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837A - 네트워크를 통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837A
KR20130115837A KR1020120038532A KR20120038532A KR20130115837A KR 20130115837 A KR20130115837 A KR 20130115837A KR 1020120038532 A KR1020120038532 A KR 1020120038532A KR 20120038532 A KR20120038532 A KR 20120038532A KR 20130115837 A KR20130115837 A KR 20130115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able
information
replacement
consumables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2355B1 (ko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웅진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웅진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웅진홀딩스
Priority to KR1020120038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35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렌탈되는 물품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렌탈된 물품의 소모품에 대한 관리 이벤트가 발생되면, 물품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로 물품에 대응하는 설비 번호를 포함하는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소모품 교체 처리가 이루어지며,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물품의 소모품을 교체하였음을 나타내는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시스템은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로부터 물품에 대한 설비 번호, 교체된 소모품 번호, 교체일을 포함하는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물품의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소모품 교체가 이루어졌음을 저장 및 관리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sumables of rental goods through network}
본 발명은 소모품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렌탈 물품의 소모품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수기, 비데, 안마기, 컴퓨터 등의 다양한 물품들을 소정의 임대료를 주고 일정 기간 사용할 수 있는 렌탈 서비스가 많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렌탈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물품을 일정 기간 사용하는 것을 조건으로 월정액의 임대료를 받아서 사용자에게 렌탈하고, 렌탈한 물품을 관리하여 주는 서비스이다. 정수기 등의 가정 생활 용품 이외에도, 의료기기, 차량, 중장비 기기 등을 렌탈하는 방향으로 서비스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렌탈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렌탈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물품에 대한 렌탈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7-0077491호에 기재된 "렌탈.임대.대여 안전거래 중계운영 방법과 이를 적용한양방향 (비투씨, 씨투비) 연동 주문예약구현 시스템", 동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6-0088057호 기재된 "렌탈 물건 관리 시스템"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렌탈 물품의 임대 등의 거래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렌탈된 물건을 A회사에서 B회사로의 이관하여 관리하는 방법 등을 기술하고 있다.
렌탈 서비스가 제공되는 물품에 소모품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와 같은 물품의 경우, 필터는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 기간이 경과되면 필터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교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교체를 포함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렌탈되는 물품의 관리를 수행하는 단말과의 통신을 이용하여, 물품의 소모품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방법은 렌탈되는 물품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물품의 소모품을 관리하는 방법이며, 상기 시스템이, 렌탈된 물품의 소모품에 대한 관리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물품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로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설비 번호를 포함하는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의 소모품을 교체하였음을 나타내는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로부터 상기 물품에 대한 설비 번호, 교체된 소모품 번호, 교체일을 포함하는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에 따라, 소모품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물품의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소모품 교체가 이루어졌음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물품에 대한 설비 번호를 토대로 고객 정보와,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 그리고 소모품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자의 단말이 상기 소모품 교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설비 번호를 토대로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토대로 상기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교체된 소모품의 최종 교체일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최종 교체일을 토대로 교체 예정일을 산출하여 상기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시스템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물품의 바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바코드를 토대로 상기 물품의 설비 번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설비 번호를 토대로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물품이 소모품 교체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확인 결과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상기 시스템이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물품의 소모품 교체를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현 시점에서 설정 기간 이내에 해당하는 교체 예정일을 가지는 소모품을 찾아서 소모품 교체 내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소모품 교체 내역에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토대로 교체된 이전 소모품을 확인하고, 입고되어야 할 소모품을 포함하는 부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창고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창고 관리 장치로부터 최종 입고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수신된 최종 입고 내역을 토대로 상기 부품 리스트에 포함된 소모품이 입고됨을 확인하고, 입고 처리 내역을 입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시스템은, 렌탈되는 물품을 관리하는 소모품 관리 시스템이며, 고객과의 물품 렌탈 주문이 체결되는 경우 생성되는 주문 번호에 대응하여 렌탈된 물품에 대응하는 설비 번호가 생성되며, 상기 물품에 대한 설비 번호를 토대로 고객 정보와,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물품의 소모품에 관련된 소모품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상기 렌탈된 물품의 소모품에 대한 관리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물품을 관리하는 제1 관리자의 단말로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설비 번호를 포함하는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점검 관리부를 포함하는 처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점검 관리부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의 소모품을 교체하였음을 나타내는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상기 물품의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소모품 교체가 이루어졌음을 저장하는 갱신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점검 관리부는 상기 물품의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물품의 소모품 교체를 위한 정보를 제공받아, 현 시점에서 설정 기간 이내에 해당하는 교체 예정일을 가지는 소모품을 찾아서 소모품 교체 내역을 생성하는 교체 내역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교체 내역 생성 모듈은 상기 소모품 교체 내역에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리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고객에게 렌탈한 물품인 설비에 대한 정보--상기 설비에 대한 정보는 설비 번호, 주문 번호, 바코드를 포함함--를 저장한 설비 정보 데이터베이스; 소모품 관리를 위한 정보--상기 관리를 위한 정보는 설비 번호, 소모품 코드, 교체 예정일, 교체 주기, 최종 교체일을 포함함--를 저장하는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물품을 렌탈한 고객에 대한 정보--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는 주문 번호, 설비 번호를 포함함--을 저장하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하여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조회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정보는 설비 번호, 바코드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고객의 단말로부터 A/S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면, A/S에 대한 작업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 번호와 A/S 대상이 되는 물품의 설비 번호를 포함하는 A/S 처리 메시지를 A/S를 수행하는 제2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A/S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S 처리부는 상기 제2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A/S 처리 내역을 제공받고, A/S 처리 내역에 따라 상기 작업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물품에 대한 A/S가 처리되었음을 나타내는 이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A/S 이력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로부터 획득되는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 또는 상기 A/S 처리 내역을 토대로 교체된 이전 부품을 확인하고, 입고되어야 할 부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창고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입고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렌탈 서비스에 따라 제공되는 물품의 소모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를 통하여 물품의 소모품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의 단말과 통신을 통하여 소모품 대상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소모품 관리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의 갱신 및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들의 연관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 관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S 처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에서, A/S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렌탈 서비스가 제공되는 물품은 구성 부품으로 소모품을 포함하며, 소모품은 소정 주기별로 교환이 요구되는 부품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정수기, 비데와 같은 물품들이 렌탈 서비스될 수 있으며, 정수기나 비데에 사용되는 필터 등이 소모품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시스템(1)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1) 및 처리 서버(12)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데이터베이스 서버(11)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조회 서버(13)를 더 포함한다. 또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시스템(1)은 네트워크(3)를 통하여 관리자의 단말(4, 5)과 연계하여 소모품 관리를 수행하며, 물품을 렌탈한 고객의 단말(6)과도 네트워크(3)를 통하여 통신한다.
여기서 관리자의 단말은 제1 관리자의 단말(4)과 제2 관리자의 단말(5)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제1 관리자의 단말(4)은 렌탈 물품의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즉, 제1 관리자의 단말을 나타내고, 제2 관리자의 단말(5)은 렌탈 물품의 수리를 포함하는 A/S(after service)를 수행하는 사용자 즉, 제2 관리자의 단말을 나타낸다.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시스템(1,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소모품 관리 시스템이라고 명명함)은 렌탈 물품의 관리 및 소모품 관리를 위하여 복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1)에 저장 및 관리하며, 처리 서버(12)가 데이터베이스 서버(11)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토대로 제1 및 제2 관리자 단말(4, 5)과 연계하여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관리 시스템(1)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서버(11)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1), 설비 정보 데이터베이스(112),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13),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14)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1)는 이외에도 소모품 관리에 따라 발생하는 결제 처리를 위한 수납 정보 데이터베이스(115) 및 소모품 교체나 A/S에 따른 이전 부품의 창고 입고 처리를 위한 입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렌탈한 물품에 대한 관리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주문 번호, 설비 번호 그리고 작업 번호를 사용한다.
주문 번호는 고객이 렌탈할 물품을 주문할 때 생성되는 번호이며, 물품 1개에 대한 하나의 주문 계약에 대하여 하나의 주문 번호가 생성된다. 해당 물품에 대한 렌탈 계약이 체결되어 해지 또는 물품 반환이 될 때까지 하나의 주문 번호가 유지된다.
설비 번호는 고객이 렌탈한 물품에 대하여 부여되는 번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관리 시스템(1)는 고객이 렌탈한 물품을 설비로 지정하여 관리하며, 이를 위하여 렌탈 물품에 대하여 설비 번호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정수기에 대한 렌탈을 요청하여 계약이 체결된 경우, 해당 계약에 대하여 주문 번호가 부여되며 고객에게 렌탈하여 설치한 정수기에 대하여 설비 번호가 부여된다.
하나의 주문 번호에 대응하여 하나의 설비 번호가 관리되지만, 매변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주문 번호에 대응하는 설비 번호가 변경될 수 있다. 매변은 물품을 다른 물품으로 변경하거나 동일 물품으로 교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정수기를 렌탈한 경우, 설치된 정수기를 다른 종류의 정수기로 변경하거나 동일 종류의 정수기로 교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매변이 발생하는 경우, 주문 번호는 유지되지만 새로운 물품이 설치됨으로 새로이 설치되는 물품의 설비 번호가 새로이 생성되어 사용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주문 번호에 대하여 매변 이력에 따라 복수의 설비 번호를 포함하는 설비 번호 이력이 존재한다. 물품에 따라 소모품이 달라지므로,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소모품 관리가 이루어진다.
작업 번호는 물품에 대한 A/S가 발생한 경우, 해당 물품의 A/S 처리를 나타내는 작업 번호이다. 여기서 고객의 A/S 요청 시점에 작업 번호가 생성될 수 있다.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1)는 물품을 렌탈한 사용자들 즉, 고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예를 들어, 주문 번호, 고객 번호, 설비 번호, 고객 구분 코드, 제품 코드, 비용 구분 코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고객 번호는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며, 고객 구분 코드는 고객의 분류에 따라 부여되는 코드이다. 예를 들어, 고객이 사용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고객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고객 구분 코드는 고객이 어떠한 그룹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코드일 수 있다.
비용 구분 코드는 물품의 렌탈 비용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예를 들어, 물품별로 물품 종류에 따라 렌탈 비용 (예를 들어, 월 사용료)가 다를 수 있으며, 각 렌탈 비용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비용 구분 코드를 부여한다. 제품 코드는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이며, 예를 들어, 물품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1)는 물품을 렌탈한 사용자들 즉, 고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예를 들어, 주문 번호, 고객 번호, 설비 번호, 고객 구분 코드, 제품 코드, 비용 구분 코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설비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는 고객에게 렌탈한 물품인 설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예를 들어, 설비 번호, 주문 번호, 고객명, 설치일, 제품 코드, 바코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설비가 어떠한 주문 계약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주문 번호를 저장하며, 해당 주문 계약을 체결한 고객명과 해당 설비 즉, 물품이 설치된 설치일, 그리고 설치된 물품의 제품 코드, 바코드를 추가적으로 대응시켜 관리한다. 여기서 바코드는 물품에 부착되는 바코드의 정보를 나타내며, 이러한 바코드는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나타내며, 물품의 생산시 물품에 부착된다.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13)는 소모품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며, 예를 들어, 설비 번호, 소모품 코드, 교체 예정일, 교체 주기, 최종 교체일, 대체 소모품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소모품 코드는 소모품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이며, 예를 들어, 정수기를 구성하는 필터의 코드일 수 있다. 교체 예정일은 해당 소모품을 교체할 예정일을 나타내며, 교체 주기는 해당 소모품을 교체하는 주기를 나타낸다. 최종 교체일은 실질적으로 해당 소모품을 교체한 날짜를 나타낸다. 그리고 대체 소모품은 해당 소모품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소모품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설비 번호 A인 정수기에 A1 필터가 사용되어야 하는데, A1 필터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A2 필터를 나타낸다.
여기서, 교체 예정일은 교체 주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또는 최종 교체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교체일을 기준으로 교체 주기에 따라 교체 예정일이 산출될 수 있다.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14)는 물품별로 처리된 A/S에 대한 이력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작업 번호, 설비 번호, 소모품(부품) 코드, 소모품(부품) 바코드, 금액 정보, 처리일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소모품 바코드는 소모품 생산시 소모품에 부착되는 바코드 정보를 나타내며, 금액 정보는 A/S 처리시 발생한 비용을 나타내고, 처리일은 A/S 처리가 이루어진 날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고객으로부터 설비 번호 A인 정수기에 대한 A/S가 요청되면, A/S 작업을 위한 작업 번호가 생성되며, 이후 A/S 작업이 이루어지면 수리 또는 교체가 이루어진 소모품 A1 필터에 대한 소모품 코드, A1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인 소모품 바코드, A/S에 따라 발생된 비용, 그리고 처리일이 저장된다. 이러한 이력 정보는 A/S가 요청될 때마다 생성됨으로, 하나의 설비 번호에 대하여 복수의 작업 번호에 따른 이력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수납 정보 데이터베이스(114)는 A/S 작업에 따라 발생된 비용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청구 번호, 작업 번호, 금액, 고객 번호, 청구일, 생성자 번호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비용 청구가 이루어지면 청구 번호가 생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해당 작업 번호, 청구할 비용, 고객 번호, 청구일이 저장되며, 또한 생성자 번호가 저장된다. 여기서 생성자 번호는 해당 물품의 A/S를 수행한 관리자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입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15)에는 입고될 소모품이나 부품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작업 번호, 부품 주문 번호, 입고 창고, 입고자, 부품 코드, 바코드 등이 정보가 저장된다. A/S 작업시에 물품의 부품이나 소모품이 교체된 경우, 교체된 이전 부품이나 소모품을 창고에 입고시켜 관리한다. 이에 따라 A/S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번호에 대응하여, 렌탈 물품에 대한 주문 번호를 저장하며, 해당 부품이나 소모품이 입고될 창고에 대한 정보인 입고 창고, 입고자, 부품 코드, 부품 자체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입고자는 A/S를 수행한 제2 관리자이지만, 제1 관리자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각 데이터베이스(111~116)는 서로 연계되어 구성되어, 소모품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들의 연관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물품 렌탈에 대한 주문 계약이 이루어지면 생성되는 주문 번호와 렌탈된 물품에 부여되는 설비 번호를 토대로 렌탈된 물품에 대한 소모품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1), 설비 정보 데이터베이스(112),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13)가 설비 번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소정 고객이 설치한 물품이 어떠한 것이고, 해당 물품에 대하여 어떠한 소모품이 사용되고 해당 소모품이 언제 교체되고 또한 언제 교체되어야 하는지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설비 번호에 매칭하여 작업 번호가 저장되기 때문에, 렌탈 물품에 대하여 A/S가 발생한 경우에도 어떠한 물품에 어떠한 A/S 작업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발생된 비용 관련 사항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111~116)를 이용하여 소모품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 서버(12)는 도 2에서와 같이, 주문 처리부(121), 설치 처리부(122), 점검 관리부(123), A/S 처리부(124)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입고 관리부(125)를 더 포함한다.
주문 처리부(121)는 소정 물품에 대한 렌탈 주문 계약이 접수되거나 체결되면 해당 주문 계약에 대한 주문 번호를 생성하고, 주문 계약에 따른 물품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주문 처리부(121)는 주문 계약이 이루어지면 주문 계약에 따른 고객 정보를 물품을 관리하는 부서의 단말로 전송하여, 주문 계약에 따라 해당 고객에 대하여 렌탈되는 물품이 설치되도록 한다.
설치 처리부(122)는 주문 계약에 따라 물품 설치가 이루어지면 해당 주문 계약의 주문 번호에 대응하여 설비 번호를 생성하며, 또한 주문 번호에 어떠한 물품이 설치되었는지를 설비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어, 설치 처리부(122)는 고객의 집에 물품을 설치한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주문 번호를 포함하는 설치 완료 메시지가 전송되면, 설치 완료 메시지로부터 주문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문 번호에 대응하여 설비 번호를 생성한다.
이때, 설치 완료 메시지에 설치된 물품에 대한 제품 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한 바코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설치 처리부(122)는 바코드를 토대로 어떠한 물품이 설치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서버(11)가 물품별 정보가 저장되는 물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물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는 물품을 나타내는 물품 코드, 해당 물품 생산시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에 대응하는 바코드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설치 처리부(122)는 이러한 물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전송된 바코드를 토대로 어떠한 물품이 설치되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점검 관리부(123)는 주문 계약에 따라 설치된 렌탈 물품에 대한 점검 관리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 관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예이며, 점검 관리부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들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점검 관리는 물품의 소모품 교환 및 청소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물품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데 요구되는 다른 작업들도 포함될 수 있다. 점검 관리부(123)는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설치된 소정 물품에 대하여 어떠한 소모품을 언제 교체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교체 대상이 되는 소모품들에 대한 소모품 교체 내역을 생성한다. 소모품 교체 내역에는 설비 번호, 소모품 코드, 교체 예정일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점검 관리부(123)는 해당 소모품의 최종 교체일을 기준으로 교체 주기에 따라 교체 예정일을 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산출된 교체 예정일 또는 미리 설정된 교체 예정일을 기준으로 설정 일수 이전에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교체 예정일 이전에 고객과의 컨택을 통하여 교체 협의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점검 관리부(123)는 생성된 소모품 교체 내역을 토대로 각 물품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로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 번호, 소모품 코드, 교체 예정일을 포함하는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렌탈 물품의 관리를 수행하는 제1 관리자의 단말(4)로 전송한다. 이때, 점검 관리부(123)는 소모품을 교체할 물품이 설치된 지역을 판별하고, 해당 지역을 관리하는 제1관리자의 단말로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1)는 관리자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자 데이터베이스에는 관리자별로 부여된 관리자 코드에 대응하여, 관리하는 지역에 대한 지역 코드, 또는 관리하는 물품에 대한 설비 번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점검 관리부(123)는 해당 물품을 렌탈한 고객의 단말(6)로 소모품 교체 예정 메시지를 전송하여, 물품의 소모품 교체가 이루어짐을 통보할 수 있다. 소모품 교체 예정 메시지에는 고객명, 어떠한 물품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예: 설비 번호), 소모품 정보(예: 소모품 코드), 교체 예정일이 포함되며, 또는 소모품 교체를 할 관리자에 대한 정보(예: 관리자 단말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점검 관리부(123)는 소모품 교체 처리가 완료된 경우, 제1 관리자 단말(4)로부터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를 전송받아서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에는 설비 번호, 교체된 소모품 번호, 교체일인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이 포함되며, 점검 관리부(123)는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토대로 소모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3)의 해당 설비 번호의 소모품 코드에 대응하여 최종 교체일을 갱신한다.
이러한 처리를 위하여, 점검 관리부(123)는 도 4에서와 같이, 소모품 교체 내역을 생성하는 교체 내역 생성 모듈(1231), 관리자 단말로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통보 모듈(1232), 교체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처리 모듈(12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고객의 단말로 소모품 교체 예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 통보 모듈(1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S 처리부(124)는 고객으로부터의 A/S 요청을 접수하고 이를 처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S 처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며, 도 5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들은 하나의 예이며, A/S 처리부는 도 5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들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하여, A/S 요청이 접수되면 작업 번호를 생성하고, 작업 번호에 대응하여 A/S 작업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A/S 에는 고장이 발생한 부품 수리 및 교환, 또는 교체 시기가 지난 소모품의 교체 등의 작업이 포함된다.
A/S 처리부(124)는 고객의 단말(6)로부터 A/S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면, A/S 처리부(124)는 A/S 요청 메시지로부터 고객 번호, 설비 번호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A/S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제2 관리자 단말(5)로 A/S 처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A/S 처리 메시지에는 작업 번호 및 설비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관리자는 고객과 컨택하여 A/S 협의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A/S 대상인 물품이 설치된 지역을 판별하고, 해당 지역의 A/S를 수행하는 제2 관리자의 단말로 A/S 처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A/S 처리부(124)는 A/S 처리를 수행하는 제2 관리자의 단말(5)로부터 A/S 처리 내역을 제공받고, A/S 처리 내역에 따라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14)에 이력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A/S 처리부(124)는 제2 관리자의 단말(5)로부터 전송되는 비용 산출 요청 메시지에 따라 A/S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용을 제2 관리자의 단말(5)로 전송할 수 있다. 비용 산출 요청 메시지에는 설비 번호와 교체되거나 수리되어야 하는 부품에 대한 부품 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A/S 처리부(124)는 설비 번호를 토대로 해당 물품을 확인하고 부품 코드에 따라 A/S 되는 부품을 확인하고, 물품과 부품에 따른 A/S 비용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A/S 비용을 포함하는 비용 메시지를 제2 관리자의 단말(5)로 전송한다.
이러한 처리를 위하여, A/S 처리부(124)는 A/S 요청에 따라 작업 번호를 생성하는 접수 처리를 수행하는 A/S 접수 처리 모듈(1241), 제2 관리자의 단말(5)로 A/S 처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A/S 통보 모듈(1242), A/S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 A/S 이력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A/S 이력 처리 모듈(1243), 비용 산출 요청 메시지에 따라 A/S 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통보하는 비용 산출 모듈(124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고 관리부(125)는 A/S 처리가 이루어진 부품 또는 소모품 관리에 따라 교체된 소모품에 대한 입고 관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A/S가 이루어진 다음 교체된 이전 부품은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입고처리된다. 입고 관리부(125)는 이러한 입고처리 및 입고된 부품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입고되는 부품을 관리하는 창고의 관리 장치(7)와 연계하여 입고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부품은 소모품을 포함한다.
입고 관리부(125)는 A/S 처리가 완료된 경우 A/S 처리부(124)로부터 제공되는 A/S 처리 내역 또는 점검 관리부(123)로부터 제공되는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토대로 교체된 이전 부품을 확인하고, 입고되어야 할 부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창고 관리 장치(7)로 제공한다. 창고 관리 장치(7)는 제공받은 부품 리스트와 실질적으로 창고에 입고 처리된 부품들을 비교하여 최종 입고 내역을 생성하여 입고 관리부(125)로 전송한다. 입고 관리부(125)는 최종 입고 내역을 토대로 입고된 부품들을 확인하고, 그 처리 내역을 입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입고 관리부(125)는 A/S가 아닌 정기적인 점검에 따라 소모품 교체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교체된 이전 소모품에 대한 입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조회 서버(13)는 각 단말(4, 5, 6)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 서버(11)로부터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아 각 단말로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은 추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능별로 세분화 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탈 물품의 소모품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특히 도 6은 소모품 관리 방법에 따른 소모품 교체 통보 과정을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소모품 교체 및 완료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에서 수행되는 각 과정을 흐름도를 토대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관리 방법의 과정들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의 순서대로만 수행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모품 관리 시스템(1)은 고객들과의 렌탈 물품 계약에 따라 설치된 물품의 소모품 관리를 위하여, 고객으로부터의 요청이나 또는 자체적인 소모품 관리 로직 등에 따라 관리 이벤트가 발생되면, 다음과 같이 소모품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는 자체 관리 로직에 따라 소모품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소모품 관리 시스템(1)의 점검 관리부(123)는 도 6에서와 같이 소모품 교체 통보 과정을 수행한다.
점검 관리부(123)는 주기적으로 설정된 시점에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13)를 검색하여 소모품을 교체할 대상인 물품들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0). 판단 결과 현 시점에서 설정 기간 이내에 해당하는 교체 예정일을 가지는 물품들을 찾아서 소모품 교체 내역을 생성한다(S110). 소모품 교체 내역에는 설비 번호, 소모품 코드, 교체 예정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점검 관리부(123)는 생성된 소모품 교체 내역에 적어도 하나의 교체 대상이 되는 소모품이 포함되어 있으면 소모품 교체 관리를 수행하며, 해당 관리자의 단말로 소모품 교체를 요청한다. 이를 위하여, 점검 관리부(123)는 소모품 교체 내역에 포함된 설비 번호를 토대로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고객 번호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고객 번호를 토대로 고객의 지역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지역을 관리하는 제1 관리자를 찾거나 획득된 고객 번호에 지정되어 있는 제1 관리자를 찾는다(S120). 고객의 요청으로부터 소모품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고객으로부터 획득한 고객 번호를 토대로 위와 같이 제1 관리자를 찾을 수 있다.
점검 관리부(123)는 제1 관리자의 단말(4)로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전송한다(S130). 소모품 교체 메시지에는 설비 번호, 소모품 코드가 포함되며, 또한 고객 번호나 교체 예정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4)을 통해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확인한 제1 관리자는 고객과의 컨택을 위하여, 소모품 교체 메시지에 포함된 설비 번호를 조회 서버(13)로 전송하면서 고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40, S150). 이 경우, 조회 서버(13)는 제1 관리자의 단말(4)로부터 수신되는 설비 번호를 토대로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1)를 검색하여 해당 물품의 고객 정보를 획득하여 제1 관리자의 단말(4)로 전송한다(S160). 제1 관리자는 획득된 고객 정보를 토대로 고객과 연락하여 소모품 교체일을 협의할 수 있다(S180). 물론 단말(4)에 자체적으로 고객 정보 관리 파일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조회 서버(13)과의 연계 동작 없이 단말(4)에서 자체적으로 고객 정보를 제1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교체 메시지에 고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조회 서버(13)를 통한 조회 과정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소모품 교체 통보 과정을 통하여 제1 관리자와 고객 사이의 소모품 교체 협의가 이루어진 다음에, 다음과 같이 소모품 교체 및 처리 과정이 수행된다.
첨부한 도 7에서와 같이, 제1 관리자는 먼저 소모품을 교체할 설비 즉, 물품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말(4)을 이용하여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바코드를 처리 서버(12)로 전송한다(S300). 처리 서버(12)의 점검 관리부(123)는 수신된 바코드를 토대로 물품 및 고객 정보를 조회한다(S310). 구체적으로 점검 관리부(123)는 설비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로부터 대응하는 설비 번호를 획득하고, 설비 번호를 토대로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13)를 검색하여 교체 대상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설비 번호를 토대로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고객 정보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조회된 설비 즉 물품 정보와 고객 정보를 제1 관리자의 단말(4)로 전송하며, 제1 관리자는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해당 물품이 교체 대상인지를 확인한다.
또한 점검 관리부(123)는 조회된 물품에 대응하여 교체되어야 하는 소모품에 해당하는 소모품 코드와 최종 교체일, 교체 예정일을 포함하는 교체 내역을 단말(4)로 전송하여, 제1 관리자가 확인하도록 한다(S320, S330).
위와 같이, 단말(4)로 수신된 물품 및 해당 물품에 대한 교체 내역을 확인한 다음, 제1 관리자는 물품의 소모품 교체를 수행한다. 소모품 교체가 완료된 다음 제1 관리자는 단말(4)을 통하여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340).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에는 설비 번호, 교체된 소모품 번호, 교체일인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이 포함될 수 있다. 처리 서버(12)의 점검 관리부(123)는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토대로 교체 처리 완료를 기록한다(S350, S360). 이 경우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토대로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13)에 교체된 소모품의 소모품 코드, 그리고 최종 교체일을 갱신하여 저장하며, 또한 최종 교체일을 토대로 교체 예정일을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소모품 교체시 비용 결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처리 서버(12)는 수납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내역을 단말(4)로부터 제공받아 수납 정보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위에 기술된 소모품 교체 과정에 따라 교체된 이전 부품에 대해서도 입고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소모품 교체 처리 이외에도, 소모품 관리 방법으로 A/S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에서, A/S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소정 물품에 대한 A/S 처리 요청이 발생하면, 예를 들어 고객 단말(6)로부터 A/S 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면, 처리 서버(12)의 A/S 처리부(124)는 고객으로부터의 A/S 요청을 접수하고 A/S 처리를 위한 작업 번호를 생성한다(S500). 이후에 수행되는 A/S 처리는 작업 번호를 토대로 수행될 수 있다.
A/S 처리부(124)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1)를 통하여 고객 번호, 설비 번호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A/S를 수행하는 제2 관리자의 단말(5)로 A/S 처리 메시지를 전송한다(S510, S520). A/S 처리 메시지에는 고객 번호 및 설비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관리자는 단말(5)을 통하여 수신된 A/S 처리 메시지를 토대로 고객과 컨택하여 A/S 협의를 할 수 있다(S530).
제2 관리자는 A/S 처리시, 물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처리 서버(12)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이 A/S 대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540~S560). 이러한 과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A/S 가 완료되면, A/S 처리부(124)는 제2 관리자의 단말(5)로부터 A/S 처리 내역을 제공받고(S570), A/S 처리 내역에 따라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14)에 A/S 이력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S580). 이러한 A/S 처리시에도 비용 결제가 발생되면, A/S 처리부(124)는 A/S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단말(5)로 제공하고, 결제 내역을 단말(5)로부터 제공받아 수납 정보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위에 기술된 A/S 과정에 따라 교체된 이전 부품에 대해서도 입고 처리가 이루어진다(S59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렌탈되는 물품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물품의 소모품을 관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시스템이, 렌탈된 물품의 소모품에 대한 관리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물품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로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설비 번호를 포함하는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의 소모품을 교체하였음을 나타내는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로부터 상기 물품에 대한 설비 번호, 교체된 소모품 번호, 교체일을 포함하는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에 따라, 소모품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물품의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소모품 교체가 이루어졌음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물품에 대한 설비 번호를 토대로 고객 정보와,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 그리고 소모품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관리자의 단말이 상기 소모품 교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설비 번호를 토대로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토대로 상기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교체된 소모품의 최종 교체일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최종 교체일을 토대로 교체 예정일을 산출하여 상기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시스템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물품의 바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바코드를 토대로 상기 물품의 설비 번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설비 번호를 토대로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물품이 소모품 교체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확인 결과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상기 시스템이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물품의 소모품 교체를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현 시점에서 설정 기간 이내에 해당하는 교체 예정일을 가지는 소모품을 찾아서 소모품 교체 내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소모품 교체 내역에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을 토대로 교체된 이전 소모품을 확인하고, 입고되어야 할 소모품을 포함하는 부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창고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창고 관리 장치로부터 최종 입고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수신된 최종 입고 내역을 토대로 상기 부품 리스트에 포함된 소모품이 입고됨을 확인하고, 입고 처리 내역을 입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방법.
  7. 렌탈되는 물품을 관리하는 소모품 관리 시스템에서
    고객과의 물품 렌탈 주문이 체결되는 경우 생성되는 주문 번호에 대응하여 렌탈된 물품에 대응하는 설비 번호가 생성되며, 상기 물품에 대한 설비 번호를 토대로 고객 정보와,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물품의 소모품에 관련된 소모품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상기 렌탈된 물품의 소모품에 대한 관리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물품을 관리하는 제1 관리자의 단말로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설비 번호를 포함하는 소모품 교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점검 관리부를 포함하는 처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관리부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의 소모품을 교체하였음을 나타내는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상기 물품의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소모품 교체가 이루어졌음을 저장하는 갱신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관리부는
    상기 물품의 설비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물품의 소모품 교체를 위한 정보를 제공받아, 현 시점에서 설정 기간 이내에 해당하는 교체 예정일을 가지는 소모품을 찾아서 소모품 교체 내역을 생성하는 교체 내역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교체 내역 생성 모듈은 상기 소모품 교체 내역에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소모품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고객에게 렌탈한 물품인 설비에 대한 정보--상기 설비에 대한 정보는 설비 번호, 주문 번호, 바코드를 포함함--를 저장한 설비 정보 데이터베이스;
    소모품 관리를 위한 정보--상기 관리를 위한 정보는 설비 번호, 소모품 코드, 교체 예정일, 교체 주기, 최종 교체일을 포함함--를 저장하는 소모품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물품을 렌탈한 고객에 대한 정보--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는 주문 번호, 설비 번호를 포함함--을 저장하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하여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조회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되는 정보는 설비 번호, 바코드 중 하나인, 소모품 관리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고객의 단말로부터 A/S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면, A/S에 대한 작업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 번호와 A/S 대상이 되는 물품의 설비 번호를 포함하는 A/S 처리 메시지를 A/S를 수행하는 제2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A/S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S 처리부는
    상기 제2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A/S 처리 내역을 제공받고, A/S 처리 내역에 따라 상기 작업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물품에 대한 A/S가 처리되었음을 나타내는 이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A/S 이력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교체 완료 메시지로부터 획득되는 소모품 교체 처리 내역 또는 상기 A/S 처리 내역을 토대로 교체된 이전 부품을 확인하고, 입고되어야 할 부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창고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입고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물품별로 처리된 A/S에 대한 이력 정보--상기 이력 정보는 작업 번호, 설비 번호, 소모품 코드, 처리일을 포함함--가 저장되는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입고될 소모품을 포함하는 부품에 대한 정보--상기 부품에 대한 정보는 작업 번호, 부품 코드, 입고 창고 정보를 포함함--가 저장되는 입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관리 시스템.














KR1020120038532A 2012-04-13 2012-04-13 네트워크를 통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5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532A KR101352355B1 (ko) 2012-04-13 2012-04-13 네트워크를 통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532A KR101352355B1 (ko) 2012-04-13 2012-04-13 네트워크를 통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837A true KR20130115837A (ko) 2013-10-22
KR101352355B1 KR101352355B1 (ko) 2014-01-16

Family

ID=4963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532A KR101352355B1 (ko) 2012-04-13 2012-04-13 네트워크를 통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3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175A (ko) * 2014-10-16 2016-04-27 심수진 사무용 기기 렌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1675987B1 (ko) * 2015-09-11 2016-11-16 강호남 블럭 및 조립제품의 대여서비스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5682B1 (ko) * 2015-12-11 2017-02-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임대 프린터 모델명 및 모델별 사용량 정보 수집 요청 명령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2458B1 (ko) * 2016-05-02 2017-04-03 주식회사 호성건설 하수도 관리 대행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3516A (ko) * 2017-08-29 2019-03-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소모품 유지보수 일정정보 조정 방법 및 서버
KR20200133902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아크페트로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안전장비의 교체렌탈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5431A (ja) 2003-11-28 2005-06-23 Nec Access Technica Ltd 電子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20070032302A (ko) * 2007-03-02 2007-03-21 최유진 렌탈.임대.대여 안전거래 방법과 이를 적용한 소비자중심기반의 맞춤형 렌탈.임대.대여 예약구현시스템
KR20120004213A (ko) * 2010-07-06 2012-01-12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Pc-nc 기반의 산업기계용 통합정비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175A (ko) * 2014-10-16 2016-04-27 심수진 사무용 기기 렌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1675987B1 (ko) * 2015-09-11 2016-11-16 강호남 블럭 및 조립제품의 대여서비스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5682B1 (ko) * 2015-12-11 2017-02-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임대 프린터 모델명 및 모델별 사용량 정보 수집 요청 명령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2458B1 (ko) * 2016-05-02 2017-04-03 주식회사 호성건설 하수도 관리 대행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3516A (ko) * 2017-08-29 2019-03-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소모품 유지보수 일정정보 조정 방법 및 서버
KR20200133902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아크페트로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안전장비의 교체렌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355B1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355B1 (ko) 네트워크를 통한 렌탈 물품의 소모품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TWI485637B (zh) Credit car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redit car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rder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credit card checkout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ao et al. RFID in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a case in the automotive industry
KR101562534B1 (ko) Qr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기자재 검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물류관리시스템
Sharpe et al. Cyber-Physical Systems in the re-use, refurbishment and recycling of used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4937623A (zh) 利用移动支付的值守分销环境
CN102207993A (zh) 医疗器械自动补充和监测用的系统、设备和方法
CN103765451A (zh) 产品水平管理系统
JP4982196B2 (ja) 交換部品発注処理装置、交換部品発注処理方法及び交換部品発注処理プログラム
US20140250022A1 (en) Following-up controlling method of industrial products us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50127103A (ko) 정보 제공장치, 시공업자 관리장치, 정보 제시장치, 프로그램, 통신 시스템 및 정보 제공방법
TW201346812A (zh) 用於管理保固與其他產品資訊的雲端服務及產品管理系統
JP2009075644A (ja) 製品ライフサイクル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Alqahtani et al. Warranty and preventive maintenance for remanufactured products: Modeling and analysis
JP2005346362A (ja) 自動車関連商品又はサービスの販売促進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Gallo et al. Hybrid remanufacturing/manufacturing systems: Secondary markets issues and opportunities
KR20060086619A (ko) Erp시스템 기반의 감사정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감사정보 운영 방법,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955231B1 (ko) 적립금을 이용한 기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부 스티커 시스템
KR102518108B1 (ko) 빅데이터를 통한 적정재고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613362B1 (ko) 차량 부품 유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6824650B2 (ja) 備蓄品管理システム、備蓄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15835A (ko) 렌탈 물품에 관련된 비용을 결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1063500A1 (fr) Systeme permettant d'effectuer des operations de credit-bail et procede permettant d'effectuer des operations de credit-bail a l'aide de ce systeme
JP2016095768A (ja) 入力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115836A (ko) 네트워크를 통한 렌탈 물품의 부품 차용 이관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