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962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962A
KR20130115962A KR1020120038824A KR20120038824A KR20130115962A KR 20130115962 A KR20130115962 A KR 20130115962A KR 1020120038824 A KR1020120038824 A KR 1020120038824A KR 20120038824 A KR20120038824 A KR 20120038824A KR 20130115962 A KR20130115962 A KR 2013011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ase
disposed
light sources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749B1 (ko
Inventor
홍승균
곽재오
민병국
박인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74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배치된 개구를 갖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갖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개구를 정의하는 외곽부를 갖고, 상기 반사부의 외곽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케이스의 결합 시, 상기 기판의 상면을 누른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실시 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재래식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램프,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실시 예는 열에 의한 기판의 변형 및 손상을 막을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예는 케이스와 기판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예는 구조가 심플한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배치된 개구를 갖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갖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개구를 정의하는 외곽부를 갖고, 상기 반사부의 외곽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케이스의 결합 시, 상기 기판의 상면을 누른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사용하면, 열에 의한 기판의 변형 및 손상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와 기판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심플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일부 구성에 관한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단면도.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일부 구성에 관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케이스(100), 광원(300), 기판(500) 및 커넥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스(100)>
케이스(100)는 기판(500)과 결합하고, 기판(500)과 함께 광원(300)을 수납한다.
케이스(100)는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부(110)는 기판(500)과 결합하고, 광원(30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부(110)는 복수의 광원(300)들이 배치된 기판(500)의 일 부분과 결합한다.
제1 커버부(110)는 개구(111)를 갖는다. 개구(111)에는 복수의 광원(300)들이 배치된다. 개구(111)는 상측 개구와 하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개구는 베이스부(115)에 의해 정의되고, 하측 개구는 반사부(113)의 외곽부(113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측 개구가 하측 개구보다 개구 면적이 더 넓다. 하측 개구에서 상측 개구로 갈수록 개구(111)의 개구 면적은 넓어진다. 하측 개구에서 상측 개구까지의 높이는 광원(300)의 높이보다 높다.
제1 커버부(110)는 반사부(113)를 갖는다. 반사부(113)는 복수의 광원(300)들로부터의 광을 반사한다. 반사부(113)는 베이스부(115)의 일측에서 기판(500)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반사부(113)의 일정한 기울어짐과 경사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스(100)의 돌출부(118)와 기판(500)의 제2 홀(530)의 결합에 의해서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부(113)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118)들이 그들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기판(500)의 복수의 홀들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반사부(113)의 형상은 기판(500)과 케이스(100)의 결합에 의해서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반사부(113)는 개구(111)를 정의하는 외곽부(113a)를 갖는다. 외곽부(113a)는 복수의 광원(300)들을 둘러싸고 기판(500)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외곽부(113a)는 제1 커버부(110)와 기판(500)의 결합 시, 기판(500)의 상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외곽부(113a)에 의해, 반사부(113)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광원(300)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한 기판(500)의 휨이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베이스부(115)는 제1 커버부(1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성이다. 베이스부(115)는 개구(111)의 상측 개구를 정의한다. 베이스부(115)의 일측에 반사부(113)가 연결된다.
베이스부(115)는 기판(50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15)는 기판(500)의 상면에서 광원(30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 위에 배치된다.
베이스부(115)는 기판(500)의 상면뿐만 아니라 기판(500)의 측면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부(110)는 체결부(117)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117)는 베이스부(115)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체결부(117)는 체결홀(117a)을 가질 수 있다. 체결홀(117a)을 기판(500)의 제1 홀(510)과 대응된다. 체결홀(117a)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고, 체결부재는 제1 홀(510)과 결합되어 케이스(100)와 기판(500)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17)는 하면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117)의 하면은 케이스(100)와 기판(500)의 결합 시, 기판(50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체결부(117)의 하면에 의해서, 반사부(113)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17)의 하면에 의해서 광원(300)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한 기판(500)의 휨이나 변형도 막을 수 있다.
제1 커버부(110)는 돌출부(118)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18)는 베이스부(115)의 내면에서 기판(500) 방향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돌출부(118)는 기판(500)의 제2 홀(530)과 결합할 수 있다. 돌출부(118)와 제2 홀(530)의 결합에 의해서, 반사부(113)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케이스(100)와 기판(5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커버부(110)는 걸림턱(119)를 가질 수 있다. 걸림턱(119)은 기판(500)의 측면에 형성된 홈(550)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턱(119)에 의해 케이스(100)와 기판(5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커버부(130)는 제1 커버부(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기판(500) 상에 배치된다. 제2 커버부(130)는 기판(500)의 상면과 측면을 둘러싼다.
제2 커버부(130)는 기판(500)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된 커넥터(700)가 삽입되는 홈(131)을 가질 수 있다.
제2 커버부(130)는 걸림턱(133)을 가질 수 있다. 걸림턱(133)은 제1 커버부(110)의 걸림턱(119)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걸림턱(133)은 기판(500)의 측면에 형성된 홈(550)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턱(133)에 의해서 케이스(100)와 기판(5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걸림턱(133)의 외면은 톱니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톱니 형상을 가진 걸림턱(133)은 케이스(100)의 냉각 시에 걸림턱(133)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기판(500)의 상면을 기준으로, 제2 커버부(130)의 높이는 제1 커버부(110)의 높이보다 크다. 제2 커버부(130)와 기판(50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여러 다른 부품들을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광원(300)을 제어하는 IC 드라이버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재질은 플라스틱 계열의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비 전도성의 물질일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0)의 재질은 고출력의 복수의 광원(300)들에서 방출되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00)는 내열성 물질로서 나일론을 사용할 수 있다.
<광원(300)>
광원(300)은 광을 방출한다.
광원(300)은 기판(50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원(300)은 기판(500)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광원(300)은 케이스(100)의 개구(111)에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300)은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300)은 복수로 기판(500) 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광원(300)들은 기판(500)의 상면 위에 복수의 열과 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광원(300)은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이거나 UV를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는 수평형(Lateral Type) 또는 수직형(Vertical Type)일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는 청색(Blue), 적색(Red), 황색(Yellow), 또는 녹색(Green)을 발산할 수 있다.
광원(300)은 형광체를 가질 수 있다. 형광체는 발광 소자가 청색 발광 다이오드일 경우, 가넷(Garnet)계(YAG, TAG), 실리케이드(Silicate)계, 나이트라이드(Nitride)계 및 옥시나이트라이드(Oxynitride)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0)>
기판(500)은 사각형의 판 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기판(500)은 절연체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 위에 패키지 하지 않은 LED 칩을 직접 본딩할 수 있는 COB(Chips On Board)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500)은 복수의 광원(30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기판(500)은 복수의 광원(30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회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회로 패턴은 복수의 광원(300)들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기판(500)은 광원(300)과 커넥터(7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기판(500)은 광원(300)과 커넥터(7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기판(500)은 열 방출 효율이 뛰어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500)의 재질은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및 마그네슘(M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300)의 출력이 높은 경우, 그 만큼 광원(300)에서 방출되는 열이 많아진다. 이 경우, 기판(500)은 광원(300)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휘어짐이나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판(500)은 제1 및 제2 홀(510, 530)과 홈(550)을 가질 수 있다.
제1 홀(510)은 케이스(100)의 체결부(117)의 체결홀(117a)을 관통한 체결부재, 예를 들면 스크류와 결합하고, 제2 홀(530)은 케이스(100)의 돌출부(118)과 결합하고, 홈(550)은 케이스(100)의 걸림턱(119)와 결합함으로서, 반사부(113)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기판(500)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커넥터(700)>
커넥터(700)는 기판(50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700)는 기판(500)의 상면 위에 배치되고, 기판(500)의 상면의 일 측에 배치된다.
커넥터(700)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광원(300)들로 제공한다. 커넥터(700)와 광원(300)들은 기판(500)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커넥터(700)는 케이스(100)의 홈(131)에 삽입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300: 광원
500: 기판
700: 커넥터

Claims (12)

  1.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배치된 개구를 갖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갖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개구를 정의하는 외곽부를 갖고,
    상기 반사부의 외곽부는, 상기 기판의 상면과 접촉하는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고,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갖고,
    상기 체결부의 일 면은 상기 기판의 상면과 접촉하는 조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을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갖고,
    상기 홈은 상기 기판의 측면에 배치된 조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외면은 톱니 형상을 갖는 조명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구를 갖고, 상기 기판의 상면과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제2 커버부;
    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을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커버부의 걸림턱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갖고,
    상기 홈은 상기 기판의 측면에 배치된 조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외면은 톱니 형상을 갖는 조명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커버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1 커버부까지의 높이보다 큰 조명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상기 복수의 광원들을 제어하는 부품이 배치된 조명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재질은 나일론인 조명 장치.
KR1020120038824A 2012-04-13 2012-04-13 조명 장치 KR102031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824A KR102031749B1 (ko) 2012-04-13 2012-04-13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824A KR102031749B1 (ko) 2012-04-13 2012-04-13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962A true KR20130115962A (ko) 2013-10-22
KR102031749B1 KR102031749B1 (ko) 2019-10-14

Family

ID=4963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824A KR102031749B1 (ko) 2012-04-13 2012-04-13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7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199B1 (ko) * 2008-10-20 2009-02-02 (주)파트라 조립성이 향상된 엘이디 가로등
JP2010027252A (ja) * 2008-07-15 2010-02-04 Ccs Inc 光照射装置
US20110063837A1 (en) * 2009-09-16 2011-03-17 Bridgelux, Inc. Led array module and led array module frame
JP2011192403A (ja) * 2010-03-11 2011-09-29 Mitsubishi Electric Lighting Corp 照明装置
KR20110130697A (ko) * 2010-05-28 2011-12-06 윤인숙 엘이디 전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7252A (ja) * 2008-07-15 2010-02-04 Ccs Inc 光照射装置
KR100880199B1 (ko) * 2008-10-20 2009-02-02 (주)파트라 조립성이 향상된 엘이디 가로등
US20110063837A1 (en) * 2009-09-16 2011-03-17 Bridgelux, Inc. Led array module and led array module frame
JP2011192403A (ja) * 2010-03-11 2011-09-29 Mitsubishi Electric Lighting Corp 照明装置
KR20110130697A (ko) * 2010-05-28 2011-12-06 윤인숙 엘이디 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749B1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926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EP2397745A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luminaire
KR20080004277U (ko) 방열기능을 갖는 칩엘이디 조명기구
KR102057978B1 (ko) 조명 장치
KR101063925B1 (ko) 조명 장치
JP2012023078A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133649B1 (ko) 고효율의 열방출이 가능한 전기전자 장치 및 led 발광 장치
KR102031749B1 (ko) 조명 장치
US20160035942A1 (en) Light-emitting apparatus having light-pervious plate
KR101929258B1 (ko) 조명 장치
KR101742674B1 (ko) 조명 장치
KR101103524B1 (ko) 조명 장치
JP2011129416A (ja) 照明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KR101304874B1 (ko) 조명 장치
KR20130065915A (ko) 조명 장치
KR101847042B1 (ko) 조명 장치
KR101868441B1 (ko) 조명 장치
KR101921127B1 (ko) 조명 장치
JP2011090972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WO2013046292A1 (ja)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照明器具
KR100592330B1 (ko) 발광다이오드 모듈
KR101976469B1 (ko) 조명 장치
KR102075125B1 (ko) 조명기기
KR101655462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KR20120096718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