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958A - 창문용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용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958A
KR20130115958A KR1020120038816A KR20120038816A KR20130115958A KR 20130115958 A KR20130115958 A KR 20130115958A KR 1020120038816 A KR1020120038816 A KR 1020120038816A KR 20120038816 A KR20120038816 A KR 20120038816A KR 20130115958 A KR20130115958 A KR 20130115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oller
gear
connection rod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9252B1 (ko
Inventor
경명수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3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25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의 록킹 조작을 통해 창문과 다른 창문 사이는 물론, 창문과 창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밀착시켜, 단열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창문용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창문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창문과 함께 이동하는 하우징커버와; 하우징커버과 창문 사이에 마련되어 창문의 이동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좌우 이동하며, 중심에는 창문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기울기를 갖는 장방형의 경사홀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커버의 내부에 마련되며, 창틀 방향으로 롤러가 마련되어 창틀을 따라 이동하고, 경사홀에 끼워져 이동되도록 경사이동돌기가 마련됨으로써 가이드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시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하우징커버가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라, 창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창틀에 형성된 레일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창문을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창문의 틈새를 밀착시켜 창문의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롤러유닛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창문 시공시 발생하는 수평 불균일 문제를 보완할 수 있음은 물론, 양측 구름롤러에 창문의 무게가 동등하게 배분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창문용 밀폐장치{APPARATUS FOR CLOSING A GAP BETWEEN WINDOW AND OTHER WINDOW}
본 발명은 창문용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문의 록킹 조작을 통해 창문과 다른 창문 사이는 물론, 창문과 창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밀착시켜, 단열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창문용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사무실과 같은 건축물들에는 외부와의 환기나 조망 등을 목적으로 창호를 설치한다. 즉, 창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창호가 구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킴은 물론 습도를 조절하고 일정 수준의 조망 및 일조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창호는 사용목적, 기능, 형상, 구조, 위치, 설계자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는데, 특히 창호의 개폐방식에 따라 창문을 창틀과 평행으로 이동시키는 것, 축으로 회전시키는 것, 창틀과 직각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 이것에 건구가 고정되어 있는 것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창문을 창틀과 평행으로 이동시키는 미닫이 형태의 창호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창호구조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마련된 창틀프레임이 벽체에 고정되고, 레일을 따라 창문프레임이 구름 이동되도록 창문프레임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장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창문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된 롤러가 창틀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됨으로써, 창문을 밀거나 당기는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서 창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미닫이식 창호는 창문을 닫는 경우에, 창문프레임과 연접된 다른 창문프레임은 물론 창틀프레임과의 사이에 구조적으로 유격이 발생되고, 이 틈새를 통해 외기와 함께 먼지 및 소음 등이 유입됨으로써, 단열성능이 크게 저하되어 냉난방 효율이 떨어짐과 아울러, 창호의 방음 및 방진(防塵) 성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하이샤시, 이중창호, 시스템창호 등과 같이 기능성이 강화된 창호 구조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같은 창호들의 경우 시공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바, 범용으로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히, 현재 건축물에 사용되는 창호들은 대부분 하나의 창문에 2개의 유리가 겹쳐져 끼워진 이중유리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보통 이같은 이중유리를 이중창호에 적용하게 되면, 결국 창호의 한 면에는 4개의 유리가 겹쳐진 형태가 된다.
따라서, 이중 창호의 경우 단열 효과를 개선하는 이점은 있으나, 구조적으로 단열을 위한 공기층(단열층)이 별도 마련되어야 하는바, 창문 및 창틀의 전후 폭이 길어지고, 이같은 폭의 증대에 따라 창틀 및 창문의 중량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작업공수 및 건축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앞서 언급된 기능성 창호들의 경우에 미닫이 형식의 창호 구조에서는 창문프레임들의 사이와,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사이에 여전히 틈이 발생되어 창호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 해결책이 될 수 없는 것이다.
도 1은 이같은 문제점 중 일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00276호로 공고된 "단열 및 방음이 뛰어난 틈새방지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문"에 대한 것으로, 수직샷시(1)(1')와 수평샷시(2)(2')로 이루어진 한 쌍의 미닫이 창문(3)(3')에 있어서, 서로 대향 분할된 잠금장치(4)(4')가 형성되는 일측의 수직샷시(1)(1')에 별도의 경사상 차단판(10)(10') 및 차단모(11)(11')를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10)(10')은, 상기한 수직샷시(1)(1')의 일측면에 창문(3)(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차단판(10)(10')과 이격된 수직샷시(1)(1')의 일측에는 차단모(11)(11')를 돌출 형성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하는 차단판(10)(10')의 상호 밀착에 의해 그 창문(3)(3') 간의 틈새가 차단되게 구성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에 차단판이 상호 밀착되기 위해서는 한 쌍의 미닫이 창문이 미세한 오차 범위 내에서 정밀한 구조로 창틀에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창문을 록킹하지 않은 경우에는 바람에 의한 창문의 흔들림에 의해 차단판 사이가 순간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 기술은 차단판이 한 쌍의 미닫이 창문 사이의 틈새만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정작 창문과 창틀 사이에 벌어지는 틈새는 여전히 벌어지게 되는 바, 창문의 기밀성 및 단열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0027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창문의 록킹 조작을 통해 창문과 다른 창문 사이는 물론, 창문과 창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밀착시켜, 단열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창문용 밀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에 사용되는 유리의 적층 단수를 최소화하여 제조함으로써, 창문 및 창틀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작업공수와 창호의 무게를 절감하며, 창호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창문용 밀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창문의 테두리에 롤러조립체가 마련되어 창틀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 창문용 밀폐장치에 있어서, 롤러조립체는, 창문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창문과 함께 이동하는 하우징커버와; 상기 하우징커버과 창문 사이에 마련되어 창문의 이동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좌우 이동하며, 중심에는 창문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장방형의 경사홀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커버의 내부에 마련되며, 창틀 방향으로 롤러가 마련되어 창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경사홀에 끼워져 이동되도록 경사이동돌기가 마련됨으로써 가이드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시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하우징커버가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롤러유닛에 슬라이드샤프트가 관통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드샤프트의 양 단부가 하우징커버의 양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하우징커버가 롤러유닛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롤러유닛은, 하우징커버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단 중앙에 경사이동돌기가 돌출되도록 한 틸트브래킷과; 창틀에 형성된 레일에 안착되어 구름 이동하는 구름롤러와; 단부측에 구름롤러가 축 결합되어 구름롤러가 회전되도록 하는 롤러브래킷; 및 롤러브래킷을 관통하는 조절핀을 제1조절기어 및 제2조절기어의 회전조작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시켜 롤러브래킷 및 구름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롤러브래킷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조절기어와; 틸트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조절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 회전하되, 회전하는 방향으로 핀홀이 길게 형성된 제2조절기어; 및 롤러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핀홀에 끼워지므로, 제1조절기어의 회전시 연동회전하는 제2조절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롤러브래킷과 함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조절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틸트브래킷에는 제1조절기어와 대응하는 위치에 조절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홀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홀은 제2조절기어의 원주방향에서 일정 각도 틀어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유닛은, 하우징커버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단 중앙에 경사이동돌기가 돌출되도록 한 가이드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상단은 창틀에 형성된 레일에 가이드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드롤러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창문이 이동하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제1안내홀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커버에는 상기 제1안내홀에 끼워져 이동 가능하도록 제1안내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창문의 록킹 및 록킹해제를 위해 조작하는 핸들과; 상기 창문의 수직한 테두리에 마련되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수직커넥션로드와; 상기 창문의 모서리에 마련되며, 수직커넥션로드의 단부와 결합되어 수직커넥션로드의 직선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내부의 방향전환기어를 회전시키는 코너드라이브; 및 상기 코너드라이브와 롤러조립체의 사이와, 상기 롤러조립체와 이웃하는 다른 롤러조립체의 사이에 마련되며, 일단이 코너드라이브에 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플레이트에 결합되어 방향전환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가이드플레이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수평커넥션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드라이브는, 창문 모서리의 형상을 따라 절곡 형성된 케이싱과; 수직커넥션로드와 결합되어 케이싱의 수직 방향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며, 일면에 랙기어가 형성된 제1이동부재와; 수평커넥션로드와 결합되어 케이싱의 수평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일면에 랙기어가 형성된 제2이동부재;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홀수개가 마련되며, 제1이동부재에 형성된 랙기어와 제2이동부재에 형성된 랙기어에 맞물려 연동 회전하므로 수직커넥션로드의 상하방향 이동이 수평커넥션로드의 좌우방향 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방향전환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제2안내홀이 형성되며, 제2안내홀에 끼워지도록 제1이동부재에 제2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제2안내돌기가 제2안내홀의 구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기어는,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 중심 부분에 마련된 제1방향전환기어와; 상기 제1방향전환기어에 연동 회전되도록 마련되며, 제1이동부재에 형성된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방향전환기어; 및 상기 제1방향전환기어에 연동 회전되도록 마련되며, 제2이동부재에 형성된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3방향전환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커넥션로드와 제1이동부재가 스플라인 결합되며, 상기 수평커넥션로드와 제2이동부재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수평커넥션로드와 가이드플레이트가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커넥션로드의 측면에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창틀 위치에 키퍼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마주하는 키퍼의 일면에는 핸들 조작에 의한 수직커넥션로드의 이동시 걸림돌기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림홈에 걸림돌기가 록킹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창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핸들의 록킹조작을 통해 창틀에 형성된 레일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창문을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창문과 다른 창문 사이 그리고, 창문과 창틀 사이에 벌어진 틈새를 밀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창문의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창문의 이동작용에 의해서 창문의 단열 및 기밀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이중 창호와 같이 여러 겹의 유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창 구조만으로 소비자가 만족할 만한 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창문 폭의 최소화를 통해 창틀의 구조 역시 간소화시켜 창호의 중량을 줄이는 것은 물론, 창호의 시공작업을 간편하게 하며, 창호 시공에 필요한 건축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롤러유닛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창문 시공시 발생하는 수평 불균일 문제를 보완할 수 있음은 물론, 양측에 형성된 구름롤러에 창문의 무게가 동등하게 배분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미닫이 창문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밀폐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밀폐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단면 형태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롤러조립체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롤러조립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 롤러조립체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 롤러조립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코너드라이브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롤러유닛의 높이 조절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유닛의 틸트 조절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밀폐장치를 통해 창문이 좌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에서 가이드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의 저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밀폐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롤러조립체(100)(100')가 크게 하우징커버(110)와, 가이드플레이트(120)와, 롤러유닛(130)(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창문(10)의 상부 및 하부의 테두리에 롤러조립체(100)(100')가 마련되며, 상기 롤러조립체(100)(100')는 창틀(500)에 형성된 레일(51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이같은 롤러조립체(100)(100')의 구성에서, 도 4 및 도 6과 같이 먼저 하우징커버(110)는 창문(10)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창문(10)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내부에 롤러유닛(130)(140)이 수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커버(110)는 상부와 하부에 마련되는 롤러조립체(100)(100')에 따라 그 형상이 다소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하부 롤러조립체(100)의 하우징커버(110)는 상면의 중심에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안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 롤러조립체(100')의 하우징커버(110)는 하면의 중심에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안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한 가이드플레이트(120)는 상기 하우징커버(110)과 창문(10) 사이에 마련되어 창문(10)의 이동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좌우 이동하며, 중심에는 창문(1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장방형의 경사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커버(110)에 안착되어 끼워진 가이드플레이트(120)는 창문(10)의 록킹 및 록킹해제를 위한 핸들(230) 조작시 하우징커버(110)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커버(11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홀(122)은 창문(10)의 좌우 이동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때 경사홀(122)의 양 단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롤러유닛(130)(140)은 상기 하우징커버(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창틀(500) 방향으로 롤러가 마련되어 창틀(50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경사홀(122)에 끼워져 이동되도록 경사이동돌기(132)(142)가 형성됨으로써 가이드플레이트(120)의 좌우 이동시 가이드플레이트(12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하우징커버(110)가 이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롤러유닛(130)(140)이 하우징커버(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마련되되, 도 11과 같이 창틀(500)을 향한 롤러유닛(130)(140)의 단부는 창틀(500)에 형성된 레일(510)에 끼워지는 형태로 안착 및 지지되어 창틀(50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이동돌기(132)(142)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유닛(130)(140)과 별도 형성하여 서로 고정시킬 수 있으나, 경사이동돌기(132)(142)와 롤러유닛(130)(140)을 일체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이동돌기(132)(142)가 하부의 롤러조립체(100)와 같이 경사홀(122)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혹은 상부의 롤러조립체(100')와 같이 단순한 원기둥형의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롤러유닛(130)(140)에 슬라이드샤프트(150)가 관통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드샤프트(150)의 양 단부가 하우징커버(110)의 양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하우징커버(110)가 롤러유닛(130)(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롤러유닛(130)(140)의 좌우 단부에 관통홀(133)(14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33)(143)에 슬라이드샤프트(150)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샤프트(150)는 관통홀(133)(143)에 관통된 상태에서 하우징커버(110)와 함께 창문(10)의 좌우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이동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원활한 이동작용을 위해 관통홀(133)(143)에 부시(부호 생략)가 더 끼워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샤프트(150)의 양 단부는 하우징커버(110)의 양 내측면에 각각 지지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드샤프트(150)가 지지되는 하우징커버(110)의 양 내측면에는 슬라이드샤프트(150)가 끼워지는 끼움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11)의 일측에 슬라이드샤프트(150)가 쉽게 끼워지도록 쐐기 형상의 끼움돌기(부호생략)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부 롤러조립체(100)에 설치된 롤러유닛(130)의 구성요소 중 틸트브래킷(131)의 상면 양측에는 창문(1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홈(134)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34)과 대응하는 하우징커버(110)의 양측에 가이드편(114)이 형성되므로, 상기 슬라이드샤프트(150)와 함께 하우징커버(110)의 전후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유닛(130)은, 하우징커버(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단 중앙에 경사이동돌기(132)가 돌출되도록 한 틸트브래킷(131)과, 창틀(500)에 형성된 레일(510)에 안착되어 구름 이동하는 구름롤러(136)와, 단부측에 구름롤러(136)가 축 결합되어 구름롤러(136)가 회전되도록 하는 롤러브래킷(135)과, 롤러브래킷(135)을 관통하는 조절핀(139)을 제1조절기어(137) 및 제2조절기어(138)의 회전조작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시켜 롤러브래킷(135) 및 구름롤러(136)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유닛(130)(140) 중에서 하부의 롤러조립체(100)에 마련되는 롤러유닛(130)은 한 쌍의 구름롤러(136)가 설치된 롤러유닛(130)의 구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구름롤러(136)가 창틀(500)에 형성된 레일(510)에 안착 및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구름롤러(136)를 고정하는 롤러브래킷(135)이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어 창틀(500)의 수평 불균일시 구름롤러(136)의 높이 및 틸트 조절을 통해 창문(10)과 창틀(500)의 수평을 맞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도 4 및 도 9와 같이 롤러브래킷(135)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조절기어(137)와, 틸트브래킷(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조절기어(137)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 회전하되, 회전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조절기어(138)와, 롤러브래킷(135)을 관통하여 상기 핀홀(138a)에 끼워지므로, 제1조절기어(137)의 회전시 연동회전하는 제2조절기어(138)의 회전력에 의해 롤러브래킷(135)과 함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조절핀(13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피니언 형상의 제1조절기어(137)가 마련되며, 상기 제1조절기어(137)와 맞물리는 제2조절기어(138)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틸트브래킷(131)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기어(138)의 중간 부분에는 제2조절기어(138)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길게 핀홀(138a)이 형성되어, 조절핀(139)이 롤러브래킷(135)에 관통되면서 상기 핀홀(138a)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조절기어(137)는 중심에 육각렌치홈이 형성되어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틸트브래킷(131)과 롤러브래킷(135)에는 상기 제1조절기어(137)와 대응하는 위치에 조절홀(131a)(135a)이 각각 형성되어 육각렌치홈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조절기어(137)가 회전함에 따라 롤러유닛(130)이 전체적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는 바, 상기 조절홀(131a)은 제1조절기어(137)가 이동하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상기 틸트브래킷(131)의 중앙에는 조절핀(139)의 상하 이동이 간섭되지 않도록 홈(부호 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홀(131a)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구름롤러(136)의 틸트 회전작용시 제1조절기어(137)가 조절홀(131a)의 범위 내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도 9와 같이 상기 핀홀(138a)은 제2조절기어(138)가 회전하는 원주방향에서 일정 각도 틀어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핀홀(138a)이 원주방향에서 일정 각도 틀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조절기어(138)의 회전 중심축보다 핀홀(138a)이 형성하고 있는 가상의 회전 중심축이 더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바, 두 개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라, 제1조절기어(137)의 회전에 의해 제2조절기어(138)가 회전되면, 조절핀(139)이 핀홀(138a)의 내측면에 압박 상태로 마찰 및 이동되어 견고하게 끼워지게 됨으로써, 구름롤러(136)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이같이 마찰력이 증대된 압박 상태로 조절핀(139)이 핀홀(138a)에 고정되는 바, 롤러유닛(130)의 높이가 높게 조절된 상태에서 창문(10)의 하중에 의해 롤러에서 반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제2조절기어(138)가 역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압박 상태로 핀홀(138a)에 끼워진 조절핀(139)의 마찰력보다 크지 않으므로, 롤러유닛(130)이 상부로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유닛(140)은, 하우징커버(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단 중앙에 경사이동돌기(142)가 돌출되도록 한 가이드브래킷(141)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브래킷(141)의 상단부는 창틀(500)에 형성된 레일(510)에 가이드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드롤러(144)일 수 있다.
즉, 상기 롤러유닛 중에서 상부의 롤러조립체(100')에 마련되는 롤러유닛(140)은 상단에 슬라이드롤러(144)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창틀(500)에 형성된 레일(510)에 상기 슬라이드롤러(144)가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가이드브래킷(141)의 하단에 경사이동돌기(142)가 마련되며, 상기 경사이동돌기(142)가 가이드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경사홀(122)에 끼워지게 되는데, 하우징커버의 하단 중앙에 지지편(112)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지지편(112)의 상면에 안착 및 지지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0)에는 창문(10)이 이동하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제1안내홀(123)이 길게 형성되며, 하우징커버(110)에는 상기 제1안내홀(123)에 끼워져 이동 가능하도록 제1안내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0)의 양측에 장방형의 제1안내홀(123)이 창문(10)이 이동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홀(123)과 대응하는 하우징커버(11)의 양측에 제1안내돌기(113)가 형성됨으로써, 제1안내홀(123)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제1안내돌기(113)를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창문(10)의 록킹 및 록킹해제를 위해 조작하는 핸들(230)과, 상기 창문(10)의 수직한 테두리에 마련되며, 핸들(230)의 조작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수직커넥션로드(200)와, 상기 창문(10)의 모서리에 마련되며, 수직커넥션로드(200)의 단부와 결합되어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직선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내부의 방향전환기어(340)를 회전시키는 코너드라이브(300)와, 상기 코너드라이브(300)와 롤러조립체(100)(100')의 사이와, 상기 롤러조립체(100)(100')와 이웃하는 다른 롤러조립체(100)(100')의 사이에 마련되며, 일단이 코너드라이브(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플레이트(120)에 결합되어 방향전환기어(34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가이드플레이트(120)를 직선 이동시키는 수평커넥션로드(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창문(10)의 수직 형성된 테두리 부분에 회전 조작에 의해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핸들(230)이 마련되며, 상기 핸들(230)의 회전운동을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핸들(230)의 회전 중심축에 드라이브기어(22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브기어(220)는 핸들(230)의 중심축에 피니언(222)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피니언(222)에 맞물려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도록 랙기어(22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랙기어(224)는 수직커넥션로드(200)에 고정되는 바, 상기 핸들(23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수직커넥션로드(20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직선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커넥션로드(200)의 단부는 코너드라이브(300)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코너드라이브(300)의 타단부에는 수평커넥션로드(40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수평커넥션로드(400)의 타단부에는 롤러조립체(100)에 구성된 가이드플레이트(12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0)와 이웃하는 가이드플레이트(120) 역시 수평커넥션로드(400)의 양 단부가 서로 결합된다.
즉, 상기 코너드라이브(300)에서는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상하 직선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수평커넥션로드(400)에 좌우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게 됨으로써, 수직커넥션로드(20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 수평커넥션로드(400)와 함께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좌우로 이동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코너드라이브(300)는, 창문(10) 모서리의 형상을 따라 절곡 형성된 케이싱(310)과, 수직커넥션로드(200)와 결합되어 케이싱(310)의 수직 방향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며, 일면에 랙기어(322)가 형성된 제1이동부재(320)와, 수평커넥션로드(400)와 결합되어 케이싱(310)의 수평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일면에 랙기어(332)가 형성된 제2이동부재(330)와, 상기 케이싱(310)의 내부에 홀수개가 마련되며, 제1이동부재(320)에 형성된 랙기어(322)와 제2이동부재(330)에 형성된 랙기어(332)에 맞물려 연동 회전하므로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상하방향 이동이 수평커넥션로드(400)의 좌우방향 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방향전환기어(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코너드라이브(300)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부재(320)가 수직커넥션로드(200)와 결합되면서 랙기어(322)에 의해 방향전환기어(340)와 맞물리며, 코너드라이브(30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이동부재(330)가 수평커넥션로드(400)와 결합되면서 랙기어(332)에 의해 방향전환기어(340)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상하 이동시 랙기어(322)(332)가 직선 이동되면서 방향전환기어(340)가 회전되는 바,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상하 직선 이동을 수평커넥션로드(400)의 좌우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향전환기어(340)는, 상기 케이싱(310)의 모서리 중심 부분에 마련된 제1방향전환기어(342)와, 상기 제1방향전환기어(342)에 연동 회전되도록 마련되며, 제1이동부재(320)에 형성된 랙기어(32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방향전환기어(344)와, 상기 제1방향전환기어(342)에 연동 회전되도록 마련되며, 제2이동부재(330)에 형성된 랙기어(33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3방향전환기어(3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이동시, 제1이동부재(320)에 형성된 랙기어(322)가 직선 이동되어 제2방향전환기어(344)와 맞물리면서 제2방향전환기어(344)가 회전하고, 상기 제2방향전환기어(344)와 맞물린 제1방향전환기어(342) 및 제3방향전환기어(346)가 연동 회전하게 된다. 이와 함께, 제2이동부재(330)에 형성된 랙기어(332)가 제3방향전환기어(346)와 맞물리면서 제2이동부재(330)에 형성된 랙기어(332)가 직선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싱(3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제2안내홀(311)이 형성되며, 제2안내홀(311)에 끼워지도록 제1이동부재(320)에 제2안내돌기(321)가 형성되어, 제2안내돌기(321)가 제2안내홀(311)의 구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이동에 따라 제1이동부재(32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는 바, 상기 제1이동부재(320)의 과도한 상부 또는 하부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도 5, 도 7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커넥션로드(200)와 제1이동부재(320)가 스플라인(S1)(S2) 결합되며, 상기 수평커넥션로드(400)와 제2이동부재(330)가 스플라인(S1)(S2) 결합되고, 상기 수평커넥션로드(400)와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스플라인(S1)(S2)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양 단부에는 양각 형상의 스플라인(S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결합되는 제1이동부재(320)에는 양각의 스플라인(S1)과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음각 형상의 스플라인(S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커넥션로드(400)의 양 단부에는 양각 형상의 스플라인(S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결합되는 제2이동부재(330) 및 가이드플레이트(120)의 양 단부에는 양각의 스플라인(S1)과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음각 형상의 스플라인(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0)의 양 단부에는 음각 형상의 스플라인(S2)이 직접 형성될 수 있으나,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음각 스플라인(S2)의 부품이 조립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측면에 걸림돌기(210)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210)와 대응하는 창틀(500) 위치에 키퍼(520)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돌기(210)와 마주하는 키퍼(520)의 일면에는 핸들(230) 조작에 의한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이동시 걸림돌기(21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걸림홈(53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림홈(530)에 걸림돌기(210)가 록킹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홈(530) 내부에 수용되는 걸림돌기(210)의 단부가 걸림홈(530)에 끼워지는 부분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걸림돌기(210)가 걸림홈(530)에 끼워지는 경우 걸림홈(53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530)이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핸들(230)의 회전 조작시, 수직커넥션로드(200)가 직선 이동하는 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롤러조립체(100)(100')에 마련된 경사홀(122)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된다. 따라서, 수직커넥션로드(200) 역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되기 때문에, 수직커넥션로드(200)에 형성된 걸림돌기(210)가 걸림홈(530)에 안정적으로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살펴본다.
창틀(500)에 형성된 레일(510)을 따라 창문(10)을 이동시켜 창문(10)을 닫은 후에, 창문(10)에 마련된 핸들(230)을 회전 조작하게 되면, 핸들(230)의 회전에 의해 핸들(230)에 결합된 피니언(222)이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222)기어와 맞물려 수직커넥션로드(200)에 마련된 랙기어(224)가 상부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수직커넥션로드(200)와 결합된 제1이동부재(320)가 상기 수직커넥션로드(200)가 이동하는 직선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이동부재(320)에 형성된 랙기어(322)가 코너드라이브(300)의 내부에 마련된 제2방향전환기어(344)와 맞물려 있어, 제2방향전환기어(344)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방향전환기어(344)는 제1방향전환기어(342)와, 그리고 제1방향전환기어(342)는 다시 제3방향전환기어(346)와 각각 맞물려 있어, 제1,2,3방향전환기어(342)(344)(346)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방향전환기어(346)는 제2이동부재(330)에 형성된 랙기어(332)와 기어 결합되어 있어, 제2이동부재(330)가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아울러, 상기 제2이동부재(330)는 수평커넥션로드(400)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120)에 결합되며, 가이드플레이트(120)와 이웃하는 가이드플레이트(120)는 다른 수평커넥션로드(400)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제2이동부재(330)와 함께 수평커넥션로드(400)와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0)에는 경사홀(122)이 형성되어 있고, 롤러유닛(130)(140)에는 경사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경사홀(122)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측방향으로 이동시에 이같은 좌우 이동과 함께, 경사홀(122)의 기울기를 따라 창문(10)의 좌우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도 함께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0)는 하우징커버(110)와 함께 전후로 이동되는데, 이는 하우징커버(110)의 내측에 끼워진 슬라이드샤프트(150)에 롤러유닛(130)(140)이 관통되어 끼워지게 됨으로써, 하우징커버(110) 및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창문(10)이 닫혀진 상태에서 창문(10)의 밀폐를 위해 핸들(230)을 회전 조작하면, 롤러유닛(130)(140)은 창틀(500)에 형성된 레일(510)에 걸려져 위치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되는 반면, 창문(10)에 고정된 다른 부품들이 창문(10)과 함께 창문(10)의 좌우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경사홀(122)의 구조 때문에 창문(10)의 좌우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90°방향으로 창문(10)이 이동된다.
따라서, 창문(10)이 닫혀진 상태에서 창문(10)을 실내측 혹은 실외측으로 이동시켜 창문(10)을 창틀(500)에 밀착시키므로, 창문(10)과 다른 창문(10) 사이, 그리고 창문(10)과 창틀(500) 사이에 벌어지는 틈새를 밀착 및 밀폐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창문(10)의 단열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감하며,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창문(10)의 전후 방향 이동거리는 약 4~5㎜일 수 있으며, 창틀(500)과 접하는 창문(10)의 외측에는 개스킷(G)이 설치되어 압착되므로, 창문(10)과 창틀(500) 사이의 밀폐력을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하부의 롤러조립체(100)에 설치된 롤러유닛(130)에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됨으로써, 창문(10) 또는 창틀(500)의 불량이나 그 외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창문(10)과 창틀(500)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에, 롤러유닛(130)에 마련된 구름롤러(136)를 틸팅시키거나 높이를 조절하여 구름롤러(136)가 창틀(500)의 레일(510) 위에 수평 상태로 놓이도록 하고, 이로 인해 창문(10)을 안정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즉, 창문(10)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에, 제1조절기어(137)를 회전시키면, 제1조절기어(137)와 맞물려 제2조절기어(138)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조절기어(138)에 형성된 핀홀(138a)에는 조절핀(139)이 끼워져 있으므로, 제2조절기어(138)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조절핀(139)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핀(139)은 롤러브래킷(135)에 고정되어 있는 바, 조절핀(139)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롤러브래킷(135)을 함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롤러유닛(13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틸트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창틀(500)에 형성된 레일(51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창문(10)을 이동시켜 닫은 후에, 핸들(230)의 록킹조작을 통해 롤러유닛(130)(140)은 레일(510) 상에 위치 고정시킨 채, 레일(5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창문(10)을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창문(10)과 다른 창문(10) 사이 그리고, 창문(10)과 창틀(500) 사이에 벌어진 틈새를 밀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창문(10)의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창문(10)의 이동작용에 의해서 창문(10)의 단열 및 기밀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이중 창호와 같이 여러 겹의 유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창 구조만으로 소비자가 만족할 만한 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창문(10) 폭의 최소화를 통해 창틀(500)의 구조 역시 간소화시켜 창호의 중량을 줄이는 것은 물론, 창호의 시공작업을 간편하게 하며, 창호 시공에 필요한 건축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다만, 단창 구조의 창문에는 창문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홑창보다는 2중 이상의 유리가 겹쳐진 구조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롤러유닛(130)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창문(10) 시공시 발생하는 수평 불균일 문제를 보완할 수 있음은 물론, 양측에 형성된 구름롤러(136)에 창문(10)의 무게가 동등하게 배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창문 100, 100' : 롤러조립체
110 : 하우징커버 113 : 제1안내돌기
120 : 가이드플레이트 122 : 경사홀
123 : 제1안내홀 130 : 롤러유닛
131 : 틸트브래킷 131a : 조절홀
132 : 경사이동돌기 133 : 관통홀
135 : 롤러브래킷 136 : 구름롤러
137 : 제1조절기어 138 : 제2조절기어
138a : 핀홀 139 : 조절핀
140 : 롤러유닛 141 : 가이드브래킷
142 : 경사이동돌기 143 : 관통홀
144 : 슬라이드롤러 150 : 슬라이드샤프트
200 : 수직커넥션로드 210 : 걸림돌기
220 : 드라이브기어 222 : 피니언
224 : 랙기어 230 : 핸들
300 : 코너드라이브 310 : 케이싱
311 : 제2안내홀 320 : 제1이동부재
321 : 제2안내돌기 322 : 랙기어
330 : 제2이동부재 332 : 랙기어
340 : 방향전환기어 342 : 제1방향전환기어
344 : 제2방향전환기어 346 : 제3방향전환기어
400 : 수평커넥션로드 500 : 창틀
510 : 레일 520 : 키퍼
530 : 걸림홈 S1, S2 : 스플라인

Claims (14)

  1. 창문의 테두리에 롤러조립체가 마련되어 창틀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 창문용 밀폐장치에 있어서,
    롤러조립체(100)(100')는,
    창문(10)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창문(10)과 함께 이동하는 하우징커버(110)와;
    상기 하우징커버(110)과 창문(10) 사이에 마련되어 창문(10)의 이동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좌우 이동하며, 중심에는 창문(1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장방형의 경사홀(122)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120); 및
    상기 하우징커버(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창틀(500) 방향으로 롤러가 마련되어 창틀(50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경사홀(122)에 끼워져 이동되도록 경사이동돌기(132)(142)가 마련됨으로써 가이드플레이트(120)의 좌우 이동시 가이드플레이트(12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하우징커버(110)가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유닛(130)(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130)(140)에 슬라이드샤프트(150)가 관통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드샤프트(150)의 양 단부가 하우징커버(110)의 양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하우징커버(110)가 롤러유닛(130)(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130)은,
    하우징커버(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단 중앙에 경사이동돌기(132)가 돌출되도록 한 틸트브래킷(131)과;
    창틀(500)에 형성된 레일(510)에 안착되어 구름 이동하는 구름롤러(136)와;
    단부측에 구름롤러(136)가 축 결합되어 구름롤러(136)가 회전되도록 하는 롤러브래킷(135); 및
    롤러브래킷(135)을 관통하는 조절핀(139)을 제1조절기어(137) 및 제2조절기어(138)의 회전조작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시켜 롤러브래킷(135) 및 구름롤러(136)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롤러브래킷(135)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조절기어(137)와;
    틸트브래킷(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조절기어(137)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 회전하되, 회전하는 방향으로 핀홀(138a)이 길게 형성된 제2조절기어(138); 및
    롤러브래킷(135)을 관통하여 상기 핀홀(138a)에 끼워지므로, 제1조절기어(137)의 회전시 연동회전하는 제2조절기어(138)의 회전력에 의해 롤러브래킷(135)과 함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조절핀(13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브래킷(131)에는 제1조절기어(137)와 대응하는 위치에 조절홀(131a)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홀(131a)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138a)은 제2조절기어(138)의 원주방향에서 일정 각도 틀어진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140)은,
    하우징커버(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단 중앙에 경사이동돌기(142)가 돌출되도록 한 가이드브래킷(141)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브래킷(141)의 상단은 창틀(500)에 형성된 레일(510)에 가이드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드롤러(1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0)에는 창문(10)이 이동하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제1안내홀(123)이 길게 형성되며, 하우징커버(110)에는 상기 제1안내홀(123)에 끼워져 이동 가능하도록 제1안내돌기(1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창문용 밀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창문(10)의 록킹 및 록킹해제를 위해 조작하는 핸들(230)과;
    상기 창문(10)의 수직한 테두리에 마련되며, 핸들(230)의 조작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수직커넥션로드(200)와;
    상기 창문(10)의 모서리에 마련되며, 수직커넥션로드(200)의 단부와 결합되어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직선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내부의 방향전환기어(340)를 회전시키는 코너드라이브(300); 및
    상기 코너드라이브(300)와 롤러조립체(100)(100')의 사이와, 상기 롤러조립체(100)(100')와 이웃하는 다른 롤러조립체(100)(100')의 사이에 마련되며, 일단이 코너드라이브(300)에 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플레이트(120)에 결합되어 방향전환기어(34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가이드플레이트(120)를 직선 이동시키는 수평커넥션로드(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드라이브(300)는,
    창문(10) 모서리의 형상을 따라 절곡 형성된 케이싱(310)과;
    수직커넥션로드(200)와 결합되어 케이싱(310)의 수직 방향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며, 일면에 랙기어(322)가 형성된 제1이동부재(320)와;
    수평커넥션로드(400)와 결합되어 케이싱(310)의 수평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일면에 랙기어(332)가 형성된 제2이동부재(330); 및
    상기 케이싱(310)의 내부에 홀수개가 마련되며, 제1이동부재(320)에 형성된 랙기어(322)와 제2이동부재(330)에 형성된 랙기어(332)에 맞물려 연동 회전하므로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상하방향 이동이 수평커넥션로드(400)의 좌우방향 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방향전환기어(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제2안내홀(311)이 형성되며, 제2안내홀(311)에 끼워지도록 제1이동부재(320)에 제2안내돌기(321)가 형성되어, 제2안내돌기(321)가 제2안내홀(311)의 구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기어(340)는,
    상기 케이싱(310)의 모서리 중심 부분에 마련된 제1방향전환기어(342)와;
    상기 제1방향전환기어(342)에 연동 회전되도록 마련되며, 제1이동부재(320)에 형성된 랙기어(32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방향전환기어(344); 및
    상기 제1방향전환기어(342)에 연동 회전되도록 마련되며, 제2이동부재(330)에 형성된 랙기어(33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3방향전환기어(34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커넥션로드(200)와 제1이동부재(320)가 스플라인(S1)(S2) 결합되며, 상기 수평커넥션로드(400)와 제2이동부재(330)가 스플라인(S1)(S2) 결합되고, 상기 수평커넥션로드(400)와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스플라인(S1)(S2)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측면에 걸림돌기(210)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210)와 대응하는 창틀(500) 위치에 키퍼(520)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돌기(210)와 마주하는 키퍼(520)의 일면에는 핸들(230) 조작에 의한 수직커넥션로드(200)의 이동시 걸림돌기(21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걸림홈(53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림홈(530)에 걸림돌기(210)가 록킹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밀폐장치.
KR1020120038816A 2012-04-13 2012-04-13 창문용 밀폐장치 KR10146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816A KR101469252B1 (ko) 2012-04-13 2012-04-13 창문용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816A KR101469252B1 (ko) 2012-04-13 2012-04-13 창문용 밀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958A true KR20130115958A (ko) 2013-10-22
KR101469252B1 KR101469252B1 (ko) 2014-12-09

Family

ID=4963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816A KR101469252B1 (ko) 2012-04-13 2012-04-13 창문용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25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796A (ko) * 2013-11-05 2015-05-13 동서콘트롤(주)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KR20150102268A (ko) * 2014-02-28 2015-09-07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200480629Y1 (ko) * 2015-02-16 2016-06-17 주식회사 대현상공 수평 밀착형 미닫이창문용 이동구
KR20180094252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미세기 구조
WO2019092290A1 (es) * 2017-11-09 2019-05-16 Lara Anaya Cristian Sistema de cierre para puertas y ventanas correderas
KR101983841B1 (ko) * 2018-09-17 2019-05-29 김응규 창호 잠금장치
KR102186592B1 (ko) * 2020-06-09 2020-12-03 문성필 잠금 환기형 슬라이딩 창호
KR20210095322A (ko) * 2020-01-23 2021-08-02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2373584B1 (ko) * 2021-06-18 2022-03-11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걸림 안내부
EP3880914A4 (en) * 2020-01-23 2022-03-30 Cs Tech Co., Ltd. WINDOW/DOOR ASSEMBLY HAVING A VENTILATION FUNCTION AND A HORIZONTAL SEALING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464B1 (ko) * 2014-12-15 2019-04-03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창호시스템
CN106150287A (zh) * 2016-09-17 2016-11-23 蒋安美 一种侧滑式推拉窗
KR102363063B1 (ko) * 2020-01-23 2022-02-15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높이 조절부를 구비한 창호의 바퀴 모듈
KR102364758B1 (ko) * 2020-02-25 2022-02-18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23B1 (ko) * 2006-05-30 2007-06-19 이광석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이동창 창짝 프레임 조립체의 이중결합 구조
KR101078413B1 (ko) * 2008-08-28 2011-11-01 주식회사 윈스터 고기밀성 미서기 창호문
KR101034678B1 (ko) * 2010-12-17 2011-05-16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창문용 밀폐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796A (ko) * 2013-11-05 2015-05-13 동서콘트롤(주)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KR20150102268A (ko) * 2014-02-28 2015-09-07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200480629Y1 (ko) * 2015-02-16 2016-06-17 주식회사 대현상공 수평 밀착형 미닫이창문용 이동구
KR20180094252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미세기 구조
WO2019092290A1 (es) * 2017-11-09 2019-05-16 Lara Anaya Cristian Sistema de cierre para puertas y ventanas correderas
KR101983841B1 (ko) * 2018-09-17 2019-05-29 김응규 창호 잠금장치
KR20210095322A (ko) * 2020-01-23 2021-08-02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EP3880914A4 (en) * 2020-01-23 2022-03-30 Cs Tech Co., Ltd. WINDOW/DOOR ASSEMBLY HAVING A VENTILATION FUNCTION AND A HORIZONTAL SEALING FUNCTION
KR102186592B1 (ko) * 2020-06-09 2020-12-03 문성필 잠금 환기형 슬라이딩 창호
KR102373584B1 (ko) * 2021-06-18 2022-03-11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걸림 안내부
WO2022265247A1 (ko) * 2021-06-18 2022-12-22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252B1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252B1 (ko) 창문용 밀폐장치
US8464467B2 (en) Sash for sliding door or window
KR101484835B1 (ko) 이중창
JP2015517040A (ja) アルミサッシ構造のスライディング窓戸システムの移動窓設置構造
US20160130859A1 (en) Inner Glass Skin Structure for Double Glass Skin
CN110630146B (zh) 一种装配式建筑门窗
KR20100030786A (ko) 하이브리드 타입의 시스템 창호
KR100717370B1 (ko) 공동주택의 회전형 창문
KR20140047284A (ko) 수평 이동 기능을 갖는 창호
KR20130087797A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JP3111380B2 (ja) スライディングサッシ
CN204691515U (zh) 滑轮结构及设有该滑轮结构的推拉平移门窗
CN204343872U (zh) 一种四向开平开窗联动装置
JP4941105B2 (ja) 可動間仕切り装置
US20130139444A1 (en) Relation to double hung windows
KR101034678B1 (ko) 창문용 밀폐장치
KR102223122B1 (ko) 창호용 밀폐장치
KR20130087794A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2619586B1 (ko) 복층유리 장착용 시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유리도어
KR102304996B1 (ko) 미닫이창용 여밈장치
JP6722535B2 (ja) 建具
KR20040075132A (ko) 슬라이딩 창문의 밀착 닫힘을 위한 가이드장치
JP3603295B2 (ja) 上げ下げ障子付断熱ドア
KR200163589Y1 (ko) 미닫이창의다중차단구조
JPS61151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