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556A -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556A
KR20130114556A KR1020120127171A KR20120127171A KR20130114556A KR 20130114556 A KR20130114556 A KR 20130114556A KR 1020120127171 A KR1020120127171 A KR 1020120127171A KR 20120127171 A KR20120127171 A KR 20120127171A KR 20130114556 A KR20130114556 A KR 20130114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nchor bolt
resin
chemical composition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송림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림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림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1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5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수지 30중량%, 에폭시(Epoxy) 수지 15중량%, 90~110mesh의 규사(Quartz sand) 23중량%, 비결정 상태의 실리카(Silica) 0.5중량%, 디메틸아닐린(Dimethyl aniline) 5중량%,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8중량%, 소포제 0.3중량%,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0.5중량%,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0.5중량%, 클로랄 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2중량%, 메틸 에틸 케톤(MEK) 3중량%, 프로파질 알코올(PA) 1.5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 propylene glycol) 0.7중량%로 구성된다.
따라서, 취급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분사되기에 우수한 경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제품 수명이 길고, 높은 강도로 앵커볼트를 모재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충진 밀착성이 우수하며 접착성이 탁월하고, 용매나 용제에 의해 연화나 팽윤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점도가 커서 작업성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The chemical composition for fixing anchor bolt}
본 발명은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취급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분사되기에 우수한 경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제품 수명이 길고, 높은 강도로 앵커볼트를 모재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앵커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화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라디칼경화형 수지용 경화제에는 각종 유기 과산화물이 사용되어 왔다. 이들 유기 과산화물은 경화시키는 수지의 형태, 수지를 경화시킬 때의 온도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고 있다. 또한, 상온 또는 상온보다 낮은 온도 조건하에서 수지를 경화시킬 때에는, 유기 과산화물은 종종 방향족 아민류등의 경화 촉진제와 병용되고 있다.
한편, 유기 과산화물을 경화제로서 사용하여 경화시킬 수 있는 라디칼 경화형 수지의 용도는 내식 라이닝용 수지, 금형 성형용 수지, 캡슐앵커의 주제(主劑)용 수지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 캡슐앵커의 주제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라디칼 경화형 수지가 일반적이다.
또한, 종래의 캡슐앵커는 점성 액체 경화성 수지와 경화제의 2 성분, 또는 여기에 골재를 가한 3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캡슐앵커를 사용한 앵커볼트 또는 철근의 모재에의 고정은 모재에 천공한 구멍에 캡슐앵커를 장전한 후, 구멍에 앵커볼트 또는 철근을 삽입함으로써, 캡슐앵커를 파쇄하고 점성 액체 경화성 수지와 경화제를 혼합하고 경화시킴으로서 행해진다. 앵커볼트 또는 철근에 의해 캡슐앵커를 파쇄하는 방법으로서는 앵커볼트 또는 철근을 해머로 구멍에 박아 넣음으로써 캡슐앵커를 파쇄하는 제1 방법; 및 앵커볼트 또는 철근을 해머 드릴 등으로 회전 및 타격을 가하면서 구멍에 박아 넣음으로써 캡슐앵커를 파쇄하는 제2 방법이 있다. 제2 방법은 제1 방법에 비해 앵커볼트를 높은 강도로 모재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다속 또는 물속, 혹은 그 주변 모재에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경우 등 높은 고착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상기 제2 방법에 사용되는 캡슐앵커로서는 앵커볼트 또는 철근의 작용에 의해 파쇄될 수 있는 통 모양의 외용기 및 내용기로 이루어지는 2중 벽 구조를 갖고, 상기 외용기의 내벽과 상기 내용기의 외벽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 내에 주제로서 점성 액체 경화성 수지와 골재를 배치하고, 상기 내용기 내에 경화제를 배
치하여 이루어지는 캡슐앵커가 일반적이다.
또한, 앵커볼트 작용에 의해 파쇄될 수 있는 외용기와 내용기로 이루어
지는 2중 벽 구조를 갖고, 점성 액체 경화성 수지, 및 고체 과립상의 경화제와 골재 중 어느 한쪽을 내용기에 배치하고, 다른 한쪽을 상기 외용기의 내벽과 상기 내용기의 외벽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 내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앵커볼트 고착용 캡슐로서, 상기 고체 과립상의 경화제와 골재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고착용 캡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앵커볼트 고정 작업에 사용되는 캡슐은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2중 벽 구조를 사용하고, 점성 액체 경화성 수지와 경화제를 격리시켜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매우 번잡할 뿐만 아니라, 앵커볼트 시공시에 경화제의 수지로의 분산이 불충분해져 수지의 경화가 불균일해진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점성 액체 경화성 수지용 경화제로서 분말상 또는 과립상의 것을 상기와 같은 2중 벽 구조를 갖는 캡슐에 사용하는 경우, 특히 좁은 용기 내에 충전할 때에는 충전 작용이 매우 번잡할 뿐만 아니라 용기에의 충전시에 경화제의 미분이 비산하여 작업 환경이 악화되거나, 충전 호퍼 및 용기 내에서의 경화제의 브릿징(bridging)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기 결합제, 희석제 및 과산화물의 혼합물을 성형해서 얻을 수 있는 봉상 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상 성형체의 전 표면에 걸쳐 수지 피복층을 갖는 경화제를 점성 액체 경화성 수지와 입상 석골재의 혼합물과 함께 개구부를 갖는 불투명한 원통상의 관 안에 배치하고, 상기 관의 개구부를 투명한 플라스틱 캡으로 꼭 맞게 끼운 볼트 고정용 캡슐이 제안되어 있다. 이 앵커볼트 고정용 캡슐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2중 벽 구조를 갖는 캡슐에서 수반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그러나, 이 앵커볼트 고정용 캡슐에서는 경화제가 봉상이기 때문에 캡슐 제조시에 입상 석골재와 동시에 충전할 수 없고, 봉상 경화제를 충전한 후 입상 석골재를 충전해야만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 및 충전되는 입상 석골재가 원통상의 관과 봉상 경화제의 간극에서 브릿징을 일으켜 입상 석골재를 캡슐의 저부까지 충전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봉상 경화제는 앵커볼트 매입시에 해머 드릴의 회전 및 타격으로 꺾여 단편이 침강하는 등에 의해 점성 액체 경화성 수지와의 혼합에 얼룩이 발생하고, 앵커볼트 고정부에서의 수지의 경화 정도에 큰 차이가 생김으로써, 안정하고 높은 고착 성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한, 경화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복수의 마크로캡슐을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카트리지로서, 상기 복수의 마크로캡슐이 각각 다른 마크로캡슐 및(또는) 상기 카트리지의 내벽면과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복수의 마크로캡슐이 카트리지내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앵커볼트 고정용 카트리지도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은 상기와 같이 배치된 마크로캡슐이 앵커볼트의 작용에 의해 파쇄되었을 때 마크로캡슐의 벽재가 플레이크상의 파단을 형성하고, 이 플레이크를 「정적교반기」로서 기능시켜 경화성 중합체를 앵커볼트와 모재에 천공된 구멍의 벽 사이 공간에 균일하게 분산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술에서 마크로캡슐은 앵커볼트 작용에 의해 파쇄될 때에 플레이크편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페놀 수지의 막으로 피복된 유리구, 점토제 튜브의 단편의 양단을 봉지시킨 것, 젤라틴 캡슐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마크로캡슐 내로의 경화성 중합체의 충전법도 한정되며, 마크로캡슐을 액상 경화성 중합체 내에 침적시켜 진공 조건하에 둠으로써 마크로캡슐 내의 공기를 뺀 후, 가압하여 상기 액상 경화성 중합체를 마크로캡슐에 충전하거나, 혹은 주사기에 의해 상기 액상 경화성 중합체를 캡슐에 충전하는 등 생산성이 낮은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다. 게다가, 마크로 캡슐에 충전하는 성분은 액체 성분에 한정되며, 고체, 분체 성분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접착제, 밀봉제, 코팅 재료, 성형 재료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경화성 조성물로서 중합 가능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적어도 2개의 아크릴산 잔기를 갖는 단량체) 및(또는) 다 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 (적어도 2개의 메타크릴산 잔기를 갖는 단량체)와 유기 과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상기 유기 과산화물과 함께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의 산화 환원 중합계를 형성하는 촉진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로서, 성막성의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으로 외측 표면을 피복한 마이크로캡슐을 분산시킨 1 액성 경화성 조성물도 알려져 있는데 이 1 액성경화성 조성물은 경화성 수지가 경화제와 직접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수지의 겔화가 빨라 제품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취급성이 우수하고 균일하게 분사되어 우수한 경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높은 강도로 앵커볼트를 모재에 고정할 수 있는 앵커볼트 고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수지 30중량%, 에폭시(Epoxy) 수지 15중량%, 90~110mesh의 규사(Quartz sand) 23중량%, 비결정 상태의 실리카(Silica) 0.5중량%, 디메틸아닐린(Dimethyl aniline) 5중량%,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8중량%, 소포제 0.3중량%,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0.5중량%,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0.5중량%, 클로랄 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2중량%, 메틸 에틸 케톤(MEK) 3중량%, 프로파질 알코올(PA) 1.5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 propylene glycol) 0.7중량%로 혼합되는 화학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취급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분사되기에 우수한 경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제품 수명이 길고, 높은 강도로 앵커볼트를 모재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진 밀착성이 우수하고 접착성이 탁월하며, 용매나 용제에 의해 연화나 팽윤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점도가 커서 작업성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수지 30중량%, 에폭시(Epoxy) 수지 15중량%, 90~110mesh의 규사(Quartz sand) 23중량%, 비결정 상태의 실리카(Silica) 0.5중량%, 디메틸아닐린(Dimethyl aniline) 5중량%,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8중량%, 소포제 0.3중량%,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0.5중량%,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0.5중량%, 클로랄 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2중량%, 메틸 에틸 케톤(MEK) 3중량%, 프로파질 알코올(PA) 1.5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0.7중량%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수지 30중량%, 에폭시(Epoxy) 수지 15중량%, 90~110mesh의 규사(Quartz sand) 23중량%, 비결정 상태의 실리카(Silica) 0.5중량%로 구성되고, 디메틸아닐린(Dimethyl aniline) 5중량%,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8중량%, 소포제 0.3중량%,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0.5중량%,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0.5중량%로 구성되며, 클로랄 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2중량%, 메틸 에틸 케톤(MEK) 3중량%, 프로파질 알코올(PA) 1.5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 propylene glycol) 0.7중량%로 구성된다.
또한, 충진 밀착성이 우수하면서도 접착성이 탁월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수지 25중량%, 90~110mesh의 규사(Quartz sand) 30중량%, 비결정 상태의 실리카(Silica) 0.1중량%, 디메틸아닐린(Dimethyl aniline) 10.4중량%,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20중량%, 소포제 0.3중량%,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0.5중량%,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0.5중량%, 클로랄 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4중량%, 메틸 에틸 케톤(MEK) 5중량%, 프로파질 알코올(PA) 3.5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0.7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수지는 폴리머 결합재의 한 종류로서 열경화수지에 해당하며, 불포화 다가산을 반드시 함유하고, 포화 다가산과 다가 알코올을 병용하여 탈수 축합반응에 의해 만들어지는 고분자인 불포화 알키드 바인더를 반응성 비닐 모노머에 희석시킨 액상수지를 일컫는 것으로서, 무색투명하지만 착색될 수 있다.
에폭시(Epoxy) 수지는 분자 내에 에폭시기 2개 이상을 갖는 수지상 물질 및 에폭시기의 중합에 의해서 생긴 열경화성 수지로서 굽힘강도나 굳기 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경화 시에 휘발성 물질의 발생 및 부피의 수축이 없고 경화할 때는 재료면에서 큰 접착력을 가지는 물질로서, 가연성 및 내약품성이 크지만 강한 산과 강한 염기에는 약간 침식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마음대로 착색할 수 있고 또 내일광성도 크며, 제품의 최고 사용온도는 80℃정도로 낮아 주형, 매입, 봉입 등 뛰어난 가공성을 보인다. 이상과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접착제나 도료, 주형품 재료, 적층판, 염화비닐수지의 안정제 등 그 용도가 다양한 조성물이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수지는 상기 에폭시 수지와 더불어, 솔더레지스트(Solder-regist) 조성물, 절연도료, 접착제, 인쇄잉크, 코팅제 등으로 이용가능하며, 특히, 솔더레지스트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특히,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일반식은 분자 내에 에폭시기 대신에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 포함되는 구조로서, 경화성 수지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고내약품성, 고내열성, 고경도 및 고접착성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 수지이다.
상기 규사(Quartz sand)는 강도를 얻기 위한 조성물로서, 입도 90~110mesh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사는 지구 지각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광물로 경도가 큰 비금속 광물 중 하나로서, 백색의 결정체로 건축 재료부터 첨단산업용 전자 칩까지 다양하게 이용된다. 국내에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산재해 있으며 대부분의 고품질 규사는 거의 고갈되고 중저 품위가 대부분으로 매장량은 약 11억톤에 달한다.
상기 비결정 상태의 실리카(Silica)를 첨가 시 혼합 조성물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경화를 저해하므로 조성물 중의 수분을 흡수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 타설 시 구멍이나 타설 부위 등에 수분이 존재하면 이를 흡수하게 된다. 상기 디메틸아닐린(Dimethyl aniline)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경화 촉진기능을 가지며 혼합 조성물을 장기간 균질액으로 안정화시킨다.
상기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는 경화제로 사용되지만 물성이 백색의 입자상이나 결정상의 고체로서 활성기의 산소를 갖고 있어 극히 불안정하고 위험한 물질이지만 디옥틸프탈레이트에 용해되므로 안정하며, 동일양의 디옥틸프탈레이트가 필요하다.
상기 클로랄 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는 기본 필름의 표면에 처리되면 필름표면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켜 필름자체의 접착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첨가제로 투입되는 바인더의 접착력을 증가시켜 기본 필름과 자성체간의 접착력이 강화에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0.1 내지 용매에 포화가능한 농도까지 배합이 가능하나, 5% 이상인 경우에는 결정형으로 석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0.1% 이하의 농도에서는 접착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므로, 0.1 내지 5.0%로 배합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파질 알코올(PA)은 앵커의 분해를 방지해주는 안정제 역할을 하며, 상기 메틸 에틸 케톤(MEK)은 실질적으로 접착효과에는 관여하지 않고, 단지 주성분인 클로랄 하이드레이트(CH)가 기본 필름(Base Film)에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용매역할을 한다.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의한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을 실내에서 무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하여 현장시공과 근접한 방법으로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이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물리적 특성인 인발시험 및 전단시험을 평가하였다.
시험항목은 인발시험 및 전단시험으로서, 상기 인발시험의 시험기기는 로드셀(LOAD CELL, 200kN, 경도정밀)과, 데이터 로가시스템(DATA LOGGA SYSTEM, 삼연테크) 및 펌프(PUMP, HIST, USA)가 사용되며, 시험방법은 ASTM C 900(Standard Test Method for Pullout Strength of Hardened Concrete)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전단시험의 시험기기는 로드셀(LOAD CELL, 200kN, 경도정밀)과, 데이터 로가시스템(DATA LOGGA SYSTEM, 삼연테크) 및 펌프(PUMP, HIST, USA)가 사용되며, 시험방법은 ASTM E 488(Standard Test Method for Strength of Anchors in Concrete and Masonry Elements)을 실시하였다.
시료 구분 및 시험 편수
구분 시험 시편 시험편수


실시예 1

1





각 1개





2
3
4
5



실시예 2



6
7
8
9
10
11
12
13
실시예 1의 시편 5개를 임의로 추출하여 각각 1번부터 5번까지 번호를 붙이고, 실시예 2의 시편 8개를 임의로 추출하여 각각 6번부터 13번까지 번호를 붙인 후 각 번호에 해당하는 시편을 각 1개 준비하였다.
크리트 배합표
굵은골재
최대치수(mm)
슬럼프
(cm)
공기량
(%)
단위량(kg/m3)
시멘트 모래 자갈 혼화제
25 12±1.0 4.5±1.0 176 374 746 1037 AE감수제
표준형C
상기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한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을 시험하기 위한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배합표이다.
상기 콘크리트 벽체는 KS F 2403(콘크리트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에 준하여 콘크리트 거푸집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 배합표에 기재된 대로 제작된 콘크리트를 타설 후 적절한 진동 다짐을 실시하고 동시에 압축강도용 공시체를 제작한다. 공시체 제작 48시간 후 측면의 합판(거푸집)을 제거하고 콘크리트 본체와 압축강도 공시체를 부직포로 덮은 후 실내(20±3℃)에서 시료가 항상 습윤상태를 유지하도록 살수 양생을 26일간 실시하였다.
그런 후에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27.0N/mm2 발현하는 시점에서 살수 양생을 중단하고 온도 20±3℃, 습도 60%이상의 조건에서 48시간 이상 방치하여 건조시킨다. 건조가 된 콘크리트 모재에 제공된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의 시험시료를 주입할 수 있도록 각각 직경에 맞는 드릴로써 홈파기 작업을 실시하고 홈 안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흡입한다.
그런 다음 홈파기 작업이 끝난 콘크리트 모재에 삽입직경 및 삽입깊이를 측정하고 각각 직경에 맞는 홈 내부에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로 제조된 시험시료를 삽입하고 각각 직경에 맞는 콘크리트 드릴을 이용하여 앵커볼트를 장착한다.
시험결과
종 류 시험시편 단위 장착직경(φ) 장착깊이(mm) 결과치 시험방법


실시예 1

1





kN





12 90 23.8











2 14 110 38.5
3 18 130 70.8
4 25 170 138.9
5 28 210 161.2



실시예 2



6 12 90 21.8
7 14 110 35.9
8 18 130 70.9
9 25 170 130.6
10 28 210 161.5
11 13 130 25.9
12 16 150 33.8
13 20 180 66.5
상기 시험결과를 통해 실시예 1과 실시예 2 모두 경화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장착직경이 크고 장착깊이가 깊을수록 높은 강도로 앵커볼트를 모재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은 취급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분사되기에 우수한 경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제품 수명이 길고, 높은 강도로 앵커볼트를 모재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충진 밀착성이 우수하며 접착성이 탁월하고, 용매나 용제에 의해 연화나 팽윤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점도가 커서 작업성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수지 30중량%, 에폭시(Epoxy) 수지 15중량%, 규사(Quartz sand) 23중량%, 비결정 상태의 실리카(Silica) 0.5중량%, 디메틸아닐린(Dimethyl aniline) 5중량%,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8중량%, 소포제 0.3중량%,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0.5중량%,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0.5중량%, 클로랄 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2중량%, 메틸 에틸 케톤(MEK) 3중량%, 프로파질 알코올(PA) 1.5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0.7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
  2.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수지 25중량%, 규사(Quartz sand) 30중량%, 비결정 상태의 실리카(Silica) 0.1중량%, 디메틸아닐린(Dimethyl aniline) 10.4중량%,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20중량%, 소포제 0.3중량%,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0.5중량%,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0.5중량%, 클로랄 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4중량%, 메틸 에틸 케톤(MEK) 5중량%, 프로파질 알코올(PA) 3.5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 propylene glycol) 0.7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규사는 입도 90~110mesh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
KR1020120127171A 2012-04-09 2012-11-12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 KR201301145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6736 2012-04-09
KR1020120036736 2012-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56A true KR20130114556A (ko) 2013-10-18

Family

ID=4963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171A KR20130114556A (ko) 2012-04-09 2012-11-12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5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1888A (zh) * 2018-10-23 2019-01-01 苏州昆仑绿建木结构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复合木结构植筋胶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1888A (zh) * 2018-10-23 2019-01-01 苏州昆仑绿建木结构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复合木结构植筋胶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1077248B3 (de) Verwendung eines Inhibitors, Harzmischung, Reaktionsharzmörtel, Zweikomponenten - Mörtelsystem und dessen Verwendung sowie Patrone, Kartusche oder Folienbeutel enthaltend ein Zweikomponenten - Mörtelsystem
EP3233934B1 (de) Reaktionsharz-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JPH03177343A (ja) モルタル素地
US10611687B2 (en) Coated-fine-aggregate, concrete composition and method
KR101416841B1 (ko) 빠른 경화를 위한 고강도 황토 모르타르
JP2010513575A (ja) 合成モルタル材料
WO2015004175A1 (de) Reaktionsharz-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US5288767A (en) Two-component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chemical fixing technique
EP2985318B1 (de) Radikalisch härtbare kunstharzmasse mit siloxanoligomerzusätzen
Anagnostopoulos et al. Laboratory study of an epoxy resin grouted sand
KR100221516B1 (ko) 라디칼 경화형 화합물용 입상 피복 경화제 및 이를 이용한 앵커볼트 고정용 조성물
KR20130114556A (ko) 앵커볼트 고정용 화학조성물
WO2015004171A1 (de) Reaktionsharz-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WO2012159748A1 (de) Anorganisches bindemittel und verfahren zur schnellen verfestigung von baustoffmaterialien aller art mittels begasung mit kohlendioxid
KR100656442B1 (ko) 폐타이어고무를 함유하는 건조 폴리머 코팅재의 제조방법
KR101863455B1 (ko) 콘크리트바닥의 시공방법
KR101063776B1 (ko) 인젝션 타입 속경화 케미컬 앵커 조성물
DE102014013799A1 (de) Plättchenförmige harte Zuschläge für chemische Verankerungsmassen in der Bautechnik
KR102237005B1 (ko) 수성 에폭시 바닥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RU2807757C1 (ru) Эпокс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CN103570312B (zh) 一种聚合物复合无机胶凝材料的制备方法
KR20090021879A (ko) 수지콘크리트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4478A (ko) 폴리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모르타르용 결합재 조성물
Starokadomsky et al. Application of Cement and GypsumBased Composite Materials in Modern Constructions for Energy Saving
JP2022544547A (ja) アディティブ製造法のための二重媒介重合可能複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