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65247A1 -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 Google Patents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65247A1
WO2022265247A1 PCT/KR2022/007381 KR2022007381W WO2022265247A1 WO 2022265247 A1 WO2022265247 A1 WO 2022265247A1 KR 2022007381 W KR2022007381 W KR 2022007381W WO 2022265247 A1 WO2022265247 A1 WO 20222652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horizontal
area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73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to CN202290000240.XU priority Critical patent/CN220565898U/zh
Priority to EP22825173.2A priority patent/EP4357569A1/en
Priority to JP2023552360A priority patent/JP7446655B2/ja
Priority to US18/279,206 priority patent/US20240167308A1/en
Publication of WO20222652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652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by displacement of the wing substantially in its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assembly having a ventilation function and a horizontal close-fitting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rime prevention and security function by preventing the opening of a window even when the window is slightly opened and allows ventilation with the outside, and the opening of the window
  • This relates to a horizontal close-fitting window assembly that can be conveniently made.
  • a window assembly serves as a wall separating indoors and outdoors, and at the same time, allows sunlight and fresh air from the outside to be introduced to allow indoor ventilation, and also serves to provide a view of the outside and a sense of openness.
  • These window assembli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casement window assemblies and sliding window assemblie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windows.
  • sliding window assemblies Compared to casement window assemblies, sliding window assembli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more convenient and beautiful i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but there is a gap between the window frame and the window when the window is closed, resulting in poor performance in terms of airtightness, watertightness and wind pressure resistance.
  • the window is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window in the closed position and adhered to the window frame, thereby eliminating the gap between the window frame and the window.
  • a horizontal movement device has been developed that improves the airtight performance of window assemblies.
  • the horizontal movement device of the prior art is composed of a roller housing that is held on the rail of the window frame, a base plate fixed to the window, a guide plate and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roller housing and the base plate, and the base plate side
  • An inclined guide hole is formed in the guide plate of the hardware, and a guide pin guided to the inclined guide hole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bar of the hardware.
  • the operating bar of the hardware moves linearly to guide the guide pin to the inclined guide hole, so that the base plate can be brought closer to or separated from the roller hous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guide plate and the link member, whereby the window frame can be closed when the window is closed. It maintains the airtightness of the window assembly by closely contacting it, and when opening the window, it is separated from the window frame so that it can be easily opened.
  • the "mechanism for pressing a sliding door on a fixed door frame" of Publication No. 10-2016-0033690 is composed of a guide member that is held on the rail of the window frame and a fixing member that is fixed to the window, and is on the side of the guide member.
  • An inclined guide hole is formed, and the operating bar of the hardware includes a guide pin guided to the inclined guide hole, and the operating bar moves linearly to guide the guide pin to the inclined guide hole.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problems such as outsider intrusion by preventing the opening of the window even when the window is slightly opened and ventilation is possibl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opening and closing performance of a window by allowing the window to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in a direction most convenient for opening the window among various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handle.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window frame and a window frame in which the window frame is slidably installed; a handle rotatably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a hooking par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indow frame and moving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handle; a hooking guide provided on the window frame at a relative position where the hooking part faces each other, an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hooking part, the hooking part may or may not be hooked; and a horizontal moving devic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and interlocked with a handle to horizontally attach the window frame to the window frame or release horizontal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andle, wherein the hooking guide unit Including a first locking area located in the first locking area, a second locking area located below the first locking area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area, and a spaced space provided between the first locking area and the second locking area,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first hanging area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second hanging area
  • the first locking area includes a first side wall portion that is downwardly and forwardly open, and a first edge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edge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is caught by the hanging portion, and wherein the second locking area is upward and forwardly op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side wall portion and a second bord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and engaging the hooking portion.
  • An open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area is extended to one side, and guides the locking portion out of the first locking area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locking area.
  • the biased direction of the first catching area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ow fram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and when the catching part is located in the first catching groove in the first catching area and is caught, the window fram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and is in a closed state,
  •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located down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lasp area is biased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ow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window frame. Is released, a fine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side of the window frame and the side of the window frame, but the locking part is caught in the second locking area to prevent opening, and the handle is positioned upward.
  •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arrang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hanging part is not interfered with the first or second hanging area, so that the window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slide on the window frame.
  • the horizontal movement device a fixed plate; A movable plate disposed to be relatively movable to the fixed pl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the window is in close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window frame and having a moving unit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of the window frame; a linear moving member that linearly mov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bar connected to the handle; and a pair of operation link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movable plate relative to the fixed plate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linearly movable member, wherein the actuating pin of the operating bar is inserted into the linearly movable member and rotates the handle.
  • the operating link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nearly moving member, and is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operat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linearly moving direction of the linearly moving memb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linearly moving member.
  • a first link provided to change the angle;
  • a second link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link, one end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nearly moving member, the operating angle being changed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linearly moving member.
  • the guide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inear movement path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near movement member, and an extended movement path extending from the linear movement path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linear movement path.
  • the linear movement path communicates with the extended movement path, and includes a first linear movement path in which a connecting pin connect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is located when the hooking part is caught in the lower groove of the hooking guide part; I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linear movement path, and includes a second linear movement path in which a connecting pin connect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is positioned when the engaging portion is unhung from the engaging guide unit.
  • a height adjusting unit provided on the moving plat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oving unit, wherein the height adjusting unit surrounds the moving unit and includes an inner housing having an inclined guide hole into which a fixing shaft disposed through the moving unit is inserted; an outer housing provided to surround the inner housing, into which the fixing shaft is inserted, and having a vertical guide hol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are screwed together,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is adjusted so that the vertical height of the fixing shaft inserted into the inclined guide hole and the vertical guide hole is adjusted, there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ving unit.
  • Height adjustment screw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plate, a first locking area positioned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 second locking area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area and located below the first locking area, and a first locking area and a second locking area. It includes a separation space provided between the two jamming areas, but provides a hooking guide for a window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first hanging area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second hanging area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 first locking area includes a first side wall portion that opens downward and forward, and a first frame portion extending inwardly from an edg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 second locking area includes a first side wall portion that opens upward and forwar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wo side wall parts and a second edge part extending inwardly from the edge of the second side wall part.
  • the open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locking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pands to one side to form an extension.
  • a ventilation mode is added in addition to the closed mode and the open mode of the existing window assembly, thereby realizing a state in which ventilation is possible but the window is not opened, thereby enhancing security.
  • the hooking part mounted on the frame of the window is caught in each of the hooking grooves in the first hooking area at the top provided in the hooking guide or the second hooking area at the lower part spaced apart therefrom.
  • the window is horizontally adhered to the window frame and perfectly locked to realize a closed mode.
  • a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regions of the locking guide, and since there is no part where the locking part is caught in the separation space, the user can easily slide and move the window to open it.
  • the handle In the horizontal close-close mode, the handle is lowered, in the open mode, the handle is placed horizontally, and in the ventilation mode, the handle is positioned upward. Ease of opening or convenience is improved because the window can be easily opened by holding and pulling the handle in a horizontal state. can be maximized
  • the linear movement path provided to the linear movement member is formed long, but the linear movement path is divided into a first linear movement path and a second linear movement path.
  • the coupling pins connecting the links are located on the first linear movement path, and in the open mode, the coupling pins are located in the second linear movement path, so that the ventilation mode can be implemented smoothly.
  • FIG. 1 is a front view of a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close contact is released in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rizontal close contact state in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oking part and the hooking guide of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hooking guide of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utual operation between the hooking part and the hooking guide part in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utual operation between the hooking part and the hooking guide part in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horizontal moving device is installed in a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the horizontal movement device of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rizontal movement device of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n overal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rizontal movement device of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 Fig. 12 is a plan view of a linear moving member of a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horizontal moving device of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upside down.
  • FIG 14 and 15 are perspective views looking upside down of the horizontal moving device of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is a side view of the horizontal movement device of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7 is a bottom view of the horizontal movement device of the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state diagram of a horizontal movement device in a ventilation mode in a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state diagram of a horizontal movement device in an openable mode in a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state diagram of a horizontal movement device in a closed mode in a wind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and similarly,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a window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indow assembly') 10 having a horizontal adhesion function includes a window frame 20 having a rail formed and an opening 21 through which a window can move, and a window frame 20 It is composed of a window 30 seated inside and capable of sliding movement.
  • the window 30 is provided with a window frame 31 at its edge, and a rotatable handle 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31 .
  • the handle 40 can rotate 180 degrees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tate of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40 is as follows.
  • the window 30 When the tip 41 of the handle 40 (opposite to the pivoting portion 42) faces upward, the window 30 is in a ventilable state. There is no horizontal contact between the window frame 31 and the window frame 20, and the window frame 3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indow frame 20 anywhere.
  •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window 30 and the window frame 20 is as shown in FIG.
  • the hooking part (see FIG. 4, 300) of the window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aught in the second hooking area (see FIG. 5, 204) among the hooking guides 200 of the window frame 20. , the window 30 cannot slide and thus cannot be opened.
  • a narrow gap may occur between the window frame 31 and the window frame 20, and ventilation may be performed while the inside and outside air moves through this gap.
  • the window frame 31 When trying to move the window frame 31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window frame 31 tends to move while bobbing, but as a result, the above-described hooking part 300 and the second hooking area 204 of the hooking guide part 200 are hooked. The relationship cannot be opened.
  • the moving distance of the window 30 is about the distance until the hooking part 30 moves a little while entering the hooking guide, but eventually gets caught and can no longer move (e.g., 0.5 ⁇ 1 cm).
  • the window 30 becomes openable. There is no horizontal contact between the window frame 31 and the window frame 20, and the window frame 3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indow frame 20 anywhere.
  •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window 30 and the window frame 20 is also the same as in FIG. 2 .
  • the window frame 31 moves along the rail and becomes an open state.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window frame 31 is disposed in the leftward direction in FIG. 2 or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window frame 2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middle region of the window frame 20.
  • the user can move the window 30 in the opening direction by holding the horizontally disposed handle 40 and moving it in the opening direction (thick arrow direction), and conversely, the user holds the horizontally disposed handle 40 in the closing direction ( When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hick arrow), the window 30 may move in the closing direction.
  • reference numeral 1100 denotes a horizontal movement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 22 denotes a rail on which wheels provided in the horizontal movement device are seated.
  • the window 30 is in a closed state.
  • the window frame 31 and the window frame 20 are in horizontal contact, and the hooking part 300 of the window 30 is caught in the first hooking area 203 of the hooking guide 200 on the window frame 20. become a state
  • the window 30 is relatively moved to one side (right side in FIG. 3) compared to the state of FIG. 2, so that a wall (not shown) or a rib (not shown) at the center of the window frame 20 becomes in close contact with
  • the handle 40 is interlocked with the vertical operating bar 32 through a known predetermined connection structure.
  • the vertical operating bar 32 refers to a long strip-shaped ba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indow frame 31 and capable of moving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40 .
  • a hooking part 30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vertical operating bar 32, and the hooking part 300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301 and the body part 301, so that the hooking jaw 302 formed with a step is formed.
  • Reference numeral 303 is a wrench hole.
  • the vertical operating bar 32 and the hanging part 300 connected thereto are positioned vertically during the ventilation function. It is located in the middl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actuating bar 32 and the hooking part 300 connec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actuating bar 32 and the hooking part 300 connected thereto during the closing function.
  • the locking guide 200 includes a fixing plate 201 having insertion holes 202a, 202b and 202c into which screws are inserted, and a " ⁇ " shaped first locking area located in the upper front area of the fixing plate 201. 203 and a second holding area 204 in the shape of a “ ⁇ ” shape disposed below the first holding area 203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lding area 203 .
  • a separation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lding area 203 and the second holding area 204 .
  • the first hooking area 203 serves to guide the window 30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20 horizontally.
  • the first locking region 203 includes a first side wall portion 203a that is open downward and forward, and a first edge portion that extends inwardly from the edg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203a and catches the locking portion 300 ( 203b).
  • a stepped structure is formed by the first edge portion 203b, and the hooking jaw 302 of the hooking part 300 is caught on this stepped part and cannot come out forward, and in this state, the window 30 slides. movement is prevented.
  • a first rim groove 203d for holding the hooking part 300 is formed by the first rim part 203b and the first side wall part 203a, and the opening of the first locking groove 203d is open downward. .
  • the sidewall and the edge portion adjacent to the open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area 203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203c that is obliquely extended to one side.
  • This expansion part 203c guides the hooking part 300 out of the first locking area 203 to move toward the second locking area 204 .
  • the second hooking area 204 serves to support the window 30 to move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window frame 20 and maintain a disengaged state. In this state, the above-described ventilation mode is possible.
  • the second locking area 204 includes a second side wall portion 204a that is open upward and forward, and a second edge portion that extends inward from the edg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204a and catches the locking portion 300 ( 204b).
  • a stepped structure is formed by the second edge portion 204b, and the hooking jaw 302 of the hooking part 300 is caught on this stepped part and cannot come out forward, and in this state, the window 30 slides. movement is prevented.
  • a second rim groove 204d for holding the hooking part 300 is formed by the second rim part 204b and the second side wall part 204a, and the opening of the second locking groove 204d is open upwards. .
  • inclined portions 204c or chamf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open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locking area 204 . This is to guide the hooking part 300 to easily enter the inside of the second locking groove 204d after descending.
  • the backs of the first locking groove 203d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204d are both open, which is to reduce the weight and amount of material of the locking guide 200.
  • a separation space (S)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lding area 203 and the second holding area 204, and the hanging part 300 moves out of the first holding area 203 and descends, or the hanging part 300
  •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slide the window 30 (for example, grabbing the handle and pulling it in the opening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second locking area 204 rises and is located in the separation space portion S, the locking portion Since the window 300 is not caught on the hooking guide 200, the window 30 can slide and open smoothly.
  • the vertical center line C1 of the first holding area 203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C2 of the second holding area 204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anging part 300 is either the first holding area 203 or the second holding area 203.
  • it When located at (204), it induces horizontal adhesion or release of horizontal adhesion of the window frame. And, when the hanging part 300 is located in the separation space part (S),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window frame of the window frame is possible.
  • FIGS. 6 (b) and 7 (b) Fig. 6(a).
  • the handle 40 is rotated 90 degrees in the horizontal close state as shown in 7 (a) and converted to a horizontal state, the horizontal close is released and becomes openable as shown in FIGS. 6 (b) and 7 (b),
  • the hooking part 3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expansion part 203c while descending, and desc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at state.
  • the locking part 300 descends and enters the second locking groove 204d, and the locking jaw 302 is caught on the second edge 204b, so that separa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window opening direction) is prevented.
  • the horizontal moving device 1100 that causes the horizontal close contact operation or the horizontal close close release operation of the window 30 will be described.
  • Fig. 8 shows the structure of the parts inside the window frame 31 with the lower area removed.
  • a horizontal operating bar 34 connected to the vertical operating bar 31 is disposed below the window frame 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ow frame 31 .
  • An 'L'-shaped bent first connection actuation bar 33 is provided at the corner edge of the window frame 31 to connect the vertical actuation bar 34 and the vertical actuation bar 32 .
  • each horizontal operating bar 34 is connected to each horizontal movement device 1100, and each horizontal operating bar 34 is disposed horizontally. They are connected by two connecting operating bars 35 and can move together.
  • the horizontal operation bar 34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ovement device 1100, and is particularly connected to the linear movement member 1130 of the horizontal movement device 1100.
  • the horizontal movement device 1100, the fixed plate 1110 connected to the window 30, and the window 30 is in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window frame 20 horizontally and a movable plate 1120 disposed to be relatively movable to the fixed plate 1110 in a direction and having a movable part 1178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a rail (not shown) of the window frame.
  • linear moving member 1130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110 and linearly mov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bar (not shown) of the window 30 and the linear movement of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Operation links 1140 and 1150 for horizontally moving the movable plate 1120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1110 may be included.
  • the fixed plate 1110 is fixedly installed to the window 30, and the movable plate 1120 is movably disposed on the fixed plate 1110.
  • the movable plate 1120 is disposed on the fixing plate 1110 so that the window 30 can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 the window 30 is in close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window frame 20 .
  • the movable plate 1120 may include a movable unit 1178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a rail (not shown) of the window frame.
  • the window 30 is fixed so that it does not mov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40, the moving plate 1120 and the fixing plate ( 1110) is performed by relativ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m.
  • the window 30 to which the fixing plate 1110 is connecte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20 .
  • the fixing plate 110 moves relative to the window frame 2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indow frame 20 an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windows 30 is released.
  • the fixed plate 1110 may include a guide part 1112 guiding the movable plate 1120 to be movable.
  • both ends of the movable plate 120 are restra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guide part 1112, but the movable plate 1120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part 1112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linearly movable member 11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1110.
  • the linear moving member 1130 may be installed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operating bar 34 in conjunction with the horizontal operating bar 34 installed on the window.
  • the horizontal operation bar 34 and the window 30 in the window horizontal movement operation section that is, the section until the window 30 starts mov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anipulation of the handle 40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20 are meant to be linked.
  • the operating hole through which the operating pin (not shown) of the operating bar 34 is inserted into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and guided therein. (1132) may be formed.
  • the linearly movable member 1130 moves immediately, or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40 of the window, the linearly movable member (1130) can be moved.
  • the window is tightly adhered to the window frame (when converting from openable mode to lock mode) or the window is separated from the window frame (from lock mode to openable mode). conversion) can be done.
  • the fixed plate 1110 and the linearly movable member 1130 may be connected by a first link 1140, and the movable plate 1120 and the linearly movable member 1130 may be connected by a second link 1150.
  • one end of the first link 1140 is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
  • one end of the second link 1150 is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11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 the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are disposed in a mutually symmetrical manner with respect to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
  • it is installed to have an operating angle of a predetermined angle by being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linear moving member 1130.
  • the fixed plate 1110 and the movable plate 1120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respectively, with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re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 the lengths of the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are the same so that the movable plate 1120 and the fixed plate 110 a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indow movement direction) You can make your opponent move.
  • a first connection hole 114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1140, and the first hinge pin 1144 passe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hole 1141 to first fix the fixing plate 1110. It may be fixed to the hole 1113.
  • a second connection hole 115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link 1150, and the second hinge pin 1154 penetrates the second fixing hole 1126 of the moving plate 120 to form the second connection hole 1151. ) can be fixed.
  • the fixing plate 1110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1115 in the form of a long groove formed to allow the second hinge pin 1154 to pass therethrough.
  • the second hinge pin 1154 is disposed to simply pass through the concave portion 1115 and is not fastened or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110 .
  • connection pin 1128 connects the third connection hole 114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1140 and the fourth connection hole 115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1150 .
  • the force applied by the movement of the linear moving member 1130 is applied to the fixed plate 1110 and the moving plate 1120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as a uniform force as much as possible. make it possible to transmit
  • a connecting pin 1128 connecting the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is inserted into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and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in 1128 is controlled by the movement of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 a guide hole 1310 for guiding may be formed.
  • the guide hole 1131 serves to guide the connecting pin 1128 connecting the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to each other when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moves.
  • a fixing washer 1155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in 1128 to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connecting pin 1128 and the guide hole 1310.
  • the guide hole 1131 has linear movement paths 1131b and 1131c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near movement member 1130 and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linear movement paths 1131b and 1131c.
  • An extended movement path 1131a may be provided.
  •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movement path 1131a is preferably orthogonal or perpendicular to the linear movement paths 1131b and 1131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oving unit 1178 provided on the moving plate 1120 may include a guide roller 3200 and wheels 1179 movably installed along a rail (not shown) of the window frame 20 .
  • the moving part 1178 provided in the window may not accurately contact the rail of the window frame 20, which acts as a factor hindering the movement of the window.
  • the movable part 1178 of the window assembly may include a height adjusting part 1190 provided on the movable plate 11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ovable part 1178.
  • the height of the movable part 1178 including the wheels 1179 can be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ing part 1190 so that the movable part 1178 can accurately contact the rail of the window frame.
  • the wheels 1179 may be composed of a pair, and wheel support plates 1171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there is.
  • the wheel support plates 1171 serve to rotatably fix the wheels 1179 from both sides when the wheels 1179 are arranged in a line.
  • through-holes 1172 and 1173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s 1174 and 1177 of the wheel 1179 pass through and are connected may be formed in the wheel support plate 1171 .
  • a pair of rotation shafts 1174 and 177 and through holes 1172 and 1173 may also be formed.
  • a support shaft 1176 fixing the wheel support plate 1171 may pas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plate 1171 .
  • the support shaft 1176 may be disposed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1170 of the wheel support plate 1171 .
  • the height adjusting unit 1190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art 1122 to adjust the height.
  • protrusion 1122 is shown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ing plate 1120, a separate coupling structure is also possible.
  • a vertical guide hole 1124 through which the support shaft 1176 passes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1122 to guide the support shaft 1176 of the moving unit 1178 to move vertically.
  • the vertical guide hole 1124 is formed in a vertical or vertical direction,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may serve as a guide when the support shaft 1176 moves vertically.
  • a support hole 1123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protrusion 1122 to which a support pin 3201 for supporting the guide roller 3200 is mounted and fixed.
  • the height adjusting unit 1190 is implemented in a 'c' shape and includes an inner housing 1191 surrounding the wheel 1179 and the wheel support plate 1171, and an outer housing 1192 surrounding the inner housing 1191. do.
  • the inner housing 1191 and the outer housing 1192 are connected by an adjusting screw 1193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re inserted into the adjusting screw 1193 outside the outer housing 1192, and the adjusting screw ( 1193) while guiding the movement, a guide plate 1194 for reinforcing strength is provided, and a guide groove 1194a is formed in a shape with one side open on the guide plate 1194.
  • the thread of the adjusting screw 1193 passes through the guide groove 1194a.
  • the inner housing 1191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inclined guide groove 1191a
  • the outer housing 1192 is provided with a vertical guide groove 1192a
  • the support shaft 1176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guide groove 1191a and a vertical guide groove ( 1192a) is placed through.
  • a screw support 1195 in the form of a nut to which an adjustment screw 1193 can be rotatably installed is provided inside the short side of the inner housing 1191, and the short side of the outer housing 1192 and the inner housing 1191 )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through hole 1192b and an internal through hole 1191b through which the adjusting screw 1193 passes.
  • thread taps are formed in both the outer through hole 1192b and the inner through hole 1191b.
  •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plate 1120/moving plate 1130 and the wheels 1179 increases, so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horizontal moving device 1100 increases.
  • the guide hole 1131 of the linear moving member 1130 extends from the linear movement paths 1131b and 1131c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near movement member 1130 and the linear movement paths 1131b and 1131c,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movement paths 1131b and 1131c have an extended movement path 1131a extending in a different direction.
  • the linear travel paths 1131b and 1131c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extended travel path 1131a, and the hooking part 300 is the lower groove 213 of the hooking guide part 200.
  • the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linear movement path 1131b where the connecting pin 1154 is located and the first linear movement path 1131b.
  • the hooking part 300 is released from the hooking guide part 200, the second straight line movement path where the connecting pin 1154 connecting the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is located ( 1131c).
  • the connecting pin 1128 When the connecting pin 1128 is in the extended movement path 1131a, it is in a horizontal close state and a closed state or mode, and the end 41 of the handle 40 faces downward (see Fig. 1).
  • connection pin 1128 is on the first straight movement path 1131b, it is in a state or mode in which the horizontal contact state can be released and opened, and the end 41 of the handle 40 faces the horizontal direction.
  • connection pin 1128 When the connection pin 1128 is on the second straight movement path 1131c, the horizontal contact state is released and ventilation is possible, and the end of the handle 40 faces upward.
  • the connecting pin 1128 connecting the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guides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 the hole 1131 it move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near moving member 1130 and is disposed on the extended movement path 1131a, and the operating angles of the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 As ⁇ 2) increases, the movable plate 1120 and the fixed plate 1110 move relative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increases.
  • the vertical operating bar 32 is in a state of being raised to the maximum, and accordingly, the locking part 300 is also raised to the maximum, and is caught in the first locking groove 203d of the first locking area 203 of the locking guide 200 (FIG. 6(a) and Fig. 7(a) conditions). This may be defined as the first position.
  • the connecting pin 1128 deviate from the extended movement path 1131a of the linearly moving member 1130 and is positioned on the first linearly moving path 1131b. Then, the operating angle ( ⁇ 1) of the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is reduced so that the moving plate 1120 and the fixed plate 1110 move relative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becomes closer.
  • the movable plate 1120 and the fixed plate 1110 get closer, the movable plate 1120 is connected to the rail of the window frame by the aforementioned movable unit 1178, so the fixed plate 1110 is separated from the window frame (Fig. 2 state).
  • the vertical operation bar 32 is in a slightly lowered state than the closed state, and accordingly, the hooking part 300 is located in the spaced space part S by leaving the first hooking area 203 of the hooking guide 200. do. Therefore, it becomes an openable state (state of FIG. 6(b) and FIG. 7(b)). This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position. In this state, since the locking portion 300 is not constrained by the locking guide 200, the window 30 can be opened by sliding freely.
  • the connecting pin 1128 deviate from the first linear movement path 1131b and is positioned on the second linear movement path 1131c.
  • the operating angle ⁇ 1 of the first link 1140 and the second link 1150 is the same as the openable mode state, and the release of the horizontal contact state is also maintained (see FIG. 2).
  • the vertical operation bar 32 is in a lowered state than the openable mode state, and accordingly, the locking part 300 moves lower than the position on the spaced space part S, and enter ( Figure 6(c) and Figure 7(c) state). This can be referred to as the thir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창문이 살짝 열려져서 외부와 환기가 가능한 상태에서도 창문의 개방이 방지되어 방범 및 보안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용이한 개방성능을 갖는 수평 밀착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창문 프레임 및 창문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틀과; 창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창문 프레임의 측면에 마련되어 핸들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걸림부와; 창틀에 마련되되 걸림부가 마주보는 상대 위치에 마련되며, 걸림부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게 되거나 걸리게 되지 않는 걸림 안내부와;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핸들과 연동되어 핸들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창문 프레임을 창틀에 수평 밀착 시키거나 수평 밀착을 해제시키는 수평 이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안내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1걸림영역과, 제1걸림영역과 이격되면서 제1걸림 영역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걸림 영역과, 제1걸림 영역과 제2걸림 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 공간부를 포함하되, 제1걸림 영역의 수직 중심선과 제2걸림 영역의 수직 중심선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걸림부가 제1걸림 영역 또는 제2걸림 영역에 위치한 경우 창틀의 수평 밀착 또는 수평 밀착 해제를 유도하며, 걸림부가 이격 공간부에 위치한 경우, 창문 프레임의 창틀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본 발명은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창문이 살짝 열려져서 외부와 환기가 가능한 상태에서도 창문의 개방이 방지되어 방범 및 보안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창문의 개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평 밀착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조립체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체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햇빛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바깥 조망 및 개방감을 느끼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호 조립체는 크게 창문의 개폐방식에 따라 여닫이 창호 조립체와 미닫이 창호 조립체로 분류된다.
미닫이 창호 조립체는 여닫이 창호 조립체에 비하여 개폐 조작이 편리하고 미려한 장점이 있지만,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창틀과 창문 사이에 틈새가 있어 기밀성, 수밀성 및 내풍압성면에서는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미닫이 창호 조립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창문이 닫힌 위치에서 창문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창문을 이동시켜 창틀에 밀착시킴으로써 창틀과 창문 사이의 틈새를 없애 미닫이 창호 조립체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키는 수평 이동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이동 장치의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10-2012-0050035호의 "수평밀착장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수평 이동 장치는 창틀의 레일에 걸림유지되는 롤러하우징과, 상기 창문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롤러하우징과 베이스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링크부재로 이루어지며, 베이스플레이트측의 가이드플레이트에 경사가이드홀을 형성하고, 하드웨어의 작동바에는 상기 경사가이드홀에 안내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하드웨어의 작동바가 직선운동하여 가이드핀을 경사가이드홀에 안내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 및 링크부재를 통해 롤러하우징에 대하여 베이스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킬 수 있고, 이로써 창문을 닫을 때에는 창틀과 밀착시켜 창호 조립체의 기밀을 유지하고, 창문을 열 때에는 창틀과 이격시켜 쉽게 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공개특허 10-2016-0033690호의 "고정 문틀 상에 슬라이딩 문짝을 압착하기 위한 기구"는, 창틀의 레일에 걸림유지되는 가이드부재와, 창문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부재측에 경사가이드홀을 형성하고, 하드웨어의 작동바에는 상기 경사가이드홀에 안내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바가 직선운동하여 가이드핀을 경사가이드홀에 안내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고정부재를 수평방향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킴으로써, 창문을 닫을 때에는 창틀과 밀착시켜 창호 조립체의 기밀을 유지하고, 창문을 열 때에는 창틀과 이격시켜 창문을 쉽게 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종래 기술들은, 오로지 닫힘 상태 또는 열림상태만 구현할 수 있을 뿐, 환기를 수행하는 경우에, 불가피하게 창문의 열림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보안이나 방범에 문제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서, 창문이 살짝 열려져서 외부와 환기가 가능한 상태에서도 창문의 개방이 방지되어 외부인 침입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의 다양한 회전 방향 중 창문을 열기에 가장 편리한 방향에서 창문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폐될 수 있게 하여, 창문의 개폐 성능을 개선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문 프레임 및 창문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틀과; 창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창문 프레임의 측면에 마련되어 핸들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걸림부와; 창틀에 마련되되 걸림부가 마주보는 상대 위치에 마련되며, 걸림부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게 되거나 걸리게 되지 않는 걸림 안내부와;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핸들과 연동되어 핸들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창문 프레임을 창틀에 수평 밀착 시키거나 수평 밀착을 해제시키는 수평 이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안내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1걸림영역과, 제1걸림영역과 이격되면서 제1걸림 영역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걸림 영역과, 제1걸림 영역과 제2걸림 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 공간부를 포함하되, 제1걸림 영역의 수직 중심선과 제2걸림 영역의 수직 중심선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걸림부가 제1걸림 영역 또는 제2걸림 영역에 위치한 경우 창틀의 수평 밀착 또는 수평 밀착 해제를 유도하며, 걸림부가 이격 공간부에 위치한 경우, 창문 프레임의 창틀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걸림 영역은 하방 및 전방이 개구되는 제1측벽부와, 제1측벽부의 테두리에서 연장되며 걸림부가 걸리게 되는 제1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걸림 영역은 상방 및 전방이 개구되는 제2측벽부와, 제2측벽부의 테두리에서 연장되며 걸림부가 걸리게 되는 제2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 영역의 하방 중 개구되는 부분은 일측으로 확장되어 제1걸림 영역을 벗어난 걸림부가 제2걸림 영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걸림 영역이 치우쳐진 방향은 창문 프레임이 창틀에 밀착되는 방향에 대응되며, 제1걸림 영역 내의 제1걸림홈에 걸림부가 위치하여 걸리는 경우, 창문 프레임이 창틀에 밀착되어 닫힘 상태가 되고, 핸들의 위치는 하향 위치하고, 제2걸림 영역이 치우쳐진 방향은 창문 프레임이 창틀에 이격되는 방향에 대응되며, 제2걸림 영역 내의 제2걸림홈에 걸림부가 위치하는 경우, 창문 프레임의 창틀 밀착 상태가 해제되되, 창문 프레임 측면과 창틀 측면에 미세한 간격이 발생하되, 걸림부가 제2 걸림 영역에 걸려서 개방이 방지되는 상태가 되고, 핸들의 위치는 상향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부가 제1걸림 영역과 제2걸림 영역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경우, 핸들의 위치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걸림부가 제1걸림 영역 또는 제2걸림 영역에 간섭받지 않게 됨으로써, 창문이 창틀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이동 장치는; 고정 플레이트와; 창문이 창틀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창틀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와;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창문의 핸들과 연결된 작동바의 이동에 의해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직선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수평이동시키는 한 쌍의 동작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이동부재에는 상기 작동바의 작동핀이 삽입되며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바로 상기 직선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하는 작동홀과, 상기 동작링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핀이 삽입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 및 상기 걸림 안내부 간에 걸림 작용이 되면서, 수평 이동 장치에 의한 창문의 창틀에 대한 밀착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창문과 창틀 사이의 틈에 의하여 환기가 가능하면서도, 틈을 형성하도록 창문이 제한적으로 움직이되, 창문의 자유로운 개방 작용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링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동작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동작각도가 변화되도록 구비된 제 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동작 각도가 변화되도록 한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직선이동경로에서 연장되되, 직선 이동 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이동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선 이동 경로는 연장 이동 경로와 연통되며, 걸림부가 걸림 안내부의 하부홈에 걸린 상태시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연결하는 연결핀이 위치하는 제1직선 이동 경로와; 제1직선 이동 경로와 연통되며, 걸림부가 걸림 안내부에서 걸림 해제된 상태시,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연결하는 연결핀이 위치하는 제2직선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이동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 조절부는 이동부를 둘러싸며, 이동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고정축이 삽입되는 경사진 경사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내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나사 연결하되, 상기 내부하우징과 외부 하우징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경사 가이드 홀 및 수직 가이드 홀에 끼워진 고정축의 상하 높이가 조절되게 하여 이동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전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걸림영역과, 제1걸림영역과 이격되면서 제1걸림 영역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걸림 영역과, 제1걸림 영역과 제2걸림 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 공간부를 포함하되, 제1걸림 영역의 수직 중심선과 제2걸림 영역의 수직 중심선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조립체용 걸림 안내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걸림 영역은 하방 및 전방이 개구되는 제1측벽부와, 제1측벽부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걸림 영역은 상방 및 전방이 개구되는 제2측벽부와, 제2측벽부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 영역의 하방 중 개구되는 부분은 일측으로 확장되어 확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창호 조립체에 있었던 닫힘 모드, 열림 모드 이외에도 환기 가능 모드가 추가됨으로써, 환기가 가능하면서도 창문이 열리지 않는 상태를 구현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창문의 프레임에 장착된 걸림부가 걸림 안내부에 마련된 상부의 제1걸림 영역 또는 이와 이격되는 하부의 제2걸림 영역에 있는 각각의 걸림홈에 걸리며, 제1걸림 영역에 걸리는 경우에는 창문이 창틀에 수평 밀착되어 완벽한 잠금이 되어 닫힘 모드가 구현된다.
한편, 하부의 제2걸림 영역에 걸리는 경우에는 수평 밀착은 해제되지만, 여전히 걸림부가 제2걸림 영역에 걸려 있기 때문에 문이 열리지지 않으면서도 창틀과 창문 사이의 틈새로 실내외 공기가 움직이면서 환기 모드가 구현된다.
한편, 걸림 안내부의 제1걸림 영역과 제2걸림 영역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격 공간에는 걸림부가 걸리는 부분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창문을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개방시킬 수 있다.
수평 밀착 닫힘 모드에서는 핸들이 하향되고, 개방 모드에서는 핸들이 수평하게 배치되며, 환기 모드에서는 핸들이 상향되는 위치를 취하는데, 수평 상태에서 핸들을 잡고 잡아당기면 창문이 쉽게 열리기 때문에 개방 용이성 또는 편의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특히, 닫힘 모드에서 개방 모드로의 전환이나, 그 정 반대의 전환, 또는 환기 모드에서 개방 모드로의 전환이나 그 정반대의 전환이 핸들의 90도 회전만으로 쉽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제고된다.
한편, 직선 이동 부재에 마련되는 직선 이동 경로는 길게 형성하되, 직선 이동 경로를 제1직선 이동 경로와, 제2직선 이동 경로로 구분하였다. 환기 가능 모드에서는 링크를 연결하는 결합핀이 제1 직선 이동 경로에 위치하고, 열림 모드에서는 결합핀이 제2직선 이동 경로에 위치함으로써, 환기 가능 모드가 실제적으로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따른 창호 조립체에서 수평 밀착이 해제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따른 창호 조립체에서 수평 밀착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걸림부와 걸림 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걸림 안내부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서 걸림부와 걸림 안내부 간의 상호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서 걸림부와 걸림 안내부 간의 상호 동작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서 수평 이동 장치가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수평 이동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수평 이동 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수평 이동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전체 분해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직선 이동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수평 이동 장치를 뒤집어 본 전체 분해사시도이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수평 이동 장치를 뒤집어 본 사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수평 이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수평 이동 장치의 하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서 환기 모드시 수평 이동 장치의 상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서 열림 가능 모드시 수평 이동 장치의 상태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서 닫힘 모드시 수평 이동 장치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이하 '창호 조립체'라고 한다)(10)는 레일이 형성되고 창문이 움직일 수 있는 개구부(21)를 갖는 창틀(20)과, 창틀(20) 내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는 창문(30)으로 구성된다.
창문(30)은 그 테두리에 창문 프레임(31)이 마련되고, 창문 프레임(31)의 일면에는 회전 가능한 핸들(40)이 마련된다. 핸들(40)은 상하 방향으로 180도 회전이 가능하다. 핸들(40)의 위치에 따른 창문의 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핸들(40)의 끝단부(41)(회동부(42)의 반대편)가 위를 향하면, 창문(30)은 환기가능 상태가 된다. 창문 프레임(31)과 창틀(20) 간에 수평 밀착 상태가 아니고, 또한 창문 프레임(31)이 창틀(20)에 어느 곳에도 간섭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창문(30)과 창틀(20) 간의 배치관계는 도2와 같다.
이 경우에 후술할 창문(30)의 걸림부(도4 참조, 300)가 창틀(20)의 걸림 안내부(200) 중 제2걸림 영역(도5참조, 204)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창문(30)이 슬라이드 이동하지 못하여 개방되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문 프레임(31)과 창틀(20) 간의 좁은 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틈으로 내외부 공기가 움직이면서 환기 기능을 수행할 수있다.
창문 프레임(31)을 개방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면, 창문 프레임(31)이 덩컬거리면서 움직이려고 하지만, 결과적으로 상술한 걸림부(300)와 걸림 안내부(200)의 제2걸림 영역(204)와의 걸림 관계에 의하여 개방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창문(30)이 움직이는 거리는 걸림부(30)가 걸림 안내부 내부에 들어간 상태에서 약간은 움직이되, 결국은 걸려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할 때 까지의 거리 정도(예, 0.5~1cm)가 된다.
핸들(40)이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배치되면, 창문(30)은 개방 가능 상태가 된다. 창문 프레임(31)과 창틀(20) 간에 수평 밀착 상태가 아니고, 또한 창문 프레임(31)이 창틀(20)에 어느 곳에도 간섭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창문(30)과 창틀(20) 간의 배치관계는 역시 도2와 같다.
따라서, 사용자가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창문(30)을 이동시키면, 창문 프레임(31)이 레일을 타고 이동하여 개방된 상태가 된다. 즉, 도2와 같이, 창문 프레임(31)이 도2에의 좌측방향 또는 창틀(20)의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창틀(20)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수평하게 배치된 핸들(40)을 잡고 개방 방향(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창문(30)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사용자가 수평하게 배치된 핸들(40)을 잡고 폐쇄 방향(굵은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창문(30)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00은 후술할 수평 이동 장치이며, 22는 수평 이동 장치에 마련된 바퀴가 안착되는 레일이다.
한편, 핸들(40)의 끝단부(41)(회동부(42)의 반대편)가 아래를 향하면, 창문(30)은 닫힘 상태가 된다. 창문 프레임(31)과 창틀(20) 간에 수평 밀착 상태가 되고, 창틀(20)에 있는 걸림 안내부(200)의 제1걸림 영역(203)에 창문(30)의 걸림부(300)가 걸리는 상태가 된다.
즉, 도3과 같이, 창문(30)이 도2 상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일측으로(도3에서는 우측) 이동하여, 창틀(20)의 중앙부에 있는 벽(미도시) 또는 리브(미도시)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40)은 공지된 소정의 연결 구조를 통해서 수직 작동바(32)와 연동된다. 수직 작동바(32)는 상기 창문 프레임(31)의 측면에 마련되어 핸들(40)의 회전에 따라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긴 띠 형태의 바(bar)를 말한다.
수직 작동바(32)에는 걸림부(300)가 돌출되게 마련되고, 걸림부(300)는 몸통부(301)와 몸통부(30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턱(302)을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303은 렌치 구멍이다.
창문(30)의 닫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핸들(40)을 아랫 방향으로 회전(점선 표시 화살표)하면, 수직 작동바(32) 및 이에 연결된 걸림부(300)가 위로 올라간다.
창문(30)의 환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핸들(40)을 윗 방향으로 회전(실선 표시 화살표)하면, 수직 작동바(32) 및 이에 연결된 걸림부(300)가 아래로 내려간다.
창문(30)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핸들(40)을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수직 작동바(32) 및 이에 연결된 걸림부(300)는 위 환기 기능시의 수직 작동바(32) 및 이에 연결된 걸림부(300)의 위치와, 닫힘 기능시의 수직 작동바(32) 및 이에 연결된 걸림부(300)의 위치의 중간에 위치한다.
걸림부(300)의 맞은편에는 걸림 안내부(200)가 마련된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안내부(200)는 창틀(2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걸림 안내부(200)는 나사가 삽입되는 삽입홀(202a, 202b. 202c)을 구비하는 고정판(201)과, 고정판(201)의 전면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 자 형태의 제1걸림 영역(203)과, 제1걸림 영역(203)보다 아래에 배치되며, 제1걸림 영역(203)과 이격되는 "∪'자 형태의 제2걸림 영역(204)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걸림 영역(203)과 제2걸림 영역(204) 사이에는 이격 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영역(203)은 창문(30)이 창틀(20)에 수평 밀착이 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걸림 영역(203)은 하방 및 전방이 개구되는 제1측벽부(203a)와, 제1측벽부(203a)의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며 걸림부(300)가 걸리게 되는 제1테두리부(203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테두리부(203b)에 의하여 단차진 구조가 형성되며, 이 단차진 부분에 걸림부(300)의 걸림턱(302)가 걸려서 앞쪽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이 상태에서는 창문(3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테두리부(203b) 및 제1측벽부(203a)에 의하여 걸림부(300)가 걸리는 제1림홈(203d)가 형성되며, 제1걸림홈(203d)의 개구부는 아랫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제1걸림 영역(203)의 하방 중 개구되는 부분에 인접한 측벽 및 테두리부가 일측으로 사선지게 확장된 확장부(203c)을 구비한다. 이 확장부(203c)가 제1걸림 영역(203)을 벗어난 걸림부(300)를 제2걸림 영역(204)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2 걸림영역(204)은 창문(30)이 창틀(20)에 대해서 수평이동하여 밀착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태에서 상술한 환기 모드가 가능하다.
제2걸림 영역(204)은 상방 및 전방이 개구되는 제2측벽부(204a)와, 제2측벽부(204a)의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며 걸림부(300)가 걸리게 되는 제2테두리부(204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테두리부(204b)에 의하여 단차진 구조가 형성되며, 이 단차진 부분에 걸림부(300)의 걸림턱(302)가 걸려서 앞쪽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이 상태에서는 창문(3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2테두리부(204b) 및 제2측벽부(204a)에 의하여 걸림부(300)가 걸리는 제2림홈(204d)이 형성되며, 제2걸림홈(204d)의 개구부는 윗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제2걸림 영역(204)의 상방 중 개구되는 부분의 내측의 양면에는 경사부(204c) 또는 챔퍼부가 마련된다. 이는 걸림부(300)가 하강한 이후에 제2걸림홈(204d)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걸림홈(203d) 및 제2걸림홈(204d)는 뒤가 모두 뚫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걸림 안내부(200)의 무게 및 재료의 양을 줄이기 위함이다.
제1걸림 영역(203) 및 제2걸림 영역(204) 사이에는 이격 공간부(S)가 마련되어 있으며, 걸림부(300)가 제1걸림 영역(203)에서 벗어나 하강하거나, 걸림부(300)가 제2걸림 영역(204)에 벗어나 상승하여 이격 공간부(S)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30)을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외력을 가하면(예, 핸들을 잡고 개방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걸림부(300)가 걸림 안내부(200)에 걸리는 것이 없기 때문에 원활하게 창문(30)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방될 수 있다.
제1걸림 영역(203)의 수직 중심선(C1)과 제2걸림 영역(204)의 수직 중심선(C2)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걸림부(300)가 제1걸림 영역(203) 또는 제2걸림 영역(204)에 위치한 경우 창틀의 수평 밀착 또는 수평 밀착 해제를 유도한다. 그리고, 걸림부(300)가 이격 공간부(S)에 위치한 경우, 창문 프레임의 창틀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도6(a),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300)가 제1걸림홈(203d)에 위치한 경우, 창문(30)은 창틀(20)에 수평 밀착되어 있으며, 걸림부(300)의 걸림턱(302)은 제1테두리(203b, 도5참조)에 걸려 있기 때문에, 창문(30)은 절대 열릴수 없으며, 창문(30)과 창틀(20)간의 수평 간격도 없다.
이 상태에서는 외부 공기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40)을 위로 서서히 올려서 회전하여 핸들(40)이 수평상태가 되면, 창문(30)의 수평 밀착 상태가 해제되면서, 도6(b) 및 도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300)가 이격 공간부(S)에 위치한다. 도6(b)에서는 걸림부(300)가 가려서 보이지 않지만, 그 위치는 대략적으로 설치홀(202c)의 앞이 된다.
도6(a). 7(a)와 같은 수평 밀착 상태에서 핸들(40)을 90도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변환시키면, 수평 밀착이 해제되고, 도6(b) 및 도7(b)와 같은 개방 가능상태가 되며, 그 과정에서 걸림부(300)는 하강하면서 확장부(203c)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한다.
그 이후, 이격 공간부(S)에 위치하게 된다.
걸림부(300)가 이격 공간부(S)에 위치하면 걸림부(300)가 걸리는 곳이 없으므로, 용이하게 창문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한편, 그 상태에서 90도를 위로 회전시켜 핸들(40)이 위를 향하면, 도6(c)와 도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300)가 제2걸림 영역(204)에 위치한다.
걸림부(300)는 하강하여 제2걸림홈(204d)에 진입하고, 걸림턱(302)은 제2테두리(204b)에 걸리므로, 전방 방향(창문의 개방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다만, 수평 밀착 상태가 해제되어 창틀(20)과 창문(30)이 수평 이격되어 있어서 약간의 틈새가 발생하고, 또한, 창문(30)을 움직이려고 하면, 덜컹 거리면서 약간은 요동을 할 수 있다.
창문(30) 측면과 창틀(20)의 내측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므로 이 틈새들을 통해서 환기가 가능하다.
창문(30)의 수평 밀착 동작 또는 수평 밀착 해제 동작을 유발하는 수평 이동 장치(1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8은 창문 프레임(31)의 하부 영역을 제거하고, 그 내부에 있는 부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창문 프레임(31)의 하부에는 수직 작동바(31)와 연결되는 수평 작동바(34)가 창문 프레임(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창문 프레임(31)의 코너 테두리에는 'L'자 형태의 절곡된 제1연결 작동바(33)가 마련되어 수직 작동바(34)와, 수직 작동바(32)를 연결한다.
한편, 수평 이동 장치(1100)는 복수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각각의 수평 이동 장치(1100)에는 각각 수평 작동바(34)가 연결되며, 각각의 수평 작동바(34)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2연결 작동바(35)에 의하여 연결되어 같이 움직일 수 있다.
수평 작동바(34)는 수평 이동 장치(1100)와 연결되는데, 특히 수평 이동 장치(1100)의 직선 이동 부재(1130)와 연결된다.
따라서, 핸들(40)을 회전시키면, 수직 작동바(32) 및 걸림부(300)가 상하 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서, 수평 작동바(34)가 수평 운동을 하고, 이에 연결된 직선 이동부재(1130)도 수평 운동을 한다.
한편, 도9 내지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 장치(1100)는, 창문(30)에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1110)와, 창문(30)이 창틀(20)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11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창틀의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1178)를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1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1110)에 연결되어 상기 창문(30)의 작동바(미도시)의 이동에 의해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직선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1130)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1130)의 직선이동에 따라 이동플레이트(1120)를 상기 고정플레이트(1110)에 대해 수평 이동시키는 동작링크(1140, 11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1110)는 창문(30)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고정플레이트(1110)에 이동플레이트(1120)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1120)는 창문(30)이 창틀(20)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1110)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플레이트(1120)에는 상기 창틀의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1178)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40)(도 1 참조)을 내려서 그 끝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조작하여 창문(30)이 창틀(40)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은, 이동플레이트(1120)와 고정플레이트(1110)간에 상대적인 수평 이동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 경우, 이동플레이트(1120)는 전술한 이동부(1178)에 의해 창틀(20)의 레일(미도시)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고정플레이트(1110)가 창틀(20)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결국, 고정플레이트(1110)가 연결된 창문(30)이 창틀(20)에 밀착하게 된다.
한편, 핸들(40)을 위로 올려 그 끝단부가 위를 향하도록 하거나, 수평 상태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0)가 창틀(2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되어 창틀(20)과 창문(30)간의 밀착 상태가 해제된다.
고정플레이트(1110)에는 이동플레이트(1120)가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111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112)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양단부를 수직방향(길이방향)으로 구속하되, 이동플레이트(112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부(1112)에 수용된다.
따라서,후술하는 바와 같이 직선이동부재(1130)의 이동에 의해 이동플레이트(1120)와 고정플레이트(1110)는 서로 간에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고정플레이트(1110)의 하면에 전술한 이동플레이트(1120)가 배치된 경우에 고정플레이트(1110)의 상면에는 직선이동부재(1130)가 연결될 수 있다.
직선이동부재(1130)는 창문에 설치되는 수평 작동바(34)와 연동하여 수평 작동바(34)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될수 있다.
이 경우, 창문 수평 이동 조작 구간, 즉 핸들(4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창문(30)이 실질적으로 수평이동을 개시하여 창틀(20)에 밀착될 때까지의 구간에서 수평 작동바(34)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수평 작동바(34)와 직선이동부재(1130)의 연동구조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직선이동부재(1130)에 작동바(34)의 작동핀(미도시)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작동홀(1132)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홀(1132)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창문의 핸들(40)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곧바로 상기 직선이동부재(1130)가 이동하거나, 또는 창문의 핸들(40)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직선이동부재(1130)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창문의 핸들을 종래와 같이 180도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90도만 회전시켜도 창문을 창틀에 밀착시키거나(개방 가능 모드에서 잠금 모드로 변환시) 또는 창문을 창틀에서 이격(잠금 모드에서 개방 가능 모드로 변환시)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플레이트(1110)와 직선이동부재(1130)는 제1 링크(1140)로 연결되고, 이동플레이트(1120)와 직선이동부재(1130)는 제2 링크(1150)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1140)의 일단은 고정플레이트(1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직선이동부재(1130)에 연결된다. 또한, 제2 링크(1150)의 일단은 이동플레이트(1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1130)에 연결 된다.
이 때, 직선 이동 부재(1130)를 기준으로 제1 링크(1140) 및 제2 링크(1150)는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하여, 직선이동부재(1130)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미리 정해진 각도의 동작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직선이동부재(1130)의 직선이동에 따라 동작각도가 변화하여 고정플레이트(1110)와 이동플레이트(1120)가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1140)와 제2 링크(1150)는 직선이동부재(1130)를 사이에 두고 각각 직선 이동부재(1130)의 양 옆에 각각 배치되어 직선이동부재(1130)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 조건이 되게 하며, 제1 링크(1140) 및 제2 링크(1150)의 길이는 동일하게 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112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가 수평 방향(창문 이동 방향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링크(1140)의 일단에는 제1 연결홀(1141)이 형성되고, 제1 힌지핀(1144)이 제1 연결홀(1141)을 관통하여 고정플레이트(1110)의 제1 고정홀(1113)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링크(1150)의 일단에는 제2 연결홀(1151)이 형성되고, 제2 힌지핀(1154)이 이동플레이트(120)의 제2 고정홀(1126)을 관통하여 제2 연결홀(115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플레이트(1110)에는 상기 제2 힌지핀(1154)이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장홈 형태의 오목부(1115)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 힌지핀(1154)은 오목부(1115)를 단순히 지나가도록 배치되며 고정플레이트(1110)에는 체결 또는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링크(1140)와 제2 링크(1150)의 타단은 직선이동 부재(11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나의 연결핀(1128)에 의해 연결된다. 즉, 연결핀(1128)은 제1 링크(1140)의 타단에 형성된 제3 연결홀(1142)과 제2 링크(1150)의 타단에 형성된 제4 연결홀(1152)을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직선이동부재(1130)의 이동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제1 링크(1140) 및 제2 링크(1150)의 일단에 연결된 고정플레이트(1110)와 이동플레이트(1120)에 최대한 균일한 힘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직선이동부재(1130)에는 제1 링크(1140)와 제2 링크(115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핀(1128)이 삽입되며 직선이동부재(1130)의 이동에 의해 연결핀(112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13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131)은 직선이동부재(1130)가 이동하는 경우에 제1 링크(1140)와 제2 링크(115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핀(1128)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핀(1128)의 윗부분에는 고정와셔(1155)가 마련되어 연결핀(1128)과 가이드홀(1310) 간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1131)은 상기 직선이동부재(1130)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직선이동경로(1131b, 1131c)와, 직선이동경로(1131b, 1131c)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 이동 경로(1131a)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 이동 경로(1131a)의 형성 방향은 직선 이동 경로(1131b, 1131c)에 대해서 직교 또는 수직방향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겠지만, 연장 이동 경로(1131a)에 연결핀(1128)이 놓이는 경우에는 창문의 닫힘 모드가 되고, 제1직선 이동 경로(1131b)에 연결핀(1128)이 놓이는 경우에는 열림 모드가 되며, 제2직선 이동 경로(1131c)에 연결핀(1128)이 놓이는 경우에는 개방 가능 모드가 된다.
이동 플레이트(1120)에 구비되는 이동부(1178)는 창틀(20)의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3200) 및 바퀴(1179)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창문의 크기 및 창틀의 크기가 규격화되어 제공되는 경우에도 작의 공차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창문에 구비된 이동부(1178)가 상기 창틀(20)의 레일에 정확하게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창문의 이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이동부(1178)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120)에 구비되어 이동부(1178)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190)를 구비할수 있다.
높이조절부(1190)에 의해 바퀴(1179)를 포함하는 이동부(1178)의 높이를 조절하여 창틀의 레일에 이동부(1178)가 정확하게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도13 및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1178)가 바퀴(1179)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바퀴(1179)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 바퀴 지지판(117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퀴 지지판(1171)는 상기 바퀴(1179)가 일렬로 배치된 경우에 바퀴(1179)를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바퀴 지지판(1171)에는 바퀴(1179)의 회전축(1174, 1177)이 관통하여 연결되는 관통홀(1172, 1173)이 형성될 수 있다. 바퀴(1179)를 한 쌍 구비하는 경우에 회전축(1174, 177) 및 관통홀(1172, 1173)도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바퀴 지지판(1171)의 중앙부에는 바퀴 지지판(1171)를 고정하는 지지축(1176)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1176)은 상기 바퀴 지지판(1171)의 중앙 관통홀(1170)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122)는 이동플레이트(1120)에서 이동부(1178)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이동부(1178)의 지지축(1176)이 관통한다. 높이 조절부(1190)는 돌출부(1122)와 연결되어 높이 조절 작용을 한다.
돌출부(1122)는 이동플레이트(1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별도의 결합 구조로도 가능하다.
돌출부(1122)에는 이동부(1178)의 지지축(1176)이 수직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지지축(1176)이 관통하는 수직가이드홀(1124)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가이드홀(1124)은 수직 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축(1176)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122)의 끝에는 가이드 롤러(3200)를 지지하는 지지핀(3201)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지지홀(1123)이 마련된다.
높이 조절부(1190)는 'ㄷ'자 형태로 구현되며 바퀴(1179)와 바퀴 지지판(1171)을 둘러싸는 내부 하우징(1191)과, 내부 하우징(1191)을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1192)을 포함한다.
그리고, 내부 하우징(1191)과 외부 하우징(1192)은 서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 나사(1193)에 의하여 연결되며, 외부 하우징(1192)의 바깥에는 조절 나사(1193)에 끼워지며, 조절 나사(1193)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한편, 강도를 보강하는 가이드판(1194)이 마련되며, 가이드판(1194)에는 가이드홈(1194a)이 일측이 틔여진 형태로 형성된다. 가이드홈(1194a)에 조절 나사(1193)의 나사산이 통과한다.
내부 하우징(1191)에는 경사진 경사 안내홈(1191a) 마련되고, 외부 하우징(1192)에는 수직 안내홈(1192a)이 마련되며, 지지축(1176)이 경사 안내홈(1191a)과 수직 안내홈(1192a)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내부 하우징(1191)의 단변쪽 내부에는 조절 나사(119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너트 형태의 나사 지지부(1195)가 마련되어 있으며, 외부 하우징(1192)의 단변과, 내부 하우징(1191)의 단변에는 조절 나사(1193)가 관통하는 외부 관통공(1192b), 내부 관통공(1191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외부 관통공(1192b)과, 내부 관통공(1191b)에는 모두 나사산 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절 나사(1193)를 돌리면, 외부 하우징(1192)과 내부 하우징(1191)간의 거리가 변하게 되고, 경사 안내홈(1191a)과 수직 안내홈(1192a)이 상대 이동운동을 하며, 그 사이에 낀 지지축(1176)이 경사 안내홈(1191a)을 타고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한다.
즉, 도15 및 도16의 상태에서, 조절 나사(1193)를 돌려서, 외부 하우징(1192)에 내부 하우징(1191)이 가까워지면, 지지축(1176)이 경사 안내홈(1191a)의 중 경사면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되, 수직 안내홈(1192a)을 타고 아래로 하강한다.
이에 이하여, 고정 플레이트(1120)/이동 플레이트(1130)와 바퀴(1179) 사이의 간격이 커져서 수평 이동 장치(1100) 전체의 높이가 높아진다.
반대로, 조절 나사(1193)를 돌려서, 외부 하우징(1192)으로부터 내부 하우징(1191)이 멀어지면, 지지축(1176)이 경사 안내홈(1191a)의 중 경사면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되, 수직 안내홈(1192a)을 타고 위로 상승한다.
이에 의하여, 고정 플레이트(1120)/이동 플레이트(1130)와 바퀴(1179)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수평 이동 장치(1100) 전체의 높이가 낮아진다.
앞서, 직선 이동 부재(1130)의 가이드홀(1131)은 직선이동부재(1130)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직선 이동경로(1131b, 1131c)와, 직선이동경로(1131b, 1131c)에서 연장되되, 직선 이동 경로(1131b, 1131c)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이동 경로(1131a)를 구비한다고 설명하였다.
도7 및 도10 내지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이동 경로(1131b, 1131c)는 연장 이동 경로(1131a)와 연통되며, 걸림부(300)가 걸림 안내부(200)의 하부홈(213)에 걸린 상태시 제1링크(1140)와 제2링크(1150)를 연결하는 연결핀(1154)이 위치하는 제1직선 이동 경로(1131b)와, 제1직선 이동 경로(1131b)와 연통되며, 걸림부(300)가 걸림 안내부(200)에서 걸림 해제된 상태시, 제1링크(1140)와 제2링크(1150)를 연결하는 연결핀(1154)이 위치하는 제2직선 이동 경로(1131c)를 포함한다.
연결핀(1128)이 연장 이동 경로(1131a)에 있으면, 수평 밀착 상태 및 닫힘 상태 또는 모드이며, 핸들(40)의 끝단부(41)는 아래를 향한다(도1참조).
연결핀(1128)이 제1직선 이동 경로(1131b) 상에 있으면, 수평 밀착 상태 해제 및 개방 가능 상태 또는 모드이며, 핸들(40)의 끝단부(41)는 수평방향을 향한다.
연결핀(1128)이 제2직선 이동 경로(1131c) 상에 있으면, 수평 밀착 상태 해제 및 환기 가능상태이며, 핸들(40)의 끝단부는 위를 향한다.
도18과 같이 창문이 환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40)를 위에서 아래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직선이동부재(1130)가 화살표(점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도20과 같이, 직선이동부재(1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링크(1140)와 제2 링크(1150)를 연결하는 연결핀(1128)이 상기 직선이동부재(1130)의 가이드홀(1131)의 안내를 받아서, 직선이동부재(11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연장 이동 경로(1131a)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링크(1140)와 제2 링크(1150)의 동작각도(θ2)가 커지게 되어 이동플레이트(1120)와 고정플레이트(1110)가 상대 이동을 하게 되어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동플레이트(1120)와 고정플레이트(1120)가 서로 상대운동을 하여 상대적으로 멀어지면, 이동플레이트(1120)는 전술한 이동부(1178)에 의해 창틀의 레일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고정플레이트(1110)가 창틀(20)에 밀착하게 된다(도3 상태).
수직 작동바(32)는 최대한 올라간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서 걸림부(300)도 최대한 올라가서, 걸림 안내부(200)의 제1걸림 영역(203)의 제1걸림홈(203d)에 걸린다(도6(a) 및 도7(a) 상태). 이를 제 1위치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방 가능 모드를 활용하기 위해서, 도20의 상태에서 핸들(40)을 90도 상방 회전시켜서 핸들(40)을 수평 상태로 하면, 도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이동 부재(1130)가 화살표(실선)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경우, 연결핀(1128)이 직선 이동 부재(1130)의 연장 이동 경로(1131a)를 벗어나서, 제1 직선 이동 경로(1131b)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링크(1140)와 제2 링크(1150)의 동작각도(θ1)가 작아져 이동플레이트(1120)와 고정플레이트(1110)가 상대 이동을 하게 되어 거리가 가까워진다.
이동플레이트(1120)와 고정플레이트(1110)가 가까워지면 이동 플레이트(1120)는 전술한 이동부(1178)에 의해 창틀의 레일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110)가 상기 창틀에서 떨어진다(도2 상태).
그러면, 수직 작동바(32)는 닫힘 상태보다 약간 내려온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서 걸림부(300)는 걸림 안내부(200)의 제1걸림 영역(203)를 벗어나서 이격 공간부(S)에 위치한다. 따라서,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6(b) 및 도7(b) 상태). 이를 제2위치라고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걸림부(300)가 걸림 안내부(200)의 구속을 받지 않기 때문에, 창문(30)을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방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환기 모드를 활용하기 위해서, 도19의 상태에서 핸들(40)을 90도 상방 회전시켜서 핸들 끝단부(41)를 위로 향하는 상태로 하면, 도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이동 부재(1130)가 화살표(실선)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경우, 연결핀(1128)이 제1직선 이동 경로(1131b)를 벗어나서, 제2 직선 이동 경로(1131c)에 위치한다. 제1 링크(1140)와 제2 링크(1150)의 동작각도(θ1)는 개방 가능 모드 상태와 동일하며, 수평 밀착 상태 해제도 유지된다(도2참조).
그러면, 수직 작동바(32)는 개방 가능 모드 상태보다 더 내려온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서 걸림부(300)는 이격 공간부(S) 상의 위치보다도 아래로 이동하여, 제2걸림 영역(204)에 진입한다. (도6(c) 및 도7(c) 상태). 이를 제3위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걸림부(300)가 제2걸림영역(204)에 걸려서 슬라이드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기 때문에 창문(30)이 열리지는 않고, 수평 밀착 상태가 해제되었으므로 환기는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8)

  1. 창문 프레임 및 창문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틀과; 창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창문 프레임의 측면에 마련되어 핸들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걸림부와;
    창틀에 마련되되 걸림부가 마주보는 상대 위치에 마련되며, 걸림부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게 되거나 걸리게 되지 않는 걸림 안내부와;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핸들과 연동되어 핸들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창문 프레임을 창틀에 수평 밀착 시키거나 수평 밀착을 해제시키는 수평 이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안내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1걸림영역과, 제1걸림영역과 이격되면서 제1걸림 영역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걸림 영역과, 제1걸림 영역과 제2걸림 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 공간부를 포함하되,
    제1걸림 영역의 수직 중심선과 제2걸림 영역의 수직 중심선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걸림부가 제1걸림 영역 또는 제2걸림 영역에 위치한 경우 창틀의 수평 밀착 또는 수평 밀착 해제를 유도하며, 걸림부가 이격 공간부에 위치한 경우, 창문 프레임의 창틀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 영역은 하방 및 전방이 개구되는 제1측벽부와, 제1측벽부의 테두리에서 연장되며 걸림부가 걸리게 되는 제1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걸림 영역은 상방 및 전방이 개구되는 제2측벽부와, 제2측벽부의 테두리에서 연장되며 걸림부가 걸리게 되는 제2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 영역의 하방 중 개구되는 부분은 일측으로 확장되어 제1걸림 영역을 벗어난 걸림부가 제2걸림 영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제1걸림 영역이 치우쳐진 방향은 창문 프레임이 창틀에 밀착되는 방향에 대응되며, 제1걸림 영역 내의 제1걸림홈에 걸림부가 위치하여 걸리는 경우, 창문 프레임이 창틀에 밀착되어 닫힘 상태가 되고, 핸들의 위치는 하향 위치하고,
    제2걸림 영역이 치우쳐진 방향은 창문 프레임이 창틀에 이격되는 방향에 대응되며, 제2걸림 영역 내의 제2걸림홈에 걸림부가 위치하는 경우, 창문 프레임의 창틀 밀착 상태가 해제되되, 창문 프레임 측면과 창틀 측면에 미세한 간격이 발생하되, 걸림부가 제2 걸림 영역에 걸려서 개방이 방지되는 상태가 되고, 핸들의 위치는 상향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걸림부가 제1걸림 영역과 제2걸림 영역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경우, 핸들의 위치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걸림부가 제1걸림 영역 또는 제2걸림 영역에 간섭받지 않게 됨으로써, 창문이 창틀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장치는;
    고정 플레이트와;
    창문이 창틀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창틀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창문의 핸들과 연결된 작동바의 이동에 의해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직선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수평이동시키는 한 쌍의 동작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이동부재에는 상기 작동바의 작동핀이 삽입되며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바로 상기 직선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하는 작동홀과,
    상기 동작링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핀이 삽입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 및 상기 걸림 안내부 간에 걸림 작용이 되면서, 수평 이동 장치에 의한 창문의 창틀에 대한 밀착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창문과 창틀 사이의 틈에 의하여 환기가 가능하면서도, 틈을 형성하도록 창문이 제한적으로 움직이되, 창문의 자유로운 개방 작용이 방지되고,
    상기 동작링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동작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동작각도가 변화되도록 구비된 제 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동작 각도가 변화되도록 한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직선이동경로에서 연장되되, 직선 이동 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이동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직선 이동 경로는 연장 이동 경로와 연통되며, 걸림부가 걸림 안내부의 하부홈에 걸린 상태시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연결하는 연결핀이 위치하는 제1직선 이동 경로와;
    제1직선 이동 경로와 연통되며, 걸림부가 걸림 안내부에서 걸림 해제된 상태시,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연결하는 연결핀이 위치하는 제2직선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이동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 조절부는
    이동부를 둘러싸며, 이동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고정축이 삽입되는 경사진 경사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내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나사 연결하되, 상기 내부하우징과 외부 하우징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경사 가이드 홀 및 수직 가이드 홀에 끼워진 고정축의 상하 높이가 조절되게 하여 이동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PCT/KR2022/007381 2021-06-18 2022-05-24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WO202226524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90000240.XU CN220565898U (zh) 2021-06-18 2022-05-24 具有换气功能及水平紧贴功能的门窗组装体
EP22825173.2A EP4357569A1 (en) 2021-06-18 2022-05-24 Window/door assembly having ventilation function and horizontal sealing function
JP2023552360A JP7446655B2 (ja) 2021-06-18 2022-05-24 換気機能及び水平密着機能を有する建具組立体
US18/279,206 US20240167308A1 (en) 2021-06-18 2022-05-24 Window assembly having horizontal closing function and ventil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01A KR102373584B1 (ko) 2021-06-18 2021-06-18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걸림 안내부
KR10-2021-0079601 2021-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247A1 true WO2022265247A1 (ko) 2022-12-22

Family

ID=8081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7381 WO2022265247A1 (ko) 2021-06-18 2022-05-24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67308A1 (ko)
EP (1) EP4357569A1 (ko)
JP (1) JP7446655B2 (ko)
KR (1) KR102373584B1 (ko)
CN (1) CN220565898U (ko)
WO (1) WO2022265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584B1 (ko) * 2021-06-18 2022-03-11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걸림 안내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3296B1 (de) * 1994-05-20 2000-01-05 August Winkhaus GmbH & Co KG Teilautomatisch anschlagbares Beschlagssystem für Fenster, Türen oder dergleichen
KR101142795B1 (ko) * 2010-04-07 2012-05-08 주식회사 시안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KR20120050035A (ko) 2010-11-10 2012-05-18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창호
KR101254327B1 (ko) * 2012-10-24 2013-04-12 (주)코리아쇼와록 수평밀착창호의 잠금모듈
KR20130115958A (ko) *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창문용 밀폐장치
KR20160033690A (ko) 2013-07-22 2016-03-28 로토 프란크 아게 고정 문틀 상에 슬라이딩 문짝을 압착하기 위한 기구
KR101731775B1 (ko) * 2017-02-13 2017-04-28 이재선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2373584B1 (ko) * 2021-06-18 2022-03-11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걸림 안내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3414B2 (ja) 2002-05-17 2008-07-23 フマキラー株式会社 薬剤拡散装置
KR101348488B1 (ko) 2010-10-27 2014-01-07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창호
KR101280118B1 (ko) 2010-10-27 2013-07-05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창호
JP6322312B2 (ja) 2017-02-21 2018-05-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表示機器及び画像表示機器の表示制御方法
US20210404246A1 (en) 2020-01-23 2021-12-30 Cs Tech Co., Ltd. Windows and doors assembly having ventilation function and horizontal contact func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3296B1 (de) * 1994-05-20 2000-01-05 August Winkhaus GmbH & Co KG Teilautomatisch anschlagbares Beschlagssystem für Fenster, Türen oder dergleichen
KR101142795B1 (ko) * 2010-04-07 2012-05-08 주식회사 시안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KR20120050035A (ko) 2010-11-10 2012-05-18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창호
KR20130115958A (ko) *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창문용 밀폐장치
KR101254327B1 (ko) * 2012-10-24 2013-04-12 (주)코리아쇼와록 수평밀착창호의 잠금모듈
KR20160033690A (ko) 2013-07-22 2016-03-28 로토 프란크 아게 고정 문틀 상에 슬라이딩 문짝을 압착하기 위한 기구
KR101731775B1 (ko) * 2017-02-13 2017-04-28 이재선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2373584B1 (ko) * 2021-06-18 2022-03-11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걸림 안내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46655B2 (ja) 2024-03-11
EP4357569A1 (en) 2024-04-24
JP2024506744A (ja) 2024-02-14
KR102373584B1 (ko) 2022-03-11
US20240167308A1 (en) 2024-05-23
CN220565898U (zh)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49873A1 (ko)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WO2009116843A2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WO2022265247A1 (ko)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WO2013165035A1 (ko) 안전문
WO2017104974A1 (ko) 냉장고
WO2024106978A1 (ko)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WO2013151293A1 (ko) 알루미늄 합금 샤시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의 이동창 설치 구조
WO2016178530A1 (ko) 비간섭 전면개폐형 프레임의 구조
WO2014021672A1 (ko) 디지털 도어락장치
FR2785324B1 (fr) Dispositif de controle de l'ouverture d'une porte
WO2019231079A1 (ko) 손 끼임 방지 안전도어
WO2020145535A1 (ko) 경첩 장치
WO2010058973A9 (ko) 안전 도어
WO2014168421A1 (ko) 온열치료기
WO2019182412A1 (ko) 창호 개폐장치
WO2014021673A1 (ko) 체결볼트 및 체결볼트를 구비한 디지텔 도아락장치
WO2019045453A1 (en) OVEN
WO201514212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7026592A1 (en) Opening assistant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WO2020105932A1 (ko) 줄자용 벨트홀더
WO2021157946A1 (ko) 진공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WO2016186451A1 (ko)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CN104395542A (zh) 防非正常开启的锁具及门
WO2012128503A1 (ko) 에어 시일드 윈도우
WO2021112339A1 (ko) 회전형 셔터 구조를 갖는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251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90000240.X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79206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52360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251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251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