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123A -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123A
KR20130116123A KR1020120038776A KR20120038776A KR20130116123A KR 20130116123 A KR20130116123 A KR 20130116123A KR 1020120038776 A KR1020120038776 A KR 1020120038776A KR 20120038776 A KR20120038776 A KR 20120038776A KR 20130116123 A KR20130116123 A KR 20130116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ment
information
delivered
sort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학
신상훈
전성우
박종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3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6123A/ko
Publication of KR2013011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03Destination control; Electro-mechanical or electro- magnetic delay memories
    • B07C3/00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 circuits, e.g. delay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301/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2301/0066Check for destination address in a database or l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송물 인식 모듈이 트랙을 통해 이송되는 배송물을 인식하는 단계, 배송물 감지부가 배송물의 인식정보에 따라 결정된 구분칸에 배송물이 실제 적재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 결과에 따라, 상위 제어서버가 구분칸에 적재되는 배송물에 관한 구분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METHOD FOR DETECTING WRONG DISTINCTION INPARCEL SORTER}
본 발명은 배송물 오구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송물 구분 시스템에서 배송물을 실제로 감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배송물의 오구분을 검출하는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송물 구분 시스템은 우편집중국이나 물류센터에 설치되어 배송물을 각 지역 및 거점별로 구분시킨다.
최근 배송물 및 택배 물량 증가로 배송물 구분 시스템의 처리 물량을 높이기 위한 기술과 우편집중국 및 물류센터의 작업자 편의를 위한 방법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우편집중국에서는 늘어나는 배송물 물량으로 인해 작업자의 업무량이 늘어나 최근 체결 간소화라는 방안이 적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작업자가 배송물 구분 시스템으로부터 구분된 배송물을 팔레트에 적재할 때 각각의 배송물에 대한 바코드를 직접 인식하여 체결 작업을 해야 했다. 하지만, 체결 간소화가 도입된 후에는 팔레트에 처음 적재되는 배송물과 마지막에 적재되는 배송물만 바코드 인식 작업을 해주면 된다. 여기서, 트랙의 바코드 리더에 의해서 인식된 정보는 상위 시스템에서 보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체결간소화가 가능한 것은 각각의 배송물에는 등기번호 바코드와 같은 고유 번호가 있고, 배송물 구분 시스템의 트랙에는 바코드 리더가 있어서 모든 배송물이 인식되고, 목적지 별로 배송물이 해당 구분칸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배송물이 배송물 구분 시스템의 트레이에 잘못 놓여지거나, 다른 기타 문제 예를 들어 주변 시설 등과의 충돌이나 낙하 등으로 인해서 해당 구분칸에 정확하게 적재되지 않으면, 체결간소화시 오구분된 배송물은 정확하게 구분된 것으로 상위 시스템에 등록된다.
이는 작업자가 해당 구분칸에 최초로 적재된 배송물과 마지막에 적재된 배송물에 대해서만 바코드 스캔을 하고, 그 사이에 적재는 배송물은 차례대로 구분칸에 적재된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886389호(1709.02.24)의 '배송물우편물 자동구분 장치 및 그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구분칸에 배송물이 실제로 적재되는 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배송물에 대한 구분정보를 보정하는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은 배송물 인식 모듈이 트랙을 통해 이송되는 배송물을 인식하는 단계; 배송물 감지부가 상기 배송물의 인식정보에 따라 결정된 구분칸에 상기 배송물이 실제 적재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위 제어서버가 상기 구분칸에 적재되는 배송물에 관한 구분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편집중국 및 물류센터에서의 배송물 구분 시스템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배송물 취급시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 오구분 검출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송물 구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 오구분 검출 장치의 배송물 구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 오구분 검출 장치의 배송물 오구분에 의한 구분정보 보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분정보 보정에 따라 작업자 단말기에 보정된 구분정보가 저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 오구분 검출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 구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 오구분 검출 장치는 배송물이 실제로 정확하게 구분되어 적재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부정확하게 적재된 경우 실제 적재 상태에 따라 구분정보를 보정한다. 이러한 배송물 오구분 검출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물 구분 시스템(100), 배송물 인식 모듈(300), 배송물 감지부(170) 및 상위 제어서버(4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배송물은 우편물이나, 소포, 택배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배송물 구분 시스템(100)은 배송물을 구분 및 적재하는 것으로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물 인입부(110), 트랙(track)(120), 트레이(tray)(130), 구분칸(140), 팔레트(150), 배송물 구분 제어부(160) 및 배송물 감지부(170)를 포함한다.
배송물 인입부(110)는 접수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배송물을 배송물 구분 시스템(100)에 인입시킨다. 배송물 인입부(110)에서 인입된 배송물은 트랙(120) 상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트레이(130)에 놓여지게 된다.
트랙(120)은 구분칸(140)으로 배송물을 이송시킨다.
트레이(130)는 트랙(120)에 설치되어 트랙(120)의 동작에 따라 이송되며, 배송물 인입부(110)에서 인입된 배송물이 트레이(130)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트랙(130)의 동작에 의해 배송물이 이송되게 된다.
구분칸(140)은 트랙(120)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배송물을 적재한다. 이 구분칸(140)는 배송물의 목적지 등에 따라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배송물 감지부(170)는 상기한 구분칸(140)의 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구분칸(140)에 배송물이 실제로 적재되는 지를 감지하고 그 개수를 카운트한다. 이러한 배송물 감지부(170)는 배송물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모두 채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광 센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배송물 구분 제어부(160)는 배송물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써, 배송물이 배송물 인입부(110)에 옮겨지면, 배송물 인입부(110)을 통해 트레이(130)에 놓여지도록 하고, 이때 트랙(120)을 동작시켜 구분칸(140)으로 이송시킨다. 이 과정에서 배송물이 놓여 있는 트레이(130)에 설정된 번호 등과 같은 트레이 정보와 트리거 신호를 배송물 인식 모듈(300)로 전달한다.
이후, 상위 제어서버(400)로부터 입력된 각종 정보에 따라, 해당 목적지의 구분칸(140)에 도착한 트레이(130)를 틸트시켜 배송물을 해당 목적지의 구분칸(140)에 적재시킨다. 이 과정에서, 배송물 감지부(170)에 의해 배송물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배송물이 감지되면, 상위 제어서버(400)에 배송물 구분이 완료되었음을 전달하고, 배송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해당 배송물의 식별 정보를 상위 제어서버(400)에 전달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분칸(140)에 적재된 배송물은 팔레트(150)에 옮겨져 각 목적지로 배달된다.
배송물 인식 모듈(300)은 트레이(130)에 놓여져 트랙(120)을 통해 이송되는 배송물을 인식하고, 이 인식 정보를 배송물 구분 시스템(100)으로부터 전달된 트레이 정보와 함께 상위 제어서버(400)로 전달한다.
배송물 인식 모듈(30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물 구분 시스템(100)의 트랙(120)에 설치되어 배송물에 기록된 인식 정보 예를 들어, 등기번호 바코드를 인식한다. 이러한 배송물 인식 모듈(300)은 바코드 리더기가 채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배송물을 인식하기 위한 다양한 인식 모듈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위 제어서버(400)는 배송물 구분 시스템(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각 구분칸(140)별로 구분정보를 보정한다.
이러한 상위 제어서버(400)는 상위 제어부(410)와 상위 데이터베이스부(420)를 포함한다.
상위 데이터베이스부(420)는 각 구분칸(140)에 적재되어 있는 배송물의 적재 상태와 관련된 구분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구분정보에는 구분칸에 설정된 구분칸 정보와 구분칸에 적재되어 있는 배송물의 인식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위 제어부(410)는 배송물 인식 모듈(300)로부터 트레이 정보와 인식 정보가 전달되면, 인식 정보를 기 저장된 접수정보와 비교하여 구분칸(140)을 결정한 후, 해당 구분칸 정보 및 배송물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트레이 정보와 구분칸 정보 및 식별 정보를 배송물 구분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
이 후, 배송물 구분 시스템(100)으로부터 구분 완료가 전달되면 정확하게 배송물이 구분된 것으로 간주한다.
반면에, 배송물 구분 시스템(100)으로부터 해당 배송물의 식별정보가 전달되면, 상위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저장된 해당 구분칸의 구분정보에서 배송물의 인식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보관칸에 실제로 적재되어 있는 배송물 적재 상태에 따라 구분정보를 일치시킨다.
휴대 단말(500)은 작업자가 휴대하면서 각 구분칸(140)별로 배송물을 인식하고, 상위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저장된 구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각 구분칸(140)별로 최초 적재된 배송물과 마지막 적재된 배송물을 인식하고, 상위 제어서버(400)로부터 구분칸(140)의 구분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함으로써, 각 구분칸(140)별로 정확한 구분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 오구분 검출 장치의 배송물 구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 오구분 검출 장치의 배송물 오구분에 의한 구분정보 보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분정보 보정에 따라 작업자 단말기에 보정된 구분정보가 저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물 구분 제어부(160)는 배송물이 배송물 인입부(110)에서 인입되어 트레이(130)에 놓여지면, 트랙(120)을 구동시켜 배송물을 이송시킨다.
이때, 배송물이 놓인 트레이(130)의 트레이 정보와 트리거 신호를 배송물 인식 모듈(300)로 전달한다(S102).
배송물 구분 제어부(160)는 트레이 정보와 트리거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배송물을 인식하고(S102), 트레이 정보와 인식 정보를 상위 제어서버(400)로 전달한다(S106).
상위 제어부(410)는 배송물 인식 모듈(300)로부터 전달된 인식 정보를 접수정보와 비교하여 구분칸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S108), 트레이 정보와 구분칸 정보 및 식별 정보를 배송물 구분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S110).
배송물 구분 제어부(160)는 상위 제어서버(400)로부터 트레이 정보와 구분칸 정보 및 식별정보를 전달받으면, 트레이 정보와 구분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트레이(130)가 해당 구분칸(140)에 도착하는지를 확인하고, 구분칸(140)에 도착하면, 트레이(130)를 틸팅시킨다(S112).
이 경우, 배송물 구분 제어부(160)는 트레이(130)를 틸팅시키는 틸팅장치(미도시)에 틸팅 신호를 전달하고, 이때 틸팅장치로부터 틸팅 완료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배송물 구분 제어부(160)는 트레이(130)를 틸팅시킨 후, 배송물 감지부(170)로부터 배송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여 배송물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한다(S114).
이 경우, 배송물이 감지되면, 배송물이 정상적으로 구분된 것으로 간주하여 배송물 구분이 완료되었음을 전달한다(S116).
반면에, 배송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배송물 구분 제어부(160)는 상위 제어서버(400)에 해당 배송물의 식별 정보를 전달한다(S118).
상위 제어부(410)는 해당 배송물의 식별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위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저장된 해당 구분칸(140)의 구분정보에서 해당 배송물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인식 정보를 삭제하여 보관칸(140)에 배송물이 실제 적재되어 있는 적재 상태와 구분정보를 일치시킨다(S120).
이에 따라, 보관칸에 배송물이 오보관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작업자가 휴대 단말(500)을 통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칸에 실제 적재된 배송물의 적재 상태와 일치하는 정확한 구분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0: 배송물 구분 시스템 110: 배송물 인입부
120: 트랙 130: 트레이
140: 구분칸 150: 팔레트
160: 배송물 구분 제어부 170: 배송물 감지부
300: 배송물 인식 모듈 400: 상위 제어서버
410: 상위 제어부 420: 상위 데이터베이스부
500: 휴대 단말

Claims (1)

  1. 배송물 인식 모듈이 트랙을 통해 이송되는 배송물을 인식하는 단계;
    배송물 감지부가 상기 배송물의 인식정보에 따라 결정된 구분칸에 상기 배송물이 실제 적재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위 제어서버가 상기 구분칸에 적재되는 배송물에 관한 구분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

KR1020120038776A 2012-04-13 2012-04-13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 KR20130116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776A KR20130116123A (ko) 2012-04-13 2012-04-13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776A KR20130116123A (ko) 2012-04-13 2012-04-13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123A true KR20130116123A (ko) 2013-10-23

Family

ID=4963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776A KR20130116123A (ko) 2012-04-13 2012-04-13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61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22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including space efficient distribution stations and automated output processing
US113016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induction of objects to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8475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vacuum divert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4815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a vacuum roll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0345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provided in vehicles
US117345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induction of objects to a plurality of object processing systems
US202001514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conveyor transf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CA3126138C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vacuum divert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202202617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processing of objects with data verification
US200800461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the Loading of a Transport Device with Objects
KR100657817B1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물류작업 자동 처리 시스템
KR20130116123A (ko) 배송물 오구분 검출 방법
KR100923985B1 (ko) 무선 인식을 이용한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및 방법
KR102091853B1 (ko) 물품거래서류 자동 발행 및 분류 장치 및 방법
CN111112090A (zh) 快递入库智能分拣方法和系统
KR20140022569A (ko) 소포 자동화 기기
JP2022049978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荷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