상당히 저조한 문제가 있다. 이는 물탱크의 높이가 낮아지면 위치에너지가 낮아져 배출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로우탱크의 경우에는 많은 양의 물을 가득채워 사용하고 있으므로, 물의 낭비가 심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 직수타입의 양변기의 경우에도, 양변기가 저수압 지역에 설치된 경우에는 림측이나 제트수로측으로 배출되는 수압이 약해서 세척효과가 떨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적은 양의 물로도 양변기의 세척이 원활하며, 특히 저수압지역이나 로우탱크를 구비한 양변기에도 물낭비나 전력낭비 없이 배수, 세척할 수 있는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양변기의 물탱크가 도기에 설치된 림측 배수구멍보다 낮게 설치된 경우나 저수압 지역에서 설치된 직수식 양변기의 경우에도, 세척수를 빠르고 원활하게 배출하는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적은 양의 물로 양변기의 배수세척이 가능하므로 물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전원의 공급없이도 배출되는 유체의 속력을 증가시는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인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가압장치가 제품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축소되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에 결합되며 유체가 유출입되는 유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커버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유출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유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가압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본체는 양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입구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에 각각 결합되는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출입구를 통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유출입구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유출입구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 사이의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출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압축되면,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중첩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가 최대로 압축되는 경우에, 상기 제2유출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수용되는 제2유입공간은 상기 제1유출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수용되는 제1유입공간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삽입됨으로써 중첩되되,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돌출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돌출형성된 제2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2가이드홈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제1스토퍼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토퍼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커버와 상기 가압부 사이를 밀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수용공간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부는, 상기 가압부의 양측에 장착되는 제1밀폐부재 및 제2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밀폐부재 및 상기 제2밀폐부재는, 상기 하우징커버와 상기 하우징본체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턱과,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변형되는 변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출입구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압축과 복원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에 관통형성된 에어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림배출구와 제트수로배출구를 구비하여, 세척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도기의 림측과 제트수로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림배출구에 연통된 림유로와 상기 제트수로배출구에 연통된 제트수로유로에 장착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와, 상기 세척수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세척수 유입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압축되며, 상기 개폐부에 의해 배출부가 개방되면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는 가압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본체는 양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입구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에 각각 결합되는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유출입구은 제1가압유로를 매개로 상기 림유로 및 상기 세척수 유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출입구은 상기 제2가압유로를 매개로 상기 제트수로유로 및 상기 세척수 유입부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부와 상기 가압장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림유로에 장착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트수로유로에 장착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보다 먼저 개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된 후 폐쇄되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척수 유입부는, 세척수 유입구;와, 상기 림유로에 연결되는 제1관통구;와, 상기 제트수로유로에 연결되는 제2관통구;와, 상기 림유로와 상기 제1관통구 사이 및 상기 제트수로유로와 상기 제2관통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가압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 유입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를 이용하면, 가압장치에 의해서, 양변기의 물탱크가 도기에 설치된 림측 배수구멍보다 낮게 설치된 경우나 저수압 지역에서 설치된 직수식 양변기의 경우에도, 세척수를 빠르고 원활하게 배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장치에 의해서 적은 양의 물로 양변기의 배수세척이 가능하므로 물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부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작동하므로, 전원의 공급없이도 배출되는 유체의 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부가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가압장치의 크기가 축소되므로, 가압장치가 제품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축소되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압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압장치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가압부의 일측 또는 타측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압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압부가 유체의 일부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가압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가압장치의 에어홀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6의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6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가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본체(111)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111)에 결합되며 유체가 유출입되는 유출입구(115,116)가 형성된 하우징커버(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111)는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커버(113)는 상기 하우징본체(111)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유체가 하우징(110) 내,외부로 유출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유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는 후술하는 가압부(130)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양변기의 도기를 세척하는 세척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유출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유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장착된 상기 가압부(130)는 외부의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유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유체가 유입되면,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부(130)는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압축력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유입되어 있던 유체를 가압하면서 상기 유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복원력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유출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속력이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로 예를 들어, 유체의 공급원(미도시)과 상기 유출입구(115,116) 사이에 형성된 분기유로가 폐쇄되어 있다가 개방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때, 분기유로가 폐쇄되면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유출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으로만 유체가 흐르게 되어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 상기 분기유로가 개방되면 상기 가압부(1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유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와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분기유로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130)에 의해서 상기 유체공급원에서 상기 분기유로로 흐르는 유체의 속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는 후술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1)에서는, 상기 유체공급원은 세척수 공급원이 될 수 있고, 상기 분기유로는 림유로(320) 또는 제트수로유로(34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100)를 이용하면,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배출할때, 배출되는 유체의 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예를 들어 유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라인을 통해 유체를 배출할 때, 공급라인에 상기 가압장치(100)를 장착하면 상기 가압부(13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유체공급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유체를 빠르고 원활하게 배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13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작동하므로, 전원의 공급없이도 배출되는 유체의 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본체(111)는 양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입구는 상기 하우징본체(111)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113)에 각각 결합되는 제1유출입구(115)와 제2유출입구(1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토출되는 유체를 양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복동식 가압장치(10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출입구(115)와 상기 제2유출입구(116)는, 상기 하우징본체(111)의 양측에 결합되는 각각의 하우징커버(113)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동시 또는 순차로 유체가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유출입구(115)와 상기 제2유출입구(116)가 상기 하우징커버(113)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커버(113)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2개 이상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일측에 유출입구가 예를 들어 2개 연결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유출입구는 입수포트로, 다른 하나의 유출입구는 출수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유출입구를 통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는 탄성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135)는 압축 또는 복원되어 유체를 가압할 수 있다면, 재질과 형상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축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제1유출입구(115)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가이드부재(131)와, 상기 제2유출입구(116)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가이드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133)는 상기 하우징본체(111)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출입구(115) 또는 상기 제2유출입구(116)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133)는 각각의 개구부를 마주보게 장착하여 수용공간이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통된 수용공간에는 상기 탄성부재(135)가 수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유출입구(115)와 상기 제2유출입구(116)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133)가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부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135)가 압축된다.
그리고,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유출입구(115)와 상기 제2유출입구(116)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135)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 또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133)가 상기 하우징커버(113)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출입구(115)와 상기 제2유출입구(116)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은 동시에 해제(도 1 참조)되거나, 순차로 해제(도 4,5 참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133) 사이의 상기 하우징본체(111)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133)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제1유출입구(115)와 상기 제2유출입구(116)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은, 동시에 해제되는 경우(도 1 참조)도 있지만, 어느 한 쪽만 유체의 압력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가압장치(100)가 한쪽방향으로만 유체를 가압하는 경우(도 4 및 도 5 참조)가 있다. 이때, 어느 한 쪽 방향으로 강하게 가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133) 중 하나만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부재(117)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13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커버(113)와 상기 가압부(130) 사이를 밀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133)의 수용공간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때 상기 가압부(130) 내부로의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가압장치(100)의 외부로의 유체가압을 효과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130)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135)와 제1 및 제2가이드부재(133)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150)는, 상기 가압부(130)의 양측에 장착되는 제1밀폐부재(151) 및 제2밀폐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밀폐부재(151) 및 제2밀폐부재(153)는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지만,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133)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분리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150)의 재질 및 형상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패킹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밀폐부재(151) 및 상기 제2밀폐부재(153)는, 상기 하우징커버(113)와 상기 하우징본체(111)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턱(155)과,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133)의 이동에 따라 변형되는 변형부(156)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재(133)가 이동할 때, 상기 고정턱(155)은 상기 하우징커버(113)와 상기 하우징본체(111)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변형부(156)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재(131,133)의 이동에 대응하여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변형부(156)에 의해 상기 밀폐부(150)를 장착하여도 상기 제1유출입구(115) 및 제2유출입구(116)를 통해 유체가 원활하게 유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200)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비교하면, 가압부(230)와 하우징(210)에 구비된 스토퍼부재(217) 및 에어홀(214)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압부(230)는, 상기 유출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압축되면,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중첩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 중 어느 하나의 직경을 다른 하나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본체(211)의 양측에 구비된 상기 제1유출입구(215)와 상기 제2유출입구(216)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삽입에 의해 겹쳐질 수 있다.
다만,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가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에 삽입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의 직경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제1유출입구(215)와 상기 제2유출입구(216)가 상기 하우징커버(213)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커버(213)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2개 이상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일측에 유출입구가 예를 들어 2개 연결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유출입구는 입수포트로, 다른 하나의 유출입구는 출수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는, 상기 가압부(230)가 최대로 압축되는 경우에 상기 제1유출입구(215)로 유입된 유체가 수용되는 제1유입공간(221)과, 상기 제2유출입구(216)로 유입된 유체가 수용되는 제2유입공간(2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입공간(221)과 상기 제2유입공간(223)의 크기가 상기 가압장치(200)의 가압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200)는, 상기 가압부(230)가 중첩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어, 상기 제1유입공간(221)과 상기 제2유입공간(223)이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가압장치(200)의 크기가 축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장치(200)가 제품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축소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7의 미설명 도면부호인 213은 하우징커버이며, 251은 제1밀폐부재이며, 253은 제2밀폐부재이다.
한편, 상기 가압부(230)가 최대로 압축되는 경우에, 상기 제2유출입구(216)로 유입된 유체가 수용되는 제2유입공간(223)은 상기 제1유출입구(215)로 유입된 유체가 수용되는 제1유입공간(221)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2유입공간(223)이 상기 제1유입공간(22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230)가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은 제2유입공간(223)이 더 많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부재(235)가 복원되면,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에 비해 더 큰 가압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출입구(215)가 상기 림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출입구(216)가 상기 제트수로유로에 연결되면,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의 배출이 필요한 상기 제트수로배출구의 배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압장치(200)는 효율적인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230)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가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에 삽입됨으로써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본체(211)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에 돌출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23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1가이드홈(212a)과,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에 돌출 형성된 제2가이드돌기(234)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2가이드홈(212b)이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232)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릿(233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본체(211)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홈(212a)과 제2가이드홈(21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212a)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232)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의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제2가이드홈(212b)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제2가이드돌기(23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슬릿(233a)은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에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가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1가이드홈(212a)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홈(212a) 및 상기 제2가이드홈(212b)과 이에 삽입되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232)와 상기 제2가이드돌기(234)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및 탄성부재(235)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할 때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홈(212a,212b)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232,234)의 형상과 개수는 도시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211)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제1스토퍼(217a)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211)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제2스토퍼(217b)를 포함하는 스토퍼부재(217)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200)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므로, 상기 가압장치(200)의 일실시예와 달리 2개의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스토퍼(217a)는 상기 가이드슬릿(233a)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232)와 접촉하여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스토퍼(217b)는 상기 하우징본체(211)의 내주면에 연속되거나 분리된 링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의 단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230)가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의 위치가 한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유입공간(221)과 상기 제2유입공간(223)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장치(200)는 최대로 압축된 이후에 양방향으로 일정한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유출입구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가압부(230)의 압축과 복원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211)에 관통형성된 에어홀(21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홀(214)은 상기 하우징본체(211)에 관통되게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는 상기 가이드슬릿(233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23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230)가 압축 또는 복원될 때,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홀(214) 및 상기 관통구(231a)를 통해 유출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재(231)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233)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밀폐부(250)가 공기 및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제1밀폐부재(251)와 상기 제2밀폐부재(253) 사이에 공기의 압력이 한정되어 상기 가압부(230)가 원활하게 압축 또는 복원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에어홀(214)과 상기 관통구(231a)의 크기, 개수 및 위치는 도시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압부(230)의 압축 및 복원이 원활하도록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가압장치(100,200)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1)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상기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1)의 실시예에는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른 실시예 의한 가압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가압장치(100)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100)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1)는, 상기 가압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양변기의 세척수를 빠르고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100)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1)는, 배출부(400)와, 개폐부(500)와, 상기 가압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400)는, 림배출구(410)와 제트수로배출구(430)를 구비하여, 세척수 유입부(300)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도기의 림측(미도시)과 제트수로측(미도시)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림배출구(410)는 도기의 림측과 연결된 배출관(미도시)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림측으로 배출시키며, 상기 제트수로배출구(430)는 도기의 제트수로측과 연결된 배출관(미도시)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제트수로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수는 도기에 설치된 물탱크나 수도물의 원수관으로부터 세척수 유입부(30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배출부(40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림배출구(410)에 연통된 림유로(420)와 상기 제트수로배출구(430)에 연통된 제트수로유로(440)에 장착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출부(40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림유로(420) 또는 상기 제트수로유로(44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상기 림유로(420)와 제트수로유로(44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00)가 개방되면 상기 림배출구(410) 또는 제트수로배출구(430)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림유로(420)에 장착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510)와, 상기 제트수로유로(440)에 장착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5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30)에 전원이 인가되면, 폐쇄되어 있던 림유로(420)와 제트수로유로(440)가 개방되어 림배출구(410)와 제트수로배출구(430)를 통해서 세척수가 배출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림유로(420)와 상기 제트수로유로(440) 각각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하여 각 유로를 동시 또는 순차로 개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개폐부(500)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면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수동으로 작동하거나 수동조작과 자동조작을 모두 가능하게 하여 정전과 같은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시기에도 작동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장치(100)는,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와 상기 배출부(4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해 상기 가압부(130)가 압축되며, 상기 개폐부(500)에 의해 배출부(400)가 개방되면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장치(100)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1)에서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림배출구(410)와 상기 제트수로배출구(430)로 배출될 때,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하여 세척수를 빠르고 원활하게 림측과 제트수로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장치(100)에 구비된 상기 제1유출입구(115)은 제1가압유로(610)를 매개로 상기 림유로(420) 및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출입구(116)은 상기 제2가압유로(630)를 매개로 상기 제트수로유로(440) 및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출입구(115)와 상기 제2유출입구(116)에는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가 유입되어 상기 가압부(130)를 압축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가압장치(100)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 또는 제2솔레노이드밸브(530) 개방되어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림배출구(410) 또는 상기 제트수로배출구(430)로 배출될 때, 상기 가압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하여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장치(100)에 의해서, 양변기의 물탱크가 도기에 설치된 림측 배수구멍(미도시)보다 낮게 설치된 경우나 저수압 지역에서 설치된 직수식 양변기의 경우에도, 적은 양의 물로 세척수를 빠르고 원활하게 배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배출부(400)와 상기 가압장치(1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림배출구(410) 또는 상기 제트수로배출구(430)와 상기 가압장치(100)가 연결된 제1가압유로(610) 또는 제2가압유로(630) 사이의 림유로(42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개폐부(500)가 개방되면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와 상기 가압장치(100)에 의해 가압된 세척수가 동시에 상기 배출부(400)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30)를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30)가 동시에 배출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림배출구(410)와 상기 제트수로배출구(430) 각각으로 배출되는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를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30)보다 먼저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림배출구(410)로 먼저 세척수가 배출되면서 도기의 림측으로 배출되어 선회하면서 도기의 내부 측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도기의 하부에 일정량이 채워지게 된다. 이 후 제2솔레노이드밸브(530)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트수로배출구(430)를 통해 제트수로측으로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림측으로 먼저 세척수가 배출되어 도기 하부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진 세척수는, 이 후 제트수로측으로 세척수가 배출될 때 정화조로 용변을 배출시키는 세척수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물로도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물의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가 개방된 후 폐쇄되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30)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가 개방되어 림배출구(410)로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하면서 상기 탄성부재(135)의 복원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가 개방되고 림배출구(410)로 세척수를 배출한 후 제1솔레노이드밸브(510)가 폐쇄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제2솔레노이드밸브(530)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소정시간동안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를 통해 상기 제1유출입구(115)로 세척수를 유입시켜 상기 가압부(130)를 압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트수로배출구(430)로 토출되는 세척수에도 같은 가압력을 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는, 세척수 유입구(310)와, 상기 림유로(420)에 연결되는 제1관통구(320)와, 상기 제트수로유로(440)에 연결되는 제2관통구(330)와, 상기 림유로(420)와 상기 제1관통구(320) 사이 및 상기 제트수로유로(440)와 상기 제2관통구(33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장치(100)에 의해 가압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 유입구(31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유입구(310)는, 양변기에 설치된 물탱크 또는 수도전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관통구(320)와 상기 제2관통구(330)는 상기 세척수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림유로(420)와 상기 제트수로유로(440)에 공급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T형관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체크밸브(340)는 상기 림유로(420)와 상기 제1관통구(320) 사이 및 상기 제트수로유로(440)와 상기 제2관통구(330)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장치(100)에 의해 가압된 세척수가 상기 림유로(420)가 아닌 상기 세척수 유입구(31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100)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6과 같이 장착된 가압장치(100)를 포함한 배수구조에서, 도 3 및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면 제1유출입구(115)를 통해 세척수가 상기 하우징(110)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와 제2가이드부재(133)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탄성부재(135)를 압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530)는 폐쇄된 상태이므로 세척수 유입부(300)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는 상기 제1가압유로(610)를 통하여 가압장치(100)의 하우징(110) 내부로만 이동하게 된다(도 7참조).
이 후,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에 전원이 인가되면 밸브샤프트(411)가 이동하면서 상기 림유로(420)가 개방되어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림유로(420)를 통해 상기 림배출구(41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재(131)가 상기 탄성부재(135)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하우징(110) 내부의 물을 가압하여 상기 제1유출입구(115)와 상기 제1가압유로(610)를 통하여 상기 림유로(420)로 세척수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림배출구(410)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배출 속력이 빨라지게 되어 도기의 림측으로 빠르게 배출되면서 도기 내부의 세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가 폐쇄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상기 가압장치(100)로 세척수가 유입되어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다시 상기 탄성부재(135)가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30)가 개방되면 상기 세척수 유입부(300)를 통하여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제트수로배출구(430)로 배출될 때, 상기 탄성부재(135)의 복원력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하여 빠르고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30)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트수로유로(440)가 폐쇄되면서 도기의 세척을 위한 배수가 완료된다. 이때, 도기에 소정량의 물을 채우기 위하여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10)를 일정시간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를 이용하면, 가압장치에 의해서, 양변기의 물탱크가 도기에 설치된 림측 배수구멍보다 낮게 설치된 경우나 저수압 지역에서 설치된 직수식 양변기의 경우에도, 세척수를 빠르고 원활하게 배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가압장치에 의해서 적은 양의 물로 양변기의 배수세척이 가능하므로 물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압부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작동하므로, 전원의 공급없이도 배출되는 유체의 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가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가압장치의 크기가 축소되므로, 가압장치가 제품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축소되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 가압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100,200 : 가압장치
110,210 : 하우징 117,217 : 스토퍼부재
130,230 : 가압부 131,231 : 제1가이드부재
133,233 : 제2가이드부재 150,250 : 밀폐부
212a : 제1가이드홈 212b : 제2가이드홈
221 : 제1유입공간 223 : 제2유입공간
214 : 에어홀 232 : 제1가이드돌기
233a : 가이드슬릿 234 : 제2가이드돌기
300 : 세척수 유입부 340 : 체크밸브
400 : 배출부 410 : 림배출구
420 : 림유로 430 : 제트수로배출구
440 : 제트수로유로 500 : 개폐부

Claims (19)

  1.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에 결합되며 유체가 유출입되는 유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커버를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유출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유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가압부;
    를 포함하는 가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양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입구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에 각각 결합되는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출입구를 통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유출입구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가이드부재;
    상기 제2유출입구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 사이의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출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압축되면,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최대로 압축되는 경우에, 상기 제2유출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수용되는 제2유입공간은 상기 제1유출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수용되는 제1유입공간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삽입됨으로써 중첩되되,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돌출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돌출형성된 제2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2가이드홈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제1스토퍼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토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와 상기 가압부 사이를 밀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수용공간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가압부의 양측에 장착되는 제1밀폐부재 및 제2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밀폐부재 및 상기 제2밀폐부재는, 상기 하우징커버와 상기 하우징본체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턱과,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변형되는 변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출입구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압축과 복원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에 관통형성된 에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
  13. 림배출구와 제트수로배출구를 구비하여, 세척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도기의 림측과 제트수로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림배출구에 연통된 림유로와 상기 제트수로배출구에 연통된 제트수로유로에 장착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세척수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세척수 유입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해 가압부가 압축되며, 상기 개폐부에 의해 배출부가 개방되면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압장치;
    를 포함하는 가압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양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입구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에 각각 결합되는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유출입구은 제1가압유로를 매개로 상기 림유로 및 상기 세척수 유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출입구은 상기 제2가압유로를 매개로 상기 제트수로유로 및 상기 세척수 유입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부와 상기 가압장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림유로에 장착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트수로유로에 장착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보다 먼저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된 후 폐쇄되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유입부는
    세척수 유입구;
    상기 림유로에 연결되는 제1관통구;
    상기 제트수로유로에 연결되는 제2관통구; 및,
    상기 림유로와 상기 제1관통구 사이 및 상기 제트수로유로와 상기 제2관통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가압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 유입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KR1020120077386A 2012-04-12 2012-07-16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KR101947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3041 WO2013154363A1 (ko) 2012-04-12 2013-04-11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CN201380016524.3A CN104204370B (zh) 2012-04-12 2013-04-11 加压装置及具有该加压装置的坐便器的洗涤水排水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828 2012-04-12
KR20120037828 2012-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147A true KR20130116147A (ko) 2013-10-23
KR101947997B1 KR101947997B1 (ko) 2019-02-14

Family

ID=4963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386A KR101947997B1 (ko) 2012-04-12 2012-07-16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7997B1 (ko)
CN (1) CN1042043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9838A (zh) * 2015-04-24 2016-11-23 广东恒洁卫浴有限公司 聚气导能马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8647B (zh) * 2019-08-06 2023-11-14 厦门建霖健康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双阀控制冲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1211B2 (ja) 2003-07-28 2008-08-13 株式会社Inax 便器への洗浄水供給システム
JP2005120742A (ja) * 2003-10-17 2005-05-12 Inax Corp 蓄圧装置及び便器洗浄装置
CN2777077Y (zh) * 2004-12-15 2006-05-03 郑守东 一种带蓄能储水器的马桶供水装置
CN101463946B (zh) * 2007-12-21 2012-09-26 西北工业大学 一种机械式管道增压装置
JP2009264529A (ja) 2008-04-28 2009-11-12 Inax Corp 蓄圧装置
CN201193357Y (zh) * 2008-05-07 2009-02-11 胡海舰 一种储能节水型抽水马桶
JP5361250B2 (ja) * 2008-05-29 2013-12-04 株式会社Lixil 洋風水洗式便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9838A (zh) * 2015-04-24 2016-11-23 广东恒洁卫浴有限公司 聚气导能马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997B1 (ko) 2019-02-14
CN104204370B (zh) 2016-06-08
CN104204370A (zh)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694B1 (ko) 진공변기시스템의 오수배출장치
KR101528309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급수장치
KR101947997B1 (ko)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KR101592233B1 (ko) 비데의 역류방지장치
CN111794328A (zh) 一种具备自动投放清洁剂功能的马桶
KR200463115Y1 (ko) 도기 일체형 비데의 세척수 배출장치
CN215367614U (zh) 一种泄压控制阀、压力水箱和便器
CN102418374B (zh) 一种具有泄压功能的冲洗装置
KR102054290B1 (ko) 도기 일체형 비데
US20230125224A1 (en) Descaling device, system, and descaling method of electronic toilet and liquid supply device, system, and cleaning method of electronic toilet
CN114277897B (zh) 卫生洁具用供水装置
KR200453734Y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101893437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101198901B1 (ko) 후레쉬밸브 압력실의 물을 이용한 비데 물공급 기능이 구비된 이중개폐밸브 자동 물내림 비데
KR20090120226A (ko) 세면대용 절수밸브
CN110528647B (zh) 一种双阀控制冲洗装置
KR200445902Y1 (ko) 구강세척기 겸용 급수밸브
KR100648068B1 (ko) 절수형 양변기
CN112663741A (zh) 一种马桶节水冲刷系统
CN219516153U (zh) 一种拖把桶
JP2006112092A (ja) フラッシュバルブの駆動装置
CN217150512U (zh) 一种用于马桶的冲水切换装置及马桶
KR20170047607A (ko) 이물질 막힘방지용 세면대 배수 밸브장치
CN102392480B (zh) 清洗喷射节水阀
CN111910722B (zh) 一种智能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