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731A -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 Google Patents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731A
KR20130113731A KR1020120036155A KR20120036155A KR20130113731A KR 20130113731 A KR20130113731 A KR 20130113731A KR 1020120036155 A KR1020120036155 A KR 1020120036155A KR 20120036155 A KR20120036155 A KR 20120036155A KR 20130113731 A KR20130113731 A KR 20130113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storage
storage unit
water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493B1 (ko
Inventor
강승재
박민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20036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49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수 펌핑 과정에서 맥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가 소량일지라도 원활한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는,
상면에 각각 마련된 유입관과 유출관을 통해 세정수의 유입과 세정수의 토출이 이루어지고, 내측에 마련된 제1물저장부 및 제2물저장부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를 분리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승하강을 반복하여 제1물저장부와 제2물저장부의 용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하우징 내부로 세정수를 흡입하고 하우징 외부로 세정수를 토출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무브상의 웜횔과 맞물리는 웜기어가 회전축상에 마련되어 웜기어의 회전을 통해 다이어프램을 반복 승하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pulsation pump for bidet}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정수 펌핑 과정에서 맥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가 소량일지라도 원활한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에 관한 것이다.
배변 과정에서 항문 주위는 당연히 변에 의해 오염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배변 이후에는 항문 주위를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뒤처리를 요하게 된다.
한편, 과거 배변 이후 뒤처리는 화장지 등으로 항문 및 주변을 닦아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화장지 등으로 항문 및 주변을 닦아내는 것만으로는 항문을 청결히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변 이후 뒤처리에 따르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온수세정기가 사용되고 있다.
온수세정기는 배변 이후 세정수로써 항문 및 국부를 세척 및 마사지하게 되므로 항문 및 국부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온수세정기로부터의 세정수 분사는 노즐에 펌프가 연결되어 펌프로부터 펌핑된 세정수가 노즐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온수세정기용 펌프는 세정수의 흡입 및 토출이 균일한 압력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가 일정한 압력을 갖게 되어 세정수 소모량에 비해 세정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 세정수의 분사압이 가변되는 맥동 펌프가 온수세정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는 세정수의 분사압이 가변되므로 일반 온수세정기용 펌프에 비해 적은 세정수로도 세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유지 보수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세정수 분사압의 가변 폭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세정수 소모량 저감 효과와 세정 효율 향상 효과가 이전에 비해 월등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세정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세정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의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가 세정수 분사압 가변 폭이 미미하여 세정수 소모량 저감 효과 및 세정 효율 향상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는,
상면에 각각 마련된 유입관과 유출관을 통해 세정수의 유입과 세정수의 토출이 이루어지고, 내측에 마련된 제1물저장부 및 제2물저장부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를 분리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승하강을 반복하여 제1물저장부와 제2물저장부의 용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하우징 내부로 세정수를 흡입하고 하우징 외부로 세정수를 토출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무브상의 웜횔과 맞물리는 웜기어가 회전축상에 마련되어 웜기어의 회전을 통해 다이어프램을 반복 승하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제1물저장부는 제2물저장부는 격벽을 통해 구획이 분리되고, 격벽에는 체크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은 제2물저장부로부터 제1물저장부를 거쳐 상부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에는 제2물저장부에 인접하는 개방홀과 제1물저장부에 인접하는 개방홀이 단차를 두고 상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상에는 역류방지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좌우 연결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좌측 몸체와 우측 몸체는 동일 용적 또는 다른 용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웜기어와 맞물리는 윔휠에는 편심축이 마련되고, 편심축은 무브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슬립기어와 결합하여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웜휠의 편심축이 편심 회전함에 따라 무브플레이트상에서 슬립기어가 좌우 이동하고, 슬립기어의 좌우 이동에 따라 무브가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는, 제1물저장부와 제2물저장부가 마련된 하우징 내에서 다이어프램이 승하강을 반복하는 것인바, 다이어프램의 승하강 반복에 의해 하우징의 제1,2물저장부 용적 변화가 반복되면서 제1,2물저장부 용적 변화 반복에 의해 세정수의 맥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전에 비해 소량의 세정수로서도 세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에서 구동모터를 통한 다이어프램의 승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에서 다이어프램 승하강에 따른 세정수 흡입 및 토출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A)는 하우징(10)과, 다이어프램(20)과, 구동모터(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면에 각각 마련된 유입관(11)과 유출관(12)을 통해 세정수의 유입과 세정수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내측에 마련된 제1물저장부(13) 및 제2물저장부(14)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를 분리 수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우징(10)의 제1물저장부(13)와 제2물저장부(14)는 격벽(15)을 통해 구획이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의 제1물저장부(13)와 제2물저장부(14)가 격벽(15)을 통해 구획이 분리됨으로써 다이어프램(20) 승하강시 제1물저장부(13)와 제2물저장부(14)의 용적 변화에 따라 각각의 내부 압력이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물저장부(13)와 제2물저장부(14)의 격벽(15)에는 체크밸브(16, 1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물저장부(13)와 제2물저장부(14)의 격벽(15)에 체크밸브(16, 16')가 마련됨으로써 압력 변화에 따른 체크밸브(16, 16') 개폐에 따라 세정수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물저장부(13)의 격벽(15)에 마련되는 체크밸브(16)가 유입관(11)을 통한 하우징(10) 내부로의 세정수 유입에 따라 상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제1물저장부(13) 내부로 세정수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제2물저장부(14)의 격벽(15)에 마련되는 체크밸브(16')가 하우징(10) 내부로의 세정수 유입에 따라 상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제2물저장부(14) 내부로 세정수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유출관(12)은 제2물저장부(14)로부터 제1물저장부(13)를 거쳐 상부로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의 유출관(12)이 제2물저장부(14)로부터 제1물저장부(13)를 거쳐 상부로 이어지는 것임으로써 제2물저장부(14)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유출관(12)을 통해 제2물저장부(14)로부터 외부로 세정수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제1물저장부(13)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유출관(12)을 통해 제1물저장부(13)로부터 외부로 세정수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출관(12)에는 제2물저장부(14)에 인접하는 개방홀(12a)과 제1물저장부(13)에 인접하는 개방홀(12a)이 단차를 두고 상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출관(12)에 제2물저장부(14)와 인접하는 개방홀(12a)과 제1물저장부(13)와 인접하는 개방홀(12a)이 단차를 두고 상하로 마련됨으로써 제2물저장부(14)와 인접하는 하측 개방홀(12a)을 통해 유출관(12) 내부로 세정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제1물저장부(13)와 인접하는 상측 개방홀(12a)을 통해 유출관(12) 내부로 세정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출관(12)상에는 역류방지구(12b)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출관(12)상에 역류방지구(12b)가 마련됨으로써 제1,2물저장부(13, 14)로부터 유출된 세정수가 하우징(10)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제1,2물저장부(13, 14)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역류방지구(12b)는 유출관(12)을 통한 세정수의 재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다이어프램(20)은 하우징(10) 내에서 승하강을 반복하여 제1물저장부(13)와 제2물저장부(14)의 용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하우징(10) 내부로 세정수를 흡입하고 하우징(10) 외부로 세정수를 토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이어프램(20)은 좌우 연결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어프램(20)이 좌우 연결형으로 됨으로써 하우징(10)에 마련되는 제1,2물저장부(13, 14) 내부 양측의 용적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좌우 연결형으로 되는 다이어프램(20)의 좌측 몸체(20')와 우측 몸체(20")는 동일 용적 또는 다른 용적으로 될 수 있는 것이다.
좌우 연결형으로 되는 다이어프램(20)의 좌측 몸체(20')와 우측 몸체(20")가 다른 용적으로 되는 경우 다이어프램(20) 승하강시 하우징(10)에 마련되는 제1물저장부(13)와 제2물저장부(14) 좌우 양측 각각은 다른 용적을 갖게 되므로 세정수의 맥동에 변화를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30)는 다이어프램(20)을 지지하는 무브(34)상의 웜횔(33)과 맞물리는 웜기어(32)가 회전축(31)상에 마련되어 웜기어(32)의 회전을 통해 다이어프램(20)을 반복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동모터(30)의 웜기어(32)와 맞물리는 웜휠(3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축(33a)이 마련되고, 편심축(33a)은 무브플레이트(36)에 결합하는 슬립기어(35)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30)의 웜기어(32)와 맞물리는 웜휠(33)에 편심축(33a)이 마련되고, 편심축(33a)이 무브플레이트(36)와 결합하는 슬립기어(35)와 결합함으로써 웜기어(32)의 회전에 의해 웜휠(33)의 편심축(33a)이 편심 회전함에 따라 무브플레이트(36)상에서 슬립기어(35)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슬립기어(35)의 좌우 이동에 따라 무브(34)가 정확히 수직으로 승하강하게 되므로 무브(34)에 의해 지지되는 다이어프램(20)이 정확히 수직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A)에서의 세정수 펌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0) 내부로 세정수가 유입된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10) 상면에는 유입관(11)이 마련되어 있는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는 유입관(11)을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가 제1물저장부(13)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10)의 제1물저장부(13) 상측의 격벽(15)에는 체크밸브(16)가 마련되어 있는바, 하우징(10) 내부로 세정수가 유입되면 제1물저장부(13) 상측의 격벽(15)에 압력이 미치게 되므로 격벽(15)에 마련된 체크밸브(16)의 개방이 이루어져 제1물저장부(13)에 세정수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이어프램(20)은 최저점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다이어프램(20)은 구동모터(30)에 의해 승하강을 반복하는 것인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20)을 지지하는 무브(34)상의 웜휠(33)에 마련되는 편심축(33a)이 슬립기어(35)와 결합한 상태에서 12시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다이어프램(20)은 최저점에 위치하게 되어 제1물저장부(13) 내부에서 다이어프램(20)이 차지하는 부분이 최소가 되므로 제1물저장부(13)의 용적은 최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 내로 유입된 세정수는 최대 용적 상태의 제1물저장부(13)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는 제2물저장부(14)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10)의 제2물저장부(14) 상측의 격벽(15)에는 체크밸브(16')가 마련되어 있는바, 제1물저장부(13) 내부에 세정수가 유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0) 내부로 세정수가 추가 유입되면 제2물저장부(14) 상측 격벽(15)에 압력이 미치게 되므로 격벽(15)에 마련된 체크밸브(16')의 개방이 이루어져 제2물저장부(14)에 세정수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이어프램(20)은 최저점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다이어프램(20)은 구동모터(30)에 의해 승하강을 반복하는 것인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20)을 지지하는 무브(34)상의 웜휠(33)에 마련되는 편심축(33a)이 슬립기어(35)와 결합한 상태에서 3시 또는 9시 방향을 거쳐 6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다이어프램(20)은 최저점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제2물저장부(14)에서 다이어프램(20)이 차지하는 부분이 점차로 감소하게 되므로 제2물저장부(14)의 용적은 점차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0)에 유입된 세정수는 점차로 용적이 커지는 제2물저장부(14)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물저장부(14)에 세정수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제1물저장부(13)의 세정수는 외부로 유출된다.
본 발명에서 유출관(12)에는 제1물저장부(13)에 인접하는 상측 개방홀(12a)이 마련되어 있는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20)이 구동모터(30)에 의해 승강하여 최고점에 이르게 되면 제1물저장부(13)에서 다이어프램(20)이 차지하는 부분이 최대화되어 제1물저장부(13) 내부 용적은 최소가 되므로 제1물저장부(13)에 수용되어 있던 세정수는 용적 감소에 따른 압력 증가에 의해 유출관(12)의 상측 개방홀(12a)을 통해 유출관(12) 내부로 유입된 후 유출관(12)을 따라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물저장부를 통한 세정수 수용 과정에 의해 제1물저장부(13)에 재차 세정수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제2물저장부(14)의 세정수는 외부로 유출된다.
본 발명에서 유출관(12)에는 제2물저장부(14)에 인접하는 하측 개방홀(12a)이 마련되어 있는바, 다이어프램(20)이 구동모터(30)에 의해 하강하여 최저점에 이르게 되면 제2물저장부(14)에서 다이어프램(20)이 차지하는 부분이 최대화되어 제2물저장부(14) 내부 용적은 최소가 되므로 제2물저장부(14)에 수용되어 있던 세정수에 용적 감소에 따른 압력 증가에 의해 유출관(12)의 하측 개방홀(12a)을 통해 유출관(12) 내부로 유입된 후 유출관(12)을 따라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A)를 통해 펌핑되는 세정수는 다이어프램(20)의 승하강에 따른 제1물저장부(13)와 제2물저장부(14)의 용적 변화에 의해 흡입 및 토출이 반복되며 맥동하게 되므로 노즐(도면상 미도시)을 통해 항문 또는 국부로 분사되었을 때 이전에 비해 소량일지라도 원활한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A)는, 제1물저장부(13)와 제2물저장부(14)가 마련된 하우징(10) 내에서 다이어프램(20)이 승하강을 반복하는 것인바, 다이어프램(20)의 승하강 반복에 의해 하우징(10)의 제1,2물저장부(13, 14) 용적 변화가 반복되면서 제1,2물저장부(13, 14) 용적 변화 반복에 의해 세정수의 맥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전에 비해 소량의 세정수로서도 세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하우징 11 : 유입관
12 : 유출관 12a : 개방홀
12b : 역류방지구 13 : 제1물저장부
14 : 제2물저장부 15 : 격벽
16, 16' : 체크밸브 20 : 다이어프램
20' : 좌측 몸체 20" : 우측 몸체
30 : 구동모터 31 : 회전축
32 : 웜기어 33 : 웜휠
33a : 편심축 34 : 무브
35 : 슬립기어 36 : 무브플레이트
A :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Claims (8)

  1. 상면에 각각 마련된 유입관과 유출관을 통해 세정수의 유입과 세정수의 토출이 이루어지고, 내측에 마련된 제1물저장부 및 제2물저장부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를 분리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승하강을 반복하여 제1물저장부와 제2물저장부의 용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하우징 내부로 세정수를 흡입하고 하우징 외부로 세정수를 토출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무브상의 웜횔과 맞물리는 웜기어가 회전축상에 마련되어 웜기어의 회전을 통해 다이어프램을 반복 승하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물저장부와 제2물저장부는 격벽을 통해 구획이 분리되고, 격벽에는 체크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은 제2물저장부로부터 제1물저장부를 거쳐 상부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에는 제2물저장부에 인접하는 개방홀과 제1물저장부에 인접하는 개방홀이 단차를 두고 상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상에는 역류방지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좌우 연결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좌측 몸체와 우측 몸체는 동일 용적 또는 다른 용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웜기어와 맞물리는 윔휠에는 편심축이 마련되고, 편심축은 무브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슬립기어와 결합하여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웜휠의 편심축이 편심 회전함에 따라 무브플레이트상에서 슬립기어가 좌우 이동하고, 슬립기어의 좌우 이동에 따라 무브가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KR1020120036155A 2012-04-06 2012-04-06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KR10133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55A KR101338493B1 (ko) 2012-04-06 2012-04-06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55A KR101338493B1 (ko) 2012-04-06 2012-04-06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731A true KR20130113731A (ko) 2013-10-16
KR101338493B1 KR101338493B1 (ko) 2013-12-10

Family

ID=4963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155A KR101338493B1 (ko) 2012-04-06 2012-04-06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4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57B1 (ko) * 2014-12-23 2016-06-28 주식회사 엔씨엠 에어펌프
JP2017180028A (ja) * 2016-03-31 2017-10-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洗浄便座の脈動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2384B2 (ja) 2002-05-14 2009-03-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08111347A (ja) 2006-10-30 2008-05-15 Aisin Seiki Co Ltd 脈動流発生装置
JP5239549B2 (ja) * 2008-06-26 2013-07-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57B1 (ko) * 2014-12-23 2016-06-28 주식회사 엔씨엠 에어펌프
JP2017180028A (ja) * 2016-03-31 2017-10-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洗浄便座の脈動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493B1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8609B2 (en) Rotating drum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KR20140033895A (ko) 식기 세척기
KR101338493B1 (ko)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KR101268784B1 (ko) 식기 세척기
JP4232384B2 (ja) 衛生洗浄装置
JP5625091B2 (ja) 温水洗浄便座の脈動ポンプ装置
JP3238052U (ja) 一体型水栓金具アセンブリ
KR100686096B1 (ko) 식기 세척기
CN211796306U (zh) 一种清洗机
KR100315945B1 (ko) 단일의펌프를이용하여섬프케이스내의물을분사및배출시킬수있는식기세척기
CN210934104U (zh) 清洁组件和空气调节设备
KR200480074Y1 (ko) 양변기용 세정액 자동 배출장치
CN211985322U (zh) 一种进水阀组件及洗碗机
KR101240787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241458B1 (ko) 식기 세척기의 노즐 홀더 결합 구조
CN114250596A (zh) 上排水洗衣设备
CN211796307U (zh) 一种清洗机
CN2609952Y (zh) 洗衣机
KR20140100072A (ko) 식기세척기
KR100267922B1 (ko) 식기세척기
KR100457595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CN107044034A (zh) 洗衣机
JP4602234B2 (ja) 食器洗い機
KR100800001B1 (ko) 식기 세척기
KR101241870B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