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890A -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890A
KR20130114890A KR1020120037295A KR20120037295A KR20130114890A KR 20130114890 A KR20130114890 A KR 20130114890A KR 1020120037295 A KR1020120037295 A KR 1020120037295A KR 20120037295 A KR20120037295 A KR 20120037295A KR 20130114890 A KR20130114890 A KR 20130114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ent
video
performance evaluation
text
lear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아나운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나운서(주) filed Critical 아나운서(주)
Priority to KR102012003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4890A/ko
Publication of KR2013011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러닝(e-learning)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닝 시스템에서 수강생이 수행 평가로 녹화한 동영상에 강사가 말풍선 또는 음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코멘트를 삽입할 수 있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이러닝 학습 시스템에서 수강생이 제출한 수행 평가 동영상에 대해 텍스트, 음성, 동영상과 같은 형태로 코멘트를 작성하는 코멘트 작성 수단; 상기 코멘트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코멘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사용자 코멘트 DB; 상기 코멘트 데이터가 상기 수행 평가 동영상에 삽입된 위치를 나타내는 코멘트 인덱스; 상기 코멘트가 삽입되는 위치에 같이 삽입되는 말풍선 또는 PIP(Picture In Picture) 형태의 미리 작성된 디자인 저장수단인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 상기 수행 평가 동영상을 기초로 상기 코멘트 인덱스 및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을 참조로 하여 작성한 코멘트 데이터를 수행 평가 동영상에 삽입하는 코멘트 삽입 수단; 및 상기 코멘트 데이터가 삽입된 코멘트 삽입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king Comment on Moving Picture Performance Evaluation in E-Learning System}
본 발명은 이러닝(e-learning)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닝 시스템에서 수강생이 수행 평가로 녹화한 동영상에 강사가 말풍선 또는 음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코멘트를 삽입할 수 있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상에서 원격 교육 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원격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데, 웹 브라우저가 출현하기 이전에는 퍼스널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텍스트 위주의 파일을 전송하여 원격 교육을 실시하였으나, 멀티미디어 교재가 아니기 때문에 교육 효과가 미약하여 활성화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누구에게나 공개되어 있는 범용 네트워크인 인터넷이라는 매체가 대중화됨에 따라서, 원격 교육용 인터넷 사이트를 오픈하여 소정의 원격 교육을 위한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닝(e-learning) 시스템은 컴퓨터 또는 유사한 기기를 통해 원격으로 강의에 참여하는 시스템으로 시간, 공간에 제약을 두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닝 시스템은 강사와 수강생이 직접 대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강사가 학생의 수강 청취도를 즉시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인 이러닝 시스템에서는 수강생들에게 수행 평가 과제를 내주고 강사에게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면 강사는 수강생들이 제출한 과제를 확인하여 학습 성취도를 파악하고 필요한 코멘트를 글로 작성하여 이메일과 같은 방법으로 수강생에게 전달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수행 평가 과제는 강의 주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주어질 수 있는데 언어 를 학습하거나 발표를 학습하는 이러닝 시스템에서는 주로 주어진 문장을 따라 읽는 것을 녹음하거나 또는 읽은 자세와 태도까지 확인하기 위해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 수행 평가에 있어서도 종래의 방법에서는 강사가 제출된 동영상을 재생해 보면서 별도의 문서 편집기를 이용하여 수강생에게 전달할 내용을 글로 적어 알려주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수행 평가로 녹화된 동영상의 길이는 수십 초에서 수십 분까지 길어질 수 있는데, 종래의 방법과 같이 글로 적어서 알려주는 방식은 강사가 수행 평가 동영상 중의 어떤 부분을 가리켜서 지적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표현이 어렵고 불편하며 또한 틀린 부분에 대해 올바를 예를 알려주는 방법도 글로 표현해야 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매우 어렵고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학습자가 웹 페이지 상에서 문제 풀이를 하거나 혹은 문서화된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에도, 이해 정도를 테스트하는 방식은 학습자의 실시간 학습 행태보다는 학습자의 학업 능력이 결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학습자의 실시간 학습 행태가 학습 콘텐츠의 선정에 반영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기술들은 대부분 실시간으로 학습자의 학습 행태를 점검하는 것이 아니라 사후적으로 학습자가 얼마나 내용을 이해했는지를 평가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1324호에는 학습자의 학습 행태, 특히 시선 운동을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관찰 데이터를 생성하고, 학습자가 이용하고 있는 학습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관찰 데이터 및 학습 정보 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한다. 실시간 동영상 강의의 경우에는 강사에게 그 분석된 데이터를 직접 제공하여 강사가 실시간으로 강의 내용에 이를 반영하도록 하고, 녹화된 동영상 강의, 문제 풀이 및 문서화된 강의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실시간 동영상 강의의 경우 학습자는 원격에 떨어져 있는 강사와 마주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강사와 한 교실에서 수업을 받는 것처럼 이러닝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또한, 녹화된 동영상 강의, 문제 풀이 및 문서화된 강의의 경우에도, 학습자에게 실시간 학업 상태에 따라 그에 맞는 난이도와 내용의 문제 및 강의가 제공되므로 학습자는 항상 최적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학습자의 움직임을 카메라 등으로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학습자별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지만, 학습자의 수행 평가에 대해 코멘트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13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이러닝 시스템에서 수강생이 수행 평가로 녹화한 동영상에 강사가 말풍선 또는 음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코멘트를 삽입할 수 있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수강생이 수행 평가로 녹화한 동영상에 강사가 말풍선 또는 음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코멘트를 삽입할 수 있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를 작성하는 장치로서,
이러닝 학습 시스템에서 수강생이 제출한 수행 평가 동영상에 대해 텍스트, 음성, 동영상과 같은 형태로 코멘트를 작성하는 코멘트 작성 수단;
상기 코멘트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코멘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사용자 코멘트 DB;
상기 코멘트 데이터가 상기 수행 평가 동영상에 삽입된 위치를 나타내는 코멘트 인덱스;
상기 코멘트가 삽입되는 위치에 같이 삽입되는 말풍선 또는 PIP(Picture In Picture) 형태의 미리 작성된 디자인 저장수단인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
상기 수행 평가 동영상을 기초로 상기 코멘트 인덱스 및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을 참조로 하여 작성한 코멘트 데이터를 수행 평가 동영상에 삽입하는 코멘트 삽입 수단; 및
상기 코멘트 데이터가 삽입된 코멘트 삽입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방법은, 이러닝 시스템에서 수강생이 수행 평가로 녹화한 동영상에 강사가 말풍선 또는 음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코멘트를 삽입할 수 있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평가 동영상 코멘트를 작성하는 방법으로서,
코멘트 작성 수단이 텍스트, 음성 또는 영상 형태의 코멘트를 작성하는 단계;
코멘트 인덱스 생성기가 수행 평가로 녹화된 동영상에 있어서 텍스트, 음성 또는 동영상 형식의 코멘트가 입력된 코멘트 데이터의 삽입 위치를 나타내는 코멘트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
코멘트 삽입기가 복수의 코멘트를 수행 평가 동영상의 해당 위치에 자동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코멘트가 삽입된 동영상을 일반 동영상 재생기 또는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기가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강생이 작성한 수행 평가 동영상에 대해 코멘트를 하고자 하는 정확한 시점에 코멘트를 삽입할 수 있으며, 코멘트의 삽입시 텍스트의 경우 말풍선의 형식을 사용하고, 또는 음성 코멘트 또는 PIP 형식의 영상을 통해 수강생에게 효과적으로 코멘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코멘트가 삽입된 동영상의 재생도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기를 통해 코멘트만을 재생할 수 있으므로 코멘트 확인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a) 및 (b)는 텍스트 코멘트 디자인과 동영상 코멘트 디자인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 3 (a) 및 (b)는 코멘트 삽입기로 텍스트를 삽입한 경우와 코멘트 삽입기로 동영상을 삽입한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코멘트 작성기(100), 수행 평가 동영상(120), 사용자 코멘트 DB(140), 코멘트 데이터(160), 코멘트 인덱스(180), 코멘트 삽입기(200),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220), 코멘트 삽입 동영상(240), 일반 동영상 재생기(300) 및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멘트 작성기(100)는 이러닝 학습 시스템에서 수강생이 제출한 수행 평가 동영상(120)에 대해 텍스트, 음성, 동영상 등의 형태로 코멘트를 작성하고, 사용자 코멘트 DB(140)는 상기 작성된 코멘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고, 상기 코멘트 인덱스(180)는 코멘트 데이터(160)가 상기 수행 평가 동영상(120)에 삽입된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 예를 들어 플래그이다.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220)은 코멘트가 삽입되는 위치에 같이 삽입되는 말풍선 또는 PIP(Picture In Picture) 형태의 미리 작성된 디자인 저장소이다. 또한 코멘트 삽입기(200)는 상기 수행 평가 동영상(120)을 기초로 코멘트 인덱스(180)를 및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220)을 참조로 하여 작성한 코멘트 데이터(160)를 수행 평가 동영상(120)에 삽입한다.
상기 코멘트 데이터(160)가 삽입된 코멘트 삽입 동영상(240)은 일반 동영상 재생기(300)로 재생하여 수행 평가 동영상(240)을 보거나 또는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기(400)로 코멘트 위치(Loc1, Loc2, Loc3...)로 이동하여 코멘트 데이터 부분만을 따로 재생하여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코멘트 작성기(100)가 수강생의 수행 평가 동영상(120)을 재생하면 강사는 상기 동영상(120)을 시청하면서 코멘트의 삽입이 필요한 순간 강사가 상기 코멘트 작성기(100)의 코멘트 작성 버튼(도시 않음)을 누르면 코멘트 작성 창이 나타나고 이 코멘트 작성창에서 글을 쓰거나, 음성으로 녹음하거나 또는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새로운 코멘트를 작성하거나 또는 사용자 코멘트 DB(140)에 저장된 기존의 코멘트를 선택한다. 강사가 코멘트를 새로 작성한 경우에는 새로 작성된 글, 음성 또는 동영상 형식의 코멘트는 사용자 코멘트 DB(140)에 저장된다. 최종적으로 작성 완료된 코멘트는 코멘트 데이터(160)에 전달되고 코멘트 삽입 위치(Loc1, Loc2, Loc3,...) 정보는 코멘트 인덱스(180)로 전달된다.
코멘트 삽입기(200)는 코멘트 인덱스(180)에서 수신된 코멘트 위치를 참조로 하여 수행평가 동영상(240)에 강사가 작성한 코멘트 데이터(160)를 삽입하는데,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220)에 미리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중에서 강사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코멘트 삽입기(200)에 의해 코멘트가 삽입되면 코멘트가 삽입된 동영상이 생성된다. 코멘트가 삽입된 동영상의 재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 동영상 재생기(300) 또는 코멘트만 확인할 수 있는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기(400)를 사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2 (a) 및 (b)는 텍스트 코멘트 디자인과 동영상 코멘트 디자인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도 2의 (1)의 (a)에서 복수 개의 말풍선 형태의 디자인 템플릿을 준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동영상으로 작성된 코멘트의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 평가 동영상을 정지하고 화면의 일 부분에 다른 화면을 삽입하는 방식인 PIP(Picture In Picture) 형식으로 코멘트 동영상을 삽입한다. 이 경우 텍스트 코멘트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PIP 디자인 템플릿을 준비하여 그 중에서 강사가 선택한 PIP 디자인을 적용하여 손쉽게 다양한 디자인의 코멘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 (a) 및 (b)는 코멘트 삽입기로 텍스트를 삽입한 경우와 코멘트 삽입기로 동영상을 삽입한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수행 평가 동영상(120)의 Loc1, Loc2, Loc3에 B1, B2, B3의 텍스트 코멘트가 삽입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3(b)를 참조하면 수행 평가 동영상(120)의 Loc1, Loc2, Loc3에 B1, B2, B3의 동영상 코멘트가 삽입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코멘트를 작성하는데(S20), 강사가 수강생이 제출한 수행 평가 동영상을 시청하다가 코멘트 작성이 필요한 시점에서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하고 코멘트 작성기(100)를 이용하여 코멘트를 작성한다. 코멘트의 종류는 단순하게 텍스트만을 입력하거나, 음성을 입력하거나 또는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이때 수행 평가 동영상에 있어서 텍스트, 음성 또는 동영상 형식의 강사의 코멘트가 입력된 코멘트 데이터의 삽입 위치를 나타내는 코멘트 인덱스 플래그를 도시치 않은 코멘트 인덱스 생성기에 의해 생성(S40)하게 된다.
상기 코멘트의 작성에 있어서는 텍스트, 음성 또는 영상으로 작성된 데이터를 별도의 사용자 코멘트 DB(140)에 저장하여 차후에 동일한 코멘트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 이전에 작성한 코멘트를 사용자 코멘트 DB(140)로부터 불러내어 재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동일한 과제에 대해 수강생이 다수인 경우가 보통이므로 복수 개의 수행 평가 동영상을 평가하게 되므로 유사한 코멘트 작성의 빈도가 높으며 사용자 코멘트 DB(140)를 통해 기 작성된 코멘트를 재사용함으로써 평가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코멘트 삽입기(200)가 강사가 작성한 복수의 코멘트를 수행 평가 동영상의 해당 위치에 자동으로 삽입하게 된다(S60).
먼저 텍스트로 작성된 코멘트의 경우에, 텍스트의 길이와 비례하는 시간 동안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하고 정지된 영상 위에 말풍선 형태의 텍스트를 오버래핑(overlapping)하여 코멘트를 삽입하는데 상기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220)으로부터 강사가 적절하게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음성으로 작성된 코멘트의 경우에, 수행 평가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하고 정지된 영상 위에 음성 코멘트임을 알리는 안내표시를 오버래핑하여 표시하고 음성 코멘트를 동영상에 삽입한다.
또한, 동영상으로 작성된 코멘트의 경우는 수행 평가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하고 정지된 영상 위에 PIP 형식으로 코멘트 동영상을 삽입하는데 이때 텍스트 코멘트의 삽입과 마찬가지로 상기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으로부터 강사가 적절한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코멘트를 생성함으로써 수강생으로 하여금 지루함을 덜게 할 수 있다.
또한, 코멘트가 삽입된 동영상을 일반 동영상 재생기(300) 또는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기(400)를 이용하여 수강생이 코멘트 동영상 재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코멘트가 삽입된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영상 규격으로 작성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동영상 재생기 예를 들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로 재생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동영상 재생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그런데 이때 일반적인 동영상 재생기를 사용하므로 동영상 전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기(400)를 사용하면, 상기 코멘트 인덱스(180)를 참조로 하여 전체 동영상을 확인하지 않고도 코멘트가 작성된 위치로 바로 액세스하여 코멘트 부분만을 재생하여 코멘트 내용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강생이 작성한 수행 평가 동영상에 대해 코멘트를 하고자 하는 정확한 시점에 코멘트를 삽입할 수 있으며, 코멘트의 삽입시 텍스트의 경우 말풍선의 형식을 사용하고, 또는 음성 코멘트 또는 PIP 형식의 영상을 통해 수강생에게 효과적으로 코멘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코멘트가 삽입된 동영상의 재생도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기를 통해 코멘트만을 재생할 수 있으므로 코멘트 확인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예시 목적이지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이하의 부속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코멘트 작성기 120: 수행 평가 동영상
140: 사용자 코멘트 DB 160: 코멘트 데이터
180: 코멘트 인덱스 200: 코멘트 삽입기
220: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 240: 코멘트 삽입 동영상
300: 일반 동영상 재생기 400: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기

Claims (6)

  1. 이러닝 시스템에서 수강생이 수행 평가로 녹화한 동영상에 강사가 말풍선 또는 음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코멘트를 삽입할 수 있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를 작성하는 장치로서,
    이러닝 학습 시스템에서 수강생이 제출한 수행 평가 동영상에 대해 텍스트, 음성, 동영상과 같은 형태로 코멘트를 작성하는 코멘트 작성 수단;
    상기 코멘트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코멘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사용자 코멘트 DB;
    상기 코멘트 데이터가 상기 수행 평가 동영상에 삽입된 위치를 나타내는 코멘트 인덱스;
    상기 코멘트가 삽입되는 위치에 같이 삽입되는 말풍선 또는 PIP(Picture In Picture) 형태의 미리 작성된 디자인 저장수단인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
    상기 수행 평가 동영상을 기초로 상기 코멘트 인덱스를 및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을 참조로 하여 작성한 코멘트 데이터를 수행 평가 동영상에 삽입하는 코멘트 삽입 수단; 및
    상기 코멘트 데이터가 삽입된 코멘트 삽입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재생 수단은 상기 코멘트 데이터 삽입된 코멘트 삽입 동영상 전체를 재생하는 일반 동영상 재생 수단 또는 상기 코멘트 데이터가 수행 평가 동영상에 삽입된 위치를 인식하여 그 위치로 이동하여 코멘트 데이터 부분만을 따로 재생하는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3. 이러닝 시스템에서 수강생이 수행 평가로 녹화한 동영상에 강사가 말풍선 또는 음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코멘트를 삽입할 수 있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평가 동영상 코멘트를 작성하는 방법으로서,
    코멘트 작성 수단이 텍스트, 음성 또는 영상 형태의 코멘트를 작성하는 단계;
    코멘트 인덱스 생성기가 수행 평가로 녹화된 동영상에 있어서 텍스트, 음성 또는 동영상 형식의 코멘트가 입력된 코멘트 데이터의 삽입 위치를 나타내는 코멘트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
    코멘트 삽입기가 복수의 코멘트를 수행 평가 동영상의 해당 위치에 자동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코멘트가 삽입된 동영상을 일반 동영상 재생기 또는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기가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로 작성된 코멘트의 경우에, 텍스트의 길이와 비례하는 시간 동안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하고 정지된 영상 위에 말풍선 형태의 텍스트를 오버래핑(overlapping)하여 코멘트를 삽입하고,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으로부터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고,
    상기 음성으로 작성된 코멘트의 경우에, 수행 평가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하고 정지된 영상 위에 음성 코멘트임을 알리는 안내표시를 오버래핑하여 표시하고 음성 코멘트를 동영상에 삽입하고,
    상기 동영상으로 작성된 코멘트의 경우는 수행 평가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하고 정지된 영상 위에 PIP(Picture In Picture) 형식으로 코멘트 동영상을 삽입하고, 상기 코멘트 디자인 템플릿으로부터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의 작성에 있어서는 텍스트, 음성 또는 영상으로 작성된 데이터를 별도의 사용자 코멘트 DB에 저장하여 나중에 동일한 코멘트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 이전에 작성한 코멘트를 사용자 코멘트 DB로부터 읽어내어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확인용 동영상 재생기가 코멘트가 삽입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코멘트 인덱스를 액세스하여 전체 동영상을 확인하지 않고 코멘트 부분만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방법.
KR1020120037295A 2012-04-10 2012-04-10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 KR20130114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295A KR20130114890A (ko) 2012-04-10 2012-04-10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295A KR20130114890A (ko) 2012-04-10 2012-04-10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890A true KR20130114890A (ko) 2013-10-21

Family

ID=4963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295A KR20130114890A (ko) 2012-04-10 2012-04-10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8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7408B2 (ja) 2019-08-22 2023-11-10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遠隔教育システム、サーバ装置、教育支援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7408B2 (ja) 2019-08-22 2023-11-10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遠隔教育システム、サーバ装置、教育支援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an et al. Active learning in the flipped English language arts classroom
Krumm et al. Making effective educational videos for clinical teaching
Baxa et al. The digilit framework
Wagner Authentic texts in the assessment of L2 listening ability
Campbell et al. The power of multimodal feedback
Baecher Video in teacher learning: Through their own eyes
Heffernan An integrated approach to teaching academic writing
KR100997682B1 (ko) 인터넷 기반의 영자신문기사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교재에 의한 전화 및 화상 수업 방법
Wediyantoro Improving the speaking ability of the students at public vocational School 6 Malang, Indonesia, using animation movies as teaching media
KR20130114890A (ko) 이러닝 시스템에서 동영상 수행 평가 코멘트 작성 장치 및 방법
US20180090025A1 (en) A teaching and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Özdemir-Çağatay Speaking portfolios as an alternative way of assessment in an EFL context
JP2014059452A (ja) 学習用装置、その制御方法、学習用プログラム、および、学習システム
Cowan The projected use of mobile applications for adult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class instruction
Chu et al. Using video dubbing activities in primary Chinese classroom for creative writing, a case study of students with multilingual background
Ebner et al. Potential of EPUB3 for digital textbooks in higher education
Valeri Screencasting for Enhanced Teaching and Learning in Blended and Online Creative Writing Classes.
Fong Instructors’ and students’ needs for next generation video in education
Mielke Active Dictation for Improving Student Engagement and Checking Information
KR101060285B1 (ko) 동영상외국어교육시스템, 동영상외국어교육시스템을 이용한 동영상외국어교육방법
Abdija et al. The Use of Screencasting in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Shea Teaching Japanese writing with a Smartpen
Upchurch Optimizing the Law School Classroom Through the'Flipped'Classroom Model
Arévalo Gutiérrez et al. The implementation of videos, podcasts and audios to enhance the listening skill of ninth grade students at Centro Escolar Francisco Ignacio Cordero in the year 2019
Khofifa et al. DEVELOPING INSTRUCTIONAL VIDEO IN TEACHING WRITING OF RECOUNT 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