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866A -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866A
KR20130114866A KR1020120037243A KR20120037243A KR20130114866A KR 20130114866 A KR20130114866 A KR 20130114866A KR 1020120037243 A KR1020120037243 A KR 1020120037243A KR 20120037243 A KR20120037243 A KR 20120037243A KR 20130114866 A KR20130114866 A KR 20130114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propeller
duct
ship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안
유병용
이정무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4866A/ko
Publication of KR20130114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4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non-rotating ducts or rings, e.g. adjustable for steering purp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은, 선체의 선미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는 프로펠러가 내부에 배치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 마련되며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부에서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부로 순환시켜 상기 프로펠러로 분사시키는 순환분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PROPULSION POWER INCREASING SYSTEM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펠러의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의 발달로 화물이 전 세계 곳곳으로 신속하게 운송되고 있다. 그러나 석유, 천연가스, 자동차, 컨테이너 등과 같이 화물의 부피가 매우 크거나, 화물의 무게가 매우 무거운 경우, 항공기로는 운송할 수 없기 때문에, 다소 느리지만 선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선박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경우, 많은 양의 화물을 일회적으로 운반하기엔 용이하지만, 선박의 느린 속력으로 인하여 신속한 운송을 하기엔 많은 불편이 있었다.
최근, 이러한 선박 운송의 불편을 어느 정도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의 조선소에서는 대형 선박 및 고속 선박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선박의 추진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해결 과제와, 고유가 시대에 당면한 연료 절감 문제 해결 과제를 비롯하여 선주 등 고객 만족 실현을 위한 선박 속도 향상 및 진동 개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종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선박은 프로펠러에 의해 추진된다. 즉, 선체의 선미부에 장착된 프로펠러가 회전하게 되면 추진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추진력에 의해 선박은 운행될 수 있게 된다.
즉 선박에 설치된 엔진에서 동력을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전달하게 되어 프로펠러가 회전하게 되고, 프로펠러의 회전력에 의해 유체를 후방으로 가속하여 밀어내어 후류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후류의 반작용으로 선박이 추진력을 얻어 전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조류와 파랑이 심한 환경이나, 저속에서도 좀 더 큰 추진력을 낼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P)가 덕트(D)의 내부에 배치된 덕트형 추진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덕트형 추진기는 덕트의 내부로 유체를 분사하거나 덕트의 내부에 별도의 유체 흐름 가이드부를 마련하여 추진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외에 좀더 간단한 방법으로 추진력을 향상시키거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롭고 진보된 타입의 덕트형 추진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0840870호(이종현) 2008. 06. 17.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성으로 프로펠러의 추진력을 향상시키며, 선박의 운항 기간동안 별도의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선미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는 프로펠러가 내부에 배치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 마련되며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부에서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부로 순환시켜 상기 프로펠러로 분사시키는 순환분사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순환분사부는, 상기 덕트의 외벽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해수가 순환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된 몸체;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부 영역의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해수를 상기 몸체의 공간부로 유입시키는 해수유입구; 및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부 영역의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의 공간부로 유입된 해수를 상기 프로펠러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해수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수유입구는, 상기 덕트에 마련되는 홀이며, 상기 홀은 상기 홀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펠러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프로펠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해수배출구는, 상기 덕트에 마련되는 홀이며, 상기 홀은 상기 홀을 통해 해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펠러로부터 멀어진 방향으로부터 상기 프로펠러에 인접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해수유입구로부터 상기 해수배출구로 갈수록 단면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덕트의 내부로 해수를 분사시키는 해수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수분사부는,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덕트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프로펠러 방향으로 해수를 분사시키는 복수의 분사부재; 및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분사부재로 해수를 공급시키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사부재에서 프로펠러 방향으로 분사되는 해수는 상기 덕트의 입구로 유입되는 해수보다 더 빠른 속도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사부재는 분사되는 해수가 나선형으로 상기 프로펠러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의 내벽부에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재는 노즐 또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수유입구 및 상기 해수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 및 상기 해수배출구에서 순환되는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해수유입구에 마련되어 상기 해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역류방지부; 및 상기 해수배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해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역류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기초로 선박을 추진시키는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부에서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부로 순환시켜 상기 프로펠러로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덕트의 내부로 해수를 분사시키는 해수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에 마련되는 순환분사부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프로펠러의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프로펠러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를 자연 순환시키므로 선박의 운항 기간동안 별도의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추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에서 프로펠러방향으로 해수가 나선 형태로 분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에서 순환분사부를 포함한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에서 역류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에서 프로펠러방향으로 해수가 나선 형태로 분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1)은, 선체(H)의 선미부에 마련되며 선체(H)를 추진시키는 프로펠러(P)가 내부에 배치되는 덕트(100)와, 덕트(100)에 마련되며 덕트(100)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순환시켜 프로펠러(P)로 분사시키는 순환분사부(200)와, 덕트(100)의 내부로 해수를 분사시키는 해수분사부(300)를 구비한다.
덕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H)의 선미부 하측부에 마련되어, 프로펠러(P)의 크기에 비해서 더 큰 추력(推力)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프로펠러(P)뿐만 아니라 프로펠러(P)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덕트(100)에서도 추력이 생겨 효율을 낮추지 않고 큰 추력을 얻을 수 있다.
순환분사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0)로 유입되는 해수를 프로펠러(P)의 후방부에서 프로펠러(P)의 전방부로 순환 분사시켜 프로펠러(P)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량과 유속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프로펠러(P)의 추진력과 덕트(100)의 추력이 증가되어 큰 추력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순환분사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0)의 외벽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해수가 순환될 수 있는 공간부(211)가 마련된 몸체(210)와, 프로펠러(P)의 후방부 영역의 덕트(100)에 마련되어 해수를 몸체(210)의 공간부(211)로 유입시키는 해수유입구(220)와, 프로펠러(P)의 전방부 영역의 덕트(100)에 마련되어 몸체(210)의 공간부(211)로 유입된 해수를 프로펠러(P)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해수배출구(230)를 포함한다.
순환분사부(200)의 몸체(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0)의 외벽부에 단속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덕트(100)의 외벽을 단속됨이 없이 연속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몸체(210)는 덕트(100)의 제작시에 덕트(10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덕트(100)에 용접 결합 또는 볼트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순환분사부(200)의 해수유입구(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P)의 후방 영역의 덕트(100)에 마련되어 프로펠러(P)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를 몸체(210)의 공간부(211)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해수유입구(220)는 덕트(100)에 마련되는 홀일 수 있고, 이 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프로펠러(P)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프로펠러(P)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θ1)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수유입구(220)의 일 실시 예인 홀을 마련하면 몸체(210)의 공간부(211)로 해수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프로펠러(P)의 후방영역으로 배출되는 해수는 프로펠러(P)의 회전에 의해 유속이 프로펠러(P)의 전방영역의 해수에 비해 빠르며, 해수의 유속차에 의해 프로펠러(P)의 후방영역의 압력은 그 전방영역의 압력에 비해 낮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는 프로펠러(P)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의 압력 차이에 의해 몸체(210)의 공간부(211)로 해수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 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수유입구(220)에 경사를 두어 해수의 유입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유입된 해수가 해수유입구(220)로 재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순환분사구의 해수배출구(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P)의 전방 영역의 덕트(100)에 마련되어 몸체(210)의 공간부(211)로 유입된 해수를 프로펠러(P)로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해수배출구(230)는 덕트(100)에 마련되는 홀일 수 있고, 이 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을 통해 해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프로펠러(P)로부터 멀어진 방향으로부터 프로펠러(P)에 인접한 방향으로 경사(θ2)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수배출구(230)의 일 실시 예인 홀을 마련하면 해수배출구(230)를 통한 해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해수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가 다시 해수배출구(23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해수분사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H)의 선미부 하측부에 마련되어 덕트(100)의 내부로 해수를 분사시켜 전술한 순환분사부(200)와 함께 프로펠러(P)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량과 유속을 증가시켜 추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해수분사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공급되는 해수를 프로펠러(P)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복수의 분사부재(310)와, 선체(H)에 마련되어 복수의 분사부재(310)로 해수를 공급시키는 펌프(320)를 포함한다.
해수분사부(300)의 복수의 분사부재(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P) 방향으로 해수가 나선형으로 분사되도록 덕트(100)의 내벽부에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분사부재(310)는 펌프(320)에서 공급되는 해수를 단순히 프로펠러(P)방향으로 배출시키는 튜브 또는 고압으로 프로펠러(P)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노즐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분사부재(310)에서 프로펠러(P) 방향으로 분사되는 해수의 유속은 프로펠러(P)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보다 빠르게 분사되어 프로펠러(P)로 더 많은 양의 해수를 공급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0)의 유입구에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유속 센서(S1)를 설치하고, 분사부재(310)의 주변 영역에 분사부재(310)에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유속 센서(S2)를 설치하여 양 센서를 기초로 제어부에서 펌프(320)를 구동시켜 분사부재(310)에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에서 순환분사부를 포함한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1a)은, 순환분사부(200a)에서 해수의 순환이 더 원활히 이루어고, 해수배출구(230)에서 더 빠른 속도로 해수가 분사되도록 구성한 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순환분사부(200a)의 공간부(2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유입구(220) 영역의 단면 높이(h1)가 해수배출구(230) 영역의 단면 높이(h2) 보다 높되 그 높이가 해수유입구(220) 영역에서 해수배출구(230)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에서 역류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1b)은, 해수유입구(220) 및 해수배출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순환되는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400)가 더 마련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역류방지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유입구(220)에 마련되어 해수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된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역류방지부(410)와, 해수배출구(230)에 마련되어 해수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된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역류방지부(420)를 포함한다.
역류방지부(400)의 제1 역류방지부(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유입구(220)의 좌측벽 상측부에 마련되는 제1 지지대(411)와, 제1 지지대(4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역류방지판(41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역류방지판(412)은 제1 지지대(411)에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는 후술하는 제2 역류방지판(422)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역류방지판(412)은 자중에 의해 하측 방향(해수 유입의 역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유입되는 해수의 양과 역류 기능의 효율성을 고려해서 그 길이를 제2 역류방지판(422)과 달리 짧게 제작할 수 있다.
즉 제1 역류방지판(412)이 마련되는 해수유입구(220)는 해수의 유입통로이므로 제1 역류방지판(412)의 길이를 길게하면 역류 기능은 향상되나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적어지는 단점이 있어 그 길이에 제한이 있다.
이에 비해 제2 역류방지판(422)은 해수배출구(230)에 마련되고 제2 역류방지판(422) 자체의 하중에 의해 해수의 배출 방향인 하측 방향(해수 배출의 순방향)으로 회동되므로 그 길이를 길게해도 해수의 배출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역류방지부(400)의 제2 역류방지부(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배출구(230)의 좌측벽 상측부에 마련되는 제2 지지대(421)와, 제2 지지대(4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역류방지판(422)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덕트에 마련되는 순환분사부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프로펠러의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프로펠러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를 자연 순환시키므로 선박의 운항 기간동안 별도의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순환분사부와 함께 마련되는 해수분사부에 의해 프로펠러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량 및 유속을 증가시켜 종래에 비해 더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 :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100 : 덕트 200 : 순환분사부
210 : 몸체 220 : 해수유입구
230 : 해수배출구 300 : 해수분사부
310 : 분사부재 320 : 펌프
400 : 역류방지부 410 : 제1 역류방지부
420 : 제2 역류방지부 H : 선체
S1 : 제1 유속센서 S2 : 제2 유속센서

Claims (14)

  1. 선체의 선미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는 프로펠러가 내부에 배치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 마련되며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부에서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부로 순환시켜 상기 프로펠러로 분사시키는 순환분사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환분사부는,
    상기 덕트의 외벽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해수가 순환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된 몸체;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부 영역의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해수를 상기 몸체의 공간부로 유입시키는 해수유입구; 및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부 영역의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의 공간부로 유입된 해수를 상기 프로펠러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해수배출구를 포함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구는,
    상기 덕트에 마련되는 홀이며,
    상기 홀은 상기 홀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펠러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프로펠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수배출구는,
    상기 덕트에 마련되는 홀이며,
    상기 홀은 상기 홀을 통해 해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펠러로부터 멀어진 방향으로부터 상기 프로펠러에 인접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해수유입구 영역으로부터 상기 해수배출구 영역으로 갈수록 단면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부로 해수를 분사시키는 해수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해수분사부는,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덕트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프로펠러 방향으로 해수를 분사시키는 복수의 분사부재; 및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분사부재로 해수를 공급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부재에서 프로펠러 방향으로 분사되는 해수는 상기 덕트의 입구로 유입되는 해수보다 더 빠른 속도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부재는 분사되는 해수가 나선형으로 상기 프로펠러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의 내벽부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재는 노즐 또는 튜브를 포함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구 및 상기 해수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 및 상기 해수배출구에서 순환되는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해수유입구에 마련되어 상기 해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역류방지부; 및
    상기 해수배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해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역류방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13. 선박의 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기초로 선박을 추진시키는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부에서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부로 순환시켜 상기 프로펠러로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부로 해수를 분사시키는 해수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KR1020120037243A 2012-04-10 2012-04-10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KR20130114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243A KR20130114866A (ko) 2012-04-10 2012-04-10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243A KR20130114866A (ko) 2012-04-10 2012-04-10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866A true KR20130114866A (ko) 2013-10-21

Family

ID=4963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243A KR20130114866A (ko) 2012-04-10 2012-04-10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8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583A (ko) * 2018-07-31 2021-03-30 노리요시 카모리 선체 추진 기구
KR102384060B1 (ko) 2020-10-12 2022-04-11 김병만 고효율 프로펠러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583A (ko) * 2018-07-31 2021-03-30 노리요시 카모리 선체 추진 기구
KR102384060B1 (ko) 2020-10-12 2022-04-11 김병만 고효율 프로펠러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935B1 (ko) 추진 장치와 이를 갖는 선박
JP2015515413A (ja) 船体の推進及び方向転換装置
KR20110138858A (ko) 핀이 설치된, 허브 볼텍스 저감용 선박의 프로펠러 허브 캡
US20160325811A1 (en) Marine propulsion unit
JP2019142482A (ja) 船首波を最小化するシステム
JP2011218959A (ja) バウスラスターを備えた船舶、及びこの船舶の航行方法と改修方法
KR20130114866A (ko) 선박용 덕트형 추진기의 추진력 향상 시스템
KR101336221B1 (ko) 링형 선박 추진장치
KR101825849B1 (ko) 액슬리스 모터를 활용한 선박 평형수처리 및 추진시스템
US7497657B2 (en) Beam jet propellor
KR101975598B1 (ko) 마모 방지기능을 갖는 선박용 프로펠러장치
JP4699282B2 (ja) 船舶
CN104812662B (zh)
JP2023067297A (ja) 航走体の推進力発生システム、航走体及び航走体の抵抗低減方法
KR20110093576A (ko) 선박
KR101302035B1 (ko) 선박
KR101487416B1 (ko) 추력 보강형 선박
KR102011313B1 (ko) 선박
KR101689935B1 (ko) 콴다 효과를 이용한 선박용 고효율 덕트 추진기 및 이를 위한 덕트
KR102541780B1 (ko) 선박 추진장치
US20230391436A1 (en) Ship construction and propulsion system
CN211281428U (zh) 一种船舶推进系统及船舶
KR101994067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344687B1 (ko) 수중 물 분사 연료저감용 펌프시스템
KR20120128824A (ko) 슬로싱 저감을 위한 강제 회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